KR20080034755A - 이동식 손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손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755A
KR20080034755A KR1020070049189A KR20070049189A KR20080034755A KR 20080034755 A KR20080034755 A KR 20080034755A KR 1020070049189 A KR1020070049189 A KR 1020070049189A KR 20070049189 A KR20070049189 A KR 20070049189A KR 20080034755 A KR20080034755 A KR 2008003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unit
washing wate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620B1 (ko
Inventor
오원철
Original Assignee
오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철 filed Critical 오원철
Publication of KR2008003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이동식 손세척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손을 세척하기 위한 세수대가 전면 중앙에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본체 프레임; 상기 세수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세수대로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 공급부; 상기 세수대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 세척된 손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부; 세척된 오수를 저장 및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 상기 배수부에 저장된 오수를 정수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 재공급하는 정수부; 및 상기 세척수 공급부, 액체세제 공급부, 소독액 공급부, 건조부, 배수부 및 정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정수를 통해 세척수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빈번하게 세척수를 교환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손세척, 손세척장치, 세정, 소독, 이동식, 살균, 세수장치, 클리닝

Description

이동식 손세척장치 {Transportable hand-wash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식 손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내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수대의 상단을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프레임 110; 세수대
120; 바퀴 200; 세척수 공급부
210; 오존 소독기 230; 히터
240; 세척수 분사모터 300; 액체세제 공급부
400; 소독액 공급부 500; 건조부
600; 배수부 610; 오수저장부
620; 오수배출모터 700; 정수부
710; 세제정수필터 720; 일반정수필터
800; 제어부 810; 감지센서
830; 표시등 840; 알람
850; 숫자판
본 발명은 이동식 손세척장치에 관련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를 통해 세척수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물의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출입하는 음식점이나 화장실에서는 손의 청결을 위해 손을 씻게 된다. 이를 위해 보통의 음식점에서는 물수건을 손님에게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계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는 그 위생상태에 대한 염려가 해소되지 않는다. 음식점 실내에 세면대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급수, 배수를 위한 배관공사를 해야하므로 현저한 비용증가가 예상된다. 한편, 화장실에는 손세척을 위해 보통 세면대에 비누나 수건 등의 용품이 구비되어 있으나 별도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청결도의 유지에 어려움이 있다. 일부에서는 롤로 권취된 종이화장지 또는 전기 건조기를 화장실 벽면에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나, 세면대에서 손을 씻은 후 다시 전기 건조기 또는 종이화장지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세면대에서 손을 씻기 위해 소비되는 물은 실제 세척에 필요한 양보다 현저히 많기 때문에 수자원이 불필요하게 낭비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세척 및 건조까지 동시에 수행 가능한 이동식 손세척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그러한 일반적인 손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손세척장치는 손이 출입하는 세면대(11)가 본체 프레임(10)이 전면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세면대(11)의 하단에는 세면대에 분사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20), 세척에 사용된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 저장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20)에 저장된 물은 모터를 통해 상승되어 급수관(21)을 타고 세척수 분사노즐(22)에 세척에 필요한 최소량만 분사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세면대(11)의 상단에는 세척수 분사노즐(22)과 액체세제 저장부(30)와 연결된 액체세제 분사노즐(31)이 설치된다. 상기 액체세제 저장부(30)의 액체세제도 세척에 필요한 최소량만 액체세제 분사노즐(31)을 통해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세척이 끝나면 상기 세면대(11)의 상단에 설치된 건조팬(40)에서 열풍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손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식 손세척장치는 세면대의 수도시설을 이용하여 손을 세척하는 보통의 방법보다 물 소비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나, 세척수 저장부(20)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횟수 이상 손세척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관리자가 물을 다시 충전해야 한다. 하지만, 그 충전횟수가 비교적 빈번하여 관리자는 관리유지의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도 급수관을 상기 세척수 저장부(20)에 직접 연결하여, 제어장치를 통해 세척수 저장부(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유지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도 급수관에 접근이 용이한 곳에만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위치적 한계가 있어, 원하는 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손세척장치의 본래 취지가 무색해진다. 또한, 관리자가 장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외부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장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세균이 증식하기 쉬워 위생관리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급수 및 배수를 위한 배관공사가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쉽게 설치 가능한 이동식 손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세척에 사용된 물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되는 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동식 손세척장 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세척에 사용될 물을 별도의 소독장치를 통해 미리 소독하여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손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손세척장치는 손을 세척하기 위한 세수대가 전면 중앙에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본체 프레임; 상기 세수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세수대로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 공급부; 상기 세수대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 세척된 손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부; 세척된 오수를 저장 및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 상기 배수부에 저장된 오수를 정수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 재공급하는 정수부; 및 상기 세척수 공급부, 액체세제 공급부, 소독액 공급부, 건조부, 배수부 및 정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사용자의 온도설정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세수대로 분사시키는 세척수 분사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오존을 발생시켜 저장된 세척수를 소독하는 오존 소독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세척된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저장부; 및 저장된 오수 를 상기 정수부에 보내기 위한 오수배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수부는, 오수에 포함된 액체세제를 필터링하는 세제정수필터; 및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정수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부를 통해 필터링된 물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 재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수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각 단계의 진행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등; 세척이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종료를 알리는 알람; 및 세척의 누적횟수를 외부에 표시하는 숫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식 손세척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감지센서를 통해 세수대에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오존 소독기로 소독되어 세척수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수대로 분사되는 단계; c) 액체세제가 상기 세수대로 분사되는 단계; d) 상기 b 단계가 재수행되는 단계; e) 세척된 손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f) 소독액이 상기 세수대로 분사되는 단계; 및 g) 상기 e 단계가 재수행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수 저장부의 저정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오수는 정수부에서 정수된 후 상기 세척부 저장부에 재공급되는 단계;를 g 단계 후에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g 단계는 표시등을 통해 외부로 각 단계가 표시되며, 상기 g 단계 종료 후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종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도면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내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세수대의 상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손세척장치는 본체 프레임(100), 세척수 공급부(200), 액체세제 공급부(300), 소독액 공급부(400), 건조부(500), 배수부(600), 정수부(700) 및 제어부(8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도록 강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전면 중앙에는 세척을 위해 손이 투입되는 세수대(110)가 구비되고, 내부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층간 구획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에 다수의 바퀴(120)가 부착 가능하므로, 원하는 공간에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 공급부(200)는 상기 세수대(110)로 손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200)는 상기 세수대(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임시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210), 사용자의 설정온도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230), 세척수를 상기 세수대(110)로 분사시키는 세척수 분사모터(240) 및 세척수를 오존발생을 통해 소독하는 오존 소독기(22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는 상기 정수부(700)에 의해 계속 재활용되는 물이므로 장치의 사용횟수가 누적되면 오염의 우려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용횟수가 많은 장소에 설치된 장치는 관리자가 하루에 1회 이상 세척수를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척수 저장부(210)의 하측에 구비된 세척수 배수밸브(211)를 통해 새척수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오존 소독기(220)는 발생되는 오존을 통해 세척수를 소독하는 장치이며, 잔류물이 남지않는 장점으로 인하여 당업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오존 소독기(220)는 장치의 가동중에는 계속해서 오존을 발생시켜 세척수의 소독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량 300W를 사용하였다. 상기 히터(230)는 보통 동절기 등에 외부의 기온이 낮은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세척수를 설정온도까지 높인다. 본 발명에서는 AC 220V 의 전압, 1KW의 용량을 가지는 히터(230)를 사용하였다. 세척수 공급부(200)는 상기 세수대(110)의 상단의 소정위치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급수관을 따라 이동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세척수 분사노즐(250)을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수 분사모터(240)는 DC 12V의 전압을 사용한다.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250)은 압력을 통해 미량의 물만을 이용해 손에 빠르고 넓게 물을 도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 분사노즐(250)을 이용한 분사방식은 기존의 물 사용량(2~3L)에 비해 물 소비량을 줄일 수 있어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가 줄어들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250)을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수의 가감이 가능하다.
상기 액체세제 공급부(300)는 상기 세수대(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수대(110)로 세척에 필요한 일정량의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액체세제 공급부(300)는 액세세제가 저장된 액체세제 저장부(310), 상기 액체세제를 분사하는 액체세제 분사노즐(330), 상기 액체세제를 액체세제 저장부(310)로부터 액체세제 분사노즐(330)까지 이동시키는 액체세제 분사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세제 분사노즐(330)과 액체세제 분사모터(320)는 각각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250)과 세척수 분사모터(240)와 구성이 같다.
상기 소독액 공급부(400)는 상기 세수대(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세수대(110)로 소독에 필요한 소독액을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소독액 공급 부(400)는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저장부(410), 상기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노즐(430), 상기 소독액을 소독액 저장부(410)로부터 소독액 분사노즐(430)까지 이동시키는 소독액 분사모터(420)를 포함한다. 상기 소독액 분사노즐(430)은 압력을 통해 물을 안개형태의 작은 입자로 형성하여 분사시키게 되므로 미량의 소독액을 손에 빠르고 넓게 도포시킬 수 있다. 상기 소독액 분사모터(420)는 세척수 분사모터(240)와 그 구성이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건조부(500)는 세척된 손의 건조를 수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건조부(500)는 바람이 생성되는 송풍기(51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생성된 바람의 온도를 높이는 코일(520), 바람의 이동경로인 덕트(530) 및 상기 세수대(110) 상단 중앙에 구비되어 바람이 나오는 송풍구(540)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520)은 상기 덕트(5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AC 220V를 사용한다. 상기 코일(520)은 상기 히터(230)와 마찬가지로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배수부(600)는 세척 후 오수를 저장 및 외부로 배출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배수부(600)는 오수가 임시 저장되는 오수 저장부(610) 및 오수를 상기 정수부(700)에 보내기 위한 오수배출모터(620)를 포함한다. 상기 오수 저장부(610)는 상기 세수대(110) 하단에 바로 설치되며, 소정위치에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611)가 구비된다. 상기 오수 저장부(610)의 하단에는 청소를 위해 관리자가 저장된 오수를 임의로 빼내기 위한 오수배수밸브(612)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센서(611)로 인해 오수가 일정량 초과 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오수배출모터(620)가 작동하여 오수는 정수부(700)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정수부(700)는 상기 오수 저장부(610)에 저장된 오수를 정수하여 상기 세척수 저장부(210)에 재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정수부(700)는 오수에 포함된 액체세제를 필터링하는 세제정수필터(710), 오수에 포함된 냄새 및 색소를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정수필터(720) 및 상기 필터에 잔류된 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열체(730)로 구성된다. 상기 정수부(700)를 통해 필터링된 물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 저장부(210)로 재공급된다. 상기 세제정수필터(710)는 오수와 최초로 접촉하는 활성탄 흡착방식을 이용한 전처리 카본필터로써, 유기화학물질, 세제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일반정수필터(720)는 후처리 카본필터로 이루어져 세균번식을 방지하고 물에 스며든 불쾌한 냄새 및 색소성분을 필터링하여 무색 무취의 물을 만드는 역활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제정수필터(710)를 전단계에 1개 구비하고, 일반정수필터(720)를 후단계에 3개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통상적인 배치방법이며 물의 오염 정도, 정수요구수준에 따라 그 배치가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침전필터를 오수와 최초로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수돗물에 함유된 일정크기 이상의 불순물이 먼저 필터링되는 배치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발열체(730)는 상기 필터에 잔류된 물이 동파되지 않도록, 외부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열체(730)를 백열등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을 발산하는 목적의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230) 또는 코일(520)을 적절하게 변형시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200), 액체세제 공급부(300), 소독액 공급부(400), 건조부(500), 배수부(600) 및 정수부(7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세수대(110)의 상단에 구비된 감지센서(810), 각 단계의 진행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100) 상단에 부착된 복수의 표시등(830), 세척이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종료를 알리는 알람(840) 및 세척의 누적횟수를 외부에 표시하는 숫자판(8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등(830)은 6개가 구비되며 각 표시등(830)의 작동방법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숫자판(850)은 사용누적횟수가 기록되므로 관리자는 이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세제정수필터(710) 및 일반정수필터(720)의 수명주기를 고려한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동식 손세척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1단계(S10)에서는 감지센서(810)를 통해 세수대(110)에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한다. 제2단계(S20)에서는 상기 감지센서(810)를 통해 손의 투입이 감지되면 제1표시등(831)에 불이 점등되면서 오존 소독기(220)로 소독된 세척수가 세척수 분사모 터(240)를 통해 상승되어 상기 세수대(110)의 상단에 위치한 두 개의 세척수 분사노즐(250)을 통해 작은 입자형태로 분사된다. 제3단계(S30)에서는 제1표시등(831)이 점멸되고 제2표시등(832)이 점등되면서 액체세제가 상기 세수대(110)의 상단에 위치한 액체세제 분사노즐(330)을 통해 상기 세수대(110)로 분사된다. 제4단계(S40)에서는 제2표시등(832)이 점멸되고 제3표시등(833)이 점등되면서 상기 제2단계(S20)가 재수행되어 손에 칠해진 액체세제를 씻어낸다. 제5단계(S50)에서는 제3표시등(833)이 점멸되고 제4표시등(834)이 점등되면서 송풍기(510)에서 발생된 바람이 덕트(530)를 타고 상기 세수대(110)의 상단 중앙에 구비된 송풍구(540)를 통하여 발산되어, 세척된 손의 건조가 수행된다. 제6단계(S60)에서는 제4표시등(834)이 점멸되고 제5표시등(835)이 점등되면서 소독액이 상기 세수대(110)의 상단에 위치한 소독액 분사노즐(430)을 통하여 상기 세수대(110)로 분사된다. 제7단계(S70)에서는 제5표시등(835)이 점멸되고 제6표시등(836)이 점등되면서 상기 제5단계(S50)가 재수행된다. 제7단계(S70) 종료 후 알람(84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작업완료를 알려준다. 제8단계(S80)에서는 수위센서(611)를 통해 상기 오수가 일정량 이상으로 감지되면, 오수는 상기 오수배출모터(620)를 통해 정수부(700)로 이동되어 정수된 후 상기 세척수 저장부(210)에 재공급된다.(S90)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 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및 배수를 위한 배관공사가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 또는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세척에 사용된 물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되는 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에 사용될 물은 별도의 소독장치를 통해 미리 소독하여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손을 세척하기 위한 세수대가 전면 중앙에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본체 프레임;
    상기 세수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세수대로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 공급부;
    상기 세수대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 공급부;
    세척된 손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부;
    세척된 오수를 저장 및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
    상기 배수부에 저장된 오수를 정수하여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 재공급하는 정수부; 및
    상기 세척수 공급부, 액체세제 공급부, 소독액 공급부, 건조부, 배수부 및 정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사용자의 온도설정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세수대로 분사시키는 세척수 분사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오존을 발생시켜 저장된 세척수를 소독하는 오존 소독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세척된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저장부; 및
    저장된 오수를 상기 정수부에 보내기 위한 오수배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는,
    오수에 포함된 액체세제를 필터링하는 세제정수필터; 및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정수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부를 통해 필터링된 물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 재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수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각 단계의 진행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척이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종료를 알리는 알람; 및
    세척의 누적횟수를 외부에 표시하는 숫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
  8. 이동식 손세척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감지센서를 통해 세수대에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오존 소독기로 소독되어 세척수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수대로 분사되는 단계;
    c) 액체세제가 상기 세수대로 분사되는 단계;
    d) 상기 b) 단계가 재수행되는 단계;
    e) 세척된 손의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f) 소독액이 상기 세수대로 분사되는 단계; 및
    g) 상기 e) 단계가 재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h) 상기 오수 저장부의 저정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오수는 정수부에서 정수된 후 상기 세척부 저장부에 재공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g) 단계는 표시등을 통해 외부로 각 단계가 표시되며,
    상기 g) 단계 종료 후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종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세척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49189A 2006-10-17 2007-05-21 이동식 손세척장치 KR100870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7960 2006-10-17
KR2020060027960 2006-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55A true KR20080034755A (ko) 2008-04-22
KR100870620B1 KR100870620B1 (ko) 2008-11-27

Family

ID=3957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189A KR100870620B1 (ko) 2006-10-17 2007-05-21 이동식 손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6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1735A (zh) * 2014-06-20 2016-02-10 上海卫典科技有限公司 具有身份识别功能的智能控制的手消毒仪
KR20160104955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케이티엠테크 자동 손 세척장치
CN107124872A (zh) * 2015-01-16 2017-09-01 斯堪尤尼克公司 用于通过施用臭氧水进行手消毒的设备、方法和软件产品
CN110269531A (zh) * 2019-07-23 2019-09-24 河南锦之龙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净手柜
KR102085326B1 (ko) * 2018-11-13 2020-03-05 김정훈 자동 공급 성수대
KR102565704B1 (ko) * 2023-01-03 2023-08-14 (주)대한인더스트리 스마트 손세정기 및 세정 자원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48B1 (ko) * 2019-08-27 2020-05-11 (주)포에스 멸균 소독이 가능한 손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148A (ko) * 1996-07-16 1998-04-30 이용순 자동 손 세척기
KR200359785Y1 (ko) * 2004-04-02 2004-08-21 정병주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자동 세수 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1735A (zh) * 2014-06-20 2016-02-10 上海卫典科技有限公司 具有身份识别功能的智能控制的手消毒仪
CN107124872A (zh) * 2015-01-16 2017-09-01 斯堪尤尼克公司 用于通过施用臭氧水进行手消毒的设备、方法和软件产品
KR20160104955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케이티엠테크 자동 손 세척장치
KR102085326B1 (ko) * 2018-11-13 2020-03-05 김정훈 자동 공급 성수대
CN110269531A (zh) * 2019-07-23 2019-09-24 河南锦之龙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净手柜
KR102565704B1 (ko) * 2023-01-03 2023-08-14 (주)대한인더스트리 스마트 손세정기 및 세정 자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620B1 (ko)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620B1 (ko) 이동식 손세척장치
NL2005288C2 (nl) Was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wassen van objecten.
US20180022618A1 (en) Water recycling system and method
KR101846000B1 (ko) 세면수를 변기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한 절수기 장치
KR101282610B1 (ko) 휴대폰 살균 및 광고기능이 구비되고 설치가 간편한 세정대
CN208830420U (zh) 一种杀菌型洗手器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101671511B1 (ko) 공용시설의 절수시스템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KR20180122061A (ko)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 절수기 장치
CN202626651U (zh) 捶击式洗衣机
US20130206187A1 (en) Treatment system for a garbage disposal and sink drain pipe
KR20080078505A (ko) 정수기용 급수 장치
JP2000271030A (ja) 浴槽残り湯の再利用装置
KR20140108948A (ko) 이동식 사용기능을 갖는 다기능 손 세정장치
JP2001169940A (ja) 移動型手洗装置
KR200308605Y1 (ko) 소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KR200445937Y1 (ko) 소변기의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EP1492928A1 (en) Stench-free toilet system
CN211484285U (zh) 一种移动式防细菌定植洗手机
KR102173344B1 (ko) 이동식 손 세정대
CN219090359U (zh) 落地式洗消一体机
US20240115107A1 (en) Mobile clean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JP2001321286A (ja) 浴槽残り湯再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