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344B1 - 이동식 손 세정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손 세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344B1
KR102173344B1 KR1020200054458A KR20200054458A KR102173344B1 KR 102173344 B1 KR102173344 B1 KR 102173344B1 KR 1020200054458 A KR1020200054458 A KR 1020200054458A KR 20200054458 A KR20200054458 A KR 20200054458A KR 102173344 B1 KR102173344 B1 KR 10217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shing
pipe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마토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마토세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마토세븐
Priority to KR102020005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with means for storing soiled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6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세정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탱크, 수전, 세면볼, 손 세정제(hand soap), 페이퍼 타월(paper towel) 및 쓰레기통 등이 본체의 내부 또는 일측부에 함께 구비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고, 위생성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식 손 세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손 세정대{MOVING TYPE HAND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손 세정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탱크, 수전, 세면볼, 손 세정제(hand soap), 페이퍼 타월(paper towel) 및 쓰레기통 등이 본체의 내부 또는 일측부에 함께 구비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고, 위생성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식 손 세정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중동 호흡기 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메르스)이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등과 같은 호흡기 감염이 전세계적으로 대유행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함에 따라 호흡기 감염의 예방을 위해서 마스크 착용과 더불어 손 씻기에 이르기까지 개인 위생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손 씻기는 보통 세면대에 행해진다. 세면대는 보편적으로 주택, 사무실, 호텔, 여관 등의 숙박시설의 욕실이나 화장실, 혹은 백화점, 대형마트, 식당 등의 판매시설과, 학교, 도서관, 주민센터 등과 같은 공공시설의 화장실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세면대는 급수관과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전과, 상기 수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받는 세척볼(세면볼)과, 상기 세척볼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볼에 채워진 세정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기존의 세면대는 급수전을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급수전이 설치된 화장실이나 욕실에 대부분 고정 설치된다. 이로 인해, 공장이나 사무실, 혹은 야외 활동 중에서 손을 씻기 위해서는 비교적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화장실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손 씻기를 게을리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전세계적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한 개인 위생관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화장실 이동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인해 손 씻기를 게을리 하였고, 이로 인해 각종 유행성 호흡기 감염증에 노출되어 건강을 위협받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그에 대한 대책 강구가 시급한 실정에 있다.
KR 10-2007-0016387 A, 2007. 02. 08. KR 20-0276615 Y1, 2002. 05. 14. KR 10-1723525 B1, 2017. 03. 30. KR 10-1808075 B1, 2017. 12. 0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 세정제(hand soap), 페이퍼 타월(paper towel) 및 쓰레기통 등이 일체로 구비되어 자리 이동없이 한 자리에서 손 씻기/세정/건조와 쓰레기 배출을 함께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광고패널을 구비하여 광고를 제공하여 부가적으로 광고수익을 장출할 수 있는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하우징 필터(세디먼트필터/카본필터)를 통해 정화된 세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다리부재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설치된 세면볼; 상기 세면볼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 상면부에 설치되고, 급수관으로부터 급수되는 세정수를 상기 세면볼로 공급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수전;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손 세정제를 공급하는 핸드소프 디스펜서;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페이퍼타월을 제공하는 페이퍼타월 디스펜서; 상기 본체의 측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쓰레기통;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세면볼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양말필터가 설치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탱크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세정수를 드레인관으로 배출하는 펌프; 상기 물탱크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저부 플로트 스위치;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2 수위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상부 플로트 스위치;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저부 플로트 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세정수를 배출하고, 상기 저부 플로트 스위치와 상기 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배수 문제로 인해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2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상부 플로트 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수전을 통해 상기 세면볼로 세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부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패널;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정화시키는 하우징 필터; 상기 지지판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오전을 생성하여 상기 수전으로 공급하는 오존수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된 방역매트와 건조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역매트에는 상기 방역매트를 밟고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해 압력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전자밸브를 폐쇄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수전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급수관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세정수는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드레인관, 상기 급수관, 상기 수전, 상기 세면볼, 상기 배수관, 상기 물탱크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 세정대를 급배수 시설이 없는 매장의 출입구 근처나 중앙에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급수관은 주방이나 화장실의 급배수 시설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세정수를 급수받거나 배수하되, 상기 배관은 천장 위를 지나가거나 천장 위에 공간이 없는 경우 천장에 노출형으로 설치되고, 급수의 경우 물의 수압으로 상기 수전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의 경우에는 상기 펌프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핸드소프 디스펜서는 손 세정제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면, 30초 동안 기등록된 음악을 출력하도록 음악재생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 수전, 세면볼, 손 세정제(hand soap), 페이퍼 타월(paper towel) 및 쓰레기통 등이 본체의 내부 또는 일측부에 함께 구비된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제공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하면서, 위생성과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손 세정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와 펌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손 세정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손 세정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내부 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1)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다리부재(11a)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본체(1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욕실장이나 수납장 등과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박스 형태의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일측부가 도어(11b)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어(11b)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의 상부에는 상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판(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1)와 지지판(12)은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하이그로시(hi-grossy)를 기본으로 하고, 이외에도,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의 상면부에는 수전(14)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받는 세면볼(13)이 설치된다. 이때, 세면볼(13)은 스테인레스 재질과 같은 금속 또는 도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11)의 하부에는 이동성을 위해 캐스터(바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세면볼(13)의 일측으로 본체(11)의 상면부에는 수전(14)이 설치된다. 수전(14)에는 일측에 감지센서(14a)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을 근접시키면 근접되는 손을 감지하여 내부에 설치된 전자밸브(솔로레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세정수를 공급한다.
지지판(12)의 전면부에는 손 세정제(hand soap)를 공급하는 핸드소프 디스펜서(15)와, 페이퍼타월(16a)을 제공하는 페이퍼타월 디스펜서(16)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핸드소프 디스펜서(15)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측에 구비된 레버를 누르면 압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손 세정제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고, 자동식의 경우에는 별도로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손 세정제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핸드소프 디스펜서(15)에는 손 세정제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면, 대략 30초 동안 기등록된 음악을 출력하도록 음악재생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바이러스 예방 수칙에서 30초 동안 손씻기를 권장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악이 끝날 때까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유도하여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다.
본체(11)의 측면부에는 쓰레기통(17)이 부착된다. 이때, 쓰레기통(17)은 채워진 쓰레기를 쉽게 버릴 수 있도록 본체(1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쓰레기통(17)은 자석부재가 매립되어 자력으로 본체(11)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판(12)의 전면부 상단에는 각종 광고 및 정보 등을 제공하는 광고패널(18)(또는 거울)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광고패널(18)은 LCD나 OLED 패널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체(11)의 내부에는 세면볼(13)에 형성된 배수구(13a)와 연결된 배수관(19)이 설치되고, 배수관(19)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20)가 내장된다.
세면볼(13)의 배수구(13a)에는 배수트랩(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은 배수관(19)의 상단과 연결된다. 배수관(19)은 일자형 또는 'S'자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배수관(19)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양말필터(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와 펌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물탱크(20)의 하부에는 연결관(22)이 연결되고, 펌프(23)는 연결관(22)을 통해 물탱크(20)의 내부에 채워진 세정수를 드레인관(24)을 통해 배출한다.
물탱크(20)에는 물탱크(20)에 채워지는 세정수가 넘치지 않도록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 스위치(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 스위치(25)의 감지신호에 의해 물탱크(20)에 구비된 부저(26)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7)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모듈(27)은 플로트 스위치(25)에 의해 물탱크(20)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부저(26)를 통해 경보음을 제공하는 한편, 펌프(23)를 가동시켜 물탱크(20)에 저장된 세정수를 연결관(22)을 통해 드레인관(24)으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정한다.
한편,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11)의 내부에는 하우징 필터(28)가 설치되어 급수관(29)을 통해 수전(14)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정화시킨다. 이때, 하우징 필터(28)는 일례로 RO/DI 필터로, 세디먼트 필터(침전필터)와 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2)의 상단 내부에는 오존수 발생기(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존수 발생기(30)는 급수관(29)을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오존을 생성한다. 그리고, 오존수 발생기(30)에서 생성된 오존수는 수전(14)으로 공급된다.
도 1과 같이, 본체(11)의 전방에는 방역매트(31)와 건조매트(32)가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방역매트(31)는 상부에 털을 구비하여 뿌려지는 소독액을 머금어 사용자의 신발 바닥면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살균할 수 있다.
방역매트(31)는 일단부가 본체(11)의 일측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역매트(31)의 내부에는 방역매트(31)를 밟고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해 압력센서(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제어모듈(27)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수전(14)의 감지센서(14a)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전자밸브를 폐쇄상태로 유지시켜 수전(14)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즉, 사용자가 반드시 방역매트(31)를 밟은 상태에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급수와 배수가 불가능한 영역에서는 드레인관(24)과 급수관(29)을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드레인관(24)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는 급수관(29)으로 순환되어 수전(14)을 통해 세면볼(13)로 공급된다. 이후, 배수관(19)을 통해 물탱크(20)으로 배출된 후 배수모터인 펌프(23)를 통해 재순환됨으로써 장소에 무관하게 다양한 장소에 설치 운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급수와 배수가 가능한 설치 현장에서는 드레인관(24)과 급수관(29)을 구축되어 있는 급수 및 배수시설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급수 및 배수라인의 경우, 천장이 있으면 천장 위의 공간을 이용하고, 천장이 없는 경우에는 노출 배관을 이용하여 드레인관(24)과 급수관(29)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플로트 스위치를 2개 사용하여 물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그 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에서는 1개가 아닌 2개의 플로트 스위치를 구성한다. 즉, 물탱크(20)의 저부에 설치된 하부 플로트 스위치(35a)와, 물탱크(2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로트 스위치(35b)를 포함한다.
물탱크(20)의 저부에 세정수가 채워져 제1 수위(wL1)에 도달하면, 저부 플로트 스위치(35a)가 동작한다. 그리고, 제어모듈(27)은 저부 플로트 스위치(35a)의 동작에 응답하여 펌프(23)를 가동시켜 물탱크(20)의 저부에 채워진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물탱크(20)의 수위가 제1 수위(wL1)보다 내려가면 펌프(23)를 중지된다.
따라서, 물탱크(20)는 세정수가 채워짐과 동시에 플로트 스위치(35a)와 제어모듈(27) 및 펌프(23)를 통해 배출되어 항상 비어 있는 상태로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부 플로트 스위치(35b)는 저부 플로트 스위치(35a) 및 펌프(23)의 고장으로 인한 배수 문제시 물탱크(20)로 세정수가 넘치지 않도록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저부 플로트 스위치(35a) 및 펌프(23)의 고장으로 인한 배수 문제로 인해 물탱크(20)의 수위가 제2 수위(wL2)에 도달하면, 상부 플로트 스위치(35b)가 동작한다.
제어모듈(27)은 상부 플로트 스위치(35b)의 동작에 응답하여 전자밸브(33) 혹은 수전(14)에 구비된 감지센서의 전원을 차단하여 수전(14)을 통해 세면볼(13)로 세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물탱크(20)의 세정수가 넘치지 않도록 조절한다. 또한, 제어모듈(27)은 부저(26)을 동작시켜 물탱크(20)의 수위를 경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손 세정대는 급배수 시설이 없는 매장의 출입구 근처나 중앙에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드레인관과 급수관은 주방이나 화장실의 급배수 시설과 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세정수를 급수받거나 배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관은 천장 위를 지나가거나 천장 위에 공간이 없는 경우 천장에 노출형으로 설치되고, 급수의 경우 물의 수압으로 수전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의 경우에는 펌프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도어 11 : 본체
11a : 다리부재 11b : 도어
12 : 지지판 13 : 세면볼
13a : 배수구 14 : 수전
14a : 감지센서 15 : 핸드소프 디스펜서
16 : 페이퍼타월 디스펜서 16a : 페이퍼타월
17 : 쓰레기통 18 : 광고패널
19 : 배수관 20 : 물탱크
21 : 양말필터 22 : 연결관
23 : 펌프 24 : 드레인관
25 : 플로트 스위치 26 : 부저
27 : 제어모듈 28 : 하우징 필터
29 : 급수관 30 : 오존수 발생기
31 : 방역매트 32 : 건조매트
33 : 전자밸브
35a : 저부 플로트 스위치 35b : 상부 플로트 스위치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다리부재를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로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본체의 상면부에 설치된 세면볼;
    상기 세면볼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 상면부에 설치되고, 급수관으로부터 급수되는 세정수를 상기 세면볼로 공급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수전;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손 세정제를 공급하는 핸드소프 디스펜서;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페이퍼타월을 제공하는 페이퍼타월 디스펜서;
    상기 본체의 측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쓰레기통;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세면볼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양말필터가 설치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어모듈;
    상기 물탱크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세정수를 드레인관으로 배출하는 펌프;
    상기 물탱크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저부 플로트 스위치;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2 수위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상부 플로트 스위치; 및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저부 플로트 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세정수를 배출하고, 상기 저부 플로트 스위치와 상기 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배수 문제로 인해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제2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상부 플로트 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수전을 통해 상기 세면볼로 세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부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패널;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수전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정화시키는 하우징 필터;
    상기 지지판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세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오전을 생성하여 상기 수전으로 공급하는 오존수 발생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된 방역매트와 건조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역매트에는 상기 방역매트를 밟고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해 압력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더라도 전자밸브를 폐쇄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수전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급수관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세정수는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드레인관, 상기 급수관, 상기 수전, 상기 세면볼, 상기 배수관, 상기 물탱크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 세정대를 급배수 시설이 없는 매장의 출입구 근처나 중앙에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급수관은 주방이나 화장실의 급배수 시설과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세정수를 급수받거나 배수하되, 상기 배관은 천장 위를 지나가거나 천장 위에 공간이 없는 경우 천장에 노출형으로 설치되고, 급수의 경우 물의 수압으로 상기 수전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의 경우에는 상기 펌프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소프 디스펜서는 손 세정제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면, 30초 동안 기등록된 음악을 출력하도록 음악재생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손 세정대.
KR1020200054458A 2020-05-07 2020-05-07 이동식 손 세정대 KR10217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8A KR102173344B1 (ko) 2020-05-07 2020-05-07 이동식 손 세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8A KR102173344B1 (ko) 2020-05-07 2020-05-07 이동식 손 세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344B1 true KR102173344B1 (ko) 2020-11-04

Family

ID=735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58A KR102173344B1 (ko) 2020-05-07 2020-05-07 이동식 손 세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3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420A (ja) * 1995-06-07 1999-06-29 スローン バルブ カンパニー 洗浄装置及び操作方法
KR200276615Y1 (ko) 2002-02-27 2002-05-25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자동발판손세정대
KR20070016387A (ko)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대성주방 휴지통 내장형 손 세정대
KR101282610B1 (ko) * 2012-05-15 2013-07-10 오원철 휴대폰 살균 및 광고기능이 구비되고 설치가 간편한 세정대
KR101723525B1 (ko) 2016-08-29 2017-04-18 원동춘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손 세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075B1 (ko) 2017-05-11 2017-12-12 원동춘 조립식 손 세정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420A (ja) * 1995-06-07 1999-06-29 スローン バルブ カンパニー 洗浄装置及び操作方法
KR200276615Y1 (ko) 2002-02-27 2002-05-25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자동발판손세정대
KR20070016387A (ko)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대성주방 휴지통 내장형 손 세정대
KR101282610B1 (ko) * 2012-05-15 2013-07-10 오원철 휴대폰 살균 및 광고기능이 구비되고 설치가 간편한 세정대
KR101723525B1 (ko) 2016-08-29 2017-04-18 원동춘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손 세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075B1 (ko) 2017-05-11 2017-12-12 원동춘 조립식 손 세정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19B2 (en) Lavatory system
ES2328633T3 (es) Instalacion para el reciclaje de aguas sanitarias.
US20020016986A1 (en) Portable sanitation device
US20070214559A1 (en) Portable toilet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2173344B1 (ko) 이동식 손 세정대
US20140283292A1 (en) System for minimizing water usage and splash during urination
JPH02300427A (ja) 便器洗浄槽に於ける上水、中水併用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6195191U (zh) 一种男女共厕清洁卫生间系统
RU276271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туалет и кабинка, включающ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туалет
US6944894B1 (en) Self-cleaning toilet
KR20140000074A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JP2003328406A (ja) 給水装置
KR100344941B1 (ko) 소변기
JP7415313B2 (ja) トイレユニット
EP4361363A1 (en) A cleansing and sanitation system for sanitary appliances
KR20120041492A (ko) 화장실용 복합 위생기
JP2023146421A (ja) トイレユニット
KR100454811B1 (ko) 좌변기용 좌대의 살균 시스템
KR20230028824A (ko) 자동 소변기
KR200232509Y1 (ko) 좌판 살균등이 구비된 양변기
WO2023196318A1 (en) Assistive hygiene station
CN114753463A (zh) 一种防堵塞防溅水电动粉碎马桶
BR202020025475U2 (pt) Estrutura de lavabos móveis higiênicos com pedais de acionamento
US7424755B1 (en) Aesthetic, multipurpose, cabinetry assembly for use within a lavatory and method of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