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326B1 - 자동 공급 성수대 - Google Patents

자동 공급 성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326B1
KR102085326B1 KR1020180138667A KR20180138667A KR102085326B1 KR 102085326 B1 KR102085326 B1 KR 102085326B1 KR 1020180138667 A KR1020180138667 A KR 1020180138667A KR 20180138667 A KR20180138667 A KR 20180138667A KR 102085326 B1 KR102085326 B1 KR 10208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holy
housing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8013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 자동 공급 성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수가 담긴 성수통, 상기 성수통의 주둥이부가 탈착되는 용기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로 연결되고 끝단부에 성수 배출구를 갖는 출수 배관, 상기 배출구 일측에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출수 배관을 개폐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의 센싱 여부에 따라 개폐 작동을 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성수의 관리 및 공급이 편리하면서 하우징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동 공급 성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공급 성수대{HOLY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벽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 자동 공급 성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수가 담긴 성수통, 상기 성수통의 주둥이부가 탈착되는 용기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로 연결되고 끝단부에 성수 배출구를 갖는 출수 배관, 상기 배출구 일측에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출수 배관을 개폐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의 센싱 여부에 따라 개폐 작동을 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성수의 관리 및 공급이 편리하면서 하우징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동 공급 성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종 플루나 독감 등 각종 질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위생, 특히 손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병원이나 학교, 식당 등 공공 시설물에는 다양한 손 세정물품이 비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교인들은 성당 등의 종교 시설물에 출입할 때 성수로 손을 세정하여 전염병의 확산을 막음과 동시에 몸과 정신을 모두 깨끗이 함으로써, 심신의 안녕을 유지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되는 성수란 종교 의식에서 사용하고자 사제가 축성(祝聖)한 물을 말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사제가 성수가 담긴 성수채를 이용해 필요한 사람이나 물건 등에 성수를 뿌리는 형태로 사용해왔다.
성수채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는, 별도의 용기에 담긴 성수에 담갔다가 뿌려서 사용하는 솔 형태와, 짧은 손잡이 끝부분에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덩이에 성수를 저장하여 뿌리는 덩이 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또한 내부에 성수를 저장하는 공간이 있어서 흔들기만 하면 성수가 나오는 종류가 있는 반면에, 계속해서 성수가 담긴 양동이 같이 생긴 성수통 안에 성수를 채워야 하는 종류가 있다.
그런데 성수채란 특정 사제만이 소지하여 특별한 예식에만 사용되는 물품으로써, 종교 시설물에 비치해 여러 사람이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공물품이 아니다.
또한 특별한 예식이 아니라 단순히 종교 시설물에서 생활할 때, 사제가 성수채로 일반 신도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에게 성수를 일일이 뿌려주는 것을 매우 비효율적이면서 효용성이 없는 방법이다.
이에 성당 등을 비롯한 종교 시설물 기타 여러 공공장소에, 성수를 안전하게 보관하여 비치할 수 있으며 필요한 사람들이 성수를 적정량만큼 쉽게 급수 받아 사용할 수 있는 성수용 자동 공급에 관한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0787345호, 공개특허 제10-2013-0043321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성당 등을 비롯한 종교 시설물 기타 여러 공공장소에, 성수를 안전하게 보관하여 비치할 수 있으며 필요한 사람들이 성수를 적정량만큼 쉽게 급수 받아 사용할 수 있는 자동 공급 성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는,
벽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 자동 공급 성수대에 있어서,
성수가 담긴 성수통,
상기 성수통의 주둥이부가 탈착되는 용기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로 연결되고 끝단부에 성수 배출구를 갖는 출수 배관,
상기 배출구 일측에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출수 배관을 개폐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의 센싱 여부에 따라 개폐 작동을 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는,
상기 거치부에 장착된 성수통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수통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성수통 내의 수위가 일정 이하로 감지되면 성수 보충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히팅수단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히팅수단이 작동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살균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는,
성당 등을 비롯한 종교 시설물 기타 여러 공공장소에, 성수를 안전하게 보관하여 비치할 수 있으며 필요한 사람들이 성수를 적정량만큼 쉽게 급수 받아 사용할 수 있고,
성수통의 수위 감지 센서를 통해 성수통의 교체 내지 성수의 보충이 편리하고,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켜, 동절기 동파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를 UV 살균하여, 성수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성수통의 교체 시 성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성수통의 장착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수대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성수대의 내부를 투영한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성수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성수대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b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공급 성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벽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 자동 공급 성수대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성수대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하우징(H)과, 전면에 상기 하우징(H)이 구비되어 성수대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판(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성수대는,
성수가 담긴 성수통(11),
상기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탈착되는 용기 거치부(11m),
상기 거치부(11m)의 하부로 연결되고 끝단부에 성수 배출구(12a)를 갖는 출수 배관(12),
상기 배출구(12a) 일측에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13),
상기 배출구(12a) 또는 상기 출수 배관(12)을 개폐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13)의 센싱 여부에 따라 개폐 작동을 하는 밸브(15)를 포함한다.
상기 성수통(11)은 성수가 저장되는 용기로써, 주둥이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역립하여 상기 거치부(11m)에 장착된다.
상기 거치부(11m)는 상기 성수통(11)의 넥부를 지지하는 거치홈을 갖고, 거치홈의 하부에 상기 출수 배관(12)의 입수구가 구비되어, 거치부(11m)에 장착된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출수 배관(12)의 입수구에 연결된다.
상기 출수 배관(12)은 성수통(11)의 주둥이부와 연결되며 하측 단부에 위치한 배출구(12a)가 하우징(H) 외부로 노출되어, 성수통(11)의 성수가 출수 배관(12)을 따라 흘러서 배출구(12a)로 배출된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13)는 하우징(H)의 하부 공간에 움직임을 감지하여, 밸브(15)의 개방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밸브(15)는 상기 배출구(12a) 또는 출수 배관(12)을 개폐하여 성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출수 배관(12)에 설치된 밸브(15)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15)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13)의 미감지 상태에서 배출구(12a) 또는 출수 배관(12)을 폐쇄하여 성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하우징(H) 하부에 손 등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배출구(12a) 또는 출수 배관(12)을 개방하여 성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15)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작 감지 중에 밸브(15)가 계속 개방되고 동작이 미감지되면 밸브(15)가 폐쇄 작동하거나, 또는 동작 감지 후 일정 시간동안 만큼만 밸브(15)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밸브(15) 및 후술하는 히팅수단(17), 살균수단(18)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C), 상기 제어부(C)와 히팅수단(17) 및 살균수단(18)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P)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C)는 각종 칩과 회로가 실장된 PCB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P)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0c는 상기 전원공급부(P)의 내부 발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11m)에 장착된 성수통(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수통(11)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성수통(11) 내의 수위가 일정 이하로 감지되면 성수 보충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만수위 감지 센서와, 저수위 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성수통(11)의 일측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수위 감지 센서는 각각 제4, 제5 마운트(16ma)(16mb)에 장착되어 구비되며, 각 제4, 제5 마운트(16ma)(16mb)는 설치판(10)의 상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6a)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위 감지 센서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제어부(C) 및 성수 보충 알림수단(미도시)과 유선 또는 무선(블루투스 등) 방식으로 연결되어 성수 보충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저수위 감지 센서의 감지를 통한 성수 보충 신호는 하우징(H)에 구비된 램프 등을 이용한 발광 방식, 하우징(H)에 구비된 스피커나 부저를 이용한 소리 출력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고, 이밖에 성수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보충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 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H)에 내장된 히팅수단(17) 및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H) 내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히팅수단(17)이 작동하여 동파를 방지한다.
상기 히팅수단(17)은 하우징(H) 내부에 온풍을 순환시킬 수 있는 온풍기로 구성되며, 이러한 온풍기는 온풍을 생성하는 히터(17A)와, 상기 히터(17A)에서 발생한 온풍을 송풍하는 송풍팬(17B)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하우징(H) 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예를 들어 0℃)로 내려가면 제어부(C)에 히팅수단(17)의 작동 신호를 전달하여, 온풍의 순환을 통해 출수 배관(12)을 비롯한 성수의 결빙을 방지하여 동파 발생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H)에 내장된 살균수단(18)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H) 내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수단(18)은 제어부(C)와 연결된 UV 살균 램프가 사용될 수 있는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살균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살균수단(18)은 하우징(H) 내부의 각종 부품에 균 발생을 억제하여, 성수의 변질이나 오염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판(10)은 상기한 구성 부품을 벽면에 설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우징(H)의 여닫이식 개폐를 위한 경첩부(10a),
하우징(H)의 잠금 및 해정을 위한 잠금수단(10b),
성수통(11) 탈착을 위한 거치부(11m),
출수 배관(12) 및 동작 감지 센서(13)의 장착을 위한 제1 마운트(12m),
히팅수단(17)의 장착을 위한 제2, 제3 마운트(17ma)(17mb),
수위 감지 센서의 장착을 위한 제4, 제5 마운트(16ma)(16mb),
제어부(C)의 장착을 위한 제6 마운트(Cm),
전원공급부(P)의 장착을 위한 제7 마운트(Pm)가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경첩부(10a)는 하우징(H)의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설치판(10)에 대하여 하우징(H)만을 개폐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잠금수단(10b)은 하우징(H)의 타측단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것으로, 자석 부착을 통해 하우징(H)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열쇠나 비밀번호 입력 등을 이용해 사제 등의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하우징(H)을 임의로 개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마운트(12m)는 상기 거치부(11m)의 하측에서 하우징(H)의 하측 단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수 배관(12)(및 밸브(15))이 장착되어, 배출구(12a)가 하우징(H)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트(12m)에는 제어부(C)와 연결된 발광수단(예를 들어 링 타입 네오 픽셀 램프(14), LED 램프 등)이 구비되어, 성수의 배출이나 성수의 보충 신호 등을 점멸을 통해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운트(17ma)는 제어부(C)와 연결된 히터(17A)가 장착되고, 상기 제3 마운트(17mb)는 상기 히터(17A)와 연결된 송풍팬(17B)이 장착된다.
상기 제4, 제5 마운트(16ma)(16mb)는 상기 가이드홈(16a)에 상하 배열되게 구비되어, 각각 상기 고수위 및 저수위 감지 센서가 장착된다.
상기 제6 마운트(Cm)는 제어부(C)의 PCB기판이 장착되어 기판을 보호하고, 제7 마운트(Pm)는 전원공급부(P)의 파워 서플라이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설치판(10)은 상기 하우징(H) 하부에 구비된 성수 받이용 트레이(T)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T)는 배출구(12a)로 배출된 성수가 바닥으로 낙하하여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그릇 형태의 트레이(T)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성수가 저장된 성수통(11)을 주둥이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거치부(11m)에 장착하고 전원을 공급하면, 사용 준비 상태가 완료되며,
성수가 필요한 사용자가 손이나 용기를 하우징(H) 하부에 갖다 대면, 상기 동작 감지 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출수 신호를 제어부(C)로 전달하고, 제어부(C)는 개방 신호를 상기 밸브(15)로 전달하여, 성수가 적정량만큼 자동으로 배출되게 한 후,
동작 미감지 시 또는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밸브(15)를 자동으로 폐쇄하여 성수의 배출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 감지 센서를 통해 성수의 저장량을 자동을 센싱하여, 필요한 시기에 성수통(11)을 교체할 수 있고,
히팅수단(17)을 통해 동절기 동파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살균수단(18)을 통해 하우징(H)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제 등의 성수 취급자가 일일이 성수를 공급할 필요 없이, 무인 자동 공급 성수대를 설치하여 상수의 관리 및 사용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성수통(11)은 주둥이부가 개구된 일반 용기 형태로써, 성수 저장 후 뚜껑 등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성수가 중력을 통한 자연 낙하 방식으로 배출됨에 따라 성수통(11)을 뒤집어서 거치부(11m)에 장착하여야 하는 바, 성수통(11)의 장착 시 개방된 주둥이부로 성수가 흘러 버려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성수통(11)의 주둥이부에 구비되어, 성수통(11)의 장착 시 주둥이부로 성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수단(2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거치부(11m)는 상기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11a)와, 상기 제1 끼움부(11a)의 하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수 배관(12)이 끼워지는 제2 끼움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성수통(11)이 상기 거치부(11m)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성수통(11)의 주둥이부를 폐쇄하고, 상기 성수통(11)이 상기 거치부(11m)에 장착된 상태에서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성수통(11)의 주둥이부 내측에 결합되되, 주둥이부의 개구부 일부 영역을 밀폐하는 기밀부(21a)와, 상기 기밀부(21a) 외의 나머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출수부(21b)를 구비한 밀폐판(21),
상기 밀폐판(21)에 중첩되면서, 상기 기밀부(21a)에 결합된 중앙 회전축(22a)을 축으로 밀폐판(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출수부(21b)를 개폐하는 개폐판(22),
상기 개폐판(22)의 외면에서 돌출된 밀림돌기(23),
상기 제2 끼움부(11b)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밀림돌기(23)가 걸리는 걸림돌기(11c)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판(22)이 상기 출수부(21b)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성수통(11)을 상기 제1 끼움부(11a)에 끼운 후 성수통(1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11c)에 걸린 밀림돌기(23)에 의해 상기 개폐판(22)이 회전하면서 상기 출수부(21b)가 개방되어 성수(W)가 상기 출수 배관(12)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판(21)은 성수통(11)의 주둥이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밀폐판(21)이 일부가 절개되어 출수부(21b)를 형성한다.
상기 개폐판(22)은 상기 밀폐판(21)의 상면(성수통(11)이 뒤집어진 상태의 도 4의 [B] 기준으로 하면)에 중첩되며, 중앙의 회전축(22a)에 축설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출수부(21b)를 개폐한다.
상기 밀림돌기(23)는 상기 개폐판(22)의 상면에서 돌설되어, 사용자가 밀림돌기(23)를 잡고 개폐판(22)을 회전시켜 출수부(21b)를 개방한 후 성수통(11)에 성수(W)를 담을 수 있게 하고, 성수(W) 저장 후 밀림돌기(23)로 개폐판(22)을 회전시켜 출수부(21b)를 폐쇄하여 뚜껑과 함께 성수(W)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뚜껑을 개방 후 성수통(11)을 거치부(11m)에 장착하기 위해 뒤집었을 때, 상기 개폐판(22)으로 인해 성수(W)가 주둥이부로 흘러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성수통(11)을 뒤집은 상태에서 주둥이부를 거치부(11m)에 끼워서 장착하면, 상기 밀림돌기(23)가 성기 걸림돌기(11c)와 같은 높이로 끼워져 배열된다.
이후 성수통(1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판(22)에 구비된 밀림돌기(23)가 함께 회전하다가, 상기 걸림돌기(11c)에 걸려 개폐판(22)의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성수통(11)을 계속 회전시키면, 주둥이부의 내주면에 고정된 밀폐판(21)이 함께 회전함에 반하여, 개폐판(22)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밀폐판(21)에 대하여 개폐판(22)만이 회전하면서 출수부(21b)가 개방되어, 성수통(11)에 담긴 성수(W)가 출수부(21b)를 통과하여 제2 끼움부(11b)를 통해 출수 배관(12)으로 공급됨으로써, 성수통(11)의 장착 시 성수(W)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판(21)은 내부면이 상기 출수부(21b)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부(21c)로 형성되어, 소량의 성수(W)가 밀폐판(21)에 잔존하지 않고 사면부(21c)를 타고 흘러서 출수부(21b)로 완전하게 배출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동 공급 성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 : 하우징 T : 트레이
C : 제어부 P : 전원공급부
10 : 설치판 11 : 성수통
12 : 출수 배관 13 : 동작 감지 센서
14 : 네오 픽셀 램프 15 : 밸브
17 : 히팅수단 18 : 살균수단
20 : 개폐수단

Claims (4)

  1. 벽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H)을 포함한 자동 공급 성수대에 있어서,
    성수가 담긴 성수통(11),
    상기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역립하여 탈착되는 용기 거치부(11m),
    상기 거치부(11m)의 하부로 연결되고 끝단부에 성수 배출구(12a)를 갖는 출수 배관(12),
    상기 배출구(12a) 일측에 구비된 동작 감지 센서(13),
    상기 배출구(12a) 또는 상기 출수 배관(12)을 개폐하되, 상기 동작 감지 센서(13)의 센싱 여부에 따라 개폐 작동을 하는 밸브(15)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11m)는 상기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11a)와, 상기 제1 끼움부(11a)의 하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수 배관(12)이 끼워지는 제2 끼움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성수통(11)이 상기 거치부(11m)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성수통(11)의 주둥이부를 폐쇄하고, 상기 성수통(11)이 상기 거치부(11m)에 장착된 상태에서 성수통(11)의 주둥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수단(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수단(20)은,
    상기 성수통(11)의 주둥이부 내측에 결합되되, 주둥이부의 개구부 일부 영역을 밀폐하는 기밀부(21a)와, 상기 기밀부(21a) 외의 나머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출수부(21b)를 구비한 밀폐판(21),
    상기 밀폐판(21)에 중첩되면서, 상기 기밀부(21a)에 결합된 중앙 회전축(22a)을 축으로 밀폐판(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출수부(21b)를 개폐하는 개폐판(22),
    상기 개폐판(22)의 외면에서 돌출된 밀림돌기(23),
    상기 제2 끼움부(11b)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밀림돌기(23)가 걸리는 걸림돌기(11c)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판(22)이 상기 출수부(21b)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성수통(11)을 상기 제1 끼움부(11a)에 끼운 후 성수통(1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11c)에 걸린 밀림돌기(23)에 의해 상기 개폐판(22)이 회전하면서 상기 출수부(21b)가 개방되어 성수(W)가 상기 출수 배관(12)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급 성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1m)에 장착된 성수통(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수통(11)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성수통(11) 내의 수위가 일정 이하로 감지되면 성수 보충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급 성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H)에 내장된 히팅수단(17)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H) 내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히팅수단(17)이 작동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급 성수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H)에 내장된 살균수단(18)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H) 내의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공급 성수대.
KR1020180138667A 2018-11-13 2018-11-13 자동 공급 성수대 KR10208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667A KR102085326B1 (ko) 2018-11-13 2018-11-13 자동 공급 성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667A KR102085326B1 (ko) 2018-11-13 2018-11-13 자동 공급 성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326B1 true KR102085326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667A KR102085326B1 (ko) 2018-11-13 2018-11-13 자동 공급 성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3832A1 (it) * 2021-05-27 2021-08-27 Antonio Beneduce Sistema di erogazione di acqua benedetta
WO2021222679A1 (en) * 2020-04-30 2021-11-04 Mpb Essential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items such as sacramental elements
FR3120858A1 (fr) * 2021-03-17 2022-09-23 Mohamed Ait El Hadj Distributeur d'eau pour ablutions rituelles islamiqu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2Y1 (ko) * 2006-03-17 2006-05-29 김근태 손 소독기
KR20080034755A (ko) * 2006-10-17 2008-04-22 오원철 이동식 손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22Y1 (ko) * 2006-03-17 2006-05-29 김근태 손 소독기
KR20080034755A (ko) * 2006-10-17 2008-04-22 오원철 이동식 손세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2679A1 (en) * 2020-04-30 2021-11-04 Mpb Essential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items such as sacramental elements
FR3120858A1 (fr) * 2021-03-17 2022-09-23 Mohamed Ait El Hadj Distributeur d'eau pour ablutions rituelles islamiques.
IT202100013832A1 (it) * 2021-05-27 2021-08-27 Antonio Beneduce Sistema di erogazione di acqua benedet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326B1 (ko) 자동 공급 성수대
CN108915053B (zh) 具有传感、冲洗和通风功能件的马桶
US9771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CA2600300C (en) Ozonated water dispenser
US60855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water cooler reservoir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US6532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water cooler reservoir
IES20110539A2 (en) A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hands
JP4847443B2 (ja) 大便器用排気装置及び洗浄装置
KR102007945B1 (ko) 스마트 양변기
WO2019081006A1 (en) HAND DISINFECTION APPARATUS
KR20160115585A (ko) 칫솔용 스팀 살균 장치
JP2009062069A (ja) 殺菌水噴霧装置のカートリッジ式薬液タンク
JP2017210256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0314230Y1 (ko) 초음파 가열 찜질기
WO2000055438A1 (en) Hand-held bidet and method of use
CN204813403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饮水机
TWI838896B (zh) 自動清潔設備及自動清潔系統
CN215074678U (zh) 一种节水防污染的宠物饮水装置
KR101522570B1 (ko) 소스 자동 배출장치
KR20190130749A (ko) 영업용 운동용품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2631776B1 (ko)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소독용 클리너장치
US11142446B2 (en) Gravitational water dispensing system
KR100780816B1 (ko) 살균케이스 및 저수부 어셈블리
TW202415459A (zh) 自動清潔設備及自動清潔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