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29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4295A KR20080034295A KR1020060100340A KR20060100340A KR20080034295A KR 20080034295 A KR20080034295 A KR 20080034295A KR 1020060100340 A KR1020060100340 A KR 1020060100340A KR 20060100340 A KR20060100340 A KR 20060100340A KR 20080034295 A KR20080034295 A KR 20080034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n film
- film layer
- niobium oxide
- layer
- plasma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29910000484 niob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URLJKFSTXLNXLG-UHFFFAOYSA-N niobium(5+);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O-2].[O-2].[Nb+5].[Nb+5] URLJKFSTXLNXLG-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7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74 Proact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128 S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QCEUXSAXTBNJGO-UHFFFAOYSA-N [Ag].[Sn] Chemical compound [Ag].[Sn] QCEUXSAXTBNJ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HZWSUVWRRXEJF-UHFFFAOYSA-N indium tin Chemical compound [In].[Sn] RHZWSUVWRRXE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3 ion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KEYFWRCBNTPAC-UHFFFAOYSA-L tere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02—Noble metals
- B32B2311/08—Sil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4—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에 대하여 그의 전자 차폐성과 근적외선 차단성을 유지한 채 염료를 이용하지 않고도 네온의 플라즈마 발광광 중의 파장 590 ㎚ 광의 차단성을 부여한다.
투명 기재(1)/제1 금속 박막층(2a)/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제2 금속 박막층(2b)/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제3 금속 박막층(3c)/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d)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는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의 층 두께를 d(Nb)1(㎚),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의 층 두께를 d(Nb)2(㎚),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층 두께를 d(Nb)3[㎚]으로 했을 때,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시킨다.
<수학식 1>
200≤d(Nb)1+d(Nb)2+d(Nb)3≤250
<수학식 2>
d(Nb)1+d(Nb)2≤d(Nb)3
<수학식 3>
d(Nb)1≤d(Nb)2<d(Nb)3
<수학식 4>
1<d(Nb)3/d(Nb)2≤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금속 박막층,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PDP용 필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다른 양태의 본 발명의 PDP용 필터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PD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 내지 3의 PDP용 필터의 분광 투과율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명 기재 2a: 제1 금속 박막층
2b: 제2 금속 박막층 2c: 제3 금속 박막층
3a: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3b: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3c: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4: 밀착층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17380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78159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0-48402호 공보
본 발명은 네온의 플라즈마 발광광 중의 파장 590 ㎚ 광의 차단성(이하, "Ne 차단성"이라 칭함)이 우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용 필터, 이를 이용한 PDP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는 PDP용 필터에 대해서는 주로 전자파 차폐성과 리모콘의 오작동 방지를 위해 근적외선 차단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필터의 투명 기재로서 종래의 유리 기재 대신에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목적으로서 투명 수지 기재의 사용도 요청되고 있다. 이 경우, 투명 수지 기재의 강성이 유리 기재보다 낮기 때문에 필터를 PDP에 직접 접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들 요청에 대응한 PDP용 필터로서는, 내열성 고분자 시트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재 상에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과 또는 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박막층을 3회 이상 반복 적층한 것이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평)10-217380호 공보). 또한, 투명 기재와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 사이에 무기질의 밀착층을 설치하는 것도 제안되었다.
한편, 이러한 필터의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으로서 니오븀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고(일본 특허 공개 (평)10-278159호 공보), 또한, 밀착층으로서 산화규소층을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평)10-48402호 공보).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10-2173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 27815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10-48402호 공보에 개시된 필터의 경우, 네온 방전에 기인하는 파장 590 ㎚의 오렌지색 광이 PDP측의 외부에 거의 그대로 출사되기 때문에 적색의 색 순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 필터를 PDP에 접착할 때에 사용하는 접착제에 파장 590 ㎚의 광을 흡수하는 염료를 분산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PDP로부터의 열에 의해 염료가 변질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투명 기재로서 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접착제에 그와 같은 염료를 넣을 수는 없어 적색 색 순도의 저하를 막을 수 없다. 또한, 투명 기재로서 강성이 높은 유리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필터와 PDP를 접합시키지 않고서 이들 사이에 공기층을 설치하고, PDP에 접촉되지 않도록 필터측 표면에 염료 함유 수지층을 별도로 설치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자 차폐성과 근적외선 차단성을 유지한 채, 염료를 이용하지 않고도 양호한 Ne 차단성을 PDP용 필터에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투명 기재 상에 제1 금속 박막층,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제2 금속 박막층,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제3 금속 박막층,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이 이들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PDP용 필터에 있어서의 제1, 제2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특정 관계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염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Ne 차단성을 실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d(Nb)1(㎚),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d(Nb)2(㎚),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d(Nb)3[㎚]으로 했을 때,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DP와 상술한 PDP용 필터가, 상기 PDP의 광 출사면과 상기 PDP용 필터의 투명 기재측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기재(1) 상에 제1 금속 박막층(2a),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 제2 금속 박막층(2b),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 제3 금속 박막층(2c),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가 이들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 이, 투명 기재(1)와 제1 금속 박막층(2a) 사이에 밀착층(4)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에서는 양호한 Ne 차단성을 실현하기 위해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의 층 두께를 d(Nb)1(㎚),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의 층 두께를 d(Nb)2(㎚),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층 두께를 d(Nb)3[㎚]으로 했을 때,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4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조정된다.
<수학식 1>
200≤d(Nb)1+d(Nb)2+d(Nb)3≤250
<수학식 2>
d(Nb)1+d(Nb)2≤d(Nb)3
<수학식 3>
d(Nb)1≤d(Nb)2<d(Nb)3
<수학식 4>
1<d(Nb)3/d(Nb)2≤2.4
상술한 수학식 1은 제1, 제2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합계 층 두께(d(Nb)1+d(Nb)2+d(Nb)3)가 200 ㎚ 내지 250 ㎚의 범위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범위가 200 ㎚ 미만이면, 필터의 투과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패널의 색 순도가 악화되고, 250 ㎚을 초과하면 Ne 차단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바람직한 범위는 220 ㎚ 내지 240 ㎚이다.
수학식 2는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층 두께 d(Nb)3가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와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의 합계 층 두께(d(Nb)1+ d(Nb)2) 이상임을 나타내고 있다. 층 두께 d(Nb)3이 합계 층 두께(d(Nb)1+d(Nb)2)보다 작으면 가시광 투과율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수학식 3은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의 층 두께 d(Nb)1에 대하여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2b)의 층 두께 d(Nb)2가 동일 또는 그 이상이고,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2b)의 층 두께 d(Nb)2보다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층 두께 d(Nb)3 쪽이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층 두께 d(Nb)1이 층 두께 d(Nb)2보다 큰 경우에는 Ne 차단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층 두께 d(Nb)3이 층 두께 d(Nb)2 이하이면 근적외선 차단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수학식 4는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층 두께 d(Nb)3의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2b)의 층 두께 d(Nb)2에 대한 비가 1을 초과하고, 2.4 이하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비가 1 이하이면, 가시광 투과율이 감소하고, 근적외선 차단성이 상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2.4를 초과하면 Ne 차단성이 불충분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수학식 1 내지 4를 동시에 만족시킴으로써 양호한 Ne 차단성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들 수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전제로,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의 층 두께 d(Nb)1의 바람직한 범위는 35 내지 75 ㎚,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0 내지 50 ㎚이다.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의 층 두께 d(Nb)2의 바람직한 범위는 50 내지 80 ㎚,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60 내지 70 ㎚이다. 또한,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층 두께 d(Nb)3의 바람직한 범위는 90 내지 140 ㎚,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00 내지 130 ㎚이다.
한편,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의 형성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PDP용 필터에서는 도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니오븀 산화 박막층으로부터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 박막층을 설치하지만, 상기 니오븀 산화 박막층의 수학식을 만족시킴으로써 얻어질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금속 박막층(2a)의 층 두께를 d(M)1[㎚], 제2 금속 박막층(2b)의 층 두께를 d(M)2[㎚], 제3 금속 박막층(2c)의 층 두께를 d(M)3[㎚]으로 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수학식 5 내지 7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조정된다.
수학식 5는 제1, 제2 및 제3 금속 박막층의 합계 층 두께(d(M)1+d(M)2+d(M)3)가 25 ㎚ 내지 35 ㎚의 범위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범위가 25 ㎚ 미만인 경우에는 근적외선 차단성이나 전자 차폐성이 불충분해지고, 35 ㎚을 초과하면 가시광 투과율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바람직한 범위는 30 ㎚ 내지 33 ㎚이다.
수학식 6은 제1, 제2 및 제3 금속 박막층의 각각의 층 두께가 5 ㎚ 이상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층 두께가 5 ㎚ 미만이면, Ne 차단성이 불충분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수학식 7은 제1 금속 박막층(2a)의 층 두께 d(M)1가 제2 금속 박막층(2b)의 층 두께 d(M)2 및 제3 금속 박막층(2c)의 층 두께 d(M)3보다 반드시 두꺼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층 두께 d(M)1이 층 두께 d(M)2와 층 두께 d(M)3 중 어느 하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필터의 투과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패널의 색 순도가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수학식 5 내지 7을 동시에 만족시킴으로써 더욱 양호한 Ne 차단성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들 수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전제로, 제1 금속 박막층(2a)의 층 두께 d(M)1의 바람직한 범위는 10 내지 20 ㎚,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2 내지 17 ㎚이다. 제2 금속 박막층(2b)의 층 두께 d(M)2의 바람직한 범위는 5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7 내지 9 ㎚이다. 또한, 제3 금속 박막층(2c)의 층 두께 d(M)3의 바람직한 범위는 7 내지 15 ㎚,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8 내지 12 ㎚이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에 있어서,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은 NbxOy(여기서, x는 1.5 내지 2.0의 수이고, y는 4.5 내지 5.0의 수이다. 구체적으로는, NbO, NbO2, Nb2O5이다)의 박막이다. 여기서, 니오븀 산화물 박막을 사용하는 이유는 굴절률이 2.2 이상 으로 흡수가 없고, 고온·습도 환경에서도 백탁이나 투과 색상의 변화 등의 열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a),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b)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3c)은 니오븀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고, x와 y의 값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에 있어서, 제1 금속 박막층(2a), 제2 금속 박막층(2b) 및 제3 금속 박막층(2c)으로서는 도전성, 적외선 반사성을 고려하여 은 또는 은 합금의 박막을 사용한다. 은 합금을 형성하는 은 이외의 금속으로서는 금, 백금, 팔라듐, 구리, 인듐,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환경성 면에서 주석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은 합금에 있어서의 은의 함유량은 차폐 성능 면에서 적어도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다.
제1 금속 박막층(2a), 제2 금속 박막층(2b) 및 제3 금속 박막층(2c)의 형성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고,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수행한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에 있어서, 투명 기재(1)로서는 유리 기판, 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수지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PDP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투명 수지 기재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들 투명 수지 기재의 두께는 필터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에서는 투명 기재(1)와 제1 금속 박막층(2a) 간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 이들 사이에 밀착층(4)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층(4)으로서는 산화규소, 산화티탄, 산화니오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환경성 면에서 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층(4)의 층 두께는 너무 얇으면 밀착성이 불충분해지고, 너무 두꺼우면 광학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이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PD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DP(30)와 본 발명의 PDP용 필터(10)가, 상기 PDP(30)의 광 출사면(30a)과 상기 PDP용 필터(10)의 투명 기재(1) 측의 표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투명 기재(1)가 투명 수지 기재인 경우에는 PDP와 PDP용 필터는 공지된 접착제(31)에 의해 접합시켜 일체화할 수도 있다.
PDP(30)로서는 종래 공지된 PDP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DP(30)와 PDP용 필터(10)를 일체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착제도 종래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파장 550 ㎚ 광의 투과율이 90%이고 100 ㎛ 두께의 PET(폴리에스테르테레프 탈레이트) 필름(A4300, 도요보사) 상에, 밀착층으로서 5.0 ㎚ 두께의 산화규소막을 스퍼터링법(스퍼터 조건; 0.4 Pa, Ar:O2=25:1, 0.85 W/㎠)에 의해 성막하고, 추가로 그 위에 차례대로 스퍼터링법으로 14.4 ㎚ 두께의 은-주석 합금 박막(Ag 함유율 95 중량%; 스퍼터 조건; 0.8 Pa, Ar=300 sccm, 2.1 W/㎠), 47.4 ㎚ 두께의 Nb2O5 -x(스퍼터 조건; 0.4 Pa, Ar:O2=10:1, 12.8 W/㎠), 7.2 ㎚ 두께의 은-주석 합금 박막(Ag 함유율 95 중량%; 스퍼터 조건; 0.8 Pa, 2.1 W/㎠), 70.0 ㎚ 두께의 Nb2O5 -x(스퍼터 조건; 0.4 Pa, Ar:O2=10:1, 12.8 W/㎠), 10.3 ㎚ 두께의 은-주석 합금 박막(Ag 함유율 95 중량%; 스퍼터 조건; 0.8 Pa, Ar=300 sccm, 2.1 W/㎠), 117.0 ㎚ 두께의 Nb2O5 -x(스퍼터 조건; 0.4 Pa, Ar:O2=10:1, 12.8 W/㎠)를 적층함으로써 PDP용 필터를 제조하였다. 각 층의 두께의 비교 대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 1에 각 층의 층 두께를 나타내었다.
얻어진 PDP용 필터의 분광 투과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파장 590 ㎚ 부근의 오렌지색 광의 투과율이 파장 630 내지 640 ㎚ 부근의 적색 광의 투과율보다 낮게 되어 있어 Ne 차단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PDP용 필터를 시판되는 PDP에 적용한 PD 장치에서는 고순도의 적색 발광이 얻어진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PDP용 필터를 구성하는 각 층의 층 두께를, 스퍼터링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함으로 써 PDP용 필터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PDP용 필터의 분광 투과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실시예 2의 PDP용 필터에 대해서는 파장 590 ㎚ 부근의 빛의 투과율이 파장 630 내지 640 ㎚ 부근의 적색 광의 투과율보다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PDP용 필터를 적용한 PD 장치에서는 고순도의 적색 발광이 얻어진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투과율 곡선에 있어서의 파장 590 ㎚과 파장 630 ㎚ 사이의 투과율의 차이가 31.8%이고, 이 수치는 후술하는 대조구가 되는 비교예 3의 필터와 동일 수준이었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에는 d(Nb)3/d(Nb)2의 비가 2.6이 되고, 투과율 곡선에 있어서의 파장 590 ㎚과 파장 630 ㎚ 사이의 투과율의 차이가 10% 정도가 되어 적색 순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PET(75 ㎛)/ITO(27 ㎚)/Ag 합금(14 ㎚)/ITO(62 ㎚)/Ag 합금(7 ㎚)/ITO(65 ㎚)/Ag 합금(8 ㎚)/ITO(25 ㎚)으로 이루어지는 7층 구성의 시판되는 PDP용 필터(미쓰이 가가꾸사)를 준비하고, 그의 분광 투과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비교예 1의 PDP용 필터에 대해서는 모두 파장 590 ㎚ 부근의 빛의 투과율이 파장 630 내지 640 ㎚ 부근의 적색 광의 투과율보다 높아졌고, 따라서 비교예 2의 PDP용 필터를 적용한 PD 장치는 오렌지색 발광이 강하기 때문에 적색의 순도가 낮아지게 된다.
비교예
3
대조품으로서, 시판되는 PD 장치(소니(SONY)사)에 장착된 PDP용 필터의 분광 투과율을 조사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PDP용 필터는 투명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하고, 필터와 PDP 사이에 공기층이 설치되는 것이며, 필터 표면에 파장 590 ㎚ 부근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함유하는 수지층이 설치되는 것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PDP용 필터는 종래의 PDP용 필터와 마찬가지로,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과 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박막층을 3회 반복 적층한 것이기 때문에 전자 차폐성과 근적외선 차단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내지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특정 관계가 되도록 조정하였기 때문에, 염료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Ne 차단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PDP용 필터를 이용한 PD 장치는 고순도의 적색 발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DP용 필터는 종래의 PDP용 필터와 마찬가지로, 고굴절률 투명 박막층과 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박막층을 3회 반복 적층한 것이기 때문에 전 자 차폐성과 근적외선 차단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내지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특정 관계가 되도록 조정하였기 때문에, 염료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Ne 차단성을 나타낸다.
Claims (7)
- 투명 기재 상에 제1 금속 박막층,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제2 금속 박막층,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제3 금속 박막층,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이 이들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이며,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d(Nb)1(㎚),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d(Nb)2(㎚),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의 층 두께를 d(Nb)3[㎚]으로 했을 때,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4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수학식 1>200≤d(Nb)1+d(Nb)2+d(Nb)3≤250<수학식 2>d(Nb)1+d(Nb)2≤d(Nb)3<수학식 3>d(Nb)1≤d(Nb)2<d(Nb)3<수학식 4>1<d(Nb)3/d(Nb)2≤2.4
- 제1항에 있어서, 제1 금속 박막층의 층 두께를 d(M)1[㎚], 제2 금속 박막층의 층 두께를 d(M)[㎚], 제3 금속 박막층의 층 두께를 d(M)3[㎚]으로 했을 때, 이 하의 수학식 5 내지 7을 만족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수학식 5>25≤d(M)1+d(M)2+d(M)3≤35<수학식 6>5≤d(M)1, d(M)2, d(M)3<수학식 7>d(M)2, d(M)3<d(M)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금속 박막층, 제2 금속 박막층 및 제3 금속 박막층이 은 또는 은 합금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제2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 및 제3 니오븀 산화물 박막층이 Nb2O5 박막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가 투명 수지 기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와 제1 금속 박막 층 사이에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 출사면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의 투명 기재측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340A KR20080034295A (ko) | 2006-10-16 | 2006-10-16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0340A KR20080034295A (ko) | 2006-10-16 | 2006-10-16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4295A true KR20080034295A (ko) | 2008-04-21 |
Family
ID=3957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0340A Withdrawn KR20080034295A (ko) | 2006-10-16 | 2006-10-16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34295A (ko) |
-
2006
- 2006-10-16 KR KR1020060100340A patent/KR20080034295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89743B1 (en) | A solar control film | |
JP4800947B2 (ja) | 電磁遮蔽用薄膜積層体を備えた透明基板 | |
JP5549216B2 (ja) |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タッチパネル | |
US20050074591A1 (en) | Transparent substrate with antiglare coating having abrasion-resistant properties | |
EP1569015A2 (en) | An optical detector system | |
KR20030010501A (ko) | 평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 |
CN102209628A (zh) | 导电性层叠体及等离子显示器用保护板 | |
JP4893097B2 (ja) | 導電性積層体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 |
JP2008058973A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電磁波防止及び光フィルタリング機能を有する光学フィルタ部材 | |
KR20060000775A (ko) | 이중영상 저감을 위한 광학 필터 및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
WO2011001983A1 (ja) | 導電性積層体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 |
JP2011138135A (ja) | 透明導電膜及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フィルタ | |
JP2008058972A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電磁波防止及び光フィルタリング機能を有する光学フィルタ | |
JP4093927B2 (ja) |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ター | |
JP2002323860A (ja) |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 |
JP2008036952A (ja) | 導電性積層体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 |
JP2007144926A (ja) | 導電性反射防止積層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 |
KR20080034295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 |
JP4561995B2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 |
JP2006337672A (ja) | 反射防止フィルム | |
JP2008036866A (ja) | 転写箔、及び該転写箔を用いた板ガラス、アクリル板、又はポリカーボネート板 | |
JP2000229371A (ja) | 透明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イスプレイパネル用フイルタ | |
JP3813034B2 (ja) | 光学フィルター | |
KR100618374B1 (ko) | 다층박막 구조를 갖는 피디피 필터 | |
JP3877356B2 (ja) |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