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911A -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문합방법 - Google Patents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문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911A
KR20080033911A KR1020080013989A KR20080013989A KR20080033911A KR 20080033911 A KR20080033911 A KR 20080033911A KR 1020080013989 A KR1020080013989 A KR 1020080013989A KR 20080013989 A KR20080013989 A KR 20080013989A KR 20080033911 A KR20080033911 A KR 2008003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stomosis device
anastomosis
vessel
vascular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142B1 (ko
Inventor
이훈범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비메디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비메디컬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비메디컬스
Publication of KR2008003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는 속이 비어있는 관(tube)으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관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관의 직경은 한 쪽 단부에서 다른 쪽 단부로 점점 넓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관의 외부 면 및/또는 내부 면에 1개 이상의 링 모양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혈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 절단된 두 개의 혈관(blood vessels) 또는 관상 기관(tubular vascular organs)을 단부 대 단부(end-to-end) 방식으로 문합(anastomosis)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폐쇄가 되었거나 또는 거의 폐쇄가 된 혈관을 절단하지 않고 문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시술 후 뒤집어진 혈관 내층이 원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문합장치와 문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합장치, 혈관, 옆이 갈라진 관 모양의 장치

Description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Tube-Shaped Vascular Anastomosis Devices and Method Of Using Them Thereof}
본 발명은 혈관 문합장치 및 혈관 문합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옆이 갈라지고 속이 비어있는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문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거의 막힘으로써 발생하는 소위 혈관폐쇄 질환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수술에 의한 방법이 종종 채택되고 있다. 이 수술에 의한 방법으로 흔히 채용되는 방법은 문제가 되고 있는 혈관부분을 잘라낸 다음에 잘라진 혈관들을 문합하는 소위 단부 대 단부 문합(end-to-end anastomosis) 방법이다. 이 때 잘라낸 혈관 부분이 너무 길거나 문제가 되고 있는 혈관부분을 우회(bypass)하기 위해서 긴 혈관이 필요하면 보통 다리정맥을 절단하여 활용한다.
혈관의 단면은 주로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을 문합할 경우에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밀착시켜서 문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심장의 혈관폐쇄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수술에 의한 재건수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수술 시에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 확대경으로 수술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manual)에 의해 일일이 봉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봉합수술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진행되고 있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수술 시에는 적어도 3시간 이상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혈관을 직접 봉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수의 혈관 문합장치들이 고안되었다. 그 중, 혈관의 단부 대 단부 방식의 문합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미국 특허 제3,774,615호, 미국특허 제4,214,586호 그리고 미국특허 제4,917,087호 등이 있고, 이미 상품화되어 있는 예로는 미국 Synovis Micro Companies Alliance사의 미세혈관 문합용 커플러(microvascular anastomotic coupler)가 있다.
림(Drahoslav Lim) 외 2명은 미국특허 제3,774,615호에서 단절된 혈관을 수술하지 않고 문합하는 장치를 제시(disclosed) 하였는데 이 장치는 혈관이 문합되 는 부위에서 혈관들을 완전히 고정시키지 않고, 절단된 두 혈관주변들을 돌아가면서 골고루 접착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며, 단절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부위의 면적이 너무 작기 때문에 문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혈액이 샐 가능성이 있다.
메리클(Robert W. Mericle)은 미국특허 제4,214,586호에서 그 기본원리는 미국특허 제3,774,615호와 흡사하지만 단절된 혈관 끝 부위들을 잘 고정시키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혈관의 단절된 부분이 서로 만나는 부위의 면적이 여전히 너무 작아서 문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은 향상 되지 않았다.
월쉬(David J. Walsh) 외 3명은 미국특허 제4,917,087호에서 고정된 관 모양(tubular shape)으로 된 혈관 문합장치를 제시하였는데 이 장치는 단부 대 단부(end-to-end) 또는 단부 대 측부(end-to-side) 문합에 사용할 수 있지만 두 혈관의 직경이 같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내층과 내층의 문합 후 내층부분과 관련 고정하는 힘이 약하여 문합 전으로 되돌아오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에 대해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대부분의 단부 대 단부 혈관 문합수술은 직경이 다른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혈관들을 문합하는 경우이므로 상기와 같이 다수의 혈관 문합장치들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혈관 문합수술은 아직도 전문의사가 봉합사(suture)로 직접 봉합하는 방식으로 혈관문합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상기한 필요성에 대응해서, 본 발명자는 직경이 서로 다른 혈관과 같은 절단이 된 두 개의 관상 기관(tubular hollow organs)의 문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상문합장치(tubular hollow organ anastomosis device)를 한국특허출원 제2001-30280 호에 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출원에서 제시한 장비는 혈관의 직경이 수 mm에 불과한 경우에는 그 장비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한국특허출원 제2005-84062호에 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출원에서 제시한 장치 및 방법은 내층간의 혈관 문합 후에 뒤집어져 문합된 내층부분이 원래상태로 되돌아와서 혈관이 좁아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서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국특허출원 제2005-84062호에 제시된 발명과 더불어 개선된 관모양의 혈관 문합장치에 관한 발명을 통해 직경이 동일한 혈관은 물론 직경이 서로 다른 혈관들을 단부 대 단부(end-to-end)로 쉽게 문합할 수 있다. 또한 혈관들이 단단히 문합이 되며 문합 후 혈관들이 본래상태로 돌아오려는 점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혈관 문합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이 동일한 혈관은 물론 직경이 서로 다른 혈관들을 단부 대 단부로 문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혈관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관 문합면적을 가능한 한 넓혀서 봉합이 잘 되도록 하는 혈관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데 있어서 문합이 더욱 단단해지는 혈관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 혈관을 문합한 뒤 내측 사이의 문합된 혈관이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혈관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혈관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혈관을 문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속이 비고 옆이 갈라진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는 두 개의 절단된 혈관(blood vessels) 또는 관상 기관(tubular hollow organ)을 단부 대 단 부 (end-to-end) 방식으로 문합하거나 문제가 있는 부위의 혈관을 접어서(folded) 문합함으로써 혈액을 우회(bypass)하도록 하는 간단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관을 문합함에 있어서 문합이 더욱 단단해지도록 하며, 문합 후에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하는 혈관 문합장치로서, 시술 후 혈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혈관 문합장치는 속이 비고 옆이 길이 방향으로 갈라진 관 모양의 문합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도 저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관을 문합함에 있어서 상기 혈관 문합장치를 하나를 사용하여 문합할 수도 있고 두개를 사용하여 문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혈관 문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경이 동일한 혈관끼리는 물론 직경이 서로 다른 혈관끼리도 문합을 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또 문합수술에 소요되는 시간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문제가 있는 혈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문합수술을 할 수 있어서 문합수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뒤집힌 혈관의 내측부분이 시술 후에 원래상태로 돌아가려는 것을 방지하여 혈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와 그 사용 방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면의 동일부분 내지 대칭되는 부분에 대해서 부호를 생략하며 중복되는 명칭에 대해 설명을 가급적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이 비고 옆이 갈라진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의 한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100)는 속이 비어 있는 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옆 부분이 관의 길이 방향으로 갈라져 있다. 이 갈라진 틈(112)의 간격은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즉 갈라진 틈의 왼쪽 부분(114)의 간격과 오른 쪽 부분(116)의 간격이 대략 비슷하다. 그러나 관의 왼쪽 끝 부분(104)과 오른쪽 끝 부분(106)의 직경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이하 도 1에 도시된 혈관 문합장치를 “실시예 1형 혈관 문합장치”라고 한다).
실시예 1형 혈관 문합장치 두개를 사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경우 하나의 문합장치를 다른 문합장치 속으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 문합장치가 상기 갈라진 틈(112)을 구비함으로써 안으로 삽입되는 문합장치의 직경은 축소 가능하고, 밖에 위치한 문합장치의 직경은 확장 가능하여 하나의 문합장치가 다른 문합장치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 때 외부에 있는 문합장치의 갈라진 틈과 내부로 들어가는 문합장치의 갈라진 틈의 상대적인 위치를 다르게 하여 봉합하고자 하는 혈관들이 구겨지지(pinch)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혈관 문합장치를 다른 혈관 문합장치에 삽입하기가 쉽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다른 혈관 문합장치를 크게 만들어서 삽입을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형 혈관 문합장치(100)의 중앙부의 외부표면에는 링모양의 외부 돌기(1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표면에도 링모양의 내부 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의 역할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두개의 문합장치를 삽입시켰을 때 서로 잘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봉합사로 묶을(tie down) 때 또는 묶은 후에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홈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이하 도 3에 도시된 혈관 문합장치를 “실시예 2형 혈관 문합장치”라고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예 2형 혈관 문합장치(300)는 속이 비어있는 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관의 왼쪽끝 부분(304)과 오른쪽 끝부분(306)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만든다. 상기와 같은 혈관 문합장치 2개(이하 제1 혈관 문합장치, 제2 혈관 문합장치라고 함)를 사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경우에는 제2 혈관 문합장치를 제 1 혈관 문합장치 보다 크게 만들고 한쪽 끝 직경이 다른 쪽 직경보다 크게 만들어서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제 2 혈관 문합장치 속으로 쉽게 삽입이 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 1 혈관 문합장치와 제 2 혈관 문합장치를 닮은꼴로 만들고 관 모양의 한쪽 끝 직경을 다른 쪽 직경보다 크게 만들어서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제 2 혈관 문합장치 속으로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혈관 문합장치는 측면에 길이방향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관의 한쪽 끝의 직경과 다른 쪽 끝의 직경과의 차이를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하여 길이 방향으로 갈라진 틈 없이도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제 2 혈관 문합장치 속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서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제 2 혈관 문합장치로부터 미끄러져 나와(slippage) 빠질 우려가 있다. 이렇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bump) 또는 홈을 만들어 준다. 돌기(bump) 또는 홈은 관 속 부분, 즉 관의 내주면에도 만들어져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혈관 문합장치를 서로 엇물리도록 삽입 하였을 때에 서로 미끄러져서 빠지는(slippage)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2 혈관 문합장치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혈관 문합장치의 외주면에 링 모양의 홈을 형성하고, 제 2 혈관 문합장치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돌기(bump) 또는 홈은 봉합사(suture)나 다른 기계적인 방법으로 혈관 문합장치와 혈관을 고정시킬 때 좀더 안정된 구조를 도모해 주는 역할도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관모양의 혈관 문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이하 도 5에 도시된 혈관 문합장치를 “실시예 3형 혈관 문합장치”라고 한다). 도5(a), 도5(b) 및 도5(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500)는 속이 비어 있는 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옆 부분이 관의 길이 방향으로 갈라져 있다. 갈라진 틈(502)의 간격은 일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관 문합장치 외부에는 관의 중앙부분(510), 양단좌측부분(520), 양단우측부분(530) 및 홈(501)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기 양단 좌측부분(520)과 우측부분(530)의 직경은 어느 한쪽이 커도 가능하다. 상기 문합장치는 양단의 좌측(520) 또는 우측(530) 끝부분에서 곡선형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또한 직경이 가장 커지는 부분에 양단 좌, 우측(520, 530)의 안쪽부분이 위치하며 양단의 안쪽부분의 좌, 우측(520, 530)에는 상기 홈(501)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홈(501)과의 좌측(520) 또는 우측(530)에 상기 중앙부분(510)이 위치해 있으며 상기 중앙부분(510)은 양단(520, 530) 안쪽부분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혈관 문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의 유연성이 있는 홈부분(501)을 묶는(tie)경우 홈 부분의 압축으로 인해 양단 부분(520, 530)이 중앙부분(510)보다 직경이 커서 추후 문합장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양단 좌측부분(520)과 우측부분(530)에 있어 직경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삽입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직경이 각각 다른 혈관이어도 혈관의 문합이 가능하다. 즉 혈관의 직경에 따라 양단 좌측면과 좌측면 또는 양단 좌측면과 우측면을 문합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가진 혈관에 대해서도 문합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한 혈관이 삽입되는 경우 직경이 차이로 인해 혈관문합장치가 빠져나가지 않게 더욱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양 단간의 직경은 조금은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치수의 혈관을 문합할 수 있으며, 상기 문합장치는 왼쪽 끝부분이 직경이 클 수도 있으며, 오른쪽 끝부분의 직경이 클 수도 있다.
또한 관의 왼쪽 끝부분과 오른쪽 끝부분은 직경이 같은 경우에는 혈관의 직경이 같은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갈라진 틈(502)을 통해 혈관 직경 조절이 가능한바 상기 문합장치는 혈관의 직경이 같거나 다른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혈관 문합장치 내부에는 돌기 내지 홈이 없는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합장치를 제조하는데 더욱 편리하며 돌기의 마모, 저항력 등을 고려할 때 돌기에 의한 고정보다 직경의 크기차에 의한 고정이 더욱 단단하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문합장치에 있어서 고정침(anchoring needle)(531)이 부착된 형태이다(이하 도 6에 도시된 혈관 문합장치를 “실시예 4형 혈관 문합장치”라고 한다). 도6(a), 도6(b) 및 도6(c)를 참조하면, 혈관을 뒤집어 내층끼리 문합하는 경우 시술 후 뒤집어진 내층부분이 원래상태로 돌아오게 되어 혈관이 막힐 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합장치의 양단(520, 530) 안쪽부분 가장자리에 고정침(531)을 배치하여 내층면이 보이는 혈관을 고정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혈관의 구조가 안정화 되도록 하는 혈관 문합장치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에서는 실시예 3형 혈관 문합장치 두개가 결합하여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 중 하나의 문합장치를 다른 문합장치 속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양 문합장치는 갈라진 틈(502)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갈라진 틈(502)의 형성을 통한 이점은 양 혈관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혈관 크기에 따른 직경조절이 가능하고 양 문합장치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갈라진 틈(502)에 의해 혈관을 집어넣을 경우 혈관의 이동, 혈관의 뒤집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양 문합장치는 홈(501)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홈(501)의 형성을 통한 이점은 상기 혈관문합장치에 혈관을 삽입하고 혈관을 뒤집은 후에 뒤집어진 혈관 내층을 홈(501)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혈관이 양단 안쪽을 통해 홈(501)으로 들어가게 되는바 혈관이 더욱 고정되어 혈관의 구조가 안정화된다. 또한 상기 홈(501)을 통해 혈관 직경에 맞게 문합을 조절할 수 있다는데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 문합장치가 결합된 경우에 있어서 홈(501)에 대해 봉합사 또는 다른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홈(501)은 유연성이 있어서 이부분에 대해 묶는 경우 외부 혈관문합장치의 내부면과 삽입된 혈관문합장치 외부면의 홈(501)이 서로 압착되게 된다. 따라서 압착 후에 상기 삽입된 혈관문장치가 중앙부(510)의 직경이 작고 양단부의 직경이 큼에 따라 중앙부가 잘록한 형태가 되어 더욱 단단히 고정되고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는데 이점이 있다.
도 7(b)에서는 실시예 4형 혈관 문합장치 두개가 결합하여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문합장치를 다른 문합장치 속으로 삽입하 게 되는데 양 문합장치에 있어서 갈라진 틈(502)과 홈(50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혈관을 문합함에 있어 내층면끼리 문합을 하게 되는데 상기 뒤집어진 내층면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원래 상태로 돌아올 경우 혈관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내층면을 혈관문합장치에 더욱 단단히 고정해야 하는데 이런한 고정을 단단하게 하기위해 고정침(531)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 혈관이 결합하기 전에 상기 혈관은 삽입문합장치의 갈라진 틈(502)을 통해 이동하여 내층면이 외부로 보이도록 뒤집히게 된다. 이러한 뒤집힌 혈관의 끝부분을 고정침(531)에 걸고 상기 고정침(531)부분을 구부림으로써 혈관의 뒤집힘을 방지하는데 더욱 큰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침(531)은 구부림이 자유롭고 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부려진 고정침(531)이 부착된 삽입문합장치(이하 제 1 혈관 문합장치라 함)가 외부문합장치(이하 제 2 혈관 문합장치라 함) 내부로 삽입되어 양 문합장치가 결합된 경우 홈부분(501)에 봉합사 또는 다른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홈부분(501)의 유연성을 통한 제 1 혈관 문합장치의 고정은 앞서 도7(a)에서 본 바와 동일, 유사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방법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하나만 사용하여 절단된 혈관의 단 부(cut end)를 문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때 사용되는 혈관 문합장치는 도 1, 5, 6에 도시된 실시예 1형, 3형, 4형 혈관 문합장치처럼 길이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2형 혈관 문합장치처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혈관의 단부(850)의 끝을 혈관 문합장치(800)의 속이 비어있는 가운데로 삽입(insert)한 후 반대로 접어서(wrap-around) 혈관 문합장치(80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cover)하고 제1 혈관 단부로 완전히 둘러싼 혈관 문합장치(800)를 제2 혈관의 단부(860)에 완전히 삽입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혈관의 단부(860)가 혈관 문합장치(80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cover) 한다. 이렇게 되면 제2 혈관 단부(860)의 내층(intima)이 제1 혈관 단부(850)에 밀착 접착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세 위치(810, 812, 814) 중에서 한군데 이상을 선택하여 묶어 주거나(tie-down) 기계적인 방법으로 혈관들을 고정시켜서 아물도록(heal) 한다. 또한 상기 혈관의 고정을 더욱 단단하게 하기위해 고정침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에 혈관 문합장치를 제조할 때에 사용된 자료에 따라서 몸에 영구히 남아 있을 수도 있고, 몸에 흡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두개 사용하여 절단된 혈관의 단부(cut end)를 문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때에도 실시예 1형, 3형, 4형 혈관 문합장치나 실시예 2형 혈관 문합장치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도 8에 도시된 혈관 문합 상태와 달리 두 개를 한 쌍으로 사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혈관 문합장치(901, 902) 각각에 제 1 혈관 단부(950)와 제 2 혈관 단부(960)를 완전히 삽입한 후 각각의 혈관 문합장치를 완전히 둘러싸도록(wrap-around)한 다음, 혈관으로 둘러싸인 제 1 혈관 문합장치(901)를 제 2 혈관 문합장치(902)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삽입한다(insert).
여기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 1형, 3형, 4형 혈관 문합장치를 쌍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혈관으로 둘러싸인 상기 혈관 문합장치 하나(901)를 다른 혈관 문합장치(902)에 삽입할 때에 혈관 문합장치의 절개된 틈으로 인해 안으로 삽입되는 혈관 문합장치(901)의 직경은 줄어들 수 있고 밖에서 씌워지는 혈관 문합장치(902)의 직경은 늘어날 수 있어 혈관 문합장치들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봉합사(suture)나 다른 기계적인 방법으로 혈관으로 둘러싸인 이들 혈관 문합장치들을 고정시키는 과정은 도 8를 참조한 상기 방법과 동일하다. 즉, 도 9에 예를 들어서 표시해 놓은 세 지점(910, 912, 914) 중에서 선택적으로 묶어준다(tie-down).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를 사용하면, 혈관 질환으로 인하여 폐쇄됐거나 거의 폐쇄된 혈관을 절단하지 않고서도 문합 수술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혈관 문합수술을 매우 간단히 처리해 주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형, 3형, 4형 혈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폐쇄된 부위의 혈 관을 절단하지 않고 혈관 문합장치 옆에 만들어진 갈라진 틈으로 혈관을 삽입한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실시 예 1형, 3형, 4형 혈관 문합장치”의 측면 틈은 상대적으로 넓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혈관 문합장치인 관의 직경은 혈관 문합장치를 두 개를 사용할 경우(도 10 참조)에는 서로 다르도록 하고, 혈관 문합장치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도 11 참조)에는 직경을 균일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만들어진 옆의 갈라진 틈을 상대적으로 넓게 만든 “실시예 1형, 3형, 4형의 혈관 문합장치”를 두 개를 사용한다.
이 경우 우선 제 1 혈관 문합장치(1001)의 갈라진 틈으로 혈관(1050)을 삽입(insert)하고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혈관을 반대 방향으로 접는다(fold over).
이 때에 혈관(1050) 내에 있는 격리시키고자 하는 폐쇄부위(10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혈관 문합장치(1001) 영역 밖으로 위치하도록 충분히 댕기고 밀어준다. 상기 혈관과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위치에 정돈(arranged)이 되면 제2 혈관 문합장치(1002)를 제 1 혈관 문합장치(1001)가 삽입되어 있는 위치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제 1 혈관 문합장치(1001)를 삽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혈관을 안정화 한다. 즉 상기 혈관(1050)을 제 2 혈관 문합장치(1002)에 옆에 만들어진 갈라진 틈으로 삽입한 후에 제 2 혈관 문합장치(1002)를 제 1 혈관 문합장치(1001)가 있는 방향으로 밀어서(slide and push)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혈관 문합장치(1001) 위로 씌워지도록 한다.
제 1 혈관 문합장치(701), 제 2 혈관 문합장치(702) 그리고 혈관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arranged)이 되면 봉합사(suture)나 다른 기계적인 방법으로 상기한 두개의 문합장치(701, 702)들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 하나의 실시예 1형, 3형, 4형 혈관 문합장치만을 사용한 후 혈관(1150)과 혈관 문합장치(1100)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arranged)이 되면 봉합사(suture)나 다른 기계적인 수단으로 혈관 문합장치(1100)와 혈관(1150)을 고정시킴으로써 혈관(1150) 내의 폐쇄부위(1170)를 격리시킬 수 있다. 이 때 혈관 문합장치(1100)를 하나만 사용하기 때문에 혈관 문합장치의 직경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혈관 문합장치를 사용하여 혈관 문합수술을 시행하면 혈관의 내층(intima)과 내층이 서로 접촉해야하는 기본 규칙을 자연스럽게 만족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그 구조상 직경이 서로 다른 혈관들을 용이하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문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기본적으로 혈관 내층(intima)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 싸여지므로(completely surrounded by the intima side of the vascular tube), 문합하고자 하는 두 혈관의 직경의 차이는 혈관이 최대한으로 늘어날 수 있는(the limit of maximum stretch of the vascular tubes) 한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 한계는 혈관인 경우에는 2배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의 양단(both ends)의 직경이 혈관 직경의 2배를 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2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혈관이 찢어질(rupture)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제조 시에 관의 길이, 관의 양단의 직경의 크기 및 차이, 관의 옆면에 길이방향으로 만들어진 틈의 폭, 관의 두께 등을 실제로 필요한 요구조건에 맞도록 선택하여 혈관 문합장치를 쉽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를 사용하면 전문가가 절단된 혈관을 봉합사(suture)를 사용하여 일일이 봉합수술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술에 필요한 시간도 많이 절약이 되고 또 치유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혈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문합수술을 할 수 있으므로 수술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상당히 절약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혈관 문합장치는 인체에 영구적으로 이식시키는(embed) 작은 장치이므로, 이식수술을 한 후에도 인체조직과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실리콘, 타이타늄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든지, 인체 내에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는 PGLA(Polyglycolic acid와 Polylactic acid 의 융합체)등과 같이 생체에 쉽게 적응하는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옆이 갈라진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도 1에 도시된 혈관 문합장치의 내외부 표면에 각각 돌기 및/또는 홈이 2개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두개의 혈관 문합장치가 돌기 및/또는 홈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옆이 갈라져 있으며, 중앙부분과 양단부분의 직경이 다른 혈관 문합장치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옆이 갈라져 있으며, 중앙부분과 양단부분의 직경이 다르며 고정침이 포함된 혈관 문합장치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7도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두개의 혈관 문합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하나만 사용하여 절단된 혈관의 단부(cut end)를 문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두개 사용하여 절단된 혈관의 단부(cut end)를 문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두개 사용하여 절단되지 않은 혈 관을 접어서(folded) 문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장치를 한개만 사용하여 절단되지 않은 혈관을 접어서 문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실시예 1형 혈관 문합 장치
110 : 외부 돌기 111 : 내부 돌기
112, 114, 116 : 갈라진 틈 210, 220 : 외부 돌기
211, 221, 231, 241 : 내부 돌기 230, 240, 250, 260 : 외부 홈
300 : 실시예 2형 혈관 문합 장치 310 : 외부 돌기
410, 420 : 외부 돌기 411, 421 : 내부 돌기
500 : 실시예 3형 혈관 문합 장치
501: 홈 502 : 갈라진 틈
510 : 문합장치 중앙부분 520, 530 : 관의 양단부분
531 : 고정침
800 : 혈관 문합장치 850 : 제 1 혈관 단부
860 : 제 2 혈관 단부 901 : 제 1 혈관 문합 장치
902 : 제 2 혈관 문합 장치 950 : 제 1 혈관 단부
960 : 제 2 혈관 단부 1001 : 제 1 혈관 문합 장치
1002 : 제 2 혈관 문합 장치 1050 : 혈관
1070 : 폐쇄부위 1100 : 혈관 문합 장치
1150 : 혈관 1170 : 폐쇄부위

Claims (3)

  1. 하나 또는 두개의 혈관 또는 관상 기관을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문합하는 장치로서,
    속이 비어있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혈관에 결합되기 위한 제 1 혈관 문합장치; 및
    속이 비어있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의 혈관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혈관 문합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상기 제 2 혈관 문합장치 안으로 삽입되어 하나의 관을 이룸으로서 두개의 혈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혈관 문합장치 그 외주면을 따라 1 이상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혈관 문합장치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 1 혈관 문합장치의 홈 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혈관 문합장치가 상기 제 2 혈관 문합장치 안으로 삽입되어 하나의 관을 이룰 때, 상기 제 1 혈관 문합장치의 홈 또는 돌기와 상기 제 2 혈관 문합장치의 돌기 또는 홈에 의해 제 1 혈관 문합장치와 상기 제 2 혈관 문합장치의 결합이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 1 혈관 문합장치 또는 제 2혈관 문합장치는 그 외주면을 따라 1이상의 홈이 형성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정한 직선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혈관 문합장치가 상기 제 2혈관 문합장치 안으로 삽입되어 하나의 관을 이룰 때, 상기 홈 부분의 압착되는 경우 양단 안쪽 좌, 우측부의 직경이 크고 중앙부분의 직경이 작아 이런한 직경 차이로 인해 상기 양 문합장치의 결합이 더욱 안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장치.
KR1020080013989A 2005-09-09 2008-02-15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KR101065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4062 2005-09-09
KR1020050084062 2005-09-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581A Division KR100848401B1 (ko) 2005-09-09 2006-09-08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911A true KR20080033911A (ko) 2008-04-17
KR101065142B1 KR101065142B1 (ko) 2011-09-16

Family

ID=381017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581A KR100848401B1 (ko) 2005-09-09 2006-09-08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KR1020080013989A KR101065142B1 (ko) 2005-09-09 2008-02-15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581A KR100848401B1 (ko) 2005-09-09 2006-09-08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484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04B1 (ko) * 2010-11-15 2011-06-03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단부 직경 감소 장치
KR101038610B1 (ko) * 2011-04-22 2011-06-03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단부 직경 감소 장치
KR101381183B1 (ko) * 2011-07-04 2014-04-14 (주)인튜이티브메디코프 혈관 문합 장치 제조를 위한 블랜딩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제조된 혈관 문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527B1 (ko) 2010-07-23 2013-04-03 이희영 생체 조직의 탄성 고정방법, 튜브형 바늘 패키지 및 튜브형 바늘 패키지의 사용방법
KR101213293B1 (ko) 2010-08-23 2012-12-18 이영삼 혈관 문합장치
KR101618236B1 (ko) * 2014-10-24 2016-05-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 봉합 보조 기구
CN109620329A (zh) * 2018-12-15 2019-04-16 华融科创生物科技(天津)有限公司 支架式血管吻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0438B1 (ko) 1970-04-06 1976-09-01
US4214586A (en) 1978-11-30 1980-07-29 Ethicon, Inc. Anastomotic coupling device
KR20020091522A (ko) * 2001-05-31 2002-12-06 (주)에이치비메디컬스 문합 장치
KR20020091523A (ko) * 2001-05-31 2002-12-06 (주)에이치비메디컬스 혈관 문합 장치
KR20020094075A (ko) * 2001-06-07 2002-12-18 (주)에이치비메디컬스 혈관 문합 장치
US7536183B2 (en) * 2003-04-23 2009-05-19 Alcatel-Lucent Usa Inc. Network interworking through message transl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04B1 (ko) * 2010-11-15 2011-06-03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단부 직경 감소 장치
KR101038610B1 (ko) * 2011-04-22 2011-06-03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단부 직경 감소 장치
KR101381183B1 (ko) * 2011-07-04 2014-04-14 (주)인튜이티브메디코프 혈관 문합 장치 제조를 위한 블랜딩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제조된 혈관 문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142B1 (ko) 2011-09-16
KR20070029571A (ko) 2007-03-14
KR100848401B1 (ko)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80377B (en) Everting staple devices and methods
US6926724B1 (en) Visceral anastomotic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11202357B2 (en) Unfolding anastomosis ring device
JP4531514B2 (ja) 内腔間吻合のための単一内腔配置用リング
KR100848401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US6743243B1 (en) Support device for endoscopic suturless anastomosis
US20160106421A1 (en) A shaft-pushed fastenable suture
US201402438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ccluding a blood vessel and/or for occluding other tubular structures and/or for closing openings in structures and/or for securing at least two objects together
US20070010837A1 (en) Magnetic frame for connecting hollow bodies
JP2008514244A (ja) 独立して作動する脚部を有する内視鏡装置
JP2006326317A (ja) 胃腸バイパスを実行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US20130296890A1 (en) Medical device
US20050228409A1 (en) Device for anastomosis
US8357173B2 (en) Anastomosis device
JP2005131389A (ja) 移植片接合用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131389A5 (ko)
US8701963B2 (en) Medical anastomosis apparatus
JP2006006648A (ja) 血管接合具および血管接合装置
US20080097584A1 (en) Vascular Prosthesis with Attachment Means and Connecting Means
Chang et al. Enabling sutureless vascular bypass grafting with the exovascular sleeve anastomosis
US20110264117A1 (en) Tissue joining device and instrument for enabling use of a tissue joining device
Elkouri et al. Stapled aortic anastomoses: a minimally invasive, feasible alternative to videoscopic aortic suturing?
RU2275870C2 (ru) Клипса для холедоходуоденального анастомоза
US20070073317A1 (en) System for interconnecting hollow bodies
KR101038604B1 (ko) 혈관 단부 직경 감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