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075A - 혈관 문합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문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075A
KR20020094075A KR1020010031783A KR20010031783A KR20020094075A KR 20020094075 A KR20020094075 A KR 20020094075A KR 1020010031783 A KR1020010031783 A KR 1020010031783A KR 20010031783 A KR20010031783 A KR 20010031783A KR 20020094075 A KR20020094075 A KR 2002009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embers
anastomosis device
blood vessel
anastom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범
이재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이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비메디컬스, 이훈범 filed Critical (주)에이치비메디컬스
Priority to KR102001003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075A/ko
Priority to EP02733562A priority patent/EP1397076A1/en
Priority to JP2003501350A priority patent/JP2004527355A/ja
Priority to US10/479,287 priority patent/US20040172049A1/en
Priority to PCT/KR2002/001078 priority patent/WO2002098303A1/en
Publication of KR2002009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9Side-to-side connections, e.g. shunt or X-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혈관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문합 장치로서, 축면을 따라 2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조립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시 전체적인 형상이 밑면이 밀폐된 관상이며; 상기 조립 부재의 상단에는 다수의 후크가 부설되어 있는 돌출 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후크는 돌출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하향으로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부재의 중간부는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상하로 늘어날 수 있도록 축의 수직면상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러한 분리된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조립 부재의 측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부재의 측면에는 2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로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응 조립 부재에 접하는 측면에 각각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혈관 문합 장치를 사용하면, 매우 어려운 작업인 두 혈관의 측부 대 측부를 연결함에 있어서, 봉합사를 사용하여 직접 봉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문합이 가능하므로, 수술 시간을 현격히 줄일 뿐만 아니라 해당 부위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고도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술 시간, 비용 및 환자의 고통과 치료기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특히, 혈관의 측부 대 측부 문합 장치는 본 발명 이전에는 전혀 개발된 바가 없는 매우 신규한 장치이다.

Description

혈관 문합 장치 {Vascular anastomosis device}
본 발명은 혈관을 문합(anastomosis)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혈관의 측부를 다른 혈관의 측면에 용이하게 문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 등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의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 근육을 팽창시키는 근육 이완제 또는 항칼슘제를 사용하는 약물 요법과 수술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 요법은 초기 단계의 치료에 유용하지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폐쇄 과정이 진행된 혈관에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따라서, 폐쇄 혈관의 직접적인 치료법인 수술 요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수술 요법으로는 크게 내과적 방법과 외과적 방법이 있는데, 내과적 방법은 대퇴 정맥과 같은 혈관을 통해 금속망(Stent)을 폐쇄 부위에 삽입하고 그곳에서 금속망을 팽창시켜 폐쇄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팽창 금속망을 사용하는 방법에 필요한 장치들이 미국특허 제3,416,5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술 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금속망 사이로 병변조직이 삐져나오고 새로운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 금속망의 안쪽에 자라나게 되어 또다시 폐쇄과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가슴을 절개하여 열고 다른 곳에서 가져온 혈관(주로, 다리 정맥)을 사용하여 막힌 부위를 우회 연결하는 외과적 수술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이때, 상기 다리 정맥의 한쪽 단부를 IMA(Internal Mammary Artery: 흉부 및 복부조직과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단부 대 단부(End-to-End) 방식, 또는 단부 대 측부(End-to-Side) 방식으로 연결하고, 다른 쪽 단부를 폐쇄 부위를 넘어선 혈관에 단부 대 단부 방식, 단부 대 측부 방식, 또는 측부 대 측부(Side-to-Side) 방식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혈관은 크게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의 문합시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심장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을 문합할 때에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의 확대경으로 확대된 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에 의해 봉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봉합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행해지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 수술시에는 장시간(적어도 3 시간 이상)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혈관 문합을 상기와 같이 의사가 봉합사를 사용하여 직접 봉합하지 않고 대신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짧은 시간내에 빠르게 문합할 수 있는 다수의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그러한 예로는, 미국특허 제3,774,615호, 미국특허 제4,214,586호, 미국특허 제4,366,819호, 미국특허 제4,523,592호, 미국특허 제4,917,087호, 미국특허 제5,752,966호, 미국특허 제5,817,113호, 미국특허제6,206,913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모두 단부 대 단부 방식이나 단부 대 측부 방식의 문합에 사용되는 장치들로서, 측부 대 측부 방식의 문합에 사용할 수 없다.
측부 대 측부 방식의 혈관 문합은 다른 문합 방식에 비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아직 그러한 방식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들이 전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혈관의 측부와 다른 혈관의 측부를 봉합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술 부위를 완전히 개봉하지 않고 일부만을 절개하여 측부 대 측부 방식의 혈관 문합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 장치의 사시도 및 수직 단면도 등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혈관 문합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1a의 혈관 문합 장치에 상하 인장력을 가한 후의 사시도 및 수직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4i는 도 1a의 혈관 문합 장치를 사용하여 두 혈관의 측부 대 측부를 연결하는 과정의 단계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혈관 문합 장치200: 조립 부재
300: 후크400: 실리콘 링
500: 관통구600: 연결 부재
700: 차폐 장치800: 절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혈관 문합 장치는, 두 혈관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축면을 따라 2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조립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시 전체적인 형상은 밑면이 밀폐된 관상이며;
상기 조립 부재의 상단에는 다수의 후크가 부설되어 있는 돌출 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후크는 돌출 부재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하향으로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부재의 중간부는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상하로 늘어날 수 있도록 축의 수직면상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러한 분리된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조립 부재의 측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부재의 측면에는 2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로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응 조립 부재에 접하는 측면에 각각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혈관 문합 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조립 부재를 상호 결합하면 전체적으로 밑면이 밀폐된 관상을 이루고, 전후로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하를 잡아당기면 일정한 길이만큼 축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측부 대 측부 방식의 문합을 행할 두 혈관 중 하나의 혈관(A)은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또다른 혈관(B)은 상기 돌출 부재의 후크에 체결되게 된다. 혈관(B)에 본 발명의 혈관 문합장치를 체결할 때에는 우선 혈관(B)의 측면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틈 사이로 상기 돌출 부재를 밀어 넣으므로, 적어도 돌출 부재의 단면이 타원형 구조로 되어있으면, 삽입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두 혈관의 체결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두 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되는 수직 단면에는 대응 조립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체결 부재는 두 조립 부재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지만, 혈관이라는 미세한 기관을 상호 연결하는 문합 과정의 특성상 한번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의 바람직한 예로는, 그것이 한 쌍의 암수구조로서 수 구조는 앵커(anchor) 형상이고 암 구조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함몰 형상인 것을 들 수 있다. 만일 조립 부재 자체가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함몰 형상의 암 구조가 별도로 없더라도 앵커 형상의 수 구조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조립 부재의 하단이 연결 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두 조립 부재를 상호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 부분만이 벌어지도록 분리되어 있고, 두 조립 부재를 접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부만이 분리되어 있고 하단부는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혈관(A)에 체결할 때에는 상부를 벌린 상태로 혈관(A)에 가져가서 관통구에 혈관(A)이 들어올 수 있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부를 접는 형태로 결합하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상기 연결 부재는 본 발명의 장치에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상기 상하 분리 부재들이 일정한 길이만큼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하나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일정한 길이의 본체는 문합 장치의 측면부보다 두께가 작고, 그것의 양 단부의 두께는 측면부의 두께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본체의 두께보다는 크며, 분리 부재의 측면 내부에는 두 개의 상하 분리 부재에 걸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상하 분리 부재가 접하는 유도로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본체만이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혈관 문합 장치에 상하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하 분리 부재가 서로 접해있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하 분리 부재의 유도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두 분리 부재에 걸쳐있게되고,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하 분리 부재는 서로 이격되게 되고 연결 부재는 유도로를 따라 두개의 분리 부재로부터 나오게 된다. 상하 분리 부재가 이격되는 최대 거리는 연결 부재의 본체의 길이에 상응하고,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의 양 단부가 상하 분리 부재의 각 유도로의 단부인 개구에 걸치게 된다. 분리 부재의 개구의 직경은 연결 부재 본체의 양단부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큰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연결 부재는 분리 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후크에 대한 혈관(B)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조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예시적인 구조는, 상기 돌출 부재와 관통구 사이에 조립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향으로 곡면 테이퍼되어 있는 링 탑재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링 탑재용 부재에는 문합 과정에서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 링이 탑재되는데, 상기 실리콘 링은 두 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링 탑재용 부재에 탑재되어 있다가, 돌출 부재의 후크에 혈관(B)이 체결되었을 때 전진시켜 혈관(B)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하게 된다.
두 번째 예시적인 구조는, 상기 돌출 부재와 관통구 사이가 평평한 면("유도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도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조립형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조립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관상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결합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2개의 분리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서로 결합되는 수직면의 양 단부에는 체결 부재가 부설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또는 2개의 분리형 부재의 한쪽 단부는 피벗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체결 부재가 부설되어 있는 형태이다. 문합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유도면 상에서 상호 결합하여 장착함으로써, 돌출 부재의 후크에 혈관(B)이 체결되었을 때 전진시켜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하는 작용을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돌출 부재의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 형상의 암 구조를 수평 전단면에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 부재를 유연성 소재로 만들어 함몰 형상의 암 구조가 없더라도 후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혈관 문합 장치는 문합 후 영구적으로 인체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물이므로, 생체 적합성이 있는 소재이어야 하므로, 티타늄 등의 금속 소재나 실리콘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혈관 문합을 행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혈관 문합 장치(10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2개의 조립 부재(200)로 구성되어 있고, 조립 부재(200)는 다수의 후크(300)가 부설된 돌출 부재(210); 문합 과정에서 실리콘 링(400)이 탑재될 링 탑재용 부재(220); 상하 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상하로 분리되는 분리 부재(230)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립 부재(200)가 상호 결합되는 각각의 위치에 원형의 관통구(500)이 위치한다. 상호 결합된 조립 부재(200)의 단면 형상은 절개된 혈관의 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단면으로 되어있다.
상기 후크(300)는 돌출 부재(210)의 하단 외주면(212)을 따라 아래쪽을 향하도록(하향) 부설되어 있다. 도 4d와 도 4f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관(A 및 B)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크(300)의 첨단은 안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 탑재용 부재(220)는 위쪽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테이퍼되어 있어서, 문합 과정에서 탑재된 실리콘 링(400)이 돌출 부재(210)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해 갈 수 있다.
도 1b에는 도 1a의 a-a 단면(수직 단면)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는 도 1a에서의 상하 분리 부재(232 및 234)를 상호 연장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분리 부재(232 및 234)에는 일정한 길이의 유도로(23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길이의 연결 부재(600)가 두 분리 부재(232 및 234)의 유도로(236)에 걸쳐 위치한다. 연결 부재(600)는 대응하는 두 개의 유도로(236)의 길이에 상응하는 본체(610)와, 본체(610)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진 양 단부(6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c에는 혈관 문합 장치(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좌우 조립 부재가 완전히 분리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조립 부재는 대칭형의 좌 조립 부재(202)와 우 조립 부재(204)로 분리하여 정의될 수 있는데, 좌우 조립 부재(202 및 204)가 접하는 수직 단면에는 서로를 체결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체결 부재(240)가 부설되어 있다. 체결 부재(240)의 바람직한 예로는 앵커 형상의 수 체결부(242)와 이에대응하는 함몰된 형태의 암 체결부(244)로 구성되며, 좌 조립 부재(202)에 수 체결부(242)가 부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 조립 부재(204)의 대응 위치에 암 체결부(244)가 부설되어 있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혈관 문합 장치(11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문합 장치(110)에는 도 1b에서의 실리콘 링 탑재용 부재(220)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혈관(B)의 체결은 후크(300)만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별도로 도 1a의 실리콘 링(400)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도 2b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 장치(12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문합 장치(120)는 돌출부(210)와 관통구(500) 사이의 외면이 평평한 면(유도면: 122)으로 되어있고, 그러한 유도면(122)에 슬라이딩 부재(450)를 결합하여 탑재하는 형태이다. 슬라이딩 부재(450)는 유도면(122)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450)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450)는 두 개의 분리형 부재(451 및 452)로 구성되어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본체의 형상과 같이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두 분리형 부재(451 및 452)는 한 쪽 단부가 연결 조인트(45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연결 조인트(453)에 의해 연결된 맞은편 수직 단부에는 두 분리형 부재(451 및 452)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암 수 체결부재(454 및 455)가 부설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450)의 수평 전단면에는 돌출 부재(210)의 후크(30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함몰 형상의 다수의 암 구조(456)가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문합 장치(120)를 사용한 내시경 수술 과정을 더욱 용이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에 본 문합 장치(120)를 장착하여 수술 부위로 가져갈 수 있도록 장치의 외면에 돌출형 또는 함몰형의 장착 부재(124)를 부설할 수도 있다.
도 2c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합 장치(13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문합 장치(130)는 도 2b의 문합 장치(120)의 변형으로서, 두 조립 부재(201 및 202)의 하단이 연결 조인트(20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가 벌어져 있으므로, 벌어진 문합 장치(130)를 혈관(B)에 가져가서 관통구(500)에 혈관(B)이 들어오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부를 접어서 결합하게 된다.
도 3a에는 도 1a의 혈관 문합 장치(100)에 상하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의 변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하로 늘리는 인장력을 문합 장치(100)에 가하면, 장치의 본체를 이루는 상하 분리 부재(232 및 234)는 서로 이격되고, 그러한 이격된 틈 사이에 연결 부재(600)가 나타내게 된다.
도 3b에는 도 3a의 b-b 단면 형상으로서, 상하 분리 부재(232 및 234)가 서로 이격되고 이들이 연결 부재(600)에 의해 연결되는 작동 원리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상하 인장력을 가하면, 상후 분리 부재(232 및 234)는 서로 떨어지게 되고, 그러한 상하 분리 부재(232 및 234)의 유도로(236)에 걸쳐 있던 연결 부재(600)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외부에 나타나는 것은 연결 부재(600)의 본체(610)이고, 이격되는 최대 거리는 본체(610)의 길이에 상응한다. 완전히 이격된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600)의 양 단부(610)가 유도로(236)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는데, 유도로(236)의 단부의 개구(238)는 연결 부재(600)의 양 단부(620)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연결 부재(600)의 본체(610)는 유도로(236)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600)의 본체(610)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문합 장치(100)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원통형이고, 문합 장치(100)의 하단은 밀폐되어 있으므로, 관통구(500)에 끼워진 혈관(A: 도시하지 않음)이 혈압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팽창 현상은 문합 장치(100) 상단의 개봉된 부위로만 나타나게 된다.
도 4a 내지 4i에는 도 1a의 혈관 문합 장치(100)를 사용하여 혈관(A)의 측부와 혈관(B)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의 단계에서, 혈관 문합 장치(100)를 구성하는 좌우 조립 부재를 혈관(A)상에서 결합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문합 장치(100)를 역으로 결합시켰다. 이때, 문합 장치(100)의 관통구의 직경은 혈관(A)의 외면 직경보다 바람직하게는 작거나 또는 적어도 동일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혈관내로 흐르는 혈액의 압력("혈압")이 문합 장치(100)를 중심으로 작용하여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관(A)의 일부(Aa)가 돌출 부재(212)의 개봉부(214)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혈관이 늘어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더라도 무리가 없는 정도의 직경 변화는 원래 직경의 최대 2배 정도이다. 그런 다음, 탄력성이 좋은 실리콘 링(400)을 링 탑재용 부재(220)에 다소 이완시켜 탑재한다. 실리콘 링(400)의 탑재는 팽창된 혈관(Aa)을 후크에 체결하는 도 4d의 단계에서 행할 수도 있다.
도 4b의 단계에서, 혈관(A)내의 혈류 방향이 화살표와 같은 경우에 문합 장치(100)를 넘어서는 혈관의 위치에 차폐 장치(700)를 설치한다. 그러면, 문합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혈관(A)의 주위에 더욱 큰 압력이 작용하여 혈관이 팽창하게 되며, 개봉부(214)의 혈관(Aa)도 더욱 크게 팽창하게 된다.
혈관(Aa)이 적당히 팽창하였을 때, 도 4c의 단계에서, 혈액이 유입되는 혈관(A)의 위치에도 차폐 장치(700)를 설치하여 더 이상의 혈류 유입을 막은 다음, 튀어나온 반구형 혈관의 윗부분을 절개한다.
도 4d의 단계에서, 절개된 혈관(Aa)을 뒤집어 돌출 부재(210)상의 후크(300)에 체결함으로써, 혈관(Aa)의 내층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혈관의 내층을 노출시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관 문합은 상호 혈관의 내층 대 내층의 연결로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리콘 링(400)의 탑재는 혈관(A)의 체결이 완료된 다음에 실행할 수도 있다.
도 4e의 단계에서, 혈관(B)의 혈류 방향이 화살표와 같을 때, 차폐 장치(700)를 혈관(B) 위치에 설치하고 차폐 장치(700)가 설치된 곳을 넘어선 위치의 혈관(B)을 길이 방향으로 일부 절개한다. 혈관(B)의 절개부(800)의 크기는 문합 장치(100)의 돌출 부재(210)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관은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절개부(800)의 크기가 작더라도 돌출 단부(21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은 절개부(800)의 크기로 인하여 문합 후 혈액의 누출 가능성이 낮아진다.
도 4f의 단계에서, 문합 장치(100)의 돌출 부재(210)를 혈관(B)의절개부(800)내에 삽입한다. 삽입 결과, 혈관(A)의 내면층과 혈관(B)의 내면층이 서로 접하게 된다.
도 4g의 단계에서, 돌출 부재(210)가 절개부(800)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합 장치(100)를 잡아당기면 후크(300)에 혈관(B)이 걸리어 체결되고,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탄력성이 있는 혈관(B)은 문합 장치(100) 쪽으로 일부가 당겨지게 된다.
도 4h의 단계에서, 링 탑재용 부재(220)상에 탑재되어 있던 실리콘 링(400)을 혈관(B)쪽으로 밀면, 실리콘 링(400)은 돌출 부재(210)의 후크(300)에 체결되어 있는 혈관(A)을 덮게되어 혈관(A 및 B)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그런 다음, 혈관(A)과 혈관(B)에 설치된 차폐 장치(700)들을 모두 제거한다.
도 4i의 단계에서, 차폐 장치들이 모두 제거되어, 혈관(A)과 혈관(B)을 통해 혈액이 흐르게 되고, 혈관 문합 장치(100)는 혈압이 다시 작용하여 상하 분리 부재(232 및 234)가 이격되고, 그 내부에 걸쳐 있던 연결 부재(600)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문합 장치의 관통구(도시하지 않음)은 혈관(A)의 직경에 대응하여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혈관 문합 장치를 사용하면, 매우 어려운 작업인 두 혈관의 측부 대 측부를 연결함에 있어서, 봉합사를 사용하여 직접 봉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문합이 가능하므로, 수술 시간을 현격히 줄일 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게 해당부위를 개봉하지 않고도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수술 시간, 비용 및 환자의 고통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특히, 혈관의 측부 대 측부 문합 장치는 본 발명 이전에는 전혀 개발된 바가 없는 매우 신규한 장치이다.

Claims (7)

  1. 두 혈관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축면을 따라 2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조립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시 전체적인 형상이 밑면이 밀폐된 관상이며;
    상기 조립 부재의 상단에는 다수의 후크가 부설되어 있는 돌출 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후크는 돌출 부재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하향으로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부재의 중간부는 힘이 가해질 경우 상하로 늘어날 수 있도록 축의 수직면상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러한 분리된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조립 부재의 측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부재의 측면에는 2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로 원형의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응 조립 부재에 접하는 측면에 각각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되는 수직 단면에는 대응 조립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체결 부재는 한 쌍의 암수구조로서 수 구조는 앵커(anchor) 형상이고 암 구조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함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와 관통구 사이에 조립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향으로 곡면 테이퍼되어 있는 링 탑재용 부재를 더 포함되어 있고, 두 개의 조립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링 탑재용 부재에 탄력성 있는 소재의 링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와 관통구 사이가 평평한 면("유도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도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조립형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조립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관상 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결합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2개의 분리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서로 결합되는 수직면의 양 단부에는 체결 부재가 부설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또는 2개의 분리형 부재의 한쪽 단부는 피벗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에는 체결 부재가 부설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전단면에는 문합 과정에서 돌출 부재의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함몰 형상의 암 구조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슬라이딩 부재가 유연성 소재로 되어있어서 함몰 형상의 암 구조 없이 돌출 부재의 후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일정한 길이의 본체와 양단부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는 문합 장치의 측면부보다 두께가 작고, 그것의 양 단부의 두께는측면부의 두께보다 작으면서 동시에 본체의 두께보다는 크며, 이에 대응하는 분리 부재의 측면 내부에는 두 개의 상하 분리 부재에 걸쳐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상하 분리 부재가 접하는 유도로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본체만이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두 조립 부재의 하단이 연결 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두 조립 부재를 상호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 부분만이 벌어지도록 분리되어 있고, 두 조립 부재의 상부를 접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문합 장치.
KR1020010031783A 2001-06-07 2001-06-07 혈관 문합 장치 KR20020094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783A KR20020094075A (ko) 2001-06-07 2001-06-07 혈관 문합 장치
EP02733562A EP1397076A1 (en) 2001-06-07 2002-06-07 Vascular anastomosis device
JP2003501350A JP2004527355A (ja) 2001-06-07 2002-06-07 脈管吻合デバイス
US10/479,287 US20040172049A1 (en) 2001-06-07 2002-06-07 Vascular anastomosis device
PCT/KR2002/001078 WO2002098303A1 (en) 2001-06-07 2002-06-07 Vascular anastomosi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783A KR20020094075A (ko) 2001-06-07 2001-06-07 혈관 문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075A true KR20020094075A (ko) 2002-12-18

Family

ID=1971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783A KR20020094075A (ko) 2001-06-07 2001-06-07 혈관 문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72049A1 (ko)
EP (1) EP1397076A1 (ko)
JP (1) JP2004527355A (ko)
KR (1) KR20020094075A (ko)
WO (1) WO20020983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01B1 (ko) * 2005-09-09 2008-07-24 (주)에이치비메디컬스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KR101235096B1 (ko) * 2012-11-26 2013-02-20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401917D0 (sv) * 2004-07-22 2004-07-22 Hakans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WO2007081247A1 (en) * 2006-01-12 2007-07-19 Prozeo Vascular Implant Ab Device and method for anastomosis
US20090221899A1 (en) * 2007-01-16 2009-09-03 Isham John Minimally invasive rectal balloon apparatus with pressure relieving lumen and anal verge dilation collar
US8328828B2 (en) 2008-08-11 2012-12-11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Device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WO2013146614A1 (ja) * 2012-03-30 2013-10-03 国立大学法人福井大学 吻合手術用補助クリップ
US20150257759A1 (en) * 2014-03-14 2015-09-1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mplant for facilitating sutured side-to-side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and maintaining patency
US10314591B2 (en) * 2015-08-04 2019-06-1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use for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US11134951B2 (en) 2018-03-30 2021-10-05 Cook Medicol Technologes, LLC Side-to-side anastomosis system and punch tool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6531A (en) * 1964-01-02 1968-12-17 Edwards Miles Lowell Catheter
US3774615A (en) * 1971-02-08 1973-11-27 Ceskoslovenska Akademie Ved Device for connecting or joining the ends of interrupted tubular organs in surgical operations without stitching
US4214586A (en) * 1978-11-30 1980-07-29 Ethicon, Inc. Anastomotic coupling device
US4366819A (en) * 1980-11-17 1983-01-04 Kaster Robert L Anastomotic fitting
US4523592A (en) * 1983-04-25 1985-06-18 Rollin K. Daniel P.S.C. Anastomotic coupling means capable of end-to-end and end-to-side anastomosis
US4917087A (en) * 1984-04-10 1990-04-17 Walsh Manufacturing (Mississuaga) Limited Anastomosis devices, kits and method
US5695504A (en) * 1995-02-24 1997-12-09 Heartpor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vascular anastomosis
US5868763A (en) * 1996-09-16 1999-02-09 Guidant Corporation Mean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5752966A (en) * 1997-03-07 1998-05-19 Chang; David W. Exovascular anastomotic device
EP0895753A1 (en) * 1997-07-31 1999-02-10 Academisch Ziekenhuis Utrecht Temporary vascular seal for anastomosis
US6352543B1 (en) * 2000-04-29 2002-03-05 Ventrica, Inc. Methods for forming anastomoses using magnetic force
US6279809B1 (en) * 1998-03-10 2001-08-28 Enrico Nicolo Circular stapler for side to end, side to side and end to side anastomosis
US6206913B1 (en) * 1998-08-12 2001-03-27 Vascular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a graft to a blood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401B1 (ko) * 2005-09-09 2008-07-24 (주)에이치비메디컬스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혈관의 문합방법
KR101235096B1 (ko) * 2012-11-26 2013-02-20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8303A1 (en) 2002-12-12
US20040172049A1 (en) 2004-09-02
EP1397076A1 (en) 2004-03-17
JP2004527355A (ja) 200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1522A (ko) 문합 장치
AU2011202357B2 (en) Unfolding anastomosis ring device
US7399272B2 (en)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suction-assisted tissue engagement
ES2317461T3 (es) Aparato para realizar endoscopicamente cirugia de reduccion gastrica.
US20100023032A1 (en) Prosthesis for anastomosis
US20030135227A1 (en)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JP2001507976A (ja) 最小侵襲性脈管および内視鏡検査外科手術のための、縫合式ステープル外科手術用固定器具、機器、およびその方法
JP2004522531A (ja) 結び目のない縫合糸アンカー装置を用いて結合組織を骨に結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91523A (ko) 혈관 문합 장치
KR20020094075A (ko) 혈관 문합 장치
KR101065142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US20100082048A1 (en) Prosthesis for anastomosis
RU2213529C2 (ru) Способ клипирования сосудов, мягкоэластичных трубчатых структур и фиксирования тканей и клипс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10172684A1 (en) Prosthesis for anastomosis
US20100191263A1 (en) Prosthesis for laparoscopic anastomosis
KR101480226B1 (ko) 관상기관의 문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 방법
KR20090107376A (ko) 문합링 및 문합링의 설치방법
KR101480227B1 (ko)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KR101010339B1 (ko) 푸셔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방법
KR101342622B1 (ko)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US20090299389A1 (en) Flangeless prosthesis for anastomosis
MX2007003572A (es) Metodo para gastroyeyunostomia hibr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