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417A - 조리용기의 존재와 그것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기조리기구용 검출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존재와 그것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기조리기구용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417A
KR20080033417A KR1020087003785A KR20087003785A KR20080033417A KR 20080033417 A KR20080033417 A KR 20080033417A KR 1020087003785 A KR1020087003785 A KR 1020087003785A KR 20087003785 A KR20087003785 A KR 20087003785A KR 20080033417 A KR20080033417 A KR 2008003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contact member
cooking
thermal contac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247B1 (ko
Inventor
프레드 프레이
클라스 쿠이케르
헤르만 휴이징아
민데르트 카츠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3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전기 조리기구는 조리용기(4)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조리용기(4)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수단(10, 11)을 구비한다. 센서수단(10, 11)은 조리용기(4)의 벽(5)과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를 구비한다. 조리기구는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8, 19)을 구비하고,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의 변위가 검출수단(18, 19)을 작동시킨다.
조리용기, 온도 검출, 조리기구, 열접촉부재

Description

조리용기의 존재와 그것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기 조리기구용 검출기{DETECTOR FOR ELECTRIC COOKING APPLIANCE DETECTING PRESENCE OF A BOWL AND ITS TEMPERATURE}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수단이 상기 조리용기의 벽과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벽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과 상기 조리용기의 저면 또는 저면벽일 수 있는 전기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가열수단은 관형 전기 저항 등의 열방사부재, 또는 할로겐 가열부재, 또는 유도 가열부재일 수 있다. 조리기구라는 표현은 물체를 가열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며, 이때 이 용어의 엄격한 의미에서는 물질이 반드시 "조리"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모든 조리기구, 예를 들어 가열부재의 위에 조리용기가 놓일 수 있는 조리기구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조리용기를 세척하기 위해, 조리용기를 케이스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딥 팻 프라이어(deep fat fryer) 등과 같이 착탈가능한 조리용기를 둘러쌀 수 있는 케이스를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값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조리기구의 가열수단에의 전력 공급이 오프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가 이 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이 전력 공급이 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근처 로 유지되는데, 이때 이 온도는 조리기구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전기 조리기구는 GB-A-2306878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케이스를 구비한 딥 프라이어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케이스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영 응답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이 케이스는 착탈가능한 조리용기(기름 용기)를 둘러싸고 있다. 열 응답 제어수단은 케이스의 일측에 놓이며 조리용기가 케이스 내부에 존재할 때 조리용기에 의해 체결되는 열접촉부재를 구비한다. 조리용기를 케이스 내부에 삽입하거나 케이스에서 분리할 때, 접촉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접촉부재가 조리용기의 벽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가 케이스 내부에 놓이는 한 접촉부재가 조리용기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조리용기와 열 응답 제어수단 사이의 열적 경로를 제공한다. 열 응답 제어수단은 자동온도조절장치 또는 온도 퓨즈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자동온도조절장치는 가열수단에의 전력 공급을 온 및 오프로 전환하여 조리용기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근처로 유지하며, 퓨즈는 조리 용기의 온도가 특정한 값을 넘을 때 가열수단에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데, 이때 이 특정한 값은 일반적으로 상기한 소정의 값보다 대체로 높다.
전기 조리기구는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안정장치는 착탈형 조리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가열수단에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조리기구의 과열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검출수단은 EP-A-1169959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전기 조리기구, 특히 딥 팻 프라이어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때 이 프라이어의 케이스는, 조리용기가 케이스 내부에 삽입될 때 조리용기의 벽에 의해 밀어젖혀지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검출기를 구비한다.
조리기구 내부의 이와 같은 안전장치의 존재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갖는 추가 부품을 필요로 한다. 특히 EP-A-1169959에 개시된 것과 같은 기계적인 검출기의 경우에는, 가동 부품들이 존재하는데, 이 가동 부품들은 고착되거나 클램프식으로 고정될 수 있어, 검출기의 신뢰할 수 있는 동작이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조리용기의 벽과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조리용기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검출기가 존재할 필요없이 이 조리용기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전기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리기구는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의 변위가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르면, 조리용기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조리용기의 벽과 접촉하는 별도의 접촉부재를 구비한 검출기가 불필요하다.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조리용기의 벽과 접촉하는 단지 1개의 접촉부재만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구가 케이스와 착탈가능한 조리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착탈가능한 조리용기를 둘러쌀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구는 딥 팻 프라이어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구에서는, 온도가 비교적 높고, 가열된 기름의 존재로 인해, 신뢰할 수 있는 안전장치들이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센서수단의 일부가 스위치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열접촉부재의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 스위치가 그 자신의 위치에서 가열수단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스위치가 열접촉부재의 이동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데, 즉 열 접촉부재가 조리용기의 벽에 안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케이스 내부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가열수단이 켜질 수 없다. 열 접촉부재가 조리용기의 벽에 의해 움직이면, 상기한 스위치가 구동되어, 전력 공급의 상기한 차단이 종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열접촉부재가 상기 가열부재의 전류 공급 전선들 중에서 1개에 직렬로 존재한다. 이에 따르면, 열접촉부재와 스위치가 "온" 위치에 있을 때에만, 전류가 가열부재로 공급될 수 있다. 열접촉부재는 전류에 대한 온/오프 스위치를 움직이기 위한 바이메탈 스트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열접촉부재가 접촉 위치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벽의 평면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열접촉부재가 조리용기의 측벽과 저촉할 때, 조리용기가 아래쪽 방향으로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이 벽이 열접촉부재를 따라 미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활주운동은 열접촉부재의 전방측(접촉 영역)을 세정할 수도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열 접촉부재가 조리용기의 저면에서 접촉할 때에는, 열접촉부재와 조리용기의 벽(바닥) 사이에 활주운동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접촉부재가 스프링부재를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벽에 대해 가압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조리용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될 때 열접촉부재의 정확 한 위치로의 이동을 보장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검출수단이 조리용기를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가열수단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수단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전기 조리기구용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이 검출기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조리용기의 벽과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가 상기 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의 변위가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구비한 전기 조리기구에서 착탈가능한 상기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조리용기의 벽에 대해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를 가압하여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의 변위가 상기 검출수단을 작동한다.
이하, 2가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는, 케이스와 착탈가능한 조리용기를 구비하고, 케이스가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딥 팻 프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제 2 실시예는 전기 조리기구에 장착될 수 있는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개략적인 도면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착탈가능한 조리용기가 케이스 내부로 움직이는 프라이어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착탈가능한 조리용기가 케이스 내부에서 작동 위치에 있는 딥 프라이어의 일부 개략도이며,
도 3은 조리기구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검출기에 관한 것이고,
도 4는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은 단지 개략적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관련되지 않은 딥 팻 프라이어의 부분은 표시하지 않는다.
도 1은 외부 판(2)과 내부 판(3)을 구비한 딥 팻 프라이어의 케이스의 측벽(수직벽)의 일부 단면도이다. 외부 판(2)은 딥 프라이어의 외부를 구성하고 내부 판(3)은 착탈가능한 조리용기(4)가 그 안에 존재할 수 있는 딥 프라이어의 공간의 벽을 구성한다. 평면도에서, 상기한 공간은 원형이거나 정사각형이거나 직사각형이거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형상은 조리용기(4)의 형상과 일치하므로, 조리용기(4)의 측벽(5)(수직 벽)은 케이스의 내부 판(3)으로부터 짧은 거리(6)를 갖는다.
도 2는 케이스의 저벽(7)(바닥)의 일부도 도시된 딥 프라이어의 더 큰 일부 단면도이다. 이때, 착탈가능한 조리용기(4)는 작동 위치에 있으므로, 그것의 하부벽(8)(저벽)이 관형 가열부재(9) 근처에 배치되고, 이 가열부재(9)는 딥 프라이어의 케이스 내부의 하부 벽(7) 근처에 고정된다. 가열부재(9)가 온으로 전환될 때, 즉 전력이 가열부재(9)에 공급될 때, 조리용기(4)가 관련 가열부재(9)로부터의 열 방사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조리용기(4)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가열부재(9)로의 전원 공급이 전류 스위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온으로 전환되고 오프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 스위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열접촉부재(10) 내부의 온도 센서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한다. 열접촉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착탈가능한 조리용기(4)의 벽에 안착될 수 있어, 조리용기(4)의 온도가 열접촉부재(10)에 의해 감지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딥 팻 프라이어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값과 비교한다. 조리용기(4)의 벽(5)의 감지된 온도와 상기한 소정의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가열부재(9)에의 전력 공급이 온되거나 오프된다.
열접촉부재(10)는 힌지로 연결된 프레임(11)에 부착되며, 이 프레임(11)은 지지부재(13)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 판(3)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힌지로 연결된 프레임(11)이 도 2에 화살표 15로 표시된 것과 같이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축(14)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운동할 수 있다. 조리용기(4)의 벽(5)과 열접촉부재(10)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열 전도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 가압 스프링(16)을 사용하여 접촉부재(10)가 벽(5)에 대해 가압된다. 조리용기(4)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 내부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가압 스프링(16)이 힌지로 연결된 프레임(11)을 케이스의 벽(1)의 내부 판(3)에 대해 가압한다.
안전을 위해, 착탈가능한 조리용기(4)가 딥 프라이어의 케이스 내부에 존재 하지 않는 동안에는, 가열부재(9)에 전력이 공급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리용기(4)가 딥 프라이어의 케이스 내부에서 작동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스위치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가열부재를 단절시키거나 전술한 것과 같이 조리용기(4)의 온도를 제어하는 같은 스위치가 영구적으로 오프된다. 케이스 내부의 조리용기(4)의 존재는, 별도의 기계적인 검출기, 예를 들어 조리용기(4)가 케이스 내부에 삽입될 때 조리용기(4)에 의해 밀어젖혀지는 핀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접촉부재(10)의 변위가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작동시킨다.
도 1에 화살표 17로 표시한 것과 같이, 조리용기(4)가 딥 팻 프라이어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될 때, 조리용기(4)의 벽(5)이 열접촉부재(10)를 변위시켜, 프레임(11)의 힌지식 운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힌지식 이동은 검출기 스위치(18)에 의해 검출되며, 이 검출기 스위치(18)는 케이스의 벽(2)의 외부 판(2)에 고정된다. 검출기 스위치(18)는 가동 핀(19)을 구비하는데, 이 핀(19)은 힌지로 연결된 프레임(11)에 대해 안착되며 검출기 스위치(18) 내부의 스프링수단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린다. 프레임(1)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핀(19)이 눌려 들어가, 검출기 스위치(18)가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한다. 그후, 신호가 스위치나 다른 수단으로 송신되어, 가열수단(9)으로의 전력의 공급 차단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딥 프라이어의 케이스 내부에 조리용기(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조리용기(4)의 온도를 제어하고 가열부재(9)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조리용기(4)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한지 1개의 부재가 존재한다.
도 3 및 도 4는 가열된 조리용기(4)의 온도를 감지하고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검출기는 모든 종류의 조리기구에 사용될 수 있다. 검출기는 가동부(22)를 포함하는 하우징(21)을 구비하며, 이 가동부(22)는 하우징(21) 내부의 구멍을 통해 하우징(21) 바깥으로 뻗는다. 열접촉부재(10)는 가동부(22)에 부착되고, 가동부(22)는 스프링(23)에 의해 (도면에서) 우측으로 밀린다. 조리용기(4)가 검출기 근처에 놓일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부(22)가 조리용기(4)의 벽에 대해 안착하게 된다. 따라서, 열접촉부재가 조리용기(4)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검출기는 검출기 스위치(18)를 더 구비하는데, 이 검출기 스위치(18)는 축(24)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이동하며 지지부재(25)에 의해 하우징(21)에 부착된다. 누름 스프링(16)이 검출기 스위치(18)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가압하여, 가동부(22)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을 때 멈춤부(26)가 하우징(21)의 벽에 안착된다. 검출기 스위치(18)는 핀(19)을 구비하는데, 이 핀(19)은 검출기 스위치(18) 내부로 밀려들어가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검출기 스위치(18)를 "온" 위치로 하는데 (도면에서) 좌측으로의 아주 작은 핀(19)의 이동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동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출기 근처에 배치된 조리용기(4)의 벽(5)에 의해 가동부(22)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변위될 때 발생하게 된다. 가동부(22)의 변위가 검출기 스위치(18) 내부의 핀(19)의 가능한 변위보다 큰 경우에는, 검출기 스위치(18)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간 힌지운동을 하게 된다.
열접촉부재(10)는 바이메탈 스트립을 구비하는데, 이 스트립은 감지된 온도 가 소정의 온도를 지나칠 때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온도가 지나칠 때에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되고, 감지된 온도가 감소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온도가 지나칠 때에는, 스위치가 "온" 위치로 된다. 열접촉부재(10) 내부의 스위치는 전선에 의해 검출기 스위치(18)와 직렬 접속되고, 이들 2개의 스위치들은 조리기구의 가열수단의 전력 공급선들 중에서 1개 내부에 존재한다. 전선들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2개의 스위치가 "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가열수단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들 스위치 중에서 1개가 "오프"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열수단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딥 팻 프라이어의 일 실시예와 검출기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지 한가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Claims (9)

  1. 조리용기(4)를 가열하는 가열수단(9)과, 상기 조리용기(4)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조리용기(4)의 벽(5)에 접촉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를 포함하는 센서수단(10, 11; 22)을 구비한 전기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8, 19)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의 변위가 상기 검출수단(18, 19)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케이스(1, 7)와 착탈가능한 조리용기(4)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 7)는 상기 착탈가능한 조리용기(4)를 둘러쌀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 7)는 상기 가열수단(9)과 상기 센서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딥 팻 프라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와 함께 움직이는 상기 센서수단(10, 11; 22)의 일부(11; 22)가 스위치부재(19)에 접촉하여, 상기 열접촉부재(10)의 운동에 의해 스위치(18)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촉부재(10)는 접촉 위치에서 상기 조리용기(4)의 벽(5)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촉부재(10)가 스프링부재(16, 23)를 사용하여 상기 조리용기(4)의 벽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18, 19)이 상기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가열수단(9)에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 리기구.
  8. 조리용기(4)를 가열하는 가열수단(9)과, 상기 조리용기(4)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조리용기(4)의 벽(5)에 접촉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를 포함하는 센서수단(10, 11; 22)을 구비한 전기 조리기구용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8, 19)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의 변위가 상기 검출수단(18, 19)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구용 검출기.
  9. 조리용기(4)를 가열하는 가열수단(9)과, 상기 조리용기(4)의 온도를 감지하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를 상기 조리용기(4)의 벽(5)에 대해 가압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수단(10, 11; 22)을 구비한 전기 조리기구에서 착탈가능한 상기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조리용기(4)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8, 19)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열접촉부재(10)의 변위가 상기 검출수단(18, 19)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존재 검출방법.
KR1020087003785A 2005-07-20 2006-07-11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전기 조리기구 KR101329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6642 2005-07-20
EP05106642.1 2005-07-20
PCT/IB2006/052338 WO2007010438A2 (en) 2005-07-20 2006-07-11 Detector for electric cooking appliance detecting presence of a bowl and its tempera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417A true KR20080033417A (ko) 2008-04-16
KR101329247B1 KR101329247B1 (ko) 2013-11-14

Family

ID=3766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785A KR101329247B1 (ko) 2005-07-20 2006-07-11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전기 조리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91464B2 (ko)
EP (1) EP1910744B1 (ko)
JP (1) JP5237802B2 (ko)
KR (1) KR101329247B1 (ko)
CN (1) CN100582586C (ko)
AT (1) ATE527498T1 (ko)
PL (1) PL1910744T3 (ko)
RU (1) RU2399000C2 (ko)
WO (1) WO200701043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890B1 (ko) * 2013-07-25 2014-11-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용기 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8275B2 (en) * 2004-08-24 2006-10-31 C Change Surgical Llc Liquid warming device with basin
CN102426962B (zh) * 2011-11-28 2014-02-26 余正明 一种插卡检测开关
US9897328B2 (en) * 2013-05-02 2018-02-20 William B. McEvoy Tabletop cooking assembly
DE112014002750T5 (de) * 2014-06-23 2016-03-03 T. F. Electrical Technology (Shenzhen) Co., Ltd. Topf für langsames Kochen
KR101766058B1 (ko) * 2015-11-23 201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RU208742U1 (ru) * 2020-12-16 2022-01-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ё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алолитражная кухня
RU205519U1 (ru) * 2021-03-29 2021-07-1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алолитражная кухня
US11454402B1 (en) 2021-12-01 2022-09-27 Mcevoy William B Tabletop cooking assembly
CN117281410B (zh) * 2023-11-24 2024-02-0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加热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998A (en) * 1990-05-30 1993-02-02 Mr. Coffe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for infusion and the like
JPH04139323A (ja) * 1990-09-28 1992-05-13 Toshiba Corp 電気調理器
JP2724643B2 (ja) * 1991-09-30 1998-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機器
JPH07239275A (ja) * 1994-02-28 1995-09-12 Tokin Corp 調理器用温度センサ
GB2306878B (en) 1995-08-21 1999-09-29 Kenwood Marks Ltd Deep fryer
FR2750313B1 (fr) * 1996-06-27 1998-08-21 Moulinex Sa Friteuse electrique
FR2750590B1 (fr) * 1996-07-03 1998-10-09 Seb Sa Friteuse a cuve amovible
US6768085B2 (en) * 2001-07-02 2004-07-27 Medical Solutions, Inc. Medical solution warming system and method of heating and maintaining medical solutions at desired temperatures
FR2771915B1 (fr) * 1997-12-09 2000-02-11 Seb Sa Friteuse electrique a cuve amovible
FR2789872B1 (fr) * 1999-02-19 2001-05-18 Seb S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ppareil electrique de cuisson a cuve amovible
US6121585A (en) * 1999-03-30 2000-09-19 Robert Dam Electrically heated beverage cup and cupholder system
IL140257A0 (en) 1999-04-14 2002-02-10 Moninklijke Philips Electronic Hair-removing device with a controllable laser source
JP2001128849A (ja) * 1999-11-05 2001-05-15 Fujimak Corp 自動炊飯または自動煮炊きのため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FR2811212A1 (fr) 2000-07-06 2002-01-11 Moulinex Sa Appareil electrique de cuisson comportant une cuve amovible
GB2386825A (en) 2002-03-26 2003-10-01 Xavier Bonjean Jude Ku Francis An electric drink h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890B1 (ko) * 2013-07-25 2014-11-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용기 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0438A3 (en) 2007-05-03
EP1910744B1 (en) 2011-10-05
RU2399000C2 (ru) 2010-09-10
PL1910744T3 (pl) 2012-03-30
JP5237802B2 (ja) 2013-07-17
JP2009501599A (ja) 2009-01-22
RU2008106442A (ru) 2009-08-27
EP1910744A2 (en) 2008-04-16
ATE527498T1 (de) 2011-10-15
CN100582586C (zh) 2010-01-20
US8191464B2 (en) 2012-06-05
CN101228397A (zh) 2008-07-23
KR101329247B1 (ko) 2013-11-14
US20080216668A1 (en) 2008-09-11
WO2007010438A2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247B1 (ko) 조리용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전기 조리기구
US5504295A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US7015429B2 (en) Deep fryer
EP2438817B1 (en) Toaster cover control device with fireproofing function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111374527A (zh) 烹饪器具
KR19990044382A (ko) 착탈 가능한 용기를 가지는 튀김기
EP1912545B1 (en) An electric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removable bowl
CN112869546B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控制方法
US6172339B1 (e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with removable bowl
WO2005055784A1 (fr) Commutateur de regulation de temperature, chauffe-eau electrique et chauffe-eau electrique sans fil
JP4042712B2 (ja) 組込み型加熱調理器
KR200474339Y1 (ko) 어묵 가열기
CN212673527U (zh) 用于液体加热器具的控制装置、液体加热器装置和液体加热器具
JP2004509682A (ja) 液体加熱装置及び液体加熱装置を有する揚げ物調理用容器
JP6793028B2 (ja) 加熱調理器
JP2006078079A (ja) 調理装置とプログラム
CN212394564U (zh) 烹饪器具
JP6563740B2 (ja) ガスコンロ
KR101763758B1 (ko) 온도센서 및 스위치가 일체화된 전기조리기구
KR20170100810A (ko)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시스템
KR20130068095A (ko) 온도감지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JP3281765B2 (ja) 電気加熱器
JPH0994170A (ja) 調理器
KR940000215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내부용기 안착유무감지장치
JPH10225370A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