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472A - 일체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472A
KR20080032472A KR1020060098352A KR20060098352A KR20080032472A KR 20080032472 A KR20080032472 A KR 20080032472A KR 1020060098352 A KR1020060098352 A KR 1020060098352A KR 20060098352 A KR20060098352 A KR 20060098352A KR 20080032472 A KR20080032472 A KR 2008003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eat exchanger
tube
radiato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은기
전태수
장준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472A/ko
Publication of KR2008003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열교환기의 핀 및 튜브의 높이를 최적화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튜브 내의 냉매 및 오일 간의 특성 차이에 의한 냉각 효율 차이를 극복하여 일체형 열교환기 자체의 냉각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튜브 높이 조절에 의해 일측의 통기저항이 편향되어 증가되는 경향을 상쇄하여 응축기 측과 오일쿨러 측의 통기저항이 서로 비슷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을 모든 영역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에 끼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열교환기는, 내부에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어 유동하며, 공기 송풍 방향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110, 210)와; 배플(300)에 의해 구획된 상하의 공간에 서로 독립되게 구비된 입구(131, 231)를 통하여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각 열교환매체를 상기 복수 개의 튜브(110, 210)에 분배하는 제1헤더탱크(130, 230)와; 상기 튜브(110, 21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110, 21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는 핀(120, 220)과; 배플(300)에 의해 구획된 상하의 공간에 상기 튜브(110, 210) 내를 이동하는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모이며, 모여진 제1 및 제2열교환매체를 독립되게 구비된 출구(141, 241)를 통해 배출하는 제2헤더탱크(12)를 구비한 일체형 열교환기(1000)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 (1000)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에 위치하는 제2코어로 나누어지되, 상기 제2코어 측의 통기저항이 상기 제1코어 측의 통기저항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축기, 오일쿨러, 일체형, 핀 높이, 튜브 높이

Description

일체형 열교환기 {A Integrated-type Heat Exchanger}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열교환기 및 라디에이터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교차유동 및 상하유동 라디에이터의 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쿨러 및 응축기의 일부를 상세히 묘사한 사시도.
도 6은 냉각수 분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
100: 응축기
110: 응축기 튜브 120: 응축기 핀
130: 응축기 제1헤더탱크 131: 냉매입구
140: 응축기 제2헤더탱크 141: 냉매출구
200: 오일쿨러
210: 오일쿨러 튜브 220: 오일쿨러 핀
230: 오일쿨러 제1헤더탱크 231: 오일입구
240: 오일쿨러 제2헤더탱크 241: 오일출구
300: 배플
본 발명은 일체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열교환기의 핀 및 튜브의 높이를 최적화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각종 부품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품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각 독립적인 부품들이었던 것들이 합쳐져 일체형 부품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차량용 열교환기 부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며, 특히 차량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대개 엔진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열교환기를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열교환기 및 라디에이터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내를 냉각하기 위한 응축기(10)와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오일쿨러(20)는 통상적 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되 배플(30)에 의해 구획이 나누어지며, 이와 같은 열교환기를 일체형 열교환기로 통칭한다. 상기 응축기(10)에는 냉각 효율을 높이도록 기액분리기(40)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의 후면에는 라디에이터(5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일체형 열교환기 및 라디에이터(50)를 통해 공기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면, 공기는 응축기(10) 또는 오일쿨러(20)를 통과한 직후 라디에이터(50)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공기와 라디에이터(50) 내의 냉각수가 열교환을 일으켜 엔진을 냉각시키느라 매우 고온이 되어 라디에이터(50)로 유입되었던 냉각수가 라디에이터(50)에서 냉각되어 배출되게 된다.
도 2는 두 가지 형태의 라디에이터의 정면도들로서, 도 2(A)는 교차유동(cross-flow type) 라디에이터이고 도 2(B)는 상하유동(down-flow type) 라디에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라디에이터(50)의 일측 헤더탱크(53)로 유입되어 라디에이터 튜브(51) 및 핀(52)을 따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타측 헤더탱크(5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응축기(10) 및 오일쿨러(20)로 이루어진 일체형 열교환기와 관련하여, 라디에이터(50)의 결합 및 결합 시의 냉각 효율을 고려하지 않고 일체형 열교환기 독립적으로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미국등록특허 US 6,394,176(이하 선행기술)에서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튜브를 오일과 냉매가 똑같이 통과할 경우 오일이 냉매에 비해 훨씬 점성이 크기 때문에 오일 쪽에서 압력 강하가 훨씬 빨리 일어나게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양측 영역 각각의 튜브 유압 지름(hydraulic diameter) 사이의 관계를 수학식 1과 같이 한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였다. 유압 지름이란, 원 모양의 튜브가 아닐 경우(noncircular tube)에 튜브 내부의 유체 유동을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원래의 튜브 형상에 대하여 동등한(equivalent) 특성을 나타내는 원 모양의(circular) 튜브를 가정하였을 때 상기 원 모양 튜브의 지름이다. 유압 지름 DHDH = 4S/P로 구할 수 있으며, S는 튜브의 단면적(mm2 단위), P는 튜브 내부의 둘레 길이(perimeter, mm 단위)이다. 도 3은 선행기술의 도면들로, 도 3의 Fig.1은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의 정면도이며, Fig.2는 응축기 영역 튜브, Fig.3은 오일쿨러 영역 튜브의 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에서 아래첨자 a, b는 각각 응축기 영역과 오일쿨러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 영역 튜브와 오일쿨러 영역 튜브의 형상과 크기를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서로 관계지어 한정하고 있다.
Figure 112006073048451-PAT00001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튜브 내에서 유통되는 냉매와 오일의 점성, 온도, 압력 등의 차이에 주목하여 튜브의 사이즈를 한정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응축기 또는 오일쿨러에서 주로 열교환이 일어나는 부분은 핀 부분으로, 상기 핀을 지나는 외부 공기가 튜브 내의 냉매 또는 오일의 열을 흡수하면서 통과함으로써 냉매 또는 오일이 냉각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오일쿨러 영역과 응축기 영역의 튜브 사이즈를 선행기술과 같이 다르게 제작한다 하 더라도, 상기 튜브들 사이에 동일한 높이의 핀을 개재시킬 경우, 오일쿨러가 위치한 부분의 통기 저항이 훨씬 커지게 된다. 일체형 열교환기 자체만의 냉각 효율을 생각한다면 이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겠으나,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와 결합되는 바, 이와 같이 통기 저항이 커질 경우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이 줄어들게 되어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교차유동 라디에이터의 경우, 저유량 시에는 라디에이터의 하단부에서만 냉매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오일쿨러의 통기 저항이 과도할 경우 라디에이터에서 냉각수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냉각수가 효과적으로 엔진을 냉각시킬 수 없게 되어 결국 엔진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여지마저 있다. 따라서, 일체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선행기술과 같은 방식으로 튜브의 사이즈를 조절할 경우 일체형 열교환기 자체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는 있다 해도 라디에이터, 특히 저유량 조건에서의 교차유동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악영향을 피할 수 없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자체의 냉각 효율을 높이면서도 통기저항을 저하시키지 않음으로써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을 보장하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제공함 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 영역에서의 핀/튜브 높이와 오일쿨러 영역에서의 핀/튜브 높이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되, 튜브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튜브 내의 냉매 및 오일 간의 특성 차이에 의한 냉각 효율 차이를 극복하여 일체형 열교환기 자체의 냉각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튜브 높이 조절에 의해 일측의 통기저항이 편향되어 증가되는 경향을 상쇄하여 응축기 측과 오일쿨러 측의 통기저항이 서로 비슷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을 모든 영역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에 끼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일체형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열교환기는, 내부에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어 유동하며, 공기 송풍 방향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110, 210)와; 배플(300)에 의해 구획된 상하의 공간에 서로 독립되게 구비된 입구(131, 231)를 통하여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각 열교환매체를 상기 복수 개의 튜브(110, 210)에 분배하는 제1헤더탱크(130, 230)와; 상기 튜브(110, 21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110, 21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는 핀(120, 220)과; 배플(300)에 의해 구획된 상하의 공간에 상기 튜브(110, 210) 내를 이동하는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모이며, 모여진 제1 및 제2열교환매체를 독립되게 구비된 출구(141, 241)를 일체형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에 위치하는 제2코어로 나누어지되, 상기 제2코어 측의 통기저항이 상기 제1코어 측의 통기저항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코어와 제 2코어 중 일측은 응축기(100)이며 타측은 오일쿨러(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코어 측과 타측 코어 측의 통기저항을 같게 하기 위하여 타측 코어의 핀(220) 및 튜브(210)의 높이가 상기 일측 코어의 핀(120) 및 튜브(11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1000)의 공기 흐름 하류 후방에는 엔진 냉각수의 방열을 위한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되, 상기 라디에이터에서의 냉각수의 흐름은 지면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1000)의 정면도이다.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체형 열교환기(1000)는 보통 입구측 또는 출구측 탱크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각에 냉매/오일을 유통시킴으로써 각각을 응축기(100)/오일쿨러(200)로서 작동하게 한다. 본 도면에서는 통상적으로 응축기에 구비되는 기액분리기를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열교환기(1000)가 기액분리기를 구비하여도 무 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 튜브(110)와 오일쿨러 튜브(210), 그리고 응축기 핀(120)과 오일쿨러 핀(220)에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제작 상의 편의성은 상승할 수 있겠으나, 냉매와 오일의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응축기(100) 측과 오일쿨러(200) 양측에 똑같은 튜브와 핀을 사용할 경우 양쪽 다 최적 조건에서 냉각 작용이 일어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응축기 튜브(110)와 오일쿨러 튜브(210), 또한 응축기 핀(120)과 오일쿨러 핀(22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일체형 열교환기(1000)라 할지라도 각각의 응축기(100)와 오일쿨러(200)가 최적의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응축기(100)와 오일쿨러(200)의 핀 및 튜브를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 튜브(110)의 높이는 TH C, 응축기 핀(120)의 높이는 FH C로 표기하며, 오일쿨러 튜브(210)의 높이는 TH O, 오일쿨러 핀(220)의 높이는 FH O로 표기한다. 차량용 응축기에 사용되는 냉매는 현재 에탄 계열의 할로카본(halocarbon)인 R134a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역시 에탄 계열의 할로카본인 R152a 또는 CO2가 대체 냉매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에 사용되는 냉매는 실온ㆍ대기압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오일은 실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매우 점성이 높은 물질이며, 오일쿨러 내부에 유입되는 오일의 온도는 100℃ 이상으로, 오일쿨러에 의해 냉각된 후에는 70~80℃ 정도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 이 응축기(100)와 오일쿨러(200)에 각각 유통되는 냉매와 오일은 그 특성이 크게 다른 물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00)에 유통되는 냉매는 점성이 매우 작은 기체 상태의 물질로서 유입되어 응축기(100)를 거치면서 응축되어 액체 상태로 배출되게 되는데, 오일쿨러(200)에 유통되는 오일은 이에 비해 매우 점성이 높은 액체 상태의 물질이기 때문에, 오일쿨러(200)에서의 오일 유통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일쿨러 튜브(210)의 높이 TH O가 응축기 튜브(110)의 높이 TH C보다 크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 OTH C).
응축기 튜브(110) 또는 오일쿨러 튜브(210)에서는, 그 내부에 냉매 또는 오일이 유통되면서 외부 공기로 열을 발산함으로써 상기 응축기(100) 또는 오일쿨러(210)를 통과하는 냉매 또는 오일이 냉각되게 된다. 이러한 열전달 과정은, 냉매 또는 오일로부터 금속 재질의 튜브 내벽으로 열이 전달되는 단계, 튜브 벽에서는 열전도에 의해 튜브 외벽까지 열이 전달되는 단계, 마지막으로 외부 공기가 상기 튜브 외벽으로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통풍되는 단계로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튜브 외벽으로부터 외부 공기로의 열전달만으로는 냉매 또는 오일의 온도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냉각되지 못한다. 따라서 튜브 외벽에 핀을 부착함으로써 핀으로의 열전도가 더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핀으로부터 외부 공기로의 열전달이 더 이루어져 냉매 또는 오일이 원하는 온도까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00) 또는 오일쿨러(200)에서 튜브 또는 핀에서는 외부 공기로 열을 방출하게 되며, 따라서 통기성이 좋을수록 외부 공기로 열을 더 잘 방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쿨러 튜브(210)의 높이 TH O를 더 높이게 되면 통기저항이 커지게 된다(예를 들어 튜브 높이가 2배 높아지면 통기저항은 4배 커진다). 이와 같이 통기저항이 커지게 되면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이 줄어들게 된다.
도 6은 라디에이터가 교차유동 라디에이터이고 저유량 조건일 경우의 냉각수 분포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내부의 냉각수는 하단에 집중되어 흐르게 된다. 그런데 일체형 열교환기(1000)에서 하단에 위치한 오일쿨러(200) 측에서 통기저항이 커짐으로써 일체형 열교환기(1000) 하단을 통과하는 풍량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라디에이터 하단에 집중되어 있는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오일쿨러 튜브(21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높이를 가지고 있는 응축기 튜브(110)에 부착하는 핀과 똑같은 핀을 오일쿨러(200)에도 부착하게 되는 경우, 오일쿨러(200) 측의 통기저항이 더 크기 때문에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이 줄어들어 라디에이터 냉각 효율에 크나큰 악영향을 끼치며, 이에 따라 엔진이 효과적으로 냉각되지 못하여 이상을 일으키게 될 가능성마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오일쿨러(200) 측의 통기저항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오일쿨러 핀(220)의 높이 FH O 역시 응축기 핀(120)의 높이 FH C보다 크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H OFH C).
즉, 상술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하기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6073048451-PAT00002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냉매와 오일 간의 성질(점성, 온도, 압력 등)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각 효율 또는 작동 능력의 차이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이에 따라 일체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응축기 영역과 오일쿨러 영역 간의 냉각 효율이 차이가 나게 되는 문제점을 제거하고 각 영역이 모두 최적화된 조건에서 작동하게 함으로써 일체형 열교환기 자체의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기 영역 및 오일쿨러 영역의 튜브 높이만을 다르게 할 뿐만 아니라 핀 높이를 함께 조절함으로써, 튜브 크기 조절로 인하여 오일쿨러 측의 통기저항이 저하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를 통해 라디에이터로 불어가는 공기의 풍량을 라디에이터 전체 영역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 높이 조절에 의해 일측의 통기저항이 편향되어 증가되는 경향을 상쇄하여 응축기 측과 오일쿨러 측의 통기저항이 서로 비슷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을 모든 영역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형 열교환기 자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라디에이터로의 풍량을 전 영역에서 보장하기 때문에 저유량 조건에서도 라디에이터의 냉각이 잘 일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엔진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엔진의 이상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어 유동하며, 공기 송풍 방향에 나란하게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튜브(110, 210)와; 배플(300)에 의해 구획된 상하의 공간에 서로 독립되게 구비된 입구(131, 231)를 통하여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각 열교환매체를 상기 복수 개의 튜브(110, 210)에 분배하는 제1헤더탱크(130, 230)와; 상기 튜브(110, 21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110, 21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는 핀(120, 220)과; 배플(300)에 의해 구획된 상하의 공간에 상기 튜브(110, 210) 내를 이동하는 제1 및 제2열교환매체가 각각 모이며, 모여진 제1 및 제2열교환매체를 독립되게 구비된 출구(141, 241)를 통해 배출하는 제2헤더탱크(12)를 구비한 일체형 열교환기(1000)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위치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에 위치하는 제2코어로 나누어지되,
    상기 제2코어 측의 통기저항이 상기 제1코어 측의 통기저항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와 제 2코어 중 일측은 응축기(100)이며 타측은 오일쿨러(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코어 측과 타측 코어 측의 통기저항을 같게 하기 위하여 타측 코어의 핀(220) 및 튜브(210)의 높이가 상기 일측 코어의 핀(120) 및 튜브(11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열교환기(1000)의 공기 흐름 하류 후방에는 엔진 냉각수의 방열을 위한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되, 상기 라디에이터에서의 냉각수의 흐름은 지면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열교환기.
KR1020060098352A 2006-10-10 2006-10-10 일체형 열교환기 KR20080032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52A KR20080032472A (ko) 2006-10-10 2006-10-10 일체형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52A KR20080032472A (ko) 2006-10-10 2006-10-10 일체형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472A true KR20080032472A (ko) 2008-04-15

Family

ID=3953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52A KR20080032472A (ko) 2006-10-10 2006-10-10 일체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076A1 (ko) * 2017-06-22 2018-12-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 전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076A1 (ko) * 2017-06-22 2018-12-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 전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8668B2 (ja) 蒸発器
US10865693B2 (en) Cooling module
US7934541B2 (en) Plate for heat exchanger
US11060794B2 (en) Gas-liquid heat exchanger
JP2007078298A (ja) 熱交換器
US20090050298A1 (en) Heat exchanger and integrated-type heat exchanger
US20080121385A1 (en) Heat dissipation fin for heat exchangers
US9958195B2 (en) Heat exchanger having partition
JP2013174398A (ja) 熱交換器
KR20080032472A (ko) 일체형 열교환기
JP4731212B2 (ja) 熱交換器
KR20220009046A (ko) 3종유체용 다중 열교환기
JP2017190896A (ja) 熱交換器
JP2007059186A (ja) 燃料電池車両用熱交換器
KR20080107024A (ko) 열교환기
KR100430282B1 (ko) 알루미늄 열교환기의 냉매 분산기구
KR101463905B1 (ko) 증발기
KR20070064958A (ko) 열교환기
KR101742242B1 (ko) 쿨링 모듈
JP2005003350A (ja) 熱交換器用フィン、熱交換器、凝縮器及び蒸発器
JP6284384B2 (ja) 熱交換器
US20230082035A1 (en) Heat exchanger having flow distribution tank structure for thermal stress dispersion
JP2011099649A (ja) エバポレータ
JP2009074768A (ja) 熱交換器
KR100918782B1 (ko) 열교환기용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