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620A -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 Google Patents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620A
KR20080030620A KR1020087001689A KR20087001689A KR20080030620A KR 20080030620 A KR20080030620 A KR 20080030620A KR 1020087001689 A KR1020087001689 A KR 1020087001689A KR 20087001689 A KR20087001689 A KR 20087001689A KR 20080030620 A KR20080030620 A KR 2008003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rip material
width
spacer strip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몬드 지 갤러거
Original Assignee
테흐노포름 카프라노 운트 브룬호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흐노포름 카프라노 운트 브룬호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테흐노포름 카프라노 운트 브룬호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3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omprising an interruption of the heat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 유닛용 스페이서를 제작하기 위한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탄력 있고, 가소성 있게 변형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층; 및 가소성 있게 변형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경화성 매트릭스 또는 합성층 또는 다층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층에 물질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층은 폭 방향으로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층은 폭 방향으로 폭의 적어도 일 부분에 걸쳐 연장한다.
윈도유닛, 스페이서, 스트립, 제1층, 제2층, 금속, 갭, 오버랩

Description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A COMPOSITE SPACER STRIP MATERIAL}
본 발명은 스페이서(spaceer), 특히 단열 유리 유닛(이하, IG 유닛)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는 합성 스트립 재료에 관한 것이다.
북미 윈도 산업의 대부분의 관계자 및 당업자는 인터셉트 IG 유닛이 창호 제작 공정에서 중요한 구성요소임을 알고 있다. 잘 아는 바와 같이, IG 스페이서는 모든 IG 구성체의 기본 부재이고, 스페이서 제조를 위한 인터셉트 기술은 IG 유닛의 경제성 및 10년 이상의 품질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 스페이서 제작 공정은 도 14의 단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주석 도금된 스틸인 스트립 재료의 이용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을 U자형 스페이서로 롤링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트립 재료는 특정한 스페이서 폭 크기로 지정된 스트립 폭을 갖고 큰 스풀(spool)이나 코일 형태로 IG 유닛 제작기로 공급된다. 필요에 맞게 다른 스트립 폭을 갖는 다수 코일을 구비하는 것은 IG 유닛 제작자에게 통상적인 일이 아니다. 스페이서 형성 공정 이후, 건조된 매트릭스 재료는 채널로 압출성형 된다. 비용에 민감한 윈도 제작 등의 산업에서, 인터셉트(intercept) 공정은 IG 유닛 제작에 있어서 매우 경쟁력이 있고, 저비용의 공정임이 입증되었다. 오하이오주 트윈스버그의 글라스 이퀴프먼트 디벨로프먼트 인코퍼레이티드(Glass equipment Development Incorporated)는 이러한 특별한 스페이서 제작 공정의 설비 공급업체이다. 수년에 걸쳐, 스트립 재료 선택에 있어서 몇몇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스페이서의 기본 재료는 여전히 0010"(2.54×10-4m) 두께의 주석 도금된 스틸이다.
주석 도금된 스틸 및 다른 스페이서 재료들의 열 성능 작용과 관련하여 테스트한 결과, 10년 이상 만족하는 것임이 입증되었다. 에지 전도성(edge conductivity) 테스트는 "웜 에지 테크널리지(warm edge technology)"에서 주석 도금된 스틸 스페이서가 알루미늄 박스 스페이서보다 훨신 더 뛰어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성능 및 재료 비용 면에서 더욱 경쟁력 있는 스페이서 재료를 제공하고, 또한 제작 공정의 경제성을 보다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확장은 종속항들을 통해 주어진다.
스페이서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합성 스트립의 개념은 인터셉트 IG 스페이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트립은 매우 다양한 스페이서 디자인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우 효과적이다.
- 스트립 재료는 종래 인터셉트 생산 라인이나 다른 스페이서 제작 설비에서 롤링 형성될 수 있다.
- 새로운 스트립 재료로부터 제작된 스페이서는 IG 유닛 및 윈도에 대하여 향상된 열 성능을 제공한다.
- 스트립 재료는 다양한 스트립 폭으로 이용될 수 있다.
- 스트립 재료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복합 합성 스페이서에 비하여 비용 면에서 동일하거나 낮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작용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으며, 도면들은 스페이서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스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다층 테이프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경화성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4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주름진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5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지고, 매트릭스층과 금속층 사이에 임베딩된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6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7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8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9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10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이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낸 것으로, 단속적인 제2 금속층이 제1 스테인레스 스틸층의 갭과 오버랩되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11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 금속층 및 주름진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12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낸 것으로, 단속적인 제2 금속층이 제1 스테인레스 스틸층의 갭과 오버랩되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13 실시예에 따라 플라스틱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라 단일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길이 방향(Z)에 직교하는 단면, 즉 폭-두께 평면(Y-X 평면)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제1층(1)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제2층(보강 및/또는 배리어(barrier)층)(2)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층(2)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스풀(spool)에 감길 수 있는 저 전도도의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공압출(co-extruded)되거나 압출성형 및/또는 적층이나 본딩되는 재료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압출 공정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 전도도를 가지며, 탄력 있고 가소성 있게 변경가능한 재료(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탄력 있고 가소성 있게 변경가 능한 재료의 하나의 층과 결합하는데 적절한 다른 변형가능한 보강 재료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력 있고 가소성 있게 변경가능한 재료의 바람직한 것으로서, 벤딩된 재료의 탄성 복원력을 견뎌낸 후, 가소성 및 비가역하게 변형된 합성 또는 천연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재료에서, 그의 항복점을 넘어서 재료의 변형(벤딩) 이후, 탄성 복원력은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플라스틱 재료는 약 5W/(m*K)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W/(m*K)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W/(m*K) 이하의 열전도도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열 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바람직한 재료는 단열재임). 특히 프로파일 바디(profile body)에 대한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들)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러(filler)(예를 들면, 섬유 재료), 첨가제, 염료, UV-보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2층에 있어서 가소성 있게 변형가능한 바람직한 재료로서는, 금속의 항복점을 넘어서 벤딩 이후 탄성 복원력이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 바디의 재료는 선택적으로 수지 보강재의 열전도도 값보다 적어도 10배 이하의 열전도도 값,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의 열전도도 값보다 적어도 약 50배의 열전도도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재의 열전도도 값보다 적어도 약 100배의 열전도도 값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상기 제1층(1), 즉 바람직하게는 플라스 틱부는 상기한 제작 공정을 통해 제2층(들)에 영구적으로 결합(또는 물질적으로 연결)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층(1)과 제2층(들)(2)을 공압출하거나 적층함으로써 결합된다.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다른 다양한 제작 기술이 상기 재료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노볼렌(Novolen) 140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는 20% 탈크(talc)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MC208U 또는 히테로페이직 코폴리머(heterophasic copolymer)인 폴리프로필렌 BA110CF이며, 두 폴리프로필렌은 덴마크 콩겐스 링비(Kongens Lyngby)의 보레알리스 A/S(Borealis A/S)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바셀 폴리올레핀 컴퍼니 NV(Basell Polyolefins Company NV)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homopolymer)인 Adstif® HA840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재료는 금속 포일 또는 얇은 금속 판재, 예를 들면 AndralytE2, 8/2, 8T57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약 0.1mm(대략 4×10-3인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층(들)(2)의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설파이드와 같은 50㎛(대략 2×10-3인치)층의 접합제(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스틱부에 접착함으로써 제1층(1)으로 공압출되거나 적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층이 부식에 영향을 받기 쉬운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해당하는 제2층은 부식을 보호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층(들)(2)의 재료는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카본 0.070%, 망간 0.400%, 실리콘 0.018%, 알루미늄 0.045%, 인 0.020%, 질소 0.007%, 나머지는 철로 되는 화학적 구성물을 갖는 주석 도금된 철 포일(iron foil) 등의 주석 도금된 철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석층은 2.8g/m2의 중량/면적(weight/surface) 비율을 가지며, 약 0.38미크론의 두께로 베이스부에 적용된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예로서, 예를 들면 약 0.05-2mm(대략 2×10-3-8×10-3인치)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0.1mm(대략 4×10-3인치)의 두께를 갖는 크루프 버볼 아루크롬 아이 에스이(Krupp Verdol Aluchrom I SE)이다. 이러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화학적 구성물은 대체로 크롬 19-21%, 카본 최대 0.03%, 망간 최대 0.50%, 실리콘 최대 0.60%, 알루미늄 4.7-5.5%, 나머지는 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층(2)의 재료는 약 0.2-0.4mm(대략 8×10-3-1.6×10-2인치)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층(2)의 다른 재료로서, 약 0.1-0.15mm(대략 4×10-3-6×10-3인치)의 두께를 갖는 아연도금된 철/스틸 시트이다.
상기한 상기 제1층(1)과 제2층(2)의 재료의 예시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다. 상기 재료의 적절한 특성은 완성된 IG 유닛 제품에 사용될 상기 스페이서에 대하여 상기 스트립 재료가 습기전달 방지특성 및 아르곤 유지성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인터셉트 스페이서용으로 현재 이용되는 롤링 형성 설비가 이용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X)으로 약 0.010"(2.54×10-4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요구되는 스페이서의 사이즈 및 다른 특성에 따라 다른 두께 및 폭을 선택할 수 있다. 폭 방향(Y)으로의 폭은 제조 공정에서 현저히 변경될 수 있다. 즉, 넓은 시트가 제작되고(압출성형, 적층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넓은 시트는 IG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폭으로 연속하여 슬릿(slit)된다. 예를 들면, 시트 전체는 폭 방향(Y)으로 약 60"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약 1.5" 폭의 스트립으로 슬릿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예들에서, 두께 방향(X)으로의 상기 스트립의 두께는 약 0.010"(2.54×10-4m)이고, 폭 방향(Y)으로의 폭은 약 1.5인치(3.81×10-2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플라스틱층(제1층)(1) 및 다층 테이프(multi-layer tape)(제2층)(3)가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구성물이다. 상기 다층 테이프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플라스틱층(제1층)(1)과 경화성 매트릭스층(제2층)(4)이 제공된다.
도 4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주름진 금속층(제2층)(2c)이 플라스틱층(제1층)(1) 상에 또는 내에 임베딩(embedding)된 것이다.
도 5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플라스틱 층(제1층)(2)이 금속층(제2층)(1)과 매트릭스층(제2층)(5) 사이에 임베딩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층들은 Y 및 Z 방향에 평행한 평면, 즉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길이 방향(Z 방향) 및 그의 폭 방향(Y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층들은 두께 방향(X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층은 폭 방향에서 그의 중간부에 갭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Y 방향 중간에서 소정 폭의 갭을 갖는 두 개의 제2 층(2g)이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1층(1)의 재료는 상기 제2층(2g)의 재료보다 더 낮은 열 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상기 갭은 열전도에 대한 열 차단을 제공하도록 기능 한다.
도 7은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소정 갭에 의하여 Y방향으로 이격된 세 개의 분리된 제2층(2g)이 제공된다. 도 7에 나타낸 제7 실시예에서, Y방향으로의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보강층(2g)의 가장자리는 제1층(1)의 재료 내로 임베딩된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스트립 재료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층(2g)의 가장자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8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층(1)의 두께 방향(X)으로의 일측에 다수의 제2층(2g)이 제공되고, 추가되는 제2층(2o)을 X 방향의 평면으로 바라볼 때 이 제2층들은 오버랩되도록 제공된다. Y 방향으로의 상기 제2층(2g) 사이에는 갭들이 제공된다. 상기 제2층(오버랩층)(2o)의 개수는 갭의 개수에 대응한다. 상기 오 버랩 층(2o)은 X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2층(2g)과 대향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오버랩 구성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제9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층(2g)의 양측에서 Y 방향으로 제1층의 상당한 양의 (플라스틱) 재료가 존재하도록 X 방향으로의 제1층(1)의 일측에 하나의 제2층(2g)이 제공되고, X 방향으로 이들 영역에 대향하게 두 개의 오버랩 보강층(2o)이 제공된다. 형태를 갖는 스페이서를 형성할 경우, 금속 구성물들이 모두 벤딩되고, 이에 따라 U자형 스페이서의 코너부에서 오버랩부를 형성하도록 이들 구성물들은 위치된다.
도 10은 상기한 오버랩 개념의 다른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제10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의 제2층(2g, 2o)은 X 방향으로 제1층(1)의 양측에 제공되고, X 방향으로 대응하는 대향 측의 갭은 각각 오버랩된다.
도 11은 오버랩 개념의 변형 형태를 더 나타내는 제1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오버랩되는 제2층 중 하나는 제5 실시예의 주름진 제2층에 대응하는 주름진 제2층(2c)이다.
도 12는 기본적으로 제8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2 오버랩층(2oc)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형상층(2oc)이다. 이는 Y 방향으로의 오버랩층(2oc)의 가장자리에서 제1층(1)의 대향하는 측을 향해 X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제공된다. 층들(2g) 또한 제1층(1)의 대향측을 향해 X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오버랩 개념의 다른 변형 형태, 즉 이중 오버랩 접근법(double overalp approach)을 갖는 제1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Y 방향으로의 제1층(1)의 대략 중간부에서, 복수의 중심층(제2층)(2m)이 사이에 갭을 갖고 제공된다. 이들 갭의 Y 방향으로의 양측에는, 오버랩층(제2층)(2ou, 2ol), 즉 오버랩 상부층(제2층)(2ou) 및 오버랩 하부층(제2층)(2ol)이 제공된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층은 보강층 및/또는 배리어층(barrier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실시예의 제2층(들)에 대하여 설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층(1)은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동일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 형태 및 제작 공정의 모든 다른 설명은 모든 실시예들에 관련된다.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모든 특징들은 실시예들 및/또는 청구범위에서의 특징들의 구성과 관계없이 근본적인 설명을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청구된 발명을 제한하는 목적을 위하여 서로 별개이고 독립되게 기술하고자 한 것임을 명확히 규정한다. 모든 값의 범위나 실체 그룹의 표시는 근본적인 설명을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청구된 발명을 제한, 특히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목적을 위한 가능한 모든 중간값 또는 중간 실체를 기술한 것임을 명확히 규정한다.

Claims (4)

  1. 윈도 유닛용 스페이서를 제작하기 위한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으로서,
    탄력 있고, 가소성 있게 변형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층;
    가소성 있게 변형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경화성 매트릭스 또는 합성층 또는 다층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층에 물질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층
    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층은 폭 방향으로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층은 폭 방향으로 폭의 적어도 일 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재료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임베딩되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2층은 그 두 제2층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의 소정의 갭을 갖고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되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2층이 제공되되,
    상기 길이 및 폭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하고, 두께 방향으로 바라볼 경우, 상기 추가적인 제2층이 상기 적어도 두 제2층 사이의 소정의 갭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적어도 두 제2층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제공되는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KR1020087001689A 2005-08-01 2006-07-21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KR20080030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450905P 2005-08-01 2005-08-01
US60/704,509 2005-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620A true KR20080030620A (ko) 2008-04-04

Family

ID=3757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689A KR20080030620A (ko) 2005-08-01 2006-07-21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80315024A1 (ko)
EP (1) EP1910638B1 (ko)
JP (1) JP2009503302A (ko)
KR (1) KR20080030620A (ko)
CN (1) CN101313124A (ko)
AT (1) ATE447659T1 (ko)
AU (1) AU2006275119A1 (ko)
CA (1) CA2617456A1 (ko)
DE (1) DE602006010213D1 (ko)
ES (1) ES2334942T3 (ko)
PL (1) PL1910638T3 (ko)
WO (1) WO20070146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5734B2 (en) 2009-07-23 2014-05-27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delay line compon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8198547B2 (en) 2009-07-23 2012-06-12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ass-through compon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20110017504A1 (en) * 2009-07-23 2011-01-27 Keith Bryan Hardin Z-Directed Ferrite Bead Compon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20110017502A1 (en) * 2009-07-23 2011-01-27 Keith Bryan Hardin Z-Directed Component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8752280B2 (en) 2011-09-30 2014-06-17 Lexmark International, Inc. Extrus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8790520B2 (en) 2011-08-31 2014-07-29 Lexmark International, Inc. Die press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9078374B2 (en) 2011-08-31 2015-07-07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een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9009954B2 (en) 2011-08-31 2015-04-21 Lexmark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a sacrificial constraining material
US8658245B2 (en) 2011-08-31 2014-02-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pin coat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8943684B2 (en) * 2011-08-31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extrus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Z-directed componen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8822840B2 (en) 2012-03-29 2014-09-02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having conductive channel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line impedance
US8822838B2 (en) 2012-03-29 2014-09-02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having conductive channels for reducing radiated emissions
US8912452B2 (en) 2012-03-29 2014-1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having different dielectric regions
US8830692B2 (en) 2012-03-29 2014-09-09 Lexmark International, Inc. Ball grid array systems for surface mounting an integrated circuit using a Z-directed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
CN103867077B (zh) * 2014-03-25 2015-10-07 大连工业大学 一种基于乙烯-醋酸乙烯酯共聚物的暖边间隔条及其制备方法
US10920480B2 (en) 2017-09-05 2021-02-16 Ged Integrated Solutions, Inc. Thermally efficient window fr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377693A (en) * 1992-05-18 1993-12-13 Crane Plastics Company Metal-polymer composite insulative spacer for glass members and insulative window containing same
US5295292A (en) * 1992-08-13 1994-03-22 Glass Equipment Development, Inc. Method of making a spacer frame assembly
DE19654748A1 (de) * 1996-07-11 1998-07-30 Manfred Woschko Rahmenlose Tür- oder Fensterflügelanordnung mit Isolierverglas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139713C (zh) * 1997-09-25 2004-02-25 卡普拉诺-布鲁恩霍夫模具技术无限责任公司 隔热玻璃组件用的间隔型材及隔热玻璃组件
DE19805348A1 (de) * 1998-02-11 1999-08-12 Caprano & Brunnhofer Abstandhalterprofil für Isolierscheibeneinheit
DE19902067A1 (de) * 1999-01-20 2001-01-25 Wug Weidemann Unternehmensgrup Abstandsleiste für Isoliergl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4655A2 (en) 2007-02-08
PL1910638T3 (pl) 2010-05-31
CN101313124A (zh) 2008-11-26
CA2617456A1 (en) 2007-02-08
WO2007014655A3 (en) 2007-04-19
AU2006275119A2 (en) 2008-03-20
ES2334942T3 (es) 2010-03-17
JP2009503302A (ja) 2009-01-29
EP1910638A2 (en) 2008-04-16
ATE447659T1 (de) 2009-11-15
AU2006275119A1 (en) 2007-02-08
EP1910638B1 (en) 2009-11-04
US20080315024A1 (en) 2008-12-25
DE602006010213D1 (de)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620A (ko) 합성 스페이서 스트립 재료
DE60125401T2 (de) Durchgehende flexible abstandhalteranordnung mit dichtungsmittelstützglied
EP1055046B2 (de) Abstandhalterprofil für isolierscheibeneinheit
EP2870313B1 (de) Abstandhalter für isolierglasscheiben
US4649685A (en) Spacer
DE60103673T2 (de) Flüssigkeitsundurchlässiger Verbundschlauch
US6910311B2 (en) Members with a thermal break
EP2408990B1 (de) Abstandshalterprofil mit verstärkungsschicht
EP1705305A2 (en) Method of making members with a thermal break
EP3394378B1 (de) Abstandhalter für isolierglasscheiben
BG62660B1 (bg) Деформируем материал за обшивка на покриви и метод за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EP0957226A1 (de) Verbundprofil für Rahmen von Fenstern, Türe, Fassadenelementen und dergl., IR-Reflexionsfolie insbes. für dieses Verbundprofil und Verwendung der IR-Reflexionsfolie bei dem Verbundprofil
US20130071604A1 (en) Composite panel, a composite panel with an edge band, and method of apply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EP3241972A1 (en) Spacer for an insulating glazing unit
DE3439318C2 (ko)
WO2016150705A1 (de) Abstandshalter für eine isolierverglasung mit erhöhter dichtigkeit
DE202020005649U1 (de) Abstandhalter für Isolierglaseinheiten
CA2455577C (en) Insulation with depressions and method thereof
GB2179295A (en) Formwork panels
DE102012101226A1 (de) Insassenerfassungssensor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EP0855478A2 (de) Verbundplatte aus Kunststoff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A2752767A1 (en) Composite panel, a composite panel with an edge band, and method of apply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JPS6242018Y2 (ko)
DE20306466U1 (de) Dämmelement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Dämmelements
DE20220494U1 (de) Folienlaminat und Verbundscheibe mit diesem Folienlamin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