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937A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937A
KR20080029937A KR1020070098484A KR20070098484A KR20080029937A KR 20080029937 A KR20080029937 A KR 20080029937A KR 1020070098484 A KR1020070098484 A KR 1020070098484A KR 20070098484 A KR20070098484 A KR 20070098484A KR 20080029937 A KR20080029937 A KR 2008002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ood
dehydration
story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817B1 (ko
Inventor
문상훈
Original Assignee
문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훈 filed Critical 문상훈
Publication of KR2008002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3/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Programme control of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복층 건물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탈수감량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화를 통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활용도가 높고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층 건물 내에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층에서 하층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위생관과, 상기 위생관으로부터 각 층에 있는 가정으로 연결 설치되는 음식물 투입부 및 상기 위생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시키는 탈수감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복층건물, 위생관, 탈수감량장치, 재활용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Disposal system of food waste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복층 건물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탈수감량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화를 통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활용도가 높고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란 가정, 음식점 등에서 구입한 식품을 다듬을때 먹을 수 없는 부분, 먹고 남아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 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유통기간이 지나거나 보관 부주의로 변질된 식품 폐기물 등을 말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8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쉽게 부패하는 유기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면 질소와 유황 화합물에 의한 악취발생과 파리, 모기 등의 해충 피해를 가져온다. 또한 라면 국물 등 기름기가 있는 물이나, 쓰레기가 썩은 물인 고농도 침출수가 발생하여 하천 등에 유입되면 심각한 수질 악화를 유발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에 모아 두었다가 지정된 날짜에 음식물 쓰레기용 봉투에 담아 지정된 장소에 갖다 버리면, 수집 운반차가 지정된 날짜에 수거해 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한 소요기간이 대략 2∼3일 걸리므로 처리 시간이 지연됨에 따른 악취, 침출수의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정된 날짜를 부득이하게 넘겼을 경우에는 처리시간이 더 연장되고,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전용 봉투를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기 위하여 분리 수거하게 되었으나, 아파트와 같은 복층 건물에서는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높은 함수율과 부패성 등으로 인하여 처리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탈수하는 장치, 스크류 압착 탈수식 장치, 피스톤 압착 탈수식 장치, 탈수드럼 회전 원심 탈수식 장치, 가열 건조식 장치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장치는 대부분 가정에서 일차적으로 탈수, 분쇄하게 되어 각 가정마다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층 건물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하여 별도의 지정장소로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아파트 단지와 같은 복층 건물의 경우에는 감량화 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모아둔 음식물을 당일 수거하지 못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여 침출수가 발생되며, 부패된 음식물 쓰레기가 다른 음식물 쓰레기까지 부패시키므로 재활용에 많은 비용이 들거나,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분리수거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탈수 및 감량화하여 수거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거나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에서 수시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하여 한꺼번에 모아서 버려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삶을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악취,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층 건물 내에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층에서 하층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위생관과, 상기 위생관으로부터 각 층에 있는 가정으로 연결 설치되는 음식물 투입부 및 상기 위생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시키는 탈수감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위생관은 상기 복층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되는 덮개부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와 복층 건물의 최하층 사이에 설치되는 엘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보호판이 설치되고, 상기 엘보의 외주연에는 보강프레임이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투입부는 각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및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 설치되는 거름망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투입부와 상기 위생관의 연결부는 엘보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감량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물받이함과, 상기 물받이함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거름통 및 상기 거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함의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탈수 감량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에는 제어밸브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름통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외측 거름통과, 상기 외측 거름통의 내측에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측 거름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거름통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외측 배수공이 형성되고, 측면 및 저면에는 제1걸림키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거름통의 측면 및 저면에는 다수 개의 내측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키와 맞물리도록 하여 제2걸림키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름통의 상부 측면에는 급수구가 부가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함의 외측에는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받이함의 내측면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감량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가정에서 수시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하여 한꺼번에 모아서 버려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탈수 및 감량화함으로써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전수 등을 없앰으로써 악취 등의 오염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자원화 및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 및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폐기물 처리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1차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키기 전에 고온으로 삶을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함과 동시에 탈수 및 감량화가 끝난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자원화 및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의 a) ∼ 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중 음식물 투입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중 탈수감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외측 거름망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의 a) ∼ 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내측 거름망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복층 건물(10)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탈수감량장치(300)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및 감량화를 통해 폐기물의 발생을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자원화 및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위생관(100)과, 음식물 투입부(200) 및 탈수감량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생관(100)은 아파트와 같은 복층 건물(10) 내에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복층 건물의 최상층에서부터 최하층의 외부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이고, 상기 음식물 투입부(200)는 상기 위생관(100)으로부터 각 층에 위치한 가정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하여 집밖으로 나갈 필요 없이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경우 바로바로 집안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탈수 감량장치(300)는 건물 외부의 그라운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위생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탈수 및 감량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위생관(100)은 다시 상기 복층 건물(10)의 최상층, 즉 위생관(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110)와, 하단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투입부(20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20) 및 상기 배출구(120)의 내측, 즉 상기 배출구(120)와 복층 건물(10)의 최하층 사이에 설치되는 엘보(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엘보(130)는 통상의 90도 엘보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투입부(200)를 통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들이 배출구(120)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5도 엘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엘보(130)의 외주연에는 각 층에서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받는 충격력에 의해 엘보(13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 프레임(132)이 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구(120)의 단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때에는 열리고,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보호판(122)이 설치되는데, 상기 보호판(122)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탈수감량장치(30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아래쪽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정확히 탈수감량장치(30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주변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음식물 투입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정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바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210)와, 상기 투입구(2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뚜껑(220) 및 상기 투입구(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거름망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름망 부재(230)는 너무 커다란 덩어리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음식물 투입부(200) 또는 위생관(100)이 음식물 쓰레기로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210)는 보일러실이나 다용도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 는 것이 가능하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처리하기 쉬운 씽크대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뚜껑(220)을 동물의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기타 과일 등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자칫 거부감을 주거나 불쾌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장소라는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투입부(200)와 위생관(100)의 연결부는 엘보관(240)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엘보관(240)은 90도 엘보관, 45도 엘보관 등 종래의 엘보관을 사용하되, 음식물 쓰레기가 막힘없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45도 엘보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위생관(100)의 배출구(120) 하측 지상에는 탈수감량장치(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탈수감량장치(300)는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탈수 및 감량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물받이함(320)과, 상기 물받이함(3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거름통(330) 및 상기 거름통(3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탈수감량장치(300)는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거름통(33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꽉 차거나 일정 시간이 되어 탈수감량장치(300)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 위생관(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대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기 탈수감량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세부 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기 본체(31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312)가 설치되어 탈수감량장치(3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함(320)의 하부에는 배수구(322)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후술하겠지만 상기 배수구(322)에는 제어밸브(324)가 설치되어 탈수감량장치(3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배출 유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322)는 물이 잘 흘러나갈 수 있도록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수구(322)와 물받이함(320)의 연결부에는 거름망(322a)을 설치하여 거름통(330)의 외부루 유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수구(322)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며, 배수구(322)의 끝단은 하수구 또는 정화조와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별도의 정화시설이 필요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름통(330)은 상기 구동모터(34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외측 거름통(330a)과, 상기 외측 거름통(330a)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내측 거름통(330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내측 거름통(330b)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에 손잡이(335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내측 거름통(330b)으로 수거되고, 탈수 및 감량화 작업이 끝나면 상기 내측 거름통(330b)만 인출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 거름통(330b)의 측면과 저면 및 외측 거름통(330a)의 측면 하부 및 저면에는 각각 다수 개의 내측 배수공(332b) 및 외측 배수공(332a)이 형성 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물받이함(320)의 배수구(322)를 통해 1차적으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340)의 작동에 의해 내,외측 거름통(330b,330a)이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남아있는 수분이 상기 내, 외측 배수공(332b,332a)을 통해 빠져나가 배수구(3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거름통(330a)의 저면 및 측면에는 제 1 걸림키(334a)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 거름통(330b)의 저면 및 측면에는 제 2 걸림키(334b)가 상기 제 1 걸림키(334a)와 걸림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40)의 회전에 의해 외측 거름통(330a)과 내측 거름통(330b)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거름통(330)의 상부 측면에는 거름통(330)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급수구(336)가 부가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함(320)의 외측에는 상기 급수구(336)를 통해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326)가 부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40)를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키기 전에 거름통(330)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가열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죽임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함(320)의 내측면에는 수위감지센서(328)를 설치하여 상기 거름통(33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히터(326)의 가열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수감량장치(300)에는 타이머(350)를 부가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340)와 히터(326)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모터(340)와 히터(326)가 오전, 오후, 저녁과 같이 하루에 3번 정도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센서(328) 및 타이머(350)는 여러 분야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세부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면 음식물 투입부(200)의 투입구(210) 상부에 설치된 뚜껑(220)을 개방한 후, 투입구(210)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이때, 상기 투입구(210)의 내측에는 거름망 부재(230)가 설치되어 있어 일정 부피 이상의 큰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투입부(200)로 투입되지 않고 걸러지게 된다.
이렇게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투입부(200)를 통해 하강하고, 엘보관(240)을 거쳐 위생관(100)으로 유입되고, 최하층까지 하강하게 되면 다시 엘보(130)를 통해 배출구(120)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엘보(130)의 외주연에는 보강프레임(132)이 설치되어 고층에서부터 투하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충격력에도 상기 엘보(13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닫혀 있는 보호판(122)을 밀어 올리면서 배출되므로, 상기 보호판(122)에 의해 배출되는 속도가 감속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아래쪽에 설치된 탈수감량장치(300)의 내측 거름통(330b)의 내부로 투입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해서 각 가정에서 별도로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두었다가 지정된 날짜에 들고 나가 지정된 장소에 버릴 필요없이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 즉시 가정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위생관(100) 또는 음식물 투입부(200) 안에 남아 있게 되면, 배출구(120)가 막힐 염려가 있으므로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위생관(100)의 최상단에 설치된 덮개부(110)를 열고 물을 투입하거나 각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후 일정량의 물을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위생관(100) 또는 음식물 투입부(200)의 내부에서 막히는 일이 없이 잘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생관(100) 및 음식물 투입부(200)의 재질을 스테인레스재로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에서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탈수감량장치(300)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내측 거름통(330b)의 내부에 저장되는데, 이 동안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 및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진 물은 내측 거름통(330b)과 외측 거름통(330a)에 형성된 내, 외측 배수공(332b,332a)을 통해 물받이함(320)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다시 상기 물받이함(3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수구(322)를 통하여 정화조 또는 하수구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322)에 설치된 제어밸브(324)는 배수 구(322)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음식물 쓰레기가 특정 양 이상 차거나 일정 시간이 되면 상기 탈수감량장치(300)를 작동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수감량장치(300)를 하루에 세 번 정도 작동시킨다. 즉,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아침, 점심, 저녁 식사 후, 예를 들면 오전 9시, 오후 2시, 오후 9시에 탈수감량장치(300)가 작동되도록 전술한 타이머(350)를 설정하여 정해진 시간에 탈수감량장치(30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명절과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발생되는 경우나 기타 특수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310)의 외부에 설치된 구동수단(314)을 통해 수동으로 상기 탈수감량장치(30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탈수감량장치(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우선 배수구(322)에 설치된 제어밸브(324)가 배수구(322)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고, 외측 거름통(330a)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급수구(336)를 통해 물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322)가 막혀 있으므로 유입되는 물은 물받이함(320) 및 거름통(330)의 내부에 쌓이게 되고, 물이 내측 거름통(330b)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높이만큼 쌓이게 되면 상기 물받이함(320)의 내측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328)에 의해 물의 높이가 측정되어 더 이상의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상기 물받이함(320)의 외측면에 설치된 히터(326)가 작동하여 물이 가열된다. 물과 함께 내측 거름통(330b)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하고 있는 세균 등을 죽이는 살균 작용을 함과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어느 정도 제거하여 탈수감량장치(300)의 주위에서 벌레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이 일정시간 가열되어 끓게 되면 히터(326)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어밸브(324)가 배수구(322)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여 물받이함(320)과 거름통(330)의 내부에 있던 물이 배수구(322)를 통해 배출된다.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구동모터(340)가 작동하여 외측 거름통(330a)을 회전 시키게 되고, 상기 외측 거름통(330a)의 제 1 걸림키(334a)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 걸림키(334b)에 의해 내측 거름통(330b)이 상기 외측 거름통(330a)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름통(330)의 고속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남아있던 수분들이 원심력에 의해 내측 배수공(332b) 및 외측 배수공(332a)을 통해 거름통(330)의 외부로 배출되어 물받이함(320)에 형성된 배수구(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및 감량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340)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및 감량화가 완료되면 구동모터(340)에 작동하는 전원(미도시)을 차단시키고, 거름통(330)의 회전이 멈추면 본체(31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312)를 이용하여 탈수감량장치(300)를 이동시키고, 다른 탈수감량장치(300)를 위생관(100)의 배출구(120) 하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별도의 탈수감량장치(300)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임시로 쓰레기통을 놓고 그 내부에 내측 거름통(330b)만 위치시킬 수도 있고, 내측 거름통(330b)의 상부에 위치한 손잡이(335b)를 이용하여 내측 거름통(330b)만 탈수감량장치(300)로부터 분리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탈수 및 감량화 작업이 완료되면 내측 거름통(330b)을 탈수감량장치(300)로부터 분리시켜 수거차량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하는데, 이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 및 감량화된 상태이므로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되어 운반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살균 작업까지 끝낸 상태이므로 부패되는 일이 없어 재활용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수거작업은 적어도 하루에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2회 정도 하는 것이 좋은데, 수거 차량에 탈수감량장치(300)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운반하는 중에도 탈수 및 감량화 처리를 하여 모든 음식물 쓰레기가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점과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탈수감량장치(300)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복층 건물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탈수감량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화를 통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활용도가 높고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의 a) ∼ 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중 음식물 투입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중 탈수감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외측 거름망을 나타낸 저면도.
도 6의 a) ∼ c)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내측 거름망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복층 건물 100 : 위생관
110 : 덮개부 120 : 배출구
122 : 보호판 130 : 엘보
132 : 보강프레임 200 : 음식물 투입부
210 : 투입구 220 : 뚜껑
230 : 거름망 부재 240 : 엘보관
300 : 탈수감량장치 310 : 본체
312 : 바퀴 314 : 구동수단
320 : 물받이함 322 : 배수구
322a : 거름망 324 : 제어밸브
326 : 히터 328 : 수위감지센서
330 : 거름통 330a : 외측 거름통
330b : 내측 거름통 332a : 외측 배수공
332b : 내측 배수공 334a : 제 1 걸림키
334b : 제 2 걸림키 335b : 손잡이
336 : 급수구 340 : 구동모터
350 : 타이머

Claims (16)

  1. 복층 건물 내에서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층에서 하층까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위생관과,
    상기 위생관으로부터 각 층에 있는 가정으로 연결 설치되는 음식물 투입부 및,
    상기 위생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탈수시키는 탈수감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관은 상기 복층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되는 덮개부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와 복층 건물의 최하층 사이에 설치되는 엘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보호판이 설치되고, 상기 엘보의 외주연에는 보강프레임이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투입부는 각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및 상기 투입구의 내측에 설치되는 거름망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투입부와 상기 위생관의 연결부는 엘보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감량장치는 다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위생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다수 개의 탈수감량장치에 의해 교대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감량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물받이함과, 상기 물받이함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거름통 및 상기 거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함의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탈수감량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제어밸브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통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외측 거름통과, 상기 외측 거름통의 내측에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측 거름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거름통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외측 배수공이 형성되고, 측면 및 저면에는 제1걸림키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름통의 측면 및 저면에는 다수 개의 내측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키와 맞물리도록 하여 제2걸림키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통의 상부 측면에는 급수구가 부가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함의 외측에는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함의 내측면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감량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히터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20070098484A 2006-09-29 2007-09-29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958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463 2006-09-29
KR1020060095463 200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937A true KR20080029937A (ko) 2008-04-03
KR100958817B1 KR100958817B1 (ko) 2010-05-24

Family

ID=3953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484A KR100958817B1 (ko) 2006-09-29 2007-09-29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8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A20130018A1 (it) * 2013-03-01 2014-09-02 Francesco Paolo Fiorente Innovazione nella gestione dei rifiuti solidi urbani con l'uso distribuito della compostiera domiciliare - condominiale
CN104971932A (zh) * 2015-06-18 2015-10-14 夏凯丽 一种餐厨余垃圾回收再利用环保节能设备装置系统
KR20160001616A (ko) * 2013-09-06 2016-01-06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CN111649576A (zh) * 2019-08-16 2020-09-11 乐清市智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垃圾输送用通风干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04B1 (ko) 2012-01-16 2013-06-20 서영관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6088U (ko) * 1987-08-28 1989-03-06
JPH04305284A (ja) * 1991-04-03 1992-10-28 Toda Constr Co Ltd 集合住宅用の生ゴミ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98857Y1 (ko) * 1998-04-07 2001-03-02 유영훈 음식물 쓰레기 수분 탈수장치
KR20020051645A (ko) * 2000-12-23 2002-06-29 유인균 공동주택의 음식물 찌꺼기 처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A20130018A1 (it) * 2013-03-01 2014-09-02 Francesco Paolo Fiorente Innovazione nella gestione dei rifiuti solidi urbani con l'uso distribuito della compostiera domiciliare - condominiale
EP2772474A2 (en) 2013-03-01 2014-09-03 Francesco Paolo Fiorente Vertical composter for home-condominium and process for manage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by using thereof.
EP2772474A3 (en) * 2013-03-01 2014-10-15 Francesco Paolo Fiorente Vertical composter for home-condominium and process for manage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by using thereof.
KR20160001616A (ko) * 2013-09-06 2016-01-06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20160003550A (ko) * 2013-09-06 2016-01-1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기
CN104971932A (zh) * 2015-06-18 2015-10-14 夏凯丽 一种餐厨余垃圾回收再利用环保节能设备装置系统
CN104971932B (zh) * 2015-06-18 2017-07-11 夏凯丽 一种餐厨余垃圾回收再利用环保节能系统
CN111649576A (zh) * 2019-08-16 2020-09-11 乐清市智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垃圾输送用通风干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817B1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195B2 (en) Device and proces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KR10095881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970101B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CN210765041U (zh) 一种厨余垃圾粉碎烘干装置
CN107600808A (zh) 一种小区用残羹收集垃圾箱
CN109053233A (zh) 家庭生活垃圾回收处理智慧设备
KR102120068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20050012084A (ko) 집단 주거형 건물의 음식물 쓰레기 일괄 수집 및 처리 장치
CN210593569U (zh) 一种用于厨余垃圾收集的湿垃圾收集装置
WO1999062844A1 (en) A composting apparatus
KR20120068652A (ko) 냄새 역류 방지부와 봉투 적치대가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5013466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5928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시스템
JPH05330967A (ja) 厨芥処理容器
CN204199414U (zh) 一种将有机垃圾处理为有机肥料的坐便器
KR100847074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구조
CN209826508U (zh) 免水冲式干湿分离的环保厕所
KR20120032958A (ko) 망교체형 음식물 처리기
KR20100048818A (ko) 음식물쓰레기 옥외 배출 및 수거 장치
JP2002336830A5 (ko)
CN108043858A (zh) 一种高效厨房垃圾处理装置
IT202200002114U1 (it) Macchina compattatrice rifiuti
KR200274364Y1 (ko) 음식물 압착 분쇄기
KR101311805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246899B2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