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504B1 -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5504B1 KR101275504B1 KR1020120004784A KR20120004784A KR101275504B1 KR 101275504 B1 KR101275504 B1 KR 101275504B1 KR 1020120004784 A KR1020120004784 A KR 1020120004784A KR 20120004784 A KR20120004784 A KR 20120004784A KR 101275504 B1 KR101275504 B1 KR 1012755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aste
- collection
- collect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는 일정한 지름과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파이프부, 일단이 파이프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건축물에 체결되어 파이프부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 파이프부를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파이프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단이 파이프부의 옆면을 관통하고, 타단이 건축물에 연결되어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파이프부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투하부 및 파이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이프부를 통해 투하된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수집부는 수집부 내에 형성되어 수집부로 투하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부, 완충부가 수집부에서 순환되도록 동작시키는 순환부,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이 투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버블 또는 액체를 분사하는 메인분사부 및 수집부 내에 배치되어 메인분사부를 통해 유도된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거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 및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먼지와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물의 개축과 증축,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의 재건축, 재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재료 및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에서는 재료 및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따로 공사용 엘리베이터를 제작하였고, 공사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재료 및 폐기물을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재료 및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공사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먼지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부의 내부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직낙하시키되, 수집부 내에 완충부와 메인분사부를 배치시킴으로써, 먼지와 소음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는 일정한 지름과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파이프부, 일단이 파이프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건축물에 체결되어 파이프부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 파이프부를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파이프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단이 파이프부의 옆면을 관통하고, 타단이 건축물에 연결되어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파이프부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투하부 및 파이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이프부를 통해 투하된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수집부는 수집부 내에 형성되어 수집부로 투하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액체로 구성되는 완충부, 완충부가 수집부에서 순환되도록 동작시키는 순환부,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이 투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버블 또는 액체를 분사하는 메인분사부 및 수집부 내에 배치되어 메인분사부를 통해 유도된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거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분사부는,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버블을 생산하고 출력하는 분사생산부;와 상기 수집부의 옆면을 관통하며 배치되어 상기 분사생산부로부터 상기 버블을 제공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된 상기 수집부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집부 내에 수용되는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되는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분사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완충부를 상기 수집부로 주입하는 주입관; 상기 수집부의 외부면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가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주입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순환관; 및 상기 완충부가 상기 수집부, 상기 배출관, 상기 순환관, 상기 주입관, 상기 수집부로 순환되도록 동작시키는 순환펌핑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완충시키면서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을 보호할 수 있는 완충패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단에 체결되거나 분리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 하단에 체결되어 위아래로 개폐동작하면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타단에는 상기 개폐부의 타단이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무게추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회전동작하며 회전에너지를 출력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에너지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와이어부로부터 상기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위아래로 개폐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개폐부를 체결시켜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바디부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은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된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서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된 상기 수집부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단과 하단 사이를 수직으로 왕복동작하면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복수 개의 폭이 좁은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상기 레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셔터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분사부가 분사되는 횡방향으로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를 좌우로 동작시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상기 수거함으로 수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에는 상기 수집부와 그라운드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를 향해 소정의 버블을 분사하여 수직낙하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의 낙하속도를 낮출 수 있는 버블분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수거함을 외부로 인양할 수 있는 인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부는 상기 수거함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가 동작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수집부의 상단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기 수거함과 상기 크레인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인양와이어부;룰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수거함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하는 방법은 수집부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 수직낙하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집부에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가 충진되는 단계, 상기 수집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투하되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버블 또는 액체가 분사되도록 메인분사부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수집부에 충진되되, 액체로 구성되는 완충부가 수집부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순환관을 지나 주입관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다시 수집부로 유입되도록 순환하는 단계,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이 버블에 의해 수거함에 수집되는 단계, 재료 및 폐기물이 수거함에 수집되는 것을 마감하도록 개폐부를 닫는 단계, 수거함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수거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부가 수거함에 체결되는 단계, 수집부의 문을 통해 수거함이 인양되는 단계 및 수거함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은 파이프부의 내부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직낙하시킴으로써, 적은 인력으로 재료 및 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은 파이프부의 내부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직낙하시키되, 완충부가 충진된 수집부에 재료 및 폐기물이 투하됨으로써, 공사장의 먼지와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인분사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거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완충패드의 정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양부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인양부에 의해 인양된 수거함의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11a 내지 1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동작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인분사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거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완충패드의 정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양부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인양부에 의해 인양된 수거함의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11a 내지 1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인분사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거함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100)는 파이프부(110), 파이프지지부(120), 프레임부(130), 투하부(140) 및 수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이프부(110)는 일정한 지름과 높이로 형성되는 파이프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파이프부(110)는 건축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까지 복수 개의 파이프가 적층되어, 건축물에서 투하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송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의 재질은 스틸(steel), 알루미늄(Al), 망간(Mn), 합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는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 스틸(steel) 또는 합금을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량화를 강화하기 위해 알루미늄(Al), 망간(Mn)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파이프부(110)는 건축물에서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과 부딪치거나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손상될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스틸(steel) 또는 합금을 포함하여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10)는 파이프가 많이 적층될수록 파이프부(110)의 하단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을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Al), 망간(Mn)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부(110)의 하단에는 강도가 센 파이프를 적층하고, 상단에는 경량화된 파이프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10)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적층되어 형성되고, 적층된 파이프 사이에 파이프 간을 패킹하며 형성되는 패킹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부(160)가 적층된 복수 개의 파이프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건축물에서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과 부딪치거나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 개의 파이프 간에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파이프의 양단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10)는 타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파이프지지부(120)는 일단이 파이프부(110)에 체결되고, 타단이 건축물에 체결되어 파이프부(110)를 지지한다. 이러한 파이프지지부(120)가 배치되어 좌우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어 건축물에서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과 부딪치거나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파이프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130)는 파이프부(110)를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파이프부(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30)는 육면체 형상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부(130)의 옆면에 엑스자형 또는 사선형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부(130)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가 견고한 프레임부(130)가 파이프부(110)를 둘러싸면서 형성됨으로써, 적층된 복수 개의 파이프가 쓰러지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30)는 타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투하부(140)는 일단이 파이프부(110)의 옆면을 관통하고, 타단이 건축물에 연결되어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파이프부(110)에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투하부(140)는 재료 및 폐기물이 파이프부(110)에 용이하게 투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파이프부(110)의 옆면을 관통할 수 있다.
수집부(150)는 파이프부(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이프부(110)를 통해 투하된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한다. 이러한 수집부(150)는 건축물의 근처에 위치하고,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파이프부(110)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50)는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집문(151)이 상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집문(151)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50)의 하단면에는 수집부(150)와 그라운드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152)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52)는 수집부(150)를 그라운드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152a)와 수집부(150)의 하단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수집부()1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부(150)의 하단면에 높이조절부(152)가 구성됨으로써, 그라운드에 수집부(150)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고 똑바로 있는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수집부(150)가 균형을 이루어 안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50)는 수집부(150) 내에 형성되어 수집부(150)로 투하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부(180), 수집부(150)의 옆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이 투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버블 또는 액체를 분사하는 메인분사부(160) 및 수집부(150) 내에 배치되어 메인분사부(160)를 통해 유도된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하는 수거함(170)을 포함한다.
이때, 완충부(180)는 액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180)가 물로 형성됨으로써,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켜줄 수 있다. 수집부(150)는 완충부(180)가 임의적으로 줄어들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벽하게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분사부(160)는 분사생산부(161)와 분사노즐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생산부(161)는 수집부(150)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버블을 생산하고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액체를 제공받아 고압의 액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분사노즐부재(162)는 수집부(150)의 옆면을 관통하며 배치되어 분사생산부(161)로부터 소정의 버블 또는 고액의 액체를 제공받아 분사한다. 이러한 분사노즐부재(162)는 분사생산부(161)와 연결되되, 수집부(150)의 옆면을 관통하면서 배치됨으로써, 완충부(180)가 충진된 수집부(150)에 소정의 버블 또는 고액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노즐부재(16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부재(1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부(110)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파이프부(110)를 통해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함(170)에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재료 및 폐기물의 낙하속도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집부(150)는 수집부(150)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파이프부(110)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재료 및 폐기물를 향해 소정의 버블을 분사하여 수직낙하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낙하속도를 낮출 수 있는 버블분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블분사부(165)는 버블생산부(166)와 버블노즐부재(1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블생산부(166)는 분사생산부(161)와 버블노즐부재(167)는 분사노즐부재(1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순환부(190)는 완충부(180)가 수집부(150)에서 순환되도록 동작시킨다. 이러한 순환부(190)는 배출관(191), 주입관(192), 순환관(193) 및 순환펌핑부(1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출관(191)은 메인분사부(160)가 배치된 수집부(150)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의 하단에 배치되어 수집부(150) 내에 형성되는 완충부(180)를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관(191)은 수집부(150)의 하단에 배치되어 완충부(180)가 순환되도록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배출관(191)은 재료 및 폐기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관(192)은 메인분사부(160)가 배치되는 수집부(150)의 옆면에 배치되되, 메인분사부(16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완충부(180)를 수집부(150)로 주입한다. 이러한 주입관(192)은 메인분사부(16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수집부(15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관(192)은 배출관(191)을 통해 배출된 완충부(180)를 제공받아 다시 수집부(150)에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관(192)은 수집부(150)로 주입되는 완충부(180)의 세기를 높이기 위해서 배출관(19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180)의 압력을 높여 수집부(150)에 주입함으로써, 파이프부(110)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낙하속도를 줄일 수 있다.
순환관(193)은 수집부(150)의 외부면에 배치되되, 일단이 배출관(191)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입관(192)에 연결되어 완충부(180)가 배출관(191)에서 주입관(192)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순환관(193)은 수집부(150)의 외부면 중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관(191)에서 배출되는 완충부(180)를 주입관(192)에 제공한다.
순환펌핑부(194)는 완충부(180)가 수집부(150), 배출관(191), 순환관(192), 주입관(193), 수집부(150)로 순환되도록 동작시킨다. 이러한 순환펌핑부(194)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여 완충부(180)가 순환운동하도록 펌핑할 수 있다.
수거함(170)은 바디부(170b)와 개폐부(17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70b)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배치된다. 즉, 바디부(170b)는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이다. 이와 같이, 바디부(170b)가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완충부(180)는 버블에 의해 수집부(150) 내에서 계속해서 순환할 수 있으나 버블에 의해 수거함(170)으로 유도된 재료 및 폐기물은 완충부(180)와 달리 수집부(150) 내에서 순환되지 않고 수거함(170)에 수집될 수 있다. 바디부(170b)의 하단에는 바디부(170b)를 수집부(15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70a)는 일단이 바디부(170b)의 일측 상단에 체결되거나 분리되고, 타단이 바디부(170b)의 일측 하단에 체결되어 위아래로 개폐동작하면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170a)는 바디부(170b)의 일면에 배치되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기 위해 수집부(150)의 하단을 향해 회전동작하여 바디부(170b)를 개방하거나 바디부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집부(150)의 상단을 향해 회전동작하여 바디부(170b)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부(170b)와 개폐부(170a)를 체결시켜 개폐부(170a)가 바디부(170b)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힌지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3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70b)의 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폐부(170a)의 타단과 바디부(170b)의 일측 하단이 체결되는 영역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방지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170a)는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70a)가 바디부(170b)를 폐쇄하는 동안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완충부(180)가 통과되고 투하되어 개폐부(170a)에 쌓여있던 재료 및 폐기물이 바디부(170b)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70a)의 타단에는 개폐부(170a)의 타단이 수집부(150)의 하단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무게추(3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310)는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가지면서 형성되되, 무게추(310)의 너비는 개폐부(170a)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추(310)와 개폐부(170a)는 힌지(311)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추(310)가 개폐부(170a)의 상단에 체결됨으로써, 개폐부(170a)가 바디부(170b)로부터 분리되면 무게추(310)의 무게에 의해 수집부(150)의 하단을 향해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부(180)가 충진된 수집부(150)에서도 용이하게 개방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회전동작하며 회전에너지를 출력하는 모터부(330)와 모터부(330)와 연결되어 회전에너지를 개폐부에 전달하는 와이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부(330)로부터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은 와이어부(320)가 용이하게 동작하도록 수집부(150)와 수거함(170)에는 도르레(331) 또는 바퀴(332,33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70a)는 와이어부(320)로부터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위아래로 개폐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34a)는 바디부(171b)와 개폐부(171a)를 체결시키되, 바디부(171b)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힌지부(334a)의 하단에는 바디부(171b)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71c)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334a)가 형성됨으로써, 재료 및 폐기물이 힌지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는 파이프부(110), 파이프지지부(미도시), 프레임부(130), 투하부(미도시) 및 수집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 실시 예에 따른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수집부(250)의 하단(250b)은 메인분사부(260)가 배치된 수집부(250)의 옆면에서 메인분사부(260)가 배치된 수집부(250)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수집부(250)의 하단(250b)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부(110)를 통해 수직낙하된 재료 및 폐기물이 기울기에 의해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게다가, 메인분사부(260)에서 분사되는 버블에 의해 재료 및 폐기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수거함(271)에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수집부(250)에 배치되는 수거함(271)은 바디부(271b)와 개페부(27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271b)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271b)는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이다. 이와 같이, 바디부(271b)가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완충부(280)는 버블에 의해 수집부(250) 내에서 계속해서 순환할 수 있으나 버블에 의해 수거함(271)으로 유도된 재료 및 폐기물은 완충부(280)와 달리 수집부(250) 내에서 순환되지 않고 수거함(271)에 수집될 수 있다.
개폐부(271a)는 바디부(271b)의 일측에 체결되어 바디부(271b)의 일측 상단과 하단 사이를 수직으로 왕복동작하면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71a)는 바디부(271b)의 상단과 하단 사이를 수직으로 수직왕복운동함으로써, 수거함(271)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바디부(271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250)는 개폐부(271a)가 용이하게 수직왕복할 수 있도록 수집부(250)의 상단에 작은수집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는 파이프부(110), 파이프지지부(미도시), 프레임부(130), 투하부(미도시) 및 수집부(25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2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수집부(250a)에 배치되는 수거함(272)은 바디부(272b)와 개페부(27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272b)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272b)는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이다. 이와 같이, 바디부(272b)가 망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완충부(280a)는 버블에 의해 수집부(250a) 내에서 계속해서 순환할 수 있으나 버블에 의해 수거함(272)으로 유도된 재료 및 폐기물은 완충부(280a)와 달리 수집부(250a) 내에서 순환되지 않고 수거함(250a)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72b)의 상단에는 레일(27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272c)을 따라 개폐부(272a)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할 수 있다.
개폐부(272a)는 복수 개의 폭이 좁은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레일(272c)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셔터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272a)가 셔터방식으로 레일을 따라 동작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방동작 또는 폐쇄동작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료 및 폐기물을 더욱 용이하게 바디부(272b)에 수거하거나 바디부(272b)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는 파이프부(110), 파이프지지부(미도시), 프레임부(130), 투하부(미도시) 및 수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2,3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수집부(250b)의 내부에는 메인분사부(260b)가 분사되는 횡방향으로 가이드레일부(295c)와 가이드레일(295c)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푸쉬부(29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푸쉬부(296c)를 좌우로 동작시켜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함(273)으로 수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푸쉬부(296c)는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실린더 또는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레일부(295c)를 따라 좌우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쉬부(296c)가 가이드레일부(295c)를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하여 수집부(250b) 내에 위치하되 수거함(273)에 수집되지 않은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함(27)으로 푸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부(296c)는 재료 및 폐기물을 용이하게 푸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함(273)에 수집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완충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는 파이프부(110), 파이프지지부(미도시), 프레임부(130), 투하부(미도시) 및 수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2,3,4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수집부(250c)는 수집부(250c)의 하단에 배치되어 파이프부(110)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재료 및 폐기물을 완충시키면서 수집부(250c)의 하단을 보호할 수 있는 완충패드(297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패드(297c)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패드(297c)가 탄성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탄성을 이용하여 수직낙하된 재료 및 폐기물의 낙하속도 및 낙하무게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집부(250c)로 수직낙하된 재료 및 폐기물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패드(297c)가 복원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빠르게 복원될 수 있어 수직낙하하는 재료 및 폐기물에 대해 대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완충패드(297c)가 탄성력과 복원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된 재료 및 폐기물으로부터 수집부(250c)의 하단면을 더욱 견고하게 보호하기 위해 철판 또는 고강도 강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양부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인양부에 의해 인양된 수거함의 동작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양부(155)는 크레인부(156), 지지프레임부(157) 및 인양와이어부(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집부(150)는 수집부(150) 내에 배치되는 수거함(170)을 외부로 인양할 수 있는 인양부(155)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양부(155)는 크레인부(156), 지지프레임부(157) 및 인양와이어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부(156)는 수거함(170)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크레인부(156)는 재료 및 폐기물이 수집된 수거함(170)을 수집부(150)에서 끌어올리거나 텅 빈 수거함(170)을 수집부(150)에 집어넣을 수 있다. 이때 크레인부(156)는 수거함(17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이스트 크레인은 1개 이상의 고정 도르래, 고리 또는 이와 유사한 결속장치를 가진 1개의 가동 도르래, 1개의 로프(케이블)의 조합인 복도르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이스트 크레인을 포함함으로써, 수거함(170)을 수집부(150)에서 용이하게 인양하거나 인양된 수거함(170)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을 트럭 또는 화물차에 실을 수 있다.
여기서 크레인부(156)는 인력 또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수거함(170)을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부(157)는 크레인부(156)가 동작하도록 지지하면서 수집부(150)의 상단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부(157)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집부(150)의 수집문이 형성되는 위치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부(157)는 수집부(150)를 감싸면서 위치하되, 수집부(150)의 상단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형성됨으로써, 크레인부(156)가 안정적으로 수거함(170)으로 수집부(150)에서 인양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인양와이어부(158)는 수거함(170)과 크레인부(156)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양와이어부(158)는 적어도 둘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형성되고, 일단이 수거함(170)의 4개의 모서리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양와이어부(158)가 수거함(170)의 4 개의 모서리에 체결된 후 수거함(170) 인양함으로써, 크레인부(156)가 수거함(170)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집부(150)에서 인양하여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170)은 수거함(170)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을 트럭 또는 화물차에 용이하게 싣기 위해서 수거함(170)의 하단(175)이 오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거함(170)의 하단(175)은 수집부(150)에서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기 위해 견고하게 체결된 후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트럭 또는 화물차에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양쪽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수거함(170)의 하단(17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수거함(170)의 하단(175)이 개폐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1a 내지 1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10 내지 11g를 살펴보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및 폐기물을 수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집부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 수직낙하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이다(S110). 재료 및 폐기물 수직낙하 장치는 건축물에 접하여 배치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될 수 있다.
수집부에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가 충진되는 단계이다(S120). 수집부는 완충부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완충부는 수집부에 70%~80% 정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분사부가 동작하여 버블이 분사되는 단계이다(S130). 수집부에 완충부가 충진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분사부가 동작한다. 버블 분사부가 동작하면, 버블노즐부재를 통해 버블이 수집부 내에 충진된 완충부에 분사된다.
수집부에 충진된 완충부가 순환하는 단계이다(S140). 버블 분사부가 동작하여 버블이 분사되면, 수집부에 충진된 완충부가 배출관, 순환관, 주입관을 통해 순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블이 분사되는 동시에 완충부가 수집부 내를 순환함으로써, 수집부로 수직낙하된 재료 및 폐기물이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이 버블에 의해 수거함에 수집되는 단계이다(S150). 수집부로 투하된 재료 및 폐기물이 완충부에 떨어지면서 낙하속도가 급감하여 1차적으로 충격이 완화되고, 버블에 의해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재료 및 폐기물이 수거함에 수집되는 것을 마감하도록 개폐부를 닫는 단계이다(S160). 건축물로부터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이 마무리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가 회전동작하여 회전에너지를 와이어부에 제공하고, 회전에너지를 제공받은 와이어부는 개폐부가 수집부의 하단면에서 상단으로 움직이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수거함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수거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부가 수거함에 체결되는 단계이다(S160).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가 회전동작하여 와이어부로부터 회전에너지를 제공받은 개폐부가 동작하여 수거함에 체결됨으로써, 바디부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료 및 폐기물이 수거함에 이탈되지 않는다.
수집부의 수집문을 통해 수거함이 인양되는 단계이다(S180).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한 바디부가 개폐부와 체결되면, 와이어부가 제거되고 수집부의 수집문이 오픈될 수 있다. 수집부의 수집문이 오픈되면 수집부의 위에 설치된 호이스트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거함을 수집부로부터 인양할 수 있다.
이때, 수거함의 네 개의 모서리에 와이어를 결합하고 결합된 와이어를 한 곳으로 모은 다음에 호이스트 크레인에 연결한다. 호이스트 크레인을 통해 수거함이 수집부로부터 인양되는 동안 수거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완충부는 배출되어 수집부로 주입되고, 수거함 내에는 재료 및 폐기물만 남겨질 수 있다.
수거함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이다(S190). 수거함이 수집부로부터 완전하게 인양되면 수거함에 수집된 재료 및 폐기물들이 운송, 운반 장비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재료 및 폐기물들이 크기, 성분 등에 의해 다양하게 나눠질 수 있다.
재료 및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은 수집부에 투입될 수 있다.
수집부에 투입된 수거함은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의 하단면에 체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거함이 수집부에 안정적으로 체결되거나 고정되면, 수거함에 와이어부가 체결된다. 와이어부가 체결되면, 개폐부가 바디부와 분리된다. 도 1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는 개폐부에 체결된 무게추에 의해 수집부의 하단면을 향해 동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파이프부 120: 파이프지지부
121: 체결부 122: 실린더부
130: 프레임부 140: 투하부
150: 수집부 160: 메인분사부
170: 수거함 180: 완충부
121: 체결부 122: 실린더부
130: 프레임부 140: 투하부
150: 수집부 160: 메인분사부
170: 수거함 180: 완충부
Claims (17)
- 일정한 지름과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파이프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파이프부;
일단이 상기 파이프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건축물에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부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
상기 파이프부를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파이프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단이 상기 파이프부의 옆면을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에 연결되어 상기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상기 파이프부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투하부; 및
상기 파이프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를 통해 투하된 상기 소정의 건축재료 및 상기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집부로 투하되는 상기 소정의 건축재료 및 상기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하여 액체로 구성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가 상기 수집부에서 순환되도록 동작시키는 순환부;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상기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이 투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버블 또는 액체를 분사하는 메인분사부; 및
상기 수집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분사부를 통해 유도된 상기 소정의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수거함;
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분사부는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버블을 생산하고 출력하는 분사생산부;와
상기 수집부의 옆면을 관통하며 배치되어 상기 분사생산부로부터 상기 버블을 제공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재;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된 상기 수집부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집부 내에 수용되되 액체로 구성되는 완충부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되는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분사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완충부를 상기 수집부로 주입하는 주입관;
상기 수집부의 외부면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가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주입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순환관; 및
상기 완충부가 상기 수집부, 상기 배출관, 상기 순환관, 상기 주입관, 상기 수집부로 순환되도록 동작시키는 순환펌핑부;
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완충시키면서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을 보호할 수 있는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단에 체결되거나 분리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 하단에 체결되어 위아래로 개폐동작하면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타단에는 상기 개폐부의 타단이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무게추가 체결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회전동작하며 회전에너지를 출력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에너지를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와이어부로부터 상기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위아래로 개폐동작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개폐부를 체결시켜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바디부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은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된 상기 수집부의 옆면에서 상기 메인분사부가 배치된 상기 수집부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단과 하단 사이를 수직으로 왕복동작하면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수집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복수 개의 폭이 좁은 판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상기 레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셔터방식으로 동작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분사부가 분사되는 횡방향으로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를 좌우로 동작시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을 상기 수거함으로 수집시키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에는 상기 수집부와 그라운드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를 통해 수직낙하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를 향해 소정의 버블을 분사하여 수직낙하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의 낙하속도를 낮출 수 있는 버블분사부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수집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수거함을 외부로 인양할 수 있는 인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부는
상기 수거함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동작하는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가 동작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수집부의 상단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형성되는 지지프레임부; 및
상기 수거함과 상기 크레인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인양와이어부;룰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수거함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을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집부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 수직낙하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집부에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가 충진되는 단계;
상기 수집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하되는 재료 및 폐기물의 투하되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버블 또는 액체가 분사되도록 메인분사부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수집부에 충진되되, 액체로 구성되는 완충부가 수집부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순환관을 지나 주입관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다시 수집부로 유입되도록 순환하는 단계;
투하되는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이 상기 버블에 의해 수거함에 수집되는 단계;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이 상기 수거함에 수집되는 것을 마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닫는 단계;
상기 수거함에 수집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이 상기 수거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가 상기 수거함에 체결되는 단계;
상기 수집부의 문을 통해 상기 수거함이 인양되는 단계; 및
상기 수거함에 수집된 상기 재료 및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784A KR101275504B1 (ko) | 2012-01-16 | 2012-01-16 |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784A KR101275504B1 (ko) | 2012-01-16 | 2012-01-16 |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5504B1 true KR101275504B1 (ko) | 2013-06-20 |
Family
ID=4886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784A KR101275504B1 (ko) | 2012-01-16 | 2012-01-16 |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550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385A (ko) * | 2018-10-24 | 2020-05-07 | 배상대 | 건설폐기쓰레기 수거용 기둥형 에어 튜브 투기장치 |
KR102318062B1 (ko) * | 2020-12-14 | 2021-10-27 | 최방현 | 건설현장 폐기물 운반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9557A (ja) * | 1996-02-01 | 1997-08-12 | Tokyu Constr Co Ltd | 建築廃残材の投下装置 |
KR20050015676A (ko) * | 2003-08-07 | 2005-02-21 | 금강환경산업(주) | 건설 폐기물의 골재 세척장치 |
KR100470304B1 (ko) | 2004-10-29 | 2005-03-09 | (주)정방건축사사무소 | 공동 주택 단지 내 쓰레기 수거 시스템 |
KR100958817B1 (ko) | 2006-09-29 | 2010-05-24 | 문상훈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
2012
- 2012-01-16 KR KR1020120004784A patent/KR1012755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9557A (ja) * | 1996-02-01 | 1997-08-12 | Tokyu Constr Co Ltd | 建築廃残材の投下装置 |
KR20050015676A (ko) * | 2003-08-07 | 2005-02-21 | 금강환경산업(주) | 건설 폐기물의 골재 세척장치 |
KR100470304B1 (ko) | 2004-10-29 | 2005-03-09 | (주)정방건축사사무소 | 공동 주택 단지 내 쓰레기 수거 시스템 |
KR100958817B1 (ko) | 2006-09-29 | 2010-05-24 | 문상훈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385A (ko) * | 2018-10-24 | 2020-05-07 | 배상대 | 건설폐기쓰레기 수거용 기둥형 에어 튜브 투기장치 |
KR102190015B1 (ko) * | 2018-10-24 | 2020-12-11 | 배상대 | 건설폐기쓰레기 수거용 기둥형 에어 튜브 투기장치 |
KR102318062B1 (ko) * | 2020-12-14 | 2021-10-27 | 최방현 | 건설현장 폐기물 운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5504B1 (ko) | 재료 및 폐기물의 무분진, 저소음, 고효율의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
CN206636155U (zh) | 一种建筑施工可升降脚手架 | |
CN104372915B (zh) | 动力下置式自动抹墙机 | |
CN206782903U (zh) | 货物装卸平台 | |
CN205857777U (zh) | 一种建筑施工现场作业防护棚 | |
CN207856096U (zh) | 一种消防设备用升降救援装置 | |
CN204570395U (zh) | Crtsiii型板式无砟轨道自密实混凝土灌注装置 | |
CN213895048U (zh) | 一种双暂存提升机 | |
CN211545777U (zh) | 一种建筑施工用物料提升机 | |
CN102785991A (zh) | 一种带定位装置的脱硝催化剂模块起吊装置及起吊方法 | |
CN208898156U (zh) | 一种垃圾池卸料平台防护地锚结构 | |
CN105857959A (zh) | 控制柜运输避震装置 | |
CN206647108U (zh) | 隧道施工平台 | |
CN206903181U (zh) | 一种输送物料更加稳固的脚手架 | |
CN205257520U (zh) | 煤炭集装化装箱系统 | |
CN209493195U (zh) | 电梯井内物料提升装置 | |
CN206447076U (zh) | 运输车厢 | |
CN207295468U (zh) | 预制箱梁支座安装辅助装置 | |
CN102849559B (zh) | 矿用提升绳捕绳、调绳、卡绳综合保护装置 | |
CN207211780U (zh) | 一种建筑用卸料平台 | |
CN102826034A (zh) | 移动式行道树修剪处理装置 | |
CN205802034U (zh) | 控制柜运输避震装置 | |
CN106823186B (zh) | 可移动的货车装卸人员安全防护设备 | |
CN105649351A (zh) | 自爬升防护装置 | |
KR20110019037A (ko) | 고형물체 중량 자체감지 정량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