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740A -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740A
KR20080029740A KR1020070041248A KR20070041248A KR20080029740A KR 20080029740 A KR20080029740 A KR 20080029740A KR 1020070041248 A KR1020070041248 A KR 1020070041248A KR 20070041248 A KR20070041248 A KR 20070041248A KR 20080029740 A KR20080029740 A KR 2008002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d slider
signal line
gn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60Fluid-dynamic spacing of heads from record-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53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head and a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11B21/21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with provision for maintaining desired spacing of head from record carrier, e.g. fluid-dynamic spacing, sl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간의 크로스토크(cross talk)의 영향을 저감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쪽 단부에 자기 헤드 슬라이더가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에 전치 증폭기 IC가 접속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플렉셔)와,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를 접속하는 배선인,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31a)과, 히터를 그라운드에 접속하기 위해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를 접속하는 배선인,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GND선(30a), 그리고 히터 GND선(30a)과 지지부를 접속하는 배선인 GND 접속선(30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HEAD SLIDER SUPPORTING DEVICE AND STORAGE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종래의 테일부에 있어서의 배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일부에 있어서의 배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GND 접속선 부근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GND 접속선 부근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을 액츄에이터 블록에 코킹 고정한 경우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을 액츄에이터 블록에 코킹 고정한 경우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 부근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12는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의 전기적 접속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츄에이터 블록 2 : 서스펜션
3 : 자기 헤드 슬라이더 3a : 슬라이더 기판
3b : 박막 헤드부 4 : FPC
5 : 전치 증폭기 IC 6 : 핀
7 : 지그 8 : 납땜볼
20 : 플렉셔 21 : 베이스 플레이트
22 : 힌지 플레이트 23 및 23a : 로드빔
24 : 절연체 25 : 커버레이
26 : 니켈 도금 30 : 히터 GND선 접속 패드
30a : 히터 GND선 30b : GND 접속선
31 : 히터 신호선 접속 패드 31a : 히터 신호선
40, 41 : 리드 신호선 접속 패드 40a, 41a : 리드 신호선
50, 51 : 라이트 신호선 접속 패드 50a, 51a : 라이트 신호선
61 : MR 소자 62 : 라이트 코일
63 : 히터 저항 64 : 션트 저항
본 발명은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를 접속하는 전송로를 갖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디스크 장치(HDD : Hard Disk Drive)의 기록 밀도의 향상 및 전송 속도의 향상에 따라,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이 곤란해지고 있다. 자기 디스크 장치의 성능 향상의 대책으로서,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부상량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히터 저항을 내장하며, 이 히터 저항을 가열함으로써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부상량을 제어하고, 라이트 신호의 디스크 기록 매체로의 기록 성능 및 디스크 기록 매체로부터의 리드 신호의 판독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부상 제어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종래 기술로서, 재생 소자로의 크로스토크(cross talk) 전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히터 저항이 내장된 자기 헤드 슬라이더가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도 12는 종래의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Preamplifier IC)의 전기적 접속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기판(3a)과 박막 헤드부(3b) 2개로 구성되고, 도체인 서스펜션(2)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박막 헤드부(3b) 내의 MR(Magneto Resistive) 소자(61)는 서스펜션(2) 상에 형성된 리드 신호선(40a 및 41a)을 통해 전치 증폭기 IC(5)의 리드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MR 소자(자기 저항 효과 소자)는 GMR형, TuMR형 등의 고밀도 재생 가능한 MR 소자라도 좋다.
또한, 특허 문헌 1과는 달리 ESD(ElectroStatic Discharge) 대책을 위해, MR 소자(61)는 고저항(수십 KΩ)의 션트 저항(64)을 통해 도체인 슬라이더 기판(3a)에, 박막 헤드부(3b) 내를 관통하는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박막 헤드부(3b) 내의 라이트 코일(62)은 서스펜션(2) 상에 형성된 라이트 신호선(50a 및 51a)을 통해 전치 증폭기 IC(5)의 라이트 전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박막 헤드부(3b) 내의 히터 저항(63)은 서스펜션(2) 상에 형성된 히터 신호선(31a)을 통해 전치 증폭기 IC(5)의 히터 신호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서스펜션(2) 상에 형성된 히터 GND선(30a)을 통해 전치 증폭기 IC(5)의 히터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과는 달리, ESD 대책을 위해, 히터 저항(63)의 그라운드 접속단은 MR 소자(61)와 동일하게, 박막 헤드부(3b) 내를 관통하는 도체에 의해 슬라이더 기판(3a)에 접속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9755호 공보 (미국 특허 제2006/0056110호 명세서)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제8-11101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16127호 공보 (미국 특허 제2005/0078416호 명세서)
[특허 문헌 4] 미국 특허 제2003/0128474호 명세서
[특허 문헌 5] 미국 특허 제2004/0070880호 명세서
[특허 문헌 6] 미국 특허 제2005/0195528호 명세서
[특허 문헌 7] 미국 특허 제7,006,330호 명세서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모터 회전이나 외부로부터의 전파 등에 기인하여 디스크 기록 매체를 통해 전파되는 노이즈(외란 노이즈)는 HDD 동작시의 디스크 기록 매체와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간격이 나노 오더로 좁기 때문에 용이하게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전파된다. 나아가서, HDD의 리드시, 이 외란 노이즈는 슬라이더 기판(3a), 히터 GND선(30a), 전치 증폭기 IC(5), 전치 증폭기 IC의 그라운드의 경로로 전파된다.
또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로부터 전치 증폭기 IC까지의 선 길이가 수십 ㎜의 길이이므로, 히터 GND선(30a)으로부터 리드 신호(40a 및 41a)로의 크로스토크에 의해, 리드 신호에 외란 노이즈가 중첩되어, HDD의 에러율(error rate)의 열화를 초래한다.
이 외란 노이즈의 대책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서스펜션(2)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와는 별도로, 슬라이더 기판(3a)과 서스펜션(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접착제를 부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도전 접착제의 저항치가 수백 Ω로 높고, 또한 도전 접착제의 접속성이 나쁘기 때문에, 충분한 그라운드 접속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나아가서, 도전 접착제를 부가함으로써, 서스펜션이 변형되어 서스펜션의 기계적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종래 기술로서, 서스펜션(2)과 슬라이더 기판(3a)을 접속하기 위한 전용 패드를 설치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가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내지 7 참조).
그러나, 최근의 HDD는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로드·언로드 기구를 채용하고 있으며, 로드·언로드 기구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액츄에이터의 관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서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저부상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사이즈는 종래보다 더욱 작고 경량으로 되고 있다. 또한,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접속하는 신호선의 개수는 부상 제어 방식에서는 없는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4 라인(리드 배선 및 라이트 배선, 각 2 라인)으로부터 6 라인(히터 배선 2 라인을 추가)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소형화와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동시에 채용하면,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신호선 접속 패드의 폭 및 간격이 종래보다도 더욱 좁아지며, 또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특허 문헌 2 내지 7과 같은 기술을 채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으로 진술한 바와 같이,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사용한 경우의 외란 노이즈에 대해 유효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배선 간의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저감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기 위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 는 절연부와, 상기 히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과, 상기 히터 소자와 그라운드 전위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용 GND선, 그리고 이 히터용 GND선과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인 GND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소자의 GND 접속단은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양단자가,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고저항을 통해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GND 접속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GND 접속부는 지그 및 다른 부품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라이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리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리드 신호선, 그리고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라이트 신호선 및 리드 신호선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라이트 신 호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리드 신호선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유지부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히터 신호선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롱테일 서스펜션에 있어서의 테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의 단측 방향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측 방향으로, 상기 라이트 신호선,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리드 신호선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상기 히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히터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라이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리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리드 신호선, 그리고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라이트 신호선 및 리드 신호선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라이트 신호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리드 신호선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유지부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히터 신호선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의 제어를 행하는 헤드 제어 장치와, 상기 헤드부가 설치된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헤드 슬라이더와 상기 헤드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과, 상기 히터를 그라운드를 향해 접속하는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용 GND선, 그리고 이 히터용 GND선과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인 GND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기억 장치)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액츄에이터 블록(1)에는, 서스펜션(2)과 FPC(Flexible Printed Circuit)(4)가 실장되어 있다. 자기 헤드 슬라이더(3)는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이며, 접착제에 의해 서스펜션(2)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FPC(4)에는 전치 증폭기 IC(5)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전치 증폭기 IC는 일반적으로 신호의 증폭 회로(증폭기) 뿐만 아니라, 헤드 선택을 위한 헤드 선택 회로나, 히터로의 전류 제어 회로 등이 포함되어 있고, MPU(Micro Processing Unit)나 HDC(Hard Disk Controller) 등의 제어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헤드의 제어를 행하는 헤드 제어 장치(헤드 IC)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FPC(4) 상에 형성된 전치 증폭기 IC(5)의 신호선과 서스펜션(2) 상에 형성된 신호선은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 경로를 통해 전치 증폭기 IC(5)와 자기 헤드 슬라이더(3)는 접속되어 있다. 도체인 액츄에이터 블록(1)과 FPC(4) 상에 형성된 전치 증폭기 IC(5)의 그라운드는 납땜 등에 의해 액츄에이터 블록(1)으로부터 돌출된 핀(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체인 서스펜션(2)은 코킹에 의해 액츄에이터 블록(1)에 고정되어 있고, 전치 증폭기 IC(5)의 그라운드와 서스펜션(2)은 액츄에이터 블록(1)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블록(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다. 각각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사이에는 디스크 기록 매체가 삽입되어 회전한다. 액츄에이터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디스크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목표 트랙으로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자기 헤드 슬라이더(3)는 슬라이더 기판(3a)과 박막 헤드부(3b) 2개로 구성된다. MR 소자(61), 라이트 코일(62), 히터 저항(63), 션트 저항(64), 리드 신호선 접속 패드(40 및 41), 라이트 신호선 접속 패드(50 및 51), 히터 신호선 접속 패드(31), 히터 GND선 접속 패드(30)는 슬라이더 기판(3a) 상의 박막 헤드부(3b)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와 동일하게, 이들을 접속하는 도체, 슬라이더 기판(3a)과 히터 저항(63) 및 션트 저항(64)을 접속하는 도체도 박막 헤드부(3b)에 적층되어 형성된다. 또한, MR 소자(61), 라이트 코일(62), 히터 저항(63)은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부상면측(디스크 기록 매체와 상대하는 측)에 일체화되어 배치되어 있다. 박막 헤드부(3b)에 있어서, MR 소자(61)는 리드 신호선 접속 패드(40 및 41)에 접속되며, 라이트 코일(62)은 라이트 신호선 접속 패드(50 및 51)에 접속되고, 히터 저항(63)은 히터 GND선 접속 패드(30) 및 히터 신호선 접속 패드(31)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더 기판(3a)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나 탄화 티탄이며, 도전재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2)에서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3)와 전치 증폭기 IC(5)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전치 증폭기 IC 간의 전기적 접속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2와 동일한 부호는 도 12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면은 도 12와 비교하면, 히터 GND선(30a)과 서스펜션(2)의 부품인 플렉셔를 접속하는 GND 접속선(30b)을 새로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 도면은 서스펜션(2) 전체의 구조를 도시한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서스펜션(2)에 자기 헤드 슬라이더(3)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서스펜션(2)의 부품인 플렉셔(20)의 형상을 도시한다. 플렉셔(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1), 힌지 플레이트(22) 및 로드빔(23)이 레이저 스폿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렉셔(20) 상에는, 절연체(24), 리드 신호선(40a 및 41a), 라이트 신호선(50a 및 51a), 히터 신호선(31a), 히터 GND선(30a) 및 커버레이(25)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 셔(20), 베이스 플레이트(21), 힌지 플레이트(22), 로드빔(23)의 재질은 스테인리스이다. 또한, 신호선의 재질은 구리이고, 절연체(24)의 재질은 폴리이미드이며, 커버레이(25)의 재질은 폴리이미드 혹은 에폭시이다. 서스펜션(2)을 액츄에이터 블록(1)에 조립할 때는 베이스 플레이트(21)를 액츄에이터 블록(1)에 코킹으로 고정한다. 또한, FPC(4) 상에 형성된 전치 증폭기 IC(5)의 신호선과 플렉셔(20) 상에 형성된 신호선을 납땜 등에 의해 서로 접속되기 때문에, 플렉셔(20)는 파선(2b)을 따라 90°절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2)은 롱테일 서스펜션이며, 테일부[도 4에 있어서 힌지 플레이트(22)로부터 좌측에 있는 플렉셔(20)의 부분]가 길다. 또한, 힌지 플레이트(22) 부근에, GND 접속선(30b)의 역할을 수행하는 니켈 도금(26)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일부의 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의 테일부에서의 배선과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일부에서의 배선을 비교한다. 도 6은 종래의 테일부에서의 배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한 부호는 도 4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플렉셔(20) 상에 절연체(24)가 형성되고, 절연체(24) 상에, 히터 GND선(30a), 히터 신호선(31a), 리드 신호선(40a 및 41a), 라이트 신호선(50a 및 51a)의 패턴이 형성되며, 이들의 패턴 상에 커버레이(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면은 종래의 테일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치는 히터 신호선(31a)과 라이트 신호선(51a)이 근접하고 있는 것 으로 인해, 라이트 시에, 라이트 신호선(51a)의 크로스토크가 히터 신호선(31a)을 통해 전파하여, MR 소자(61)에 손상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일부에서의 배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6과 동일한 부호는 도 6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면은 도 4에서의 테일부의 단면인 단면 2a를 도시한다. 도 7의 배선은 히터 GND선(30a)과 히터 신호선(31a)의 간격보다, 히터 신호선(31a)과 라이트 신호선(51a)의 간격 및 히터 GND선(30a)과 리드 신호선(40a)의 간격쪽이 길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히터 GND선(30a)과 플렉셔(20)를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으로 접속함으로써, 액츄에이터 블록(1)이 히터 GND선(30a)를 대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으로부터 전치 증폭기 IC(5)까지의 히터 GND선(30a)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으로부터 전치 증폭기 IC(5)까지의 히터 GND선(30a)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전치 증폭기 IC(5)로부터 히터 그라운드를 삭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히터 배선과 리드 배선[리드 신호선(40a 및 41a)]의 간격 및 히터 배선과 라이트 배선[라이트 신호선(50a 및 51a)]의 간격이, 히터 배선[히터 GND선(30a), 히터 신호선(31a)]의 거리보다 길게 됨으로써, 라이트 시에 라이트 신호로부터 리드 신호로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GND 접속선(3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GND 접속선(30b) 부근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 조도이다. 이 도면은 도 4에서,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의 위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GND 접속선(30b) 부근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도 8에서의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 부근의 단면을 도시한다. 절연체(24)에는 도 8에서의 GND 접속선(30b)의 위치에서 직경이 200 ㎛ 이하인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니켈 도금(26)은 이 구멍을 통해 히터 GND선(30a)과 플렉셔(20)[서스펜션(2)에 있어서의 도체]를 접속하고 있다. 이 경우의 히터 GND선(30a)과 플렉셔(20)의 접속은 1Ω 이하의 저저항이 되며, 히터 GND선(30a)과 플렉셔(20)의 접속성은 매우 좋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히터 GND선(30a)을 리드 배선[리드 신호선(40a 및 41a)]측에 배치하고, 히터 신호선(31a)을 라이트 배선[라이트 신호선(50a 및 51a)]측에 배치했지만, 히터 GND선(30a)을 라이트 배선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GND 접속선(30b)을 복수 설치하여, 히터 GND선(30a)과 플렉셔(20)를 복수 부위에서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GND 접속선(30b) 외에, 슬라이더 기판(3a)과 서스펜션(2)을 도전 접착제로 접속하는 방법을 병용하여도 좋다.
GND 접속선(30b)을 설치함으로써, 1Ω 이하의 저저항에 의해 부상 제어 방식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서스펜션을 접속하여 외란 노이즈를 그라운드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리드 시의 외란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GND 접속선(30b)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의 위치가 자기 헤드 슬라이더(3)에 가까울 수록, 노이즈 저감 효과는 높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GND 접속선(30b)[니켈 도 금(26)]의 위치는 이하와 같은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제조시에 서스펜션(2)을 액츄에이터 블록(1)에 코킹 고정하는 것에 의한 제약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2)을 액츄에이터 블록(1)에 코킹 고정하는 경우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도 1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서스펜션(2)을 액츄에이터 블록(1)에 코킹 고정하는 경우, 지그(7)가 각각의 서스펜션(2)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의 서스펜션(2)을 고정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2)을 액츄에이터 블록(1)에 코킹 고정하는 경우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3) 부근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6과 동일한 부호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대상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각 신호선 접속 패드와 서스펜션(2)의 각 신호선은 납땜볼(8)에 의해 접속된다. 납땜볼(8)은 금볼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는 로드·언로드 기구를 채용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언로드 시에 레일에 서스펜션(2)을 유지하기 위한 로드빔(23a)을 갖는다.
로드빔(23a)의 추가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관성 증가와 저부상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사이즈는 종래보다 작아지고 있다(종래의 피코미터 오더로부터 펨토미터 오더로 변경되어 있음). 이 때문에,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각 신호선 접속 패드의 폭 및 간격이 좁아져, 자기 헤드 슬라이더(3) 부근에서 히터 GND선(30a)을 로드빔(23a) 방향으로 인출하고 플렉셔(20)와 접속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지그(7)가 삽입되는 위치에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이 배치되면, 지그(7)가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에 손상을 부여할 우려가 있으므로, 니켈 도금(26)은 지그(7)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GND 접속선(30b)[니켈 도금(26)]이 지그(7)나 다른 부품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니켈 도금이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서스펜션의 기계적 특성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스페이스에서, 될 수 있는 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3)에 가까운 장소에[서스펜션(2)의 중점보다 자기 헤드 슬라이더(3)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는 실시예에서의 서스펜션(2)에 대응한다. 또한, 지지부는 실시예에서의 플렉셔(20)에 대응한다. 또한, 절연부는 실시예에서의 절연체(24)에 대응한다. 또한, 접속부는 실시예에서의 GND 접속선(30b)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는 기억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기억 장치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기억 장치에는, 예컨대 자기 디스크 장치 등이 포함된다.
(부기 1)
적어도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기 위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상기 히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과,
상기 히터 소자와 그라운드 전위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용 GND선과,
상기 히터용 GND선과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인 GND 접속부
를 포함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소자의 GND 접속단은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3)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양단자가,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고저항을 통해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4)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GND 접속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5)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GND 접속부는 지그 및 다른 부품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6)
부기 1 내지 부기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라이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리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리드 신호선과,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라이트 신호선 및 리드 신호선을 유지하는 유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라이트 신호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리드 신호선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유지부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히터 신호선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7)
부기 6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롱테일 서스펜션에서의 테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8)
부기 6 또는 부기 7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의 단측 방향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9)
부기 8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측 방향으로, 상기 라이트 신호선,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리드 신호선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10)
적어도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상기 히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히터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라이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리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리드 신호선과,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라이트 신호선 및 리드 신호선을 유지하는 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라이트 신호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리드 신호선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유지부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히터 신호선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롱테일 서스펜션에서의 테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12)
부기 10 또는 부기 11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의 단측 방향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13)
부기 12에 기재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측 방향으로, 상기 라이트 신호선,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리드 신호선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부기 14)
헤드부의 제어를 행하는 헤드 제어 장치와,
상기 헤드부가 설치된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헤드 슬라이더와 상기 헤드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과,
상기 히터를 그라운드를 향해 접속하는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용 GND선과,
상기 히터용 GND선과 상기 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인 GND 접속부
를 포함하는 기억 장치.
(부기 15)
부기 14에 기재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GND 접속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부기 16)
부기 14 내지 부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GND 접속부는 지그 및 다른 부품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부기 17)
부기 14 내지 부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라이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리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리드 신호선과,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라이트 신호선 및 리드 신호선을 유지하는 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라이트 신호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히터 신호선과 상기 리드 신호선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유지부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서 상기 히터 신호선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부기 18)
부기 17에 기재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롱테일 서스펜션에서의 테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부기 19)
부기 17 또는 부기 18에 기재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유지부의 단측 방향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부기 20)
부기 19에 기재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측 방향으로, 상기 라이트 신호선, 상기 히터 신호선, 상기 리드 신 호선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가 부착된 헤드 슬라이더를 탑재한 기억 장치의 리드 동작시 또는/및 라이트 동작시의 배선 간의 크로스토크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고밀도 기록화를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적어도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기 위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상기 히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과,
    상기 히터 소자와 그라운드 전위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인,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용 GND선과,
    상기 히터용 GND선과 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인 GND 접속부
    를 포함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소자의 GND 접속단은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자기 저항 효과 소자의 양단자가,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고저항을 통해 헤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기판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GND 접속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5. 적어도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헤드 슬라이더를 유지하기 위한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로서,
    상기 히터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히터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라이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신호선과,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리드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인 적어도 하나의 리드 신호선과,
    상기 히터 신호선, 라이트 신호선 및 리드 신호선을 유지하는 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 신호선과 라이트 신호선 사이의 거리와, 히터 신호선과 리드 신호선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지부에 있는 소정의 영역에서 히터 신호선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롱테일(long tail) 서스펜션에서의 테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7. 헤드부의 제어를 행하는 헤드 제어 장치와,
    상기 헤드부가 설치된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접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상기 헤드 슬라이더에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 헤드 슬라이더와 헤드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 신호선과,
    상기 히터를 그라운드를 향해 접속하는 배선인, 상기 절연부에 접하는 히터용 GND선과,
    상기 히터용 GND선과 지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인 GND 접속부
    를 포함하는 기억 장치.
KR1020070041248A 2006-09-28 2007-04-27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 KR20080029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4817 2006-09-28
JP2006264817A JP2008084466A (ja) 2006-09-28 2006-09-28 ヘッドスライダ支持装置、記憶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740A true KR20080029740A (ko) 2008-04-03

Family

ID=3925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48A KR20080029740A (ko) 2006-09-28 2007-04-27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80096A1 (ko)
JP (1) JP2008084466A (ko)
KR (1) KR20080029740A (ko)
CN (1) CN1011543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485A (ja) * 2005-05-24 2006-12-07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磁気ヘッドスライダ及び磁気ヘッドアセンブリ
JP2007287190A (ja) * 2006-04-12 2007-11-0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薄膜磁気ヘッド
CN101588675B (zh) * 2008-05-23 201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柔性印刷线路及其制造方法
US8049984B2 (en) * 2008-12-04 2011-11-01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Integrated slider bias control
CN107877350A (zh) * 2017-11-13 2018-04-06 郑州法图曼工具磨具有限公司 一种磨料流加工的夹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7687B2 (ja) * 2004-06-22 2008-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回路付サスペンション基板の製造方法
US7199982B2 (en) * 2004-07-30 2007-04-03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Eliminating ESD exposure for read/write head with heating element
JP2006079775A (ja) * 2004-09-13 2006-03-23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磁気ヘッドスライ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84466A (ja) 2008-04-10
CN101154391A (zh) 2008-04-02
US20080080096A1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351B1 (en) Magnetic head suspension
US7027264B1 (en) Slider with a slider ground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write head poles and read head shields
US5754369A (en) Head suspension with self-shielding integrated conductor trace array
US6826016B2 (en) Head suspension assembly and magnetic disk apparatus comprising the head suspension assembly
US7609482B2 (en) Magnetic head slider supporting device including conductor for reducing crosstalk between lines
JP5711947B2 (ja) ディスク装置用フレキシャ
US20090207529A1 (en) Flexible printed cable, head stack assembly with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064513B1 (en) Disk drive suspension assembly with flexure having dual conductive layers with staggered traces
US20100277835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agnetic head dr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727298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ヘッド・アセンブリ
JP2000195023A (ja) ヘ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及び同アセンブリを搭載した磁気ディスク装置
US11646056B2 (en) Disk device with improved connectivity
KR20080029740A (ko) 헤드 슬라이더 지지 장치 및 기억 장치
JP200223701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用サスペンションの配線部材
JP2012119031A (ja) ヘッドジンバルアッセンブ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US9396747B2 (en) Interleave circuit of conductive circuit portion of disk drive flexure
JP2019008861A (ja) サスペンション/fpc接続の高信頼性構造
CN114203211A (zh) 盘装置
JP4923295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5637667B2 (ja) 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
US9036306B1 (en) Grounding for a hard disk drive suspension tail
US11869543B2 (en) Disk device with heat dissipation layer to suppress excessive heating
JP6402539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基板、素子付サスペンション用基板、サスペンション、ヘッド付サスペンション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WO2009003318A1 (en) Suspension design for high shock performance soldering ball bonding
JP6249320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基板、サスペンション、ヘッド付サスペンション、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10090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69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10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