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601A -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601A
KR20080029601A KR1020060096433A KR20060096433A KR20080029601A KR 20080029601 A KR20080029601 A KR 20080029601A KR 1020060096433 A KR1020060096433 A KR 1020060096433A KR 20060096433 A KR20060096433 A KR 20060096433A KR 20080029601 A KR20080029601 A KR 20080029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ber
tag
digital object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293B1 (ko
Inventor
이형규
한종욱
정교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293B1/ko
Priority to PCT/KR2007/004642 priority patent/WO2008038962A1/en
Priority to US12/443,367 priority patent/US20100241626A1/en
Publication of KR2008002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3Content authoring by describing the content as an MPEG-21 Digital I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CyberTAG),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이버 태그(CyberTAG)는, 영상 콘텐츠(contents) 및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를 식별하여,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와 연동시키는 태그 ID 필드(field);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display) 시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는 위치를 식별시키는 객체 생성 위치 필드;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디지털 객체가 나타나는 시간을 식별시키는 시간 필드; 및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어 소멸하기까지 위치 이동을 추적하는 보정값 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에 디지털 객체에 관한 부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동시켜 사용자에게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사이버 태그, CyberTAG,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상 콘텐츠, 디지털 객체, 방송/통신 융합기술

Description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CyberTAG, contents displayer, method and system for the data services based on digital objects within the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태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이버 태그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사용자에게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각 분야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태그의 활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CyberTAG),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 게는 다양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방송 또는 배포된 영상 콘텐츠 내에 포함된 여러 객체 정보를 식별하고, 이를 응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정의한 사이버 태그와 그 적용 장치, 방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일환으로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를 융합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방송/통신 융합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척하기 위한 시도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가까운 장래에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 어떤 단말을 이용하더라도 네트워크 자원 및 정보를 획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방송을 시청하거나 PC를 통해 동영상 및 사진을 접하는 사용자들은 그러한 영상 콘텐츠 내에 포함된 여러 디지털 객체(사람, 물건, 상품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얻고 싶어한다. 이러한 정보는 파일이나 시스템 용량 등 여러 제약 요인에 의해 영상 콘텐츠에 함께 포함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객체 정보를 식별하여 부가 정보가 있는 곳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현재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사이버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는 없으며, 콘텐츠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현재의 기술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이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방송 콘텐츠는 다양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 데이터는 MPEG이나 JPEG등과 같은 동영상 및 정지 영상 데이터 처리기술들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이하 기존 MPEG 관련 기술 중에서 MPEG 4, MPEG 7, MPEG 21에 대해 살펴본다.
MPEG 4 기술은 낮은 전송률로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1998년 개발된 표준이다. MPEG 4 기술은 64 kbps나 192 kbps의 느린 환경에서도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를 객체(Object) 단위로 구분하여 원하는 객체만 전송하거나 중요도가 높은 객체만 전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MPEG 4 기술은 인터넷 유선망과 이동 통신망 등 무선망에서 멀티미디어 통신, 화상 회의 시스템, 컴퓨터, 방송, 영화, 교육, 원격 감시 등의 분야에 사용된다. DivX, XviD, 3ivX 등에서 언급되는 mpeg-4가 바로 이 MPEG 4에서 데이터 압축/복호 부분만을 떼어서 언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MPEG 4 기술의 핵심은 이 압축이 아니라 전술한 객체 단위의 분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MPEG 4에서는 객체의 부가 정보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MPEG 7은 지금까지의 MPEG 1, 2, 4와는 달리 부호화 코딩(coding)의 개념이 아닌 정보 검색을 위한 내용 표현의 표준화이다. MPEG 7 기술은 키워드를 입력해 필요한 문서를 찾는 것처럼 물체의 색상, 모양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웹상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MPEG 7에서는 멀티미디어 정보인 음성 및 영상 데이터 또는 이의 복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의 색, 재질, 물체의 크기, 화상 내의 물체, 배경 및 복합된 물체 등을 탐색하고 찾기 위한 표현 방식에 관한 표준을 마련하였다. 여기서 화상 정보는 정지 화상, 그래픽, 오디오 및 동화상을 포함한다.
실제 오디오 분야의 활용 예를 들면, 부분 멜로디를 입력할 경우에 이와 유사하거나 이를 포함한 음악 파일을 찾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픽 분야의 예로는 도형을 입력하면 이와 유사하거나 이 도형이 포함된 그래픽이나 로고 등을 찾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물 분야의 예로는 물체, 색깔 및 재질, 또는 동작 등을 입력하거나 시나리오의 일부를 묘사하면 이를 포함한 영상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MPEG 7 기술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편집,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영상 및 음악 사전 분류, 멀티미디어 서비스 안내, 라디오나 TV 등의 방송 미디어의 선택, 의학 정보 관리, 쇼핑 정보 탐색, 지리 정보 시스템(GIS)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하지만 MPEG 7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자체의 검색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일 뿐,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가 가지는 정보에 대한 검색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MPEG 21은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거래하기 위한 국제 표준을 정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독립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을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및 유통의 전 과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일관된 국제 표준을 정하는 중이다.
현재 MPEG 21은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이라고 불리며, 마이크로 소 프트 등의 회사에서 연구되고 있는 분야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을 만드는 것이 그 목적이다. 따라서, MPEG 21은 콘텐츠 자체의 유통에 대한 관리 구조(framework)이며, 콘텐츠 내의 객체 정보에 대한 관리 구조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기존의 동영상 관련 기술들은 동영상 자체에 대한 편집, 검색, 유통 등에 대한 기술 표준들을 다루고 있으나, 동영상 내의 객체들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다룰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 또는 유포되는 동영상이나 사진 등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이버 태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수많은 디지털 객체들이 지니는 정보에 대한 유통을 위해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 상에 사이버 태그를 삽입하는 인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버 태그를 이용한 정보유통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사이버 태그(CyberTAG)는, 영상 콘텐츠(contents) 및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를 식별하여,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와 연동시키는 태그 ID 필드(field);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display) 시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는 위치를 식별시키는 객체 생성 위치 필드;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디지털 객체가 나타나는 시간을 식별시키는 시간 필드; 및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어 소멸하기까지 위치 이동을 추적하는 보정값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는, 영상 콘텐츠(contents)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이버 태그(CyberTAG)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browser);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여 식별하는 사이버 태그 처리부; 및 사이버 태그 처리 모듈에서 식별된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사이버 태그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영상 콘텐츠(contents)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이버 태그(CyberTAG)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객체 선택 단계;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여 식별하는 사이버 태그 처리 단계; 사이버 태 그 처리 단계에서 식별된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서버 연동 단계; 및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객체 정보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이버 태그(CyberTAG)를 영상 콘텐츠(contents)에 삽입하는 인코더; 사이버 태그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object)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요청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태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사이버 태그(CyberTAG)는 태그 ID 필드(field)(110), 객체 생성 위치 필드(120), 시간 필드(130) 및 보정값 필드(140)를 포함한다.
태그 ID 필드(110)는 영상 콘텐츠(contents) 및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를 식별하여,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와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태그 ID 필드(110)는 현재 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콘텐츠를 식별시키는 콘텐츠 ID 필드(111),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를 식별시키는 객체 ID 필드(112), 및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 주는 정보 서버 주소 필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생성 위치 필드(120)는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display) 시에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는 위치, 즉 처음으로 화면상에 나타나는 위치를 식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영상 콘텐츠는 IPTV 등을 통하여 방송 또는 유포되는 동영상과 사진 등과 같은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은 동영상을 사용자의 화면상에 방송, 재생 또는 상영하는 것과 정지 영상을 사용자의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객체 생성 위치 필드(120)는 화면상에서 디지털 객체의 가로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로 좌표 필드(121) 및 디지털 객체의 세로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세로 좌표 필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좌표 필드(121)는 화면상 임의로 구분한 단위 픽셀(pixel)의 과반수에 표현된 부분에 대하여 가로축의 시작 좌표와 끝 좌표로 표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좌표 필드(122)는 화면상 임의로 구분한 단위 픽셀(pixel)의 과반수에 표현된 부분에 대하여 세로축의 시작 좌표와 끝 좌표로 표현할 수 있다.
시간 필드(130)는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화면상에 디지털 객체가 나타나는 시간을 식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 필드(130)는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생성 시각 필드(131), 및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디지털 객체가 소멸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소멸 시각 필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값 필드(140)는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화면상에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어 소멸하기까지의 위치 이동을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버 태그에서 객체의 생성 시점과 소멸 시점을 기준으로 객체의 보정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동영상의 압축 방식 때문이다. MPEG 등의 압축 방식은 화면의 기준 참조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크게 변하지 않은 경우, 기준 참조 영상 프레임과 변경된 데이터의 차분을 부호화해서 압축의 효율성을 높인다.
따라서 사이버 태그는 압축되는 동영상의 기준 참조 영상 프레임에서 디지털 객체가 시작되는 데이터에 차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이버 태그를 작성 및 부호화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이버 태그의 보정값을 이용할 때, 보간법 등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화면의 단위 픽셀은 매우 작기 때문에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객체의 전체 위치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정확도에는 크게 영향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보정값 필드(140)는 화면상에서 디지털 객체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벡터 필드(141), 및 화면상에서 디지털 객체가 소멸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 소멸 위치 필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값 필드(140)내의 방향 벡터 필드(141)는 객체의 중심 위치가 화면의 생성시부터 종료시까지 이동하는 대체적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계산되는 필드로서 객 체 중심 위치의 (가로 이동 픽셀 수, 세로 이동 픽셀 수)로 나타낸다. 이때 오른쪽은 플러스(+), 왼쪽은 마이너스(-)로 표시하고, 단위 픽셀의 과반수로 이동한 경우만 계산에 포함한다.
보정값 필드(140) 내의 객체 소멸 위치 필드(142)는 화면상에서 디지털 객체가 소멸하는 시점의 객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가로 좌표 필드(143)와 세로 좌표 필드(144)로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이버 태그의 필드들은 필요에 따라 그 일부만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한 필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정지 화상인 경우, 시간에 따른 위치 이동을 나타낼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 필드(230) 및 보정값 필드(240)은 사용할 필요가 없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이버 태그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화면(250)에 나타난 디지털 객체 중 사람(260)을 표시하기 위하여 객체 ID 필드(212)에 객체의 지정된 번호(예:567)가 할당되었다. 이 객체가 포함된 영상 콘텐츠가 영화라고 가정하고, 사이버 태그의 정보 서버와 연동하기 위해 콘텐츠 ID 필드(211)에 영화 제목을 표시할 수 있는 ID(예:1234)가 할당되었다.
화면(250)은 가로축과 세로축이 미리 정한 단위 픽셀로 나뉘어 있다. 사람(260)이 등장하는 위치는 7부터 10까지의 가로축 상의 단위 픽셀의 과반수를 차지하므로 가로 좌표(221)에 (7,10)이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세로 좌표(222)에는 (1,9)가 표시된다.
또한 디지털 객체인 사람(260)이 상영 후 20초에 나타났다가 상영 후 30초에 소멸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생성 시각 필드(231) 및 소멸 시각 필드(232)에 해당하는 시각이 표시된다.
화면(250)의 사람이 생성 시점의 사람(260)에서 소멸 시점의 사람(270)까지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화면(250) 내에서 사람의 중심 위치가 왼쪽으로 6 단위 픽셀만큼(271), 위쪽으로 3 단위 픽셀만큼(272) 이동했기 때문에 방향 벡터 필드(241)에 -(6,3)으로 표시되었다. 그리고 소멸 시점의 사람(270) 위치가 가로 좌표(243) 및 세로 좌표(244)에 각각 (2,4), (5,10)으로 표시된다.
사이버 태그의 활용 예로서, 만일 사용자가 상영 후 20초에 나타났다가 상영 후 30초 사이에 사람(260, 270)의 이동 경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하려고 한 디지털 객체를 나타내는 사이버 태그를 찾아서 정보 서버 주소 필드(213)에 표시된 IP 주소로 부가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해당 IP 주소에 있는 정보 서버가 사용자가 선택한 사람에 대한 인물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보내주게 된다.
또 다른 활용 예로서, 만일 사용자가 다른 디지털 객체인 가방(280)을 선택한 경우, 가방(270)의 브랜드, 모델명, 크기, 무게 등의 제품 정보와 구입처, 가격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다른 디지털 객체인 꽃(290)을 선택한 경우도 필요한 부가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다.
도 2에서는 동영상을 예로 들었으나, 정지 영상의 경우에는 시간 필드 및 보정값 필드의 데이터를 제외한 사이버 태그를 사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300)은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browser)(310), 사이버 태그 처리부(320) 및 사이버 태그 통신부(330)를 포함한다.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310)는 우선 사이버 태그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340)를 디코딩하여 출력 장치(352)를 통하여 사용자(350)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입력 장치(351)를 통하여 이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에 대한 사용자(350)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또한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사용자(350)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역할도 한다.
사이버 태그 처리부(320)는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여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버 태그 처리부(320)는 선택 순간 계산 모듈(321), 사이버 태그 검색 모듈(322) 및 사이버 태그 식별 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순간 계산 모듈(321)은 영상 콘텐츠의 전체 디스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객체를 선택하는 순간을 계산한다. 그러면 사이버 태그 검색 모듈(322)에서 계산된 선택 순간을 기준으로 역으로 상기 영상 콘텐츠 내의 사이버 태그를 검색한다. 이에 해당하는 사이버 태그들이 검색되면, 사이버 태그 식별 모듈(323)은 검색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 보정값 등을 이용하여 사용 자(350)가 선택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식별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버 태그 처리부(320)는 영상 콘텐츠의 기준 영상 프레임에 차분 데이터를 가감하는 방식으로 사이버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사이버 태그의 보정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사이버 태그 통신부(330)는 사이버 태그 처리부(320)에서 식별된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350)가 선택한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360)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버 태그 통신부(330)는 식별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콘텐츠 ID, 객체 ID 및 정보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정보 서버(360)에 질의하고, 정보 서버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에게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화면상의 어떤 객체를 선택하면 콘텐츠 ID와 객체 ID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ID와 객체 ID를 사이버 태그로부터 구해내게 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된 객체의 부가 정보를 얻는다.
이하 각 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310)가 사이버 태그(CyberTAG)가 삽입된 상기 영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410).
다음으로 사용자가 영상 콘텐츠를 보다가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310)를 통해 객체를 선택하면(S420), 사이버 태그 처리부(320)에서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여 식 별한다(S430 내지 S450).
바람직하게는, 영상 콘텐츠의 전체 디스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선택하는 순간을 계산하고(S430), 이렇게 계산된 선택 순간을 기준으로 영상 콘텐츠 내의 사이버 태그를 역으로 검색한다(S440). 그리고 검색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보정값)를 이용하여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식별한다(S440).
다시 설명하면, 순차적으로 검색한 사이버 태그에서 객체 위치와 보정값들을 이용해 해당 사이버 태그를 찾아내는 것이다. 즉, 객체가 화면상에서 이동 중인 경우, 검색된 사이버 태그의 객체 생성 위치 필드와 보정값 내의 객체 소멸 위치 필드 및 방향 벡터 필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이버 태그를 식별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이버 태그 통신부(330)에서 식별된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에 질의한다(S470). 이때 정보 서버의 주소는 사이버 태그의 정보 서버 주소 필드로부터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버 태그 통신부(330)는 정보 서버로부터 부가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470).
마지막으로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310)는 이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사이버 태그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S480).
도 5는 각 분야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태그의 활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사이버 태그 기술은 크게 콘텐츠의 인코딩/디코딩 분야, 객체에 대한 브라우징 기능을 갖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분야, 사이버 태그 식별을 통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태그 정보 서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일단 콘텐츠 제작자(510)는 영상 콘텐츠에 사이버 태그를 삽입하는 인코더를 이용하여 사이버 태그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콘텐츠 제공자(520) 및 콘텐츠 정보 제공자(530)에게 공급한다.
콘텐츠 사용자(540)는 콘텐츠 제공자(520)로부터 사이버 태그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도 3에서 설명한 콘텐츠 재생 장치(5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관심있는 디지털 객체를 선택하기도 한다.
콘텐츠 사용자(540)가 디지털 객체를 선택하면, 콘텐츠 재생 장치(550)는 컨텐츠 정보 제공자(530) 측의 정보 서버에 질의/응답하여 원하는 부가 정보를 얻는다.
도 5의 예에서 콘텐츠 제작자(510), 콘텐츠 제공자(520) 및 콘텐츠 정보 제공자(530)를 각각 도시하였으나, 한 회사 또는 단체에서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에 디지털 객체에 관한 부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 제공자가 실제 CF를 통하지 않고도 다양한 제품에 대한 광고 사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홈쇼핑 등의 판매 전략도 단일 제품 위주에서 사이버 전시관 동영상 등을 통하여 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 홍보 및 판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사업자의 경우 객체에 사이버 태그를 삽입하는 대가로 디지털 객체가 가리키는 제품이나 정보의 소유주에게 일정한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사이버 태그 기술은 기존의 방송 기술에 정보를 결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방송/통신 융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영상 콘텐츠(contents) 및 상기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를 식별하여, 상기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와 연동시키는 태그 ID 필드(field);
    상기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display) 시 상기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는 위치를 식별시키는 객체 생성 위치 필드;
    상기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상기 디지털 객체가 나타나는 시간을 식별시키는 시간 필드; 및
    상기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상기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어 소멸하기까지 위치 이동을 추적하는 보정값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CyberTAG).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ID 필드는,
    상기 영상 콘텐츠를 식별시키는 콘텐츠 ID;
    상기 디지털 객체를 식별시키는 객체 ID; 및
    상기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 주는 정보 서버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 위치 필드는,
    화면상에서 상기 디지털 객체의 가로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로 좌표; 및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디지털 객체의 세로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세로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좌표 및 상기 세로 좌표는 화면상 임의로 구분한 단위 픽셀(pixel)의 과반수에 표현된 단위 픽셀들의 시작 좌표와 끝 좌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필드는,
    상기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상기 디지털 객체가 생성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생성 시각; 및
    상기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 상기 디지털 객체가 소멸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소멸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 필드는,
    화면상에서 상기 디지털 객체의 중심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벡터 필드; 및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디지털 객체가 소멸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 소멸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 태그.
  6. 영상 콘텐츠(contents)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이버 태그(CyberTAG)가 삽입된 상기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사이버 태그 브라우저(browser);
    상기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여 식별하는 사이버 태그 처리부; 및
    상기 사이버 태그 처리부에서 식별된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사이버 태그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태그 처리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전체 디스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선택하는 순간을 계산하는 선택 순간 계산 모듈;
    상기 계산된 선택 순간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콘텐츠 내의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는 사이버 태그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식별하는 사이버 태그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태그 처리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기준 영상 프레임에 차분 데이터를 가감하는 방식으로 사이버 태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태그 통신부는, 상기 식별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상기 영상 콘텐츠를 식별시키는 콘텐츠 ID;
    상기 디지털 객체를 식별시키는 객체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 주는 정보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0. 영상 콘텐츠(contents)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이버 태그(CyberTAG)가 삽입된 상기 영상 콘텐츠 내의 디지털 객체(object)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객체 선택 단계;
    상기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여 식별하는 사이버 태그 처리 단계;
    상기 사이버 태그 처리 단계에서 식별된 사이버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서버 연동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객체 정보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태그 처리 단계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전체 디스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객체를 선택하는 순간을 계산하는 선택 순간 계산 단계;
    상기 계산된 선택 순간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콘텐츠 내의 사이버 태그를 검색하는 사이버 태그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위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지털 객체와 연동하는 사이버 태그를 식별하는 사이버 태그 식별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태그 처리 단계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기준 영상 프레임에 차분 데이터를 가감하는 방식으로 사이버 태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 연동 단계에서, 상기 식별된 사이버 태그에 포함된,
    상기 영상 콘텐츠를 식별시키는 콘텐츠 ID;
    상기 디지털 객체를 식별시키는 객체 ID; 및
    상기 부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 주는 정보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이버 태그(CyberTAG)를 영상 콘텐츠(contents)에 삽입하는 인코더.
  15. 사이버 태그(CyberTAG)를 영상 콘텐츠(contents)에 삽입하는 인코더;
    상기 사이버 태그가 삽입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object)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요청시 상기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60096433A 2006-09-29 2006-09-29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89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33A KR100895293B1 (ko) 2006-09-29 2006-09-29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7/004642 WO2008038962A1 (en) 2006-09-29 2007-09-21 Cybertag for linking information to digital object in image contents, and contents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2/443,367 US20100241626A1 (en) 2006-09-29 2007-09-21 Cybertag for linking information to digital object in image contents, and contents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33A KR100895293B1 (ko) 2006-09-29 2006-09-29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601A true KR20080029601A (ko) 2008-04-03
KR100895293B1 KR100895293B1 (ko) 2009-04-29

Family

ID=3923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33A KR100895293B1 (ko) 2006-09-29 2006-09-29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41626A1 (ko)
KR (1) KR100895293B1 (ko)
WO (1) WO200803896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31B1 (ko) * 2008-03-24 2009-12-09 강민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발행물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지털 발행물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WO2010082786A2 (en) * 2009-01-15 2010-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KR101380783B1 (ko) * 2008-08-22 2014-04-02 정태우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384931B1 (ko) * 2009-12-10 2014-04-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미지 처리 방법, 장치 또는 시스템
KR101453802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스마트 tv 감성광고 기반의 트래킹 설정에 따른 광고비 산출 방법
WO2016039590A1 (ko) * 2014-09-11 2016-03-17 김재욱 동영상 내의 물체에 대응되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정보 표시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08B1 (ko) * 2011-10-20 2012-08-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372742B2 (en) 2015-09-01 2019-08-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agging topic to content
KR102024933B1 (ko) 2017-01-26 2019-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콘텐츠 콘텍스트 변이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883680B1 (ko) * 2017-06-29 2018-07-31 주식회사 루씨드드림 컨텐츠 저작장치 및 컨텐츠 재생장치,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저작방법 및 컨텐츠 재생방법
KR101908068B1 (ko) 2018-07-24 2018-10-15 주식회사 루씨드드림 360° vr 컨텐츠 저작 및 재생 시스템
KR20210065374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슈퍼셀 동영상 컨텐츠 상에서의 인공 신경망 기반 제품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0884B1 (ko) * 2020-04-21 2020-11-19 피앤더블유시티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에서 객체 인식 기반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557178B1 (ko) 2020-11-12 2023-07-19 주식회사 슈퍼셀 동영상 컨텐츠 융합형 상품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66139A (ko)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슈퍼셀 동영상 컨텐츠 상의 제품 구매 보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40007541A (ko)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슈퍼셀 인공 신경망 기반의 동영상 컨텐츠 내 제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845A (en) * 1995-09-29 1998-01-13 Wistendahl; Douglass A. System for mapping hot spots in media content for interactive digital media program
US6198833B1 (en) * 1998-09-16 2001-03-06 Hotv, Inc. Enhanced interactive video with object tracking and hyperlinking
KR100420633B1 (ko) * 2001-07-26 2004-03-02 주식회사 아카넷티비 데이터방송방법
KR100486709B1 (ko) * 2002-04-1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기반 대화형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9029B1 (en) 2003-01-11 2003-12-11 Huwell Technology Inc System for linking broadcasting with internet using digital set-top box,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40233233A1 (en) * 2003-05-21 2004-11-25 Salkind Carole T.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interactive items in video and playing same in an interactive environment
KR100644095B1 (ko) * 2004-10-13 2006-11-10 박우현 디지털 방송 환경 하에 있어서 연동형 데이터방송을 인터넷 영역으로 확장하여 양방향 광고를 실현하는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31B1 (ko) * 2008-03-24 2009-12-09 강민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발행물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지털 발행물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380783B1 (ko) * 2008-08-22 2014-04-02 정태우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WO2010082786A2 (en) * 2009-01-15 2010-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WO2010082786A3 (en) * 2009-01-15 2010-09-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KR101384931B1 (ko) * 2009-12-10 2014-04-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미지 처리 방법, 장치 또는 시스템
US10567726B2 (en) 2009-12-10 2020-02-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or system for image processing
KR101453802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스마트 tv 감성광고 기반의 트래킹 설정에 따른 광고비 산출 방법
WO2016039590A1 (ko) * 2014-09-11 2016-03-17 김재욱 동영상 내의 물체에 대응되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정보 표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8962A1 (en) 2008-04-03
KR100895293B1 (ko) 2009-04-29
US20100241626A1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293B1 (ko)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8468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motion picture programming
JP2015171142A (ja) 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JP2000253377A5 (ko)
JP3540721B2 (ja) オブジェクト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065979A (zh) 一种动态显示和视频内容相关联信息方法及系统
JP2003157288A (ja) 情報関連付け方法、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
CN102244807A (zh) 自适应视频变焦
KR20100130638A (ko)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콘텐츠 내의 메타데이터 이용 가능성의 표시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셋탑박스
US20130282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media file for augmented reality service
KR101492249B1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090328103A1 (en) Genre-based segment collections
KR101181732B1 (ko) 동영상 핑거프린트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마크업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18896A (ko) 콘텐츠 내 객체 정보 및 객체 기반의 응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055325A1 (en) Online advertising relating to feature film and television delivery over the internet
US20090328102A1 (en) Representative Scene Images
JP2002109259A (ja) 動画映像と通信ネットワークとを用いた商取引方法、商品発注システム、並びに、商品受注コンピュータ
JP2003108866A (ja) 旅行商品案内システム、旅行商品案内方法、旅行情報提供システム、番組編集システム、番組編集方法、番組データ記録媒体、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デジタルテレビシステム、商品案内システム
KR20140076674A (ko) 동영상에 객체 증강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35420A (ko) 동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JP2005341104A (ja) 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8011481A (ja) 映像データにデータを関連付けることにより広告宣伝及び視聴者情報の取得に活用するシステム及びビジネスモデル
JP2005173781A (ja) 提供コンテンツへのリンク情報の動的変更方法および利用者端末、仲介サーバ
KR101631271B1 (ko) 순환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2032555A (ja) コマーシャルメッセージの活用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