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08B1 -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08B1
KR101175708B1 KR1020110107272A KR20110107272A KR101175708B1 KR 101175708 B1 KR101175708 B1 KR 101175708B1 KR 1020110107272 A KR1020110107272 A KR 1020110107272A KR 20110107272 A KR20110107272 A KR 20110107272A KR 101175708 B1 KR101175708 B1 KR 10117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information
annotation
vide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식
이연호
이진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08B1/ko
Priority to US13/867,489 priority patent/US99303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TV,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대해 상품 판매자가 직접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이를 표시하여 소비자가 해당 상품에 대해 쉽게 정보를 인식하여 구매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하는 어노테이션부;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어노테이션된 동영상매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표시부; 및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수신한 동영상매체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Moving Picture Executed On A Smart Device An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TV,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대해 상품 판매자가 직접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이를 표시하여 소비자가 해당 상품에 대해 쉽게 정보를 인식하여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TV,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과 같이, 이를 이용한 정보검색시장 및 소비시장 역시 점차 커지고 있다.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는 더 이상 많은 정보검색보다는 좀 더 쉽고 빠르고 정확한 정보검색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TV,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퍼지면서, 즉석으로 알고자 하는 내용을 바로 검색하는 문화가 만들어지고 있다.
동영상 매체에 등장하는 연예인이나 모델이 소유하고 있는 아이템은 간접광고의 수단을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실제로 이를 쉽게 검색하지 못하거나, 검색된다고 하여도 그 동영상 자체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제시되지 않았다. 검색이 된다고 하더라도 별도의 텍스트적인 검색이 수반되어야 하고, 바로 구매요청으로 넘어가는 수단 역시 제시된 적이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9473호(발명의 명칭: 동영상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특징점 검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트래킹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이는 예를 들어 동영상 매체에 등장하는 연예인이 소유한 아이템을 계속 트래킹하는 방법까지는 제공하고 있으나, 그 아이템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수단이 없어, 협업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인터넷의 연결을 통해 그 정보파악 및 검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영상 매체에 포함한 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에 대한 광고정보를 함께 어노테이션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광고를 접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동영상이라는 오픈소스 및 통신으로 연결된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공간적, 시간적 인적 영향 없이 누구나 해당 동영상에 어노테이션 할 수 있고, 누구나 광고를 인식할 수 있으며, 판매자로의 연결수단을 함께 연동시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어노테이션 정보와 함게 동영상이 재생될 때 토글 스위치(광고보기/광고 숨기기)를 통해 상품 정보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등이 있을 수 있어, 간접광고에 대한 재제를 피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어노테이션하여 저장하는 어노테이션부;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저장한 어노테이션 정보와 상기 동영상매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표시부; 및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수신한 어노테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매체에 포함한 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에 대한 광고정보를 함께 어노테이션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광고를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이라는 오픈소스 및 통신으로 연결된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공간적, 시간적 인적 영향 없이 누구나 해당 동영상에 어노테이션 할 수 있고, 누구나 광고를 인식할 수 있으며, 판매자로의 연결수단을 함께 연동시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어노테이션부의 어노테이션방법.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표시부의 표시방법.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제1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제2예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제3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어노테이션부(100), 표시부(200),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어노테이션부(100)는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한 이동경로를 어노테이션하여 저장한다. 제1어노테이션모듈(110)과 제2어노테이션모듈(120)을 포함한다.
어노테이션부(100)는 판매자단말기에서 구현된다. 어노테이션부(100)가 구동되는 판매자단말기는 CPU를 가진 장치면 충분하고 그 예시로서 컴퓨터, 테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어노테이션부(100)는 여러 사람이 협업적으로 특정상품에 대한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 대해 광고를 하고자 하는 경우는 누구나 원하는 시점동안 어노테이션을 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객체에 대한 어노테이션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트래킹기술과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고 경로를 저장한다.
제1어노테이션모듈(110)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한다.
제2어노테이션모듈(120)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신호를 수신하여,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한다.
어노테이션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부터 시작한다. 입력신호 수신은 다양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일 예시로 어노테이션부(100)가 구동되는 판매자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인 경우는 간단히 손가락의 입력신호를 받아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판매자는 동영상 시청 중 어노테이션 하고자 하는 객체가 나타나면 손가락을 이용하여 객체 영역을 지정한다. 그 후, 객체가 등장하는 시점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그 이동경로를 손가락을 가리키면서 해당 객체의 위치, 크기, 시간좌표를 입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손가락을 이용한 동영상 매체의 어노테이션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즉, 이렇게 손가락 터치를 이용하여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정보를 수신하면 객체의 위치, 크기, 시간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관심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어노테이션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정보는 상품명, 상품설명, 판매처, 가격 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될 것이 아니며, 특히 텍스트적인 광고문구 외에도 동영상, 이미지, 음악 특히 3D 객체 등의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어노테이션부의 어노테이션방법으로, 손가락 터치를 이용하여 어노테이션하는 방법이다. 1. 먼저 어노테이션할 동영상이 재생되면, 2. 터치 입력을 통한 객체 영역을 지정하게 되고, 3. 객체 이동 경로에 따라 손가락을 움직이면, 그 경로가 저장이 된다. 그 후에 4. 객체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손가락 터치를 이용한 어노테이션이 종료된다.
다른 예시로 어노테이션부(100)가 구동되는 판매자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이 아니거나, 터치스크린이어도 일일이 객체의 이동경로를 입력받지 않아도 객체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있다. 트래킹 기술이나 보간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인 기술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트래킹기술은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객체의 첫 번째 등장신호를 수신하여 어노테이션하면, 첫 화면 이후 프레임부터 자동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상품을 추적할 수 있다. 이렇게 추적이 완료되면 시작화면부터 추적이 완료된 화면에 대한 모든 경로정보가 어노테이션된다. 그 후 추가적인 관심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상품명, 상품설명, 판매처, 가격 등을 포함한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음악 특히 3D 객체 등)를 함께 저장하여 어노테이션 할 수 있다.
보간기술의 경우는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객체의 첫 번째 등장신호를 수신하면 동영상이 재상되는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사용자가 객체를 클릭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저장함으로써, 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과정은 첫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신호이면 족하고, 수차례의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간격 역시 일정한 주기를 가질 필요는 없다. 이렇게 추적이 완료되면 시작화면부터 추적이 완료된 화면에 대한 모든 경로정보가 어노테이션된다. 그 후 추가적인 관심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상품명, 상품설명, 판매처, 가격 등을 포함한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음악 특히 3D 객체 등)를 함께 저장하여 어노테이션 할 수 있다.
트래킹 기술과 보간기술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판매자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어노테이션하면, 첫 화면 이후 프레임부터 자동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객체를 추적한다. 모든 프레임으로부터 획득한 이동경로 정보들 중에서 일정 프레임 간격을 두고(프레임간의 간격이 일정할 필요는 없다) 샘플링하여 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이렇게 추적이 완료되면 시작화면부터 추적이 완료된 화면에 대한 모든 경로정보가 어노테이션된다. 그 후 추가적인 관심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상품명, 상품설명, 판매처, 가격 등을 포함한 텍스트, 동영상, 이미지, 음악 특히 3D 객체 등)를 함께 저장하여 어노테이션 할 수 있다.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마우스, 손가락, 전자펜, 카메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를 이용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관심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상품명, 상품설명, 판매처, 가격)을 따로 입력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이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판매 또는 홍보를 하기 위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놓으면, 휴대기기에 의해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를 수신할 때, 상호간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휴대기기에 저장된 정보가 자동으로 어노테이션부(100)에 전송되어 어노테이션할 수 있다. 즉, 트래킹기술을 이용하든지 보간기술을 이동하든지여부와 관계없이 별도의 추가적인 관심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상품명, 상품설명, 판매처, 가격)를 따로 입력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표시부(200)는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저장한 어노테이션 정보와 상기 동영상매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표시부(20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현된다.
표시부(200)가 구동되는 판매자단말기는 CPU를 가진 장치면 충분하고 그 예시로서 컴퓨터, 테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표시부의 표시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에서 모든 정보가 이미 어노테이션 되어있기 때문에 표시부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1. 상품목록만 측면에 출력하는 방법(도 3a) 2. 상품목록과 각각의 상품 정보를 간단히 출력하는 방법(도 3b) 3. 상품목록과 화면상의 위치를 출력하는 방법(도 3c) 4. 화면상의 위치에 직접 상품 목록을 출력하는 방법(도 3d) 5. 화면상의 위치에 직접 상품 목록과 간단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도 3e) 6. 선택한 상품만 화면상의 위치에 직접 상품목록과 간단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도 3f) 7. 상품 목록만 측면에 출력된 상품을 선택하면, 선택한 상품만 화면상의 위치에 직접 상품 목록과 간단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도 3g) 8. 동영상 콘텐츠가 가려지지 않도록 화면을 분할하여 목록을 출력하는 방법(도 3h) 9. 스마트 TV에서는 어노테이션정보가 출력되지 않으나, 이와 동기화된 스마트 폰에서는 어노테이션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방법(도 3i)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어 표시할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도 3i 와 같은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어노테이션 정보와 함께 동영상이 재생될 때 토글스위치(광고보기/광고 숨기기)를 통해 상품 정보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되지 않을 수도 등이 있을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는 일실시예로서, 토글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은 간접광고에 대한 재제를 피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어노테이션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더불어 제공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시부(200)는 제1표시모듈(210)과 제2표시모듈(220)을 포함한다. 표시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그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상이하다.
제1표시모듈(210)은 어노테이션정보를 수신하되,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고,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표시하고, 또 상기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2표시션모듈(220)은 어노테이션정보를 수신하되,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신호를 수신하고,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표시하고, 또 상기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1표시모듈(210) 및 제2표시모듈(220)이 함께 사용되어 트래팅기술과 보간기술이 함께 사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어노테이션모듈(110)에 의해 저장된 어노테이션정보라 하더라도 굳이 제1표시모듈(210)에 의해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설정 및 경우에 따라 가장 적합한 조합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표시부(200)는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어노테이션된 동영상매체를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선택신호는 구매신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객체의 해당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신호가 관리서버(300)에 전송되어 판매자하고 연결됨으로써 구매수단까지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수신한 동영상매체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200)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관리한다.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와 상기 표시부(20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공간과 시간 그리고 사람에 상관없이 누구나 어디서나 어노테이션을 할 수 있는 협업적인 광고정보제공이 가능한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는 구성 중 하나이다. 관리서버(300)는 DB 관리모듈(310), 사용자관리모듈(320), 판매자관리모듈(330)을 포함한다.
DB 관리모듈(310)은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어노테이션한 동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에서 특정 동영상에 위치, 시간, 공간정보 및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이를 표시부(200)에 전송하기 위해서 DB 관리모듈(310)에 저장을 하는데, 이는 XML을 이용하여 웹 프로토콜을 통해 주고 받는다.
사용자관리모듈(320)은 상기 DB관리모듈(310)이 저장한 동영상 정보를 상기 표시부(200)에 전송한다. 이 역시 XML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자관리모듈(320)에서 표시부(200)에 전송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200)는 XML 파서를 이용하여 XML 형태의 어노테이션 정보를 파싱하고, 이를 상술한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판매자관리모듈(330)은 상기 표시부(200)로부터 관심 상품의 사용자의 구매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관심상품의 판매자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20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표시부(200)에 표시된 상품에 대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하여 관심상품을 어노테이션한 판매자 내지 오픈마켓과 연결된 판매자의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정보를 다시 표시부(200)에 전송을 하게되면, 인터넷이나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서 그 상품을 별도의 텍스트적인 검색없이 바로 상품구매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제1예시도로서,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객체를 어노테이션 하는 방법을 이용한 광고제공방법이다.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면(S41),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저장한다(S42). 그 후에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경로를 저장한다(S43).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어노테이션한 단계가 종료가 되면, 관리서버(300)가 상기 S43단계에서 저장한 동영상 정보를 수신하는데(S44), 그 후 사용자가 표시부(200)에서 이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 또는 상기 동영상 매체가 표시부(200)에서 실행되는 경우, 관리서버(300)가 S44단계에서 수신한 동영상 정보를 표시부(200)에 전송한다(S45). 상기 S45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표시부(200)에 표시된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 표시부(200)를 통해 이를 입력할 수 있는데, 관리서버(300)가 상기 S45 단계에서 전송된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신호를 수신하면(S46) 관리서버(300)가 상기 S46 단계에서 사용자의 구매신호와 일치하는 관심 상품의 판매자정보를 검색한다(S47). 관리서버(300)가 상기 S47 단계에서 검색된 판매자정보를 상기 표시부(200)에 전송하고(S48), 이후 그 판매정보가 인터넷 등을 통해 바로 구매사이트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해당 판매업자에게 직접 전화가 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여러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매효과가 발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가 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트래킹기술을 사용하는 제1표시모듈(210)에 의해 표시되거나, 보간기술을 사용하는 제2표시모듈(220)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제1표시모듈(210) 및 제2표시모듈(220)을 함께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그 표시방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어느방법 내지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동영상정보와 어노테이션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방법이면 족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제2예시도로서,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객체를 어노테이션 하는 방법을 이용한 광고제공방법이다.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고(S51),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마지막 등장 신호를 수신한다(S52). 그 후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저장한다(S53). 그 후에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경로를 저장한다(S54).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어노테이션한 단계가 종료가 되면, 관리서버(300)가 상기 S54단계에서 저장한 동영상 정보를 수신하는데(S55), 그 후 사용자가 표시부(200)에서 이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 또는 상기 동영상 매체가 표시부(200)에서 실행되는 경우, 관리서버(300)가 S55단계에서 수신한 동영상 정보를 표시부(200)에 전송한다(S56). 상기 S56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표시부(200)에 표시된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 표시부(200)를 통해 이를 입력할 수 있는데, 관리서버(300)가 상기 S56 단계에서 전송된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신호를 수신하면(S57) 관리서버(300)가 상기 S57 단계에서 사용자의 구매신호와 일치하는 관심 상품의 판매자정보를 검색한다(S58). 관리서버(300)가 상기 S58 단계에서 검색된 판매자정보를 상기 표시부(200)에 전송하고(S59), 이후 그 판매정보가 인터넷 등을 통해 바로 구매사이트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해당 판매업자에게 직접 전화가 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여러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매효과가 발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가 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트래킹기술을 사용하는 제1표시모듈(210)에 의해 표시되거나, 보간기술을 사용하는 제2표시모듈(220)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제1표시모듈(210) 및 제2표시모듈(220)을 함께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그 표시방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어느방법 내지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동영상정보와 어노테이션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방법이면 족하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의 제3예시도로서,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트래킹기술과 보간기술을 모두 이용하여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객체를 어노테이션 하는 방법을 이용한 광고제공방법이다.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정보를 수신하면(S61), 어노테이션부(100)가 상기 S61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객체가 동영상매체에 표시되는 위치, 크기 및 시간정보를 저장한다(S62). 그 후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저장하면(S63), 해당 객체에 대한 어노테이션이 완료된다.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어노테이션한 단계가 종료가 되면, 관리서버(300)가 상기 S63단계에서 저장한 동영상 정보를 수신하는데(S64), 그 후 사용자가 표시부(200)에서 이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 또는 상기 동영상 매체가 표시부에서 실행되는 경우, 관리서버(300)가 S64단계에서 수신한 동영상 정보를 표시부에 전송한다(S65). 상기 S65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표시부(200)에 표시된 동영상 매체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 표시부(200)를 통해 이를 입력할 수 있는데, 관리서버(300)가 상기 S65 단계에서 전송된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신호를 수신하면(S66) 관리서버(300)가 상기 S66 단계에서 사용자의 구매신호와 일치하는 관심 상품의 판매자정보를 검색한다(S67). 관리서버(300)가 상기 S67 단계에서 검색된 판매자정보를 상기 표시부(200)에 전송하고(S68), 이후 그 판매정보가 인터넷 등을 통해 바로 구매사이트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해당 판매업자에게 직접 전화가 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여러 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구매효과가 발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0)가 이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트래킹기술을 사용하는 제1표시모듈(210)에 의해 표시되거나, 보간기술을 사용하는 제2표시모듈(220)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제1표시모듈(210) 및 제2표시모듈(220)을 함께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그 표시방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어느방법 내지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동영상정보와 어노테이션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방법이면 족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어노테이션부
200; 표시부
300; 관리서버
110; 제1어노테이션모듈
120; 제2어노테이션모듈
210; 제1표시모듈
220; 제2표시모듈
310; DB 관리모듈
320; 사용자관리모듈
330; 판매자관리모듈

Claims (15)

  1. 실제 영상인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를 외부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관심 객체 영역을 지정한 가상 영상과 결합하여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관심 객체의 이동위치를 추적하고, 그 이동경로에 따른 가상 영상인 상기 관심 객체 영역을 지정한 이동경로를 어노테이션하여 저장하는 어노테이션부(100);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저장한 어노테이션 정보와 상기 동영상매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표시부(200); 및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수신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어노테이션 정보를 파싱하여 분산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20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신호에 따른 관심상품을 어노테이션한 판매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관리서버(300); 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관심 객체에 관련된 상품정보를 기 저장하는 휴대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에 해당하는 상품정보가 상기 어노테이션부에 전송되어 어노테이션되도록 하고, 상기 어노테이션 정보와 함께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품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토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테이션부(100)는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하는 제1어노테이션모듈(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신호를 수신하여,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하는 제2어노테이션모듈(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동영상정보와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정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트래킹기술을 이용한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에 따른 어노테이션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모듈(2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동영상정보와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정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보간기술을 이용한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에 따른 어노테이션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모듈(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어노테이션부(100)에서 어노테이션한 동영상 정보 및 어노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DB관리모듈(310);
    상기 DB관리모듈(310)이 저장한 동영상 및 어노테이션 정보를 상기 표시부(200)에 전송하는 사용자관리모듈(320); 및
    상기 표시부(200)로부터 관심 상품의 사용자의 구매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관심 상품의 판매자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20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판매자관리모듈(330);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시스템.
  7. (a) 관리서버(300)가 어노테이션부(100)로부터 실제 영상인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를 외부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관심 객체 영역을 지정한 가상 영상과 결합하여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관심 객체의 이동위치를 추적하고, 그 이동경로에 따른 가상 영상인 상기 관심 객체 영역을 지정한 이동경로를 수신하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한 어노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a) 단계에서 어노테이션부에서 수신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어노테이션 정보를 파싱하여 분산 저장하고, 표시부(20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신호에 따른 관심상품을 어노테이션한 판매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c)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를 수신할 때, 휴대기기로부터 상기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노테이션부에 전송하여 어노테이션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어노테이션 정보와 함께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품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토글스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8. (a') 관리서버(300)가 어노테이션부(100)로부터 실제 영상인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를 외부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관심 객체 영역을 지정한 가상 영상과 결합하여 관련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관심 객체의 이동위치를 추적하고, 그 이동경로에 따른 가상 영상인 상기 관심 객체 영역을 지정한 이동경로를 수신하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신호를 수신하여,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고,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를 저장한 어노테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어노테이션부에서 수신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어노테이션 정보를 파싱하여 분산 저장하고, 표시부(20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신호에 따른 관심상품을 어노테이션한 판매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c')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를 수신할 때, 휴대기기로부터 상기 관심 객체의 등장신호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어노테이션부에 전송하여 어노테이션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어노테이션 정보와 함께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품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토글스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표시부(200)가 상기 어노테이션부(100)로부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여,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 표시하는 단계; 및
    (b-2) 표시부(200)가 상기 어노테이션부(100)로부터 동영상정보 및 상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해당하는 광고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표시부(200)가 상기 어노테이션부(100)로부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와 마지막 등장신호를 수신하여,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 표시하는 단계; 및
    (b-2') 표시부(200)가 상기 어노테이션부(100)로부터 동영상정보 및 상기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해당하는 광고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관리서버(3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4)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사용자의 구매신호와 일치하는 관심상품의 판매자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b-5)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b-4) 단계에서 검색된 판매자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는 단계; 및
    (a-3)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트래킹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경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상기 (a-1')에서 수신한 상기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객체가 동영상매체에 표시되는 위치, 크기 및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a-3')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첫 번째 등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마지막 등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3)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관심 객체에 관련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보간기술을 이용하여 관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 경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동영상매체에 포함된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상기 (a'-1')에서 수신한 상기 관심 객체의 이동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객체가 동영상매체에 표시되는 위치, 크기 및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a'-3') 상기 어노테이션부(100)가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어노테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방법.
KR1020110107272A 2011-10-20 2011-10-20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72A KR101175708B1 (ko) 2011-10-20 2011-10-20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3/867,489 US9930311B2 (en) 2011-10-20 2013-04-22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ng a video with advertis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72A KR101175708B1 (ko) 2011-10-20 2011-10-20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708B1 true KR101175708B1 (ko) 2012-08-21

Family

ID=4688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272A KR101175708B1 (ko) 2011-10-20 2011-10-20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0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98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스마트 tv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453884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사용자 맞춤형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453812B1 (ko) 2012-12-11 2014-10-28 박수조 감성광고 기반의 대상물 타겟에 따른 광고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0737B1 (ko) 2012-12-10 2015-04-10 박정호 모션 센싱 및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510747B1 (ko) 2012-12-10 2015-04-10 박정호 모션 센싱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20150044989A (ko) * 2013-10-16 2015-04-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20150044987A (ko) * 2013-10-16 2015-04-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519030B1 (ko) * 2013-10-16 2015-05-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611995B1 (ko) 2013-10-16 2016-04-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664093B1 (ko) 2014-01-27 2016-10-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230022017A (ko) 2021-08-06 2023-02-14 김우현 스마트 tv 기반의 사용자 최적화 상품 광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09B1 (ko) 2002-04-1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기반 대화형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5088B1 (ko) * 2001-11-15 2006-09-18 (주)아이엠비씨 동영상 객체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895293B1 (ko) * 2006-09-29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088B1 (ko) * 2001-11-15 2006-09-18 (주)아이엠비씨 동영상 객체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486709B1 (ko) 2002-04-1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기반 대화형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5293B1 (ko) * 2006-09-29 2009-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콘텐츠 내 디지털 객체의 정보 연동을 위한 사이버태그, 콘텐츠 재생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98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스마트 tv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453884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사용자 맞춤형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10737B1 (ko) 2012-12-10 2015-04-10 박정호 모션 센싱 및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510747B1 (ko) 2012-12-10 2015-04-10 박정호 모션 센싱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453812B1 (ko) 2012-12-11 2014-10-28 박수조 감성광고 기반의 대상물 타겟에 따른 광고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20150044987A (ko) * 2013-10-16 2015-04-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20150044989A (ko) * 2013-10-16 2015-04-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519030B1 (ko) * 2013-10-16 2015-05-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611995B1 (ko) 2013-10-16 2016-04-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612000B1 (ko) * 2013-10-16 2016-04-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64000B1 (ko) 2013-10-16 2016-10-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64093B1 (ko) 2014-01-27 2016-10-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230022017A (ko) 2021-08-06 2023-02-14 김우현 스마트 tv 기반의 사용자 최적화 상품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708B1 (ko)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999630B (zh) 基于姿势标记以观看相关内容
US20180295424A1 (en) Electronic commerce functionality in video overlays
US10998003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GIFs from videos
US95423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based event generation
CN113420247A (zh) 页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07533552B (zh) 互动系统及其互动方法
CN107735746A (zh) 交互式媒体系统和方法
US10440435B1 (en) Performing searches while viewing video content
CN103310663B (zh) 一种智能点读方法、设备及系统
US20100177122A1 (en) Video-Associated Objects
TW201319981A (zh) 電視廣告產品資訊顯示系統、方法及其記錄媒體
US201402298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42850B1 (ja) 電子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電子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電子コンテンツ閲覧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05990A (ko) 크리에이터와 브랜드를 대상으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81966B1 (ko) 동영상 재생 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0194128B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generating a digital content item
JP6905615B1 (ja) 拡張現実システム
TW201525880A (zh) 電子裝置及其顯示之動態影像之物件資訊查詢方法
US94825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location
WO2016127248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ratings and advertising content delivery
KR101379513B1 (ko) 부가정보 제공 기능을 가진 동영상 재생 장치
JP2015176597A (ja) 複合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提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提示システム
TWI758807B (zh) 資訊處理裝置、遠端伺服裝置與非暫態紀錄媒體
JP748625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