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987A -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987A
KR20150044987A KR20130123056A KR20130123056A KR20150044987A KR 20150044987 A KR20150044987 A KR 20150044987A KR 20130123056 A KR20130123056 A KR 20130123056A KR 20130123056 A KR20130123056 A KR 20130123056A KR 20150044987 A KR20150044987 A KR 2015004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mart terminal
mobile smart
cursor area
range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2000B1 (ko
Inventor
김우승
송지성
김우경
김동일
김엽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박수조
김동일
김우승
김우경
김엽
주식회사 브이플랩
송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박수조, 김동일, 김우승, 김우경, 김엽, 주식회사 브이플랩, 송지성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0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상에 구현된 방송컨텐츠 이미지 중에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지정 방식에 의해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며, 좌표설정센서로부터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 및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부터 수신한 뒤,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링크 페이지를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재전송하는 스마트 TV; 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여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한다.
이에 의해,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영역 설정, 그리고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광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얻어진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System for purchasing advertisement object based on logotional advertisement using movement of purview cursor area in mobile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영역 설정, 그리고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광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얻어진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나 광고를 방송시 가중 중요한 목적은 시청하는 사람들에게 실제로 보여지느냐에 따른 효용성일 것이다. 종래에는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 별도로 시청하도록 하거나,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시켜도 광고인지를 모르게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서 광고방송을 별도로 제공시 광고방송에 대한 반감을 갖고 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은 시청하는 사람들이 광고인지를 모르거나 무관심한 경우에는 광고에 대한 타겟팅 효과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단말인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보급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광고에 대한 타겟팅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개선된 광고의 주된 방식은 모바일 인터넷 상에서의 팝업 방식과 같이 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만을 주고, 광고에 대한 전달력은 오히려 유선 단말 기반보다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기반으로 한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방송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감성적으로 편안하게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의 불편함을 덜고, 획기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광고 정보 획득에 대한 전달력은 극대화하도록 하며, 이러한 전달력 극대화로 인해 직접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스마트폰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광고를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과 방법으로 노출시킬 때 광고주가 선택한 전화 번호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클릭 시 선택한 번호로 연결되는 시스템(When smartphone advertising program expose advertise based on user selected time and method on smartphone, the advertiser selected phone number is displayed, the user clicks the calling button and then it makes calling to the number)(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3304호)
2. 스마트폰 광고 노출 관리 방법 및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저장매체(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exposure in smart phone and storage media for applications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726호)
3.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상품구매 예약관리 방법(Realtime autoatic goods reserver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phone}(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178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기능을 통한 선택에 의해 선택된 범위 커서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해당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감성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얻어진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에 대한 이익을 극대화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 기반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시스템은, 터치스크린상에 구현된 방송컨텐츠 이미지 중에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지정 방식에 의해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며, 좌표설정센서로부터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 및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부터 수신한 뒤,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링크 페이지를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재전송하는 스마트 TV; 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여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범위 커서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른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I1)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하는 과정으로 회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 TV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상기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좌표신호는, 상기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단말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연산되어 마치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리모컨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사용자가 느끼도록 구현되며,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과 상기 스마트 TV에 내장된 각 GPS 수신기 또는 상호간의 무선 신호의 왕복 시간에 의해 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에 의한 일련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를 범위 커서 영역으로 설정하며, 폐곡선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하여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TV는,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범위 커서 영역을 이루는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에 있는 광고대상물의 경우에 해당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에 포함된 광고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광고비 이상인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정보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은,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기능을 통한 선택에 의해 선택된 범위 커서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이동되는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은, 감성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얻어진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에 대한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구현되는 범위 커서에 대한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구현되는 범위 커서에 대한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은,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스마트 TV(20), 방송통신망(30), 방송콘텐츠 서버(40), 데이터통신망(50) 및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포함한다.
먼저,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 서버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광고 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통신망(5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5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5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 서버,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그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 및 방송콘텐츠 서버(40)를 중심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된 범위 커서 어플리케이션(이하, 범위 커서 앱)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범위 커서 앱을 실행시킨 뒤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시킴으로써, 스마트 TV(20)와의 방송콘텐츠 동기화를 위한 싱크선택 영역(11a : 도 2)을 UI 화면 상에 구현한다.
스마트 TV(10)에 의해 방송송출 프레임별 방송콘텐츠를 구현이 수행된 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TV(10)로의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 중 현재 스마트 TV(10)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구현한다. 여기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을 위해서는 터치스크린(11) 상에 구현된 싱크선택 영역(11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싱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뒤, 스마트 TV(10)로의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다.
즉,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상에 구현된 싱크선택 영역(11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도 2 참조),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싱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뒤, 스마트 TV(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싱크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싱크선택 영역(1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NK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되거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본체 상에 버튼(botton) 타입으로 형성된(도 2 참조) 캡처선택 영역(11b)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1)에 의해 생성된 캡처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스크린(11)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한 뒤, 터치스크린(11)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른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의 터치 좌표신호 수신을 대기한다. 캡처선택 영역(11b)은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성되거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본체 상에 버튼(botton) 타입으로 형성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상으로의 터치 좌표신호 수신에 대한 대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서 설정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좌표신호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사용자가 원터치(one-touch)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함으로써,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해당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스마트 TV(20)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도 5a와 같이, 스마트 TV(20)는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범위 커서 영역을 이루는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에 있는 광고대상물의 경우에 해당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에 포함된 광고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광고비 이상인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정보로 포함하는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은 스마트 TV(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스마트 TV(20)로부터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다.
한편,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각 이미지정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를 초과하는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하며, 반대로, 제 1 임계치보다 적은 수치인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 미만의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축소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할 수 있다(도 5b 참조).
또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의 각 광고 상세정보의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링크 분류 정보를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분류 정보는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에서 광고비가 높은 기준 범위로 구분된 파워 링크형 광고비, 플러스 링크형 광고비, 프리미엄 링크형 광고비, 스폰서 링크형 광고비, 노 애드형 광고비로 구분될 수 있다(도 9 참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좌표설정센서(미도시)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도 6의 C1(xc1, yc1))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수신 대기한다. 여기서 도 6과 같이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의해 수신되는 이동 좌표신호는 스마트 TV(20)와 모바일 스마트단말(10)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연산되어 마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리모컨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사용자가 느끼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바일 스마트단말(10)과 스마트 TV(20) 간에는 각각 GPS 수신기 내지는 무선 신호의 왕복 시간 등으로 상대적 거리를 상호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표설정센서(미도시)는 4축 또는 6축의 자이로센서 또는 중력센서 등으로 형성가능하며, 후술하는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에서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여 이동 좌표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대기 상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의 이동 좌표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에 대한 도 6b의 좌표인 C2(xc2, yc2)와 같은 이동 좌표로의 이동 좌표신호가 감지된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재지정수단(13d-8)으로 범위 커서 영역 재설정을 통지한다.
이러한 범위 커서 영역 재설정에 대한 실시예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리모컨인 것처럼 조작하여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을 이동시켜, 이동에 따른 변화되는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되도록 스마트 TV(20)에 구현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면,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중심으로 구현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 영역 재설정은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중심점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에 따른 일련의 동작 입력에 의해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도 6의 C1(xc1, yc1))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에 대한 수신을 감지할 수도 있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C2(xc2, yc2))를 중심점으로 하여 처음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한다.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스마트 TV(20)로부터 재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재수신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재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실시간으로 구현한다.
한편,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이동 좌표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처음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에 대한 구현이 완료되거나, 추가적으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재설정 뒤, 설정 변경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에 대한 구현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된 다수의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를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
스마트 TV(2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링크 페이지를 방송콘텐츠 서버(40)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재전송하면,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여 사용자에 의해 구매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한다(도 8 참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I1, 도 8 참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다시 구현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TV(10)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싱크 요청 발생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부터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을 수신한 뒤,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S11).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되거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본체 상에 버튼(botton) 타입으로 형성된(도 2 참조) 캡처선택 영역(11b)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1)에 의해 생성된 캡처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터치스크린(11)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한 뒤, 터치스크린(11)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른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의 터치 좌표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12).
단계(S12)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2)의 대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서 설정한다(S13).
여기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좌표신호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사용자가 원터치(one-touch)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3)에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함으로써,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3)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3)에서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스마트 TV(20)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다(S14).
단계(S14)에 있어서, 스마트 TV(20)는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범위 커서 영역을 이루는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에 있는 광고대상물의 경우에 해당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에 포함된 광고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광고비 이상인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정보로 포함하는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a 참조). 여기서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은 스마트 TV(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4)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단계(S14)에서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다(S15).
한편, 단계(S15)에 있어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각 이미지정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도 5b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를 초과하는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하며, 반대로, 제 1 임계치보다 적은 수치인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 미만의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축소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의 각 광고 상세정보의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링크 분류 정보를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할 수 있다(도 9 참조).
단계(S15)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좌표설정센서(미도시)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도 6a의 C1(xc1, yc1))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수신 대기한다(S16). 여기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터치스크린(11)으로 입력되는 이동 좌표신호는 스마트 TV(20)와 모바일 스마트단말(10)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연산되어 마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리모컨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사용자가 느끼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바일 스마트단말(10)과 스마트 TV(20)에는 각각 GPS 수신기에 의한 상호간의 상대적 거리 감지 또는 상호 간의 무선 신호의 왕복 시간 측정으로 상대적 거리를 각자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6)의 대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의 이동 좌표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7).
단계(S17)의 판단 결과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에 대한 도 6b의 좌표인 C2(xc2, yc2)와 같은 이동 좌표로의 이동 좌표신호가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감지된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C2(xc2, yc2))를 중심점으로 하여 단계(S13)에 의해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한다(S18).
단계(S18)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4)로 회귀하여 단계(S18)에서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스마트 TV(20)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 뒤(단계(S14) 참조),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실시간으로 구현한다(단계(S15) 참조).
단계(S17)의 판단 결과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이동 좌표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처음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에 대한 구현이 완료되거나, 추가적으로 단계(S18)에 의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재설정 뒤, 설정 변경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에 대한 구현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된 다수의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를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S19). 즉 단계(S17)의 단단 결과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이동 좌표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이동 기반의 감성광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단게(S19) 내지 단계(S22)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단계(S19) 이후, 스마트 TV(2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링크 페이지를 방송콘텐츠 서버(40)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재전송한다(S20).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도 8과 같이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여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한다(S21).
단계(S21)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도 9와 같이 터치스크린(11) 상에 구현된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I1)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S15)로 회귀하여, 단계(S15)에서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다(S22).
한편, 단계(S11) 이전에,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된 광고 태그콘텐츠{광고 데이터(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 및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광고 데이터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수신한 뒤, 광고DB(42)에 저장된다. 또한, 이후,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 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경우, 단계(S11)에 따라 스마트 TV(10)로 방송콘텐츠가 구현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계(S11a) 내지 단계(S15a), 그리고 단계(S19a) 내지 단계(S22a)와 도 10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S11) 내지 단계(S15), 그리고 단계(S19) 내지 단계(S22)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S15a)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사용자에 의해 중심점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에 따른 일련의 동작 입력에 의해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도 9의 C1(xc1, yc1))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에 대한 수신을 대기한다(S16a).
즉 도 10의 단계(S16)에서는 마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리모컨인 것처럼 조작하여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을 이동시켜, 이동에 따른 변화되는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되도록 스마트 TV(20)에 구현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면, 도 11의 단계(S16a)에서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중심으로 구현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단게(S16a)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6a)의 대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의 이동 좌표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7a).
단계(S17a)의 판단 결과 이동 좌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이동 기반의 감성광고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단게(S19a) 내지 단계(S22a)에 해당하는 광고대상물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S17a)의 판단 결과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에 대한 도 6b의 좌표인 C2(xc2, yc2)와 같은 이동 좌표로의 이동 좌표신호가 감지된 경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C2(xc2, yc2))를 중심점으로 하여 단계(S13a)에 의해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한다(S18a).
단계(S18a)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4a)로 회귀하여 단계(S18a)에서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스마트 TV(20)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 뒤(단계(S14a) 참조),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실시간으로 구현한다(단계(S15a) 참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모바일 스마트단말
11: 터치스크린
11a: 싱크선택 영역
11b: 캡처선택 영역
20: 스마트 TV
STB: 셋탑박스
30: 방송통신망
40: 방송콘텐츠 서버
50: 데이터통신망
60: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

Claims (9)

  1. 터치스크린상에 구현된 방송컨텐츠 이미지 중에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지정 방식에 의해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며, 좌표설정센서로부터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 및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부터 수신한 뒤,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링크 페이지를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재전송하는 스마트 TV; 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여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범위 커서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른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I1)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하는 과정으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 TV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상기 변경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좌표신호는,
    상기 스마트 TV와 모바일 스마트단말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연산되어 마치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리모컨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사용자가 느끼도록 구현되며,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과 상기 스마트 TV에 내장된 각 GPS 수신기 또는 상호간의 무선 신호의 왕복 시간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에 의한 일련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변화되는 이동 좌표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 좌표신호에 해당하는 이동 좌표를 중심점으로 하여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를 범위 커서 영역으로 설정하며, 폐곡선으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하여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는,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범위 커서 영역을 이루는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에 있는 광고대상물의 경우에 해당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에 포함된 광고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광고비 이상인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정보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20130123056A 2013-10-16 2013-10-16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1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56A KR101612000B1 (ko) 2013-10-16 2013-10-16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56A KR101612000B1 (ko) 2013-10-16 2013-10-16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987A true KR20150044987A (ko) 2015-04-28
KR101612000B1 KR101612000B1 (ko) 2016-04-28

Family

ID=5303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056A KR101612000B1 (ko) 2013-10-16 2013-10-16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960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포씨아 사용자 단말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08B1 (ko) * 2011-10-20 2012-08-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8511A (ko) * 2011-05-17 2012-11-27 박인준 노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721A (ko) * 2011-12-15 201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관심 정보 기반의 콘텐츠 타겟팅 광고 서비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511A (ko) * 2011-05-17 2012-11-27 박인준 노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75708B1 (ko) * 2011-10-20 2012-08-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2721A (ko) * 2011-12-15 201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관심 정보 기반의 콘텐츠 타겟팅 광고 서비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960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포씨아 사용자 단말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000B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5719B2 (ja) プレロール広告再生方法、端末、およびビデオサーバ
US97128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4041502A (ja)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方法及び映像配信プログラム
KR101612000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11995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CN106254953B (zh) 一种图片显示方法及装置、图片接收终端
KR20150100583A (ko)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KR101533837B1 (ko) 범위 커서 영역 이동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1664000B1 (ko)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566362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533836B1 (ko)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612011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566231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1612014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 기반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20150103348A (ko) 범위 커서 영역 이동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453826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20150044985A (ko) 범위 커서 영역 이동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KR101566214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
KR20150044984A (ko)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KR101519018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20150121732A (ko) 광고탑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관리서버의 광고방법 및 그 광고관리서버
KR101519035B1 (ko) 아이콘 로딩부를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45001A (ko)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662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1519027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