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018B1 -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 Google Patents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018B1
KR101519018B1 KR1020130123041A KR20130123041A KR101519018B1 KR 101519018 B1 KR101519018 B1 KR 101519018B1 KR 1020130123041 A KR1020130123041 A KR 1020130123041A KR 20130123041 A KR20130123041 A KR 20130123041A KR 101519018 B1 KR101519018 B1 KR 10151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able
advertisement
broadcast content
range cursor
cont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452A (ko
Inventor
김우승
송지성
김우경
김동일
김엽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김우승
송지성
김우경
김동일
김엽
박수조
주식회사 브이플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김우승, 송지성, 김우경, 김동일, 김엽, 박수조, 주식회사 브이플랩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모션 센싱 기반의 캡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하는 캡처 모듈;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시,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부 상의 타임테이블에 하나의 테이블로 등록하는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 및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한 뒤,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상기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 설정하고,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구현하는 범위 커서 제공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기 타임테이블로 등록된 아이콘,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된 테이블 단위로 상기 타임테이블을 형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모션 센싱 기반으로 각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하나의 테이블로 하는 타임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에 대한 접근을 통해 원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저장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Mobile smart terminal with time-table creation function using purview cursor}
본 발명은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션 센싱 기반으로 각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하나의 테이블로 하는 타임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뿐만 아니라,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기능을 통한 선택에 의해 선택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고, 타임테이블에 대한 접근을 통해 원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저장 기능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나 광고를 방송시 가중 중요한 목적은 시청하는 사람들에게 실제로 보여지느냐에 따른 효용성일 것이다. 종래에는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 별도로 시청하도록 하거나,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시켜도 광고인지를 모르게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서 광고방송을 별도로 제공시 광고방송에 대한 반감을 갖고 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은 시청하는 사람들이 광고인지를 모르거나 무관심한 경우에는 광고에 대한 타겟팅 효과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단말인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보급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광고에 대한 타겟팅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개선된 광고의 주된 방식은 모바일 인터넷 상에서의 팝업 방식과 같이 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만을 주고, 광고에 대한 전달력은 오히려 유선 단말 기반보다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기반으로 한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방송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감성적으로 편안하게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의 불편함을 덜고, 획기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광고 정보 획득에 대한 전달력은 극대화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스마트폰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광고를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과 방법으로 노출시킬 때 광고주가 선택한 전화 번호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클릭 시 선택한 번호로 연결되는 시스템(when smartphone advertising program expose advertise based on user selceted time and method on smartphone, the advertiser selected phone number is displayed, the user clicks the calling button and then it makes calling to the number)(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3304호)
2. 스마트폰 광고 노출 관리 방법 및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저장매체(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exposure in smart phone and storage media for applications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7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모션 센싱 기반으로 각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하나의 테이블로 하는 타임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뿐만 아니라,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기능을 통한 선택에 의해 선택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고, 타임테이블에 대한 접근을 통해 원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저장 기능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모션 센싱 기반의 캡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하는 캡처 모듈;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시,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부 상의 타임테이블에 하나의 테이블로 등록하는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 및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한 뒤,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상기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 설정하고,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구현하는 범위 커서 제공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기 타임테이블로 등록된 아이콘,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된 테이블 단위로 상기 타임테이블을 형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캡처 모듈은, 4축 또는 6축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모션 센서 중 하나로부터 모션 시그널을 수신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아이콘으로 구현된 캡처선택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화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썸네일(thumb nail)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타임테이블을 구현한 뒤, 각 테이블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한 뒤, 상기 드래그 터치로 지정된 테이블로의 방송콘텐츠 이미지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에 저장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범위 커서 제공모듈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하여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범위 커서 제공모듈은,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상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는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타임테이블로 등록된 아이콘,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기 범위 커서 영역 설정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각 광고대상물 별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타임테이블 상의 하나의 테이블에 대한 생성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타임테이블 편집 UI 화면에 통신상태 아이콘(P1), 타임 테이블(P2), 싱크상태 아이콘(P3),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 재싱크 선택영역(P5) 및 타임테이블 편집 UI ON/OFF 선택영역(P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모션 센싱 기반으로 각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하나의 테이블로 하는 타임테이블을 자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에 대한 접근을 통해 원하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저장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영역에 대한 범위 커서 기능을 통한 선택에 의해 선택된 범위 커서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2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구현되는 범위 커서에 대한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스마트 TV(20), 방송통신망(30), 방송콘텐츠 서버(40), 데이터통신망(50) 및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60)을 포함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스마트 TV(10)로 방송콘텐츠 구현 후 광고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 광고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터치 기반으로 범위 커서로 지정하여 범위 커서로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데이터를 스마트 TV(10)로부터 수신하여 구현한다.
스마트 TV(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셋탑박스(STB)를 구비한 셋탑박스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셋탑박스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셋탑박스(STB) 없이 방송콘텐츠 서버(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6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광고 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통신망(5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5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5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광고주단말 그룹(6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단말,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그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2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구현되는 범위 커서에 대한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무선통신부(12), 제어부(13) 및 저장부(14)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1)은 범위 커서 어플리케이션(이하, 범위 커서 앱)에 의한 제어부(13)의 실행에 따라 초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초기 UI 화면) 상으로 도 3과 같이 싱크선택 영역(11a)을 구현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TV(20)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2)는 스마트 TV(20)로 다이렉트 방식에 의하거나 셋탑박스(STB)를 통해 스마트 TV(20)와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3)는 싱크 모듈(13a), 방송 플레이 모듈(13b), 캡처 모듈(13c), 범위 커서 제공모듈(13d) 및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의 구성을 중심으로,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3)는 사용자에 의한 저장부(14)에 저장된 범위 커서 앱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범위 커서 앱을 터치스크린(11) 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스마트 TV(20)와의 방송콘텐츠 동기화를 위한 싱크선택 영역(11a; 도 3)을 UI 화면 상에 구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범위 커서 앱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으로의 범위 커서 앱 실행 요청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 모듈을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크 모듈(13a)은 터치스크린(11) 상에 구현된 싱크선택 영역(11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싱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뒤, 스마트 TV(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싱크 요청을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를 제어한다. 여기서 싱크선택 영역(1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NK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 플레이 모듈(13b)은 싱크 모듈(13a)에 의해 전송된 싱크 요청을 수신한 스마트 TV(20)로부터 현재 스마트 TV(20) 상으로 구현되고 있는 방송콘텐츠를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12)를 제어한 뒤,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실시간으로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다.
여기서 방송 플레이 모듈(13b)이 스마트 TV(20)로부터 수신하는 방송콘텐츠는 스마트 TV(20)가 방송통신망(3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로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반환받은 것에 해당한다. 여기서 스마트 TV(20)가 방송콘텐츠를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시에는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패킷화된 형태이다. 이러한 패킷화된 형태에서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부터의 싱크 요청 수신에 따라, 각 패킷화된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방송콘텐츠를 추출한 뒤,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하는 것이다.
캡처 모듈(13c)은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싱크선택 영역(11a)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스마트 TV(10)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싱크 요청을 전송한 뒤,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수신되고 있는 방송콘텐츠 중 현재 스마트 TV(10)에서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12)를 제어한다.
이후, 캡처 모듈(13c)은 동작감지센서(15)로부터 모션 센싱 기반의 캡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1)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동작감지센서(15)는 4축 또는 6축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모션 센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도 4b와 같은 흔드는 동작, 스윙 동작 등의 모션 시그널을 생성하여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동작감지센서(15)를 터치스크린(11) 상의 아이콘 구현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캡처선택 영역(1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은 캡처 모듈(13c)에 의해 방송콘텐츠 이미지가 생성시, 캡처에 의해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부(14) 상의 타임테이블로 등록한다. 여기서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은 썸네일(thumb nail) 타입으로 형성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캡처 모듈(13c)은 캡처선택 영역(11b) 상으로 터치 입력(1) 또는 동작감지센서(15)을 이용한 모션 시그널 생성에 따라 터치스크린(11) 상의 임의의 좌표 터치에 따라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캡처 수행이 완료되면,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은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 상에 저장할 아이콘을 생성한 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캡처 수행 이후,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은 타임테이블을 도 5와 같이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 뒤, 각 테이블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 터치 입력을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수신한 뒤, 드래그 터치로 지정된 테이블로의 방송콘텐츠 이미지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은 도 6와 같이 저장부(14)의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에 저장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에 대해서는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된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에 대한 선택에 따른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범위 커서 제공모듈(13d)은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는 터치스크린(11)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른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의 터치 좌표신호 수신을 대기한다.
범위 커서 제공모듈(13d)은 범위 커서 영역 지정수단(13d-1), 범위 커서 영역 보완 수단(13d-2), 광고대상물 추출수단(13d-3), 광고대상물 영역 확대수단(13d-4), 광고대상물 구현수단(13d-5) 및 광고대상물 확대/축소 구현수단(13d-6)을 구비한다.
범위 커서 영역 지정수단(13d-1)은 터치 좌표신호 수신의 대기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캡처 모듈(13c)에 의해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서 설정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좌표신호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사용자가 원터치(one-touch)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위 커서 영역 보완 수단(13d-2)은 도 7a와 같이 범위 커서 영역 지정수단(13d-1)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 중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한 뒤,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한다. 여기서 범위 커서 영역 보완 수단(13d-2)은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 간에 곡선 또는 직선으로 연결시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해당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a와 같이 개시좌표인 S1(x1, y1)으로 부터 최종좌표인 F1(x2, y2)으로의 보완 라인(Correction line)인 범위 커서 영역 보완 수단(13d-2)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광고대상물 추출수단(13d-3)은 범위 커서 영역 지정수단(13d-1) 또는 범위 커서 영역 보완 수단(13d-2)에 의해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캡처 모듈(13c)에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를 제어한다.
이후, 광고대상물 추출수단(13d-3)은 스마트 TV(20)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12)를 제어한다.
광고대상물 영역 확대수단(13d-4)은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는 해당하지 않으나, 범위 커서 영역을 이루는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 도 8a 참조)에 있는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 태그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스마트 TV(2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를 제어함으로써, 해당되는 광고 태그콘텐츠를 반환받는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은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 TV(2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대상물 영역 확대수단(13d-4)이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에 있는 광고대상물의 추출시, 해당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에 포함된 광고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광고비 이상인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정보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대상물 구현수단(13d-5)은 광고대상물 추출수단(13d-3) 또는 광고대상물영역 확대수단(13d-4)에 의해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추출한 뒤,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캡처 모듈(13c)에 의해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상으로 구현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범위 커서에 대한 구현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도형으로 변형 가능하며,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그리고 태그 데이터)는 팝업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태그 데이터는 각 광고대상물을 식별하기 위한 일련의 번호를 의미한다.
광고대상물 확대/축소 구현수단(13d-6)은 도 8b와 같이 광고대상물 구현수단(13d-5)에 의한 광고 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 구현시,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의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각 이미지정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대상물 확대/축소 구현수단(13d-6)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를 초과하는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하며, 반대로, 제 1 임계치보다 적은 수치인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 미만의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축소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할 수 있다.
광고대상물 구현수단(13d-5) 및 광고대상물 확대/축소 구현수단(13d-6)에 의한 광고대상물에 대한 광고 정보가 광고콘텐츠 이미지상으로의 구현이 완료되면,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은 타임테이블로 등록을 위해 생성한 아이콘, 캡처 모듈(13c)에 의해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 그리고 광고대상물 구현수단(13d-5) 및 광고대상물 확대/축소 구현수단(13d-6)에 의해 범위 커서 영역 설정에 매칭되어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된 각 광고대상물 별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한 하나의 테이블 단위로 저장부(14)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테이블 단위에 대한 저장부(14)에 생성된 타임테이블로의 생성이 완료되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13e)은 도 6과 같은 타임테이블 편집 UI 화면을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통신상태 아이콘(P1), 타임 테이블(P2), 싱크상태 아이콘(P3),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 재싱크 선택영역(P5) 및 타임테이블 편집 UI ON/OFF 선택영역(P6)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된 광고 태그콘텐츠{광고 데이터(이지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 및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S11). 여기서 광고 데이터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6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수신한 뒤, 광고DB(42)에 저장된다.
단계(S11) 이후,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 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전송한다(S12).
단계(S12)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싱크선택 영역(11a)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스마트 TV(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부터 싱크 요청을 수신한 뒤, 단계(S12)의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수신되고 있는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S13).
단계(S13)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이 동작감지센서(15)로부터 모션 센싱 기반의 캡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1)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한다(S14).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동작감지센서(15)는 4축 또는 6축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모션 센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도 4b와 같은 흔드는 동작, 스윙 동작 등의 모션 시그널을 생성하여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동작감지센서(15)를 터치스크린(11) 상의 아이콘 구현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캡처선택 영역(1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4)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가 생성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캡처에 의해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부(14) 상의 타임테이블로 등록한다(S15). 여기서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은 썸네일(thumb nail) 타입으로 형성가능하다. 단계(S15)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캡처선택 영역(11b) 상으로 터치 입력(1) 또는 동작감지센서(15)을 이용한 모션 시그널 생성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상의 임의의 좌표 터치에 따라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캡처를 수행하고,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 상에 저장할 아이콘을 생성한 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캡처 수행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타임테이블을 도 5와 같이 구현한 뒤, 각 테이블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 터치 입력을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수신한 뒤, 드래그 터치로 지정된 테이블로의 방송콘텐츠 이미지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와 같이,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5) 이후, 저장부(14)의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에 저장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에 대해서는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된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에 대한 선택에 따른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5)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 뒤, 터치스크린(11)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른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의 터치 좌표신호 수신을 대기한다(S16).
단계(S16)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6)의 대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서 설정한다(S17).
여기서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좌표신호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사용자가 원터치(one-touch)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7)에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도 7a와 같이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함으로써,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7)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7)에서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스마트 TV(20)로부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한다(S18).
단계(S18)에 있어서, 도 8a와 같이 스마트 TV(20)는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나 범위 커서 영역을 이루는 폐곡선의 바운더리(Purview Cursor Boundary)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Limit Boundary)에 있는 광고대상물의 경우에 해당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에 포함된 광고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광고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광고비 이상인 경우 범위 커서 영역 정보로 포함하는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고대상물 추출 보완 기능은 스마트 TV(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8)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단계(S18)에서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한다(S19).
한편, 단계(S19)에 있어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포함된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각 이미지정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도 8b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를 초과하는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하며, 반대로, 제 1 임계치보다 적은 수치인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 미만의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축소하여 터치스크린(11)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단계(S19) 이후,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5)에서 타임테이블로 등록된 아이콘, 단계(S14)에서 생성된 방송콘텐츠 이미지, 그리고 단계(S19)에서 범위 커서 영역 설정에 따라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된 각 광고대상물 별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한다(S20).
단계(S11) 내지 단계(S20)과 같은 과정에 의해 타임테이블 상의 하나의 테이블에 대한 생성이 완료되며, 단계(S20) 이후 또는 단계(S15) 이후에,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도 6과 같은 타임테이블 편집 UI 화면을 터치스크린(11) 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통신상태 아이콘(P1), 타임 테이블(P2), 싱크상태 아이콘(P3),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 재싱크 선택영역(P5) 및 타임테이블 편집 UI ON/OFF 선택영역(P6)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모바일 스마트단말
11: 터치스크린
11a: 싱크선택 영역
11b: 캡처선택 영역
12: 무선통신부
13: 제어부
13a: 싱크 모듈
13b: 방송 플레이 모듈
13c: 캡처 모듈
13d: 범위 커서 제공모듈
13d-1: 범위 커서 영역 지정수단
13d-2: 범위 커서 영역 보완 수단
13d-3: 광고대상물 추출수단
13d-4: 광고대상물 영역 확대수단
13d-5: 광고대상물 구현수단
13d-6: 광고대상물 확대/축소 구현수단
13e: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
14: 저장부
20: 스마트 TV
STB: 셋탑박스
30: 방송통신망
40: 방송콘텐츠 서버
50: 데이터통신망
60: 제휴 광고주단말 그룹

Claims (9)

  1.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모션 센싱 기반의 캡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서 현재 구현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미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하는 캡처 모듈;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생성시,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저장부 상의 타임테이블에 하나의 테이블로 등록하는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 및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한 뒤,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범위 커서(Purview cursor) 구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좌표 입력에 따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를 이용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 커서 영역을 상기 캡처된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에 설정하고,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구현하는 범위 커서 제공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기 타임테이블로 등록된 아이콘,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된 테이블 단위로 상기 타임테이블을 형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범위 커서 제공모듈은 설정된 범위 커서 영역 정보, 그리고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를 스마트 TV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TV로부터 상기 범위 커서 영역 정보에 해당되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범위 커서 영역에 포함되는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처 모듈은,
    4축 또는 6축의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모션 센서 중 하나로부터 모션 시그널을 수신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아이콘으로 구현된 캡처선택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화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의 아이콘을 썸네일(thumb nail)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타임테이블을 구현한 뒤, 각 테이블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한 뒤, 상기 드래그 터치로 지정된 테이블로의 방송콘텐츠 이미지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타임테이블의 각 테이블에 저장된 방송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위 커서 제공모듈은,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해 폐곡선으로 연결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개시좌표(S1)와 최종좌표(S2)를 연속적으로 수신된 터치 좌표신호에 의한 곡선 또는 직선 성분의 평균 곡률을 연산한 뒤 연산된 곡률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생성하여 상기 범위 커서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7. 삭제
  8.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타임테이블로 등록된 아이콘, 상기 방송콘텐츠 이미지, 상기 범위 커서 영역 설정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각 광고대상물 별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하나의 매타데이터로 구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타임테이블 상의 하나의 테이블에 대한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타임테이블 생성/구현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구현된 타임테이블 편집 UI 화면에 통신상태 아이콘(P1), 타임 테이블(P2), 싱크상태 아이콘(P3), 타입테이블 히스토리 삭제 선택영역(P4), 재싱크 선택영역(P5) 및 타임테이블 편집 UI ON/OFF 선택영역(P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20130123041A 2013-10-16 2013-10-16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151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41A KR101519018B1 (ko) 2013-10-16 2013-10-16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041A KR101519018B1 (ko) 2013-10-16 2013-10-16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52A KR20150044452A (ko) 2015-04-27
KR101519018B1 true KR101519018B1 (ko) 2015-05-13

Family

ID=5303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041A KR101519018B1 (ko) 2013-10-16 2013-10-16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0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06B1 (ko) 2009-02-23 2009-06-08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터치 스크린 장치 및 휴대용 소형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06B1 (ko) 2009-02-23 2009-06-08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터치 스크린 장치 및 휴대용 소형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52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68034B (zh) 商品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5576667B2 (ja) 情報送出表示システム
US20110066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electable objects in a still image file and/or data stream
JP604687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6352779A (ja) 映像情報入力・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1328270B1 (ko) 스마트 tv의 비디오 어노테이션 및 증강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157183A (zh) 一种在便捷式电子设备的视频播放器上实现视频截图的方法
KR101519018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1566214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
CN106254953B (zh) 一种图片显示方法及装置、图片接收终端
KR101612014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 기반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664000B1 (ko)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533836B1 (ko)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519021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KR101612000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453826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1611995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20150100583A (ko)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KR101533837B1 (ko) 범위 커서 영역 이동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6362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12011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20150064613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45001A (ko) 스마트 tv 기반의 감성광고 방법 및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KR101536262B1 (ko)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기반의 타임머신 광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