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984A -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984A
KR20150044984A KR20130123016A KR20130123016A KR20150044984A KR 20150044984 A KR20150044984 A KR 20150044984A KR 20130123016 A KR20130123016 A KR 20130123016A KR 20130123016 A KR20130123016 A KR 20130123016A KR 20150044984 A KR20150044984 A KR 20150044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mart terminal
tag
mobile smar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승
송지성
김우경
김동일
김엽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박수조
김동일
김우승
김우경
김엽
주식회사 브이플랩
송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박수조, 김동일, 김우승, 김우경, 김엽, 주식회사 브이플랩, 송지성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2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984A/ko
Publication of KR2015004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및 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티비를 통해 방송되는 데이터에 내재된 광고 태그들은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에 의하여 모바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광고 태그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태그를 포함한다. 해당 광고 태그들 중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상기 광고 대상물의 정보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상품을 음성 명령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관심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Method for advertising object based on smart television using voice and system for purchasing object based on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광고 대상 상품을 음성으로 선택하여 광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뿐만 아니라, 얻어진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TV 기반의 광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매 시스템이다.
콘텐츠나 광고를 방송시 가중 중요한 목적은 시청하는 사람들에게 실제로 보여지느냐에 따른 효용성일 것이다. 종래에는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 별도로 시청하도록 하거나,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시켜도 광고인지를 모르게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시켜서 광고방송을 별도로 제공시 광고방송에 대한 반감을 갖고 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방송콘텐츠 속의 인물이나 배경에 노출시키는 방식은 시청하는 사람들이 광고인지를 모르거나 무관심한 경우에는 광고에 대한 타겟팅 효과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단말인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보급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광고에 대한 타겟팅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개선된 광고의 주된 방식은 모바일 인터넷 상에서의 팝업 방식과 같이 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만을 주고, 광고에 대한 전달력은 오히려 유선 단말 기반보다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기반으로 한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방송콘텐츠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감성적으로 편안하게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의 불편함을 덜고, 획기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대한 광고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광고 정보 획득에 대한 전달력은 극대화하도록 하며, 이러한 전달력 극대화로 인해 직접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스마트폰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광고를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과 방법으로 노출시킬 때 광고주가 선택한 전화 번호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클릭 시 선택한 번호로 연결되는 시스템(when smartphone advertising program expose advertise based on user selceted time and method on smartphone, the advertiser selected phone number is displayed, the user clicks the calling button and then it makes calling to the number)(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3304호)
2. 스마트폰 광고 노출 관리 방법 및 스마트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저장매체(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exposure in smart phone and storage media for applications thereof)(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07726호)
3.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상품구매 예약관리 방법(Realtime autoatic goods reserver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phone}(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178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상품에 대한 음성 선택을 통하여 광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얻어진 광고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에 대한 이익을 극대화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은, 스마트 티비를 통해 방송되는 데이터에 내재된 광고 태그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에 의하여 모바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광고 태그들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광고 태그컨텐츠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태그들 중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상기 광고 대상물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태그는 광고 대상물이 상기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음성 태그는 상기 광고 대상물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스마트 티비가 현재 수신되는 방송콘텐츠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음성 인식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 1 음성 명령을 상기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제 1-1단계; 상기 스마트 티비가 상기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전송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수신된 상기 광고 태그 콘텐츠를 상기 광고 태그의 형태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제 2-1 단계; 상기 스마트 티비가 상기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해당 광고 대상물의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2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티비는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링크 페이지를 방송콘텐츠 서버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 이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 및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 1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방송통신망을 통해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 2 음성 명령을 통하여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대상물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티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태그는 상기 광고 대상물의 키워드들로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소 출력창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소 출력창과 함께 구현된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 광고대상물별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는,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된 광고 태그콘텐츠{광고 데이터(이지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 및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TV의 방송 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티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 상에서 싱크 요청 발생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부터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을 수신한 뒤,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은, 개인이 소지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구현되는 방송콘텐츠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상품을 음성 명령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관심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통해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심 물품에 대한 원하는 광고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효과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로 까지 논 스톱(None-stop)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에 대한 이익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음성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구현되는 음성 태그를 이용한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음성을 이용한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음성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스마트단말(10)에 구현되는 음성 태그를 이용한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음성 태그를 이용한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시스템은,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스마트 TV(20), 방송통신망(30), 방송콘텐츠 서버(40), 데이터통신망(50) 및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포함한다.
먼저, 방송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브로드 캐스팅 형태의 방송을 위한 고속 유선 또는 문선 기간 망이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Internet)이 될 수도 있다. 방송통신망(30)은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스마트 TV(10) 및 그 밖의 시스템으로 방송콘텐츠를 브로드 캐스팅을 위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 및 광고DB(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 서버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 광고 데이터에는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데이터 수신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이터통신망(5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6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데이터통신망(5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데이터통신망(50)은 방송콘텐츠 서버(40), 광고주단말 그룹(6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제휴 광고주 서버,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광고대상물에 각각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 뒤, 생성된 모든 태그 데이터를 넘버링하여 광고 태그콘텐츠로 광고DB(42)에 저장한다. 상기 광고 태그콘탠츠는 이하 설명될 음성 태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 태그들은 광고 태그콘텐츠의 일부로 광고DB(42)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송콘텐츠 서버(40)는 각 태그 데이터 생성시 수신된 각 광고대상물에 대한 물체 인식에 사용되기 위해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DB(42)로 광고 태그콘텐츠 저장시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구분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광고 태그콘텐츠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대한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와 광고DB(42)에 저장된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 및 방송콘텐츠 서버(40)를 중심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된 동기와 어플리케이션(이하, 동기화 앱)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동기화 앱을 실행시킨 뒤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 상으로 구현시킴으로써, 스마트 TV(20)에서 표시되는 방송콘텐츠와 동일한 방송콘텐츠를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에 구현할 수 있다(도 2 참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으로부터 싱크 요청 신호를 수신한 뒤, 스마트 TV(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싱크 요청을 전송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TV(10)로의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 중 현재 스마트 TV(10)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구현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100)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을 통한 통화의 수신을 위한 마이크일 수 있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음성 인식부(10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을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스마트 TV(20)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에 따라 스마트 TV(20)를 통해 방송되는 데이터에 내재된 광고 태그들을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
광고 태그를 수신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수신된 광고 태그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태그(110)는 광고 대상 물품과 인접한 영역에 폐곡선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광고 태그(110)는 광고 대상 물품이 표시되는 영역의 외각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고 태그(110)는 광고 대상 물품 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거나, 광고 대상 물품의 색 또는 밝기 등을 광고 대상 물품 이외의 영역과 다르게 표현하여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광고 태그(110)는 광고 대상 물품에 인접한 폐곡선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고 태그(110)는 광고 대상 물품이 상기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광고태그(110)는 방송콘텐츠 내에서 대상 물품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위치를 따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에 따라 수신된 방송콘텐츠의 제 1 음성 명령이 수신된 시점의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광고태그(110)는 상기 정지 영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 영상의 캡쳐는 동기화 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의 버튼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광고태그(110)를 통하여 해당 방송콘텐츠 내에 포함된 광고가 무엇인지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각 이미지정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를 초과하는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여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에 구현하며, 반대로, 제 1 임계치보다 적은 수치인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 미만의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축소하여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에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광고대상물의 각 광고 상세정보의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링크 분류 정보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에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분류 정보는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에서 광고비가 높은 기준 범위로 구분된 파워 링크형 광고비, 플러스 링크형 광고비, 프리미엄 링크형 광고비, 스폰서 링크형 광고비, 노 애드형 광고비로 구분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광고태그(11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태그는 광고 대상 물품의 키워드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고 대상 물품이 “김태희가 들고 있는 명품 가방”인 경우, 음성 태그는 명품, 가방, 김태희 가방,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음성 태그는 상기 광고태그(110)와는 달리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거나, 음성 태그 중 대표 키워드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119)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 즉,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스마트 TV(20)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TV(20)는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해당 광고 대상물의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전송한다. 전송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의 디스플레이(11)를 통하여 표시된다.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119)는 이를 판매하는 웹사이트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119)는 광고 대상 물품의 이미지, 가격,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판매처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음성 태그가 복수의 광고 대상 물품들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대상 물품을 선택하기 위한 추가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복수의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119)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복수의 광고 대상 물품 정보(119) 중 원하는 광고 대상 물품 정보(119)를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 대상 물품 정보(119) 중 원하는 광고 대상 물품 정보(119)는 사용자의 제 3 음성 명령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스마트 TV(20)로부터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 상에 구현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구현된 다수의 광고대상물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구매 선택에 따라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를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 스마트 TV(2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선택된 광고대상물의 태그 데이터와 매칭되는 링크 페이지를 방송콘텐츠 서버(40)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재전송하면,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여 사용자에 의해 구매 선택된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한다(도 5 참조).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21, 도 5 참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음성 명령이 수신되기 이전의 상태로 디스플레이(11) 상에 다시 구현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TV(20)는 모바일 스마트단말(10) 상에서 싱크 요청 발생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부터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을 수신한 뒤, 방송콘텐츠 서버(40)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S11).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음성 인식부(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을 스마트 TV(2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스마트 TV(20)는 방송콘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모바일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S12).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에 따라 스마트 TV(20)를 통해 방송되는 데이터에 내재된 광고 태그들을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S13).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데이터 및 태그 데이터를 단계(S12)에서 수신된 광고 태그콘텐츠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 상으로 구현한다.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각 광고대상물의 광고 상세정보 중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각 이미지정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구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를 초과하는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확대하여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으로 구현하며, 반대로, 제 1 임계치보다 적은 수치인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에 해당하는 광고비 미만의 광고비 정보를 갖는 광고대상물에 대해서는 이미지 정보를 축소하여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광고대상물의 각 광고 상세정보의 광고비 정보를 기준으로 링크 분류 정보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스마트 TV(20)로 전송한다(S14). 스마트 TV(20)는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해당 광고 대상물의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모바일 스마트 단말(10)로 전송한다(S15). 모바일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S16). 일 예로,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주소 출력창(w1)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광고대상물에 대한 구매를 진행한다(S17).
모바일 스마트단말(10)은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21)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S13)로 회귀하여, 단계(S13)에서 추출된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각 광고대상물 별로 식별하도록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11) 상으로 구현한다(S18).
한편, 단계(S11) 이전에,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된 광고 태그콘텐츠{광고 데이터(이지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 및 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광고 데이터는 방송DB(41)에 저장된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광고대상물 각각에 대한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60)을 구성하는 제휴 광고주단말 각각으로부터 데이터통신망(50)을 통해 방송콘텐츠 서버(40)가 수신한 뒤, 광고DB(42)에 저장된다. 또한, 이후, 방송콘텐츠 서버(40)는 방송통신망(30)을 통해 스마트 TV(10)의 방송 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경우, 단계(S11)에 따라 스마트 TV(10)로 방송콘텐츠가 구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모바일 스마트단말
11:모바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20: 스마트 TV
21: 돌아가기 아이콘
STB: 셋탑박스
30: 방송통신망
40: 방송콘텐츠 서버
50: 데이터통신망
60: 제휴 광고주 서버 그룹
100: 음성 인식부
110: 광고 태그

Claims (14)

  1. 스마트 티비를 통해 방송되는 데이터에 내재된 광고 태그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제 1 음성 명령에 의하여 모바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광고 태그들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광고 태그컨텐츠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태그를 포함하고; 및
    상기 광고 태그들 중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상기 광고 대상물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태그는 광고 대상물이 상기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태그는 상기 광고 대상물에 대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스마트 티비가 현재 수신되는 방송콘텐츠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음성 인식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 1 음성 명령을 상기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제 1-1단계;
    상기 스마트 티비가 상기 방송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전송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수신된 상기 광고 태그 콘텐츠를 상기 광고 태그의 형태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사용자의 제 2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제 2-1 단계;
    상기 스마트 티비가 상기 제 2 음성 명령에 의하여 해당 광고 대상물의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이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티비는 상기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 대상 물품의 링크 페이지를 방송콘텐츠 서버로 요청한 뒤 반환받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이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광고 방법.
  9.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스마트단말; 및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 1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방송통신망을 통해 광고대상물의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부터 제 2 음성 명령을 통하여 음성 태그가 호출된 광고대상물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티비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태그는 상기 광고 대상물의 키워드들로 상기 광고 태그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소 출력창을 통해 링크 페이지를 구현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소 출력창과 함께 구현된 돌아가기 버튼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 광고대상물별 광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와, 태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는,
    방송콘텐츠의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구분된 광고 태그콘텐츠{광고 데이터(이지지정보 및 광고 상세정보) 및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TV의 방송 콘텐츠 청취 요청에 따라 방송콘텐츠와 광고 태그콘텐츠를 방송송출 프레임별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티비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 상에서 싱크 요청 발생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부터 방송콘텐츠 청취 요청을 수신한 뒤, 상기 방송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방송콘텐츠 중 현재 구현되고 있는 방송송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모바일 스마트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티비 기반의 구매 시스템.
KR20130123016A 2013-10-16 2013-10-16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KR20150044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016A KR20150044984A (ko) 2013-10-16 2013-10-16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016A KR20150044984A (ko) 2013-10-16 2013-10-16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46A Division KR20150100583A (ko) 2015-07-06 2015-07-06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984A true KR20150044984A (ko) 2015-04-28

Family

ID=5303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016A KR20150044984A (ko) 2013-10-16 2013-10-16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3217A (zh) * 2019-09-23 2021-03-23 黑快马股份有限公司 物联网的讯息推播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3217A (zh) * 2019-09-23 2021-03-23 黑快马股份有限公司 物联网的讯息推播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5423B1 (en) Providing information in an image-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9043828B1 (en) Placing sponsored-content based on images in video content
CN110366013A (zh) 推广内容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8346604B2 (en) Facilitating bidding on images
US20080195458A1 (en) Dynamic Selection and Incorporation of Advertisements
US20170213248A1 (en) Placing sponsored-content associated with an image
KR101670824B1 (ko) 광고 영상 감독과 광고주 중개방법
US9881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content
US20200162577A1 (en) Relevant advertisement generation based on a user operating a client devic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a networked media device
US11544748B2 (en) Onlin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coordination system
US20140150017A1 (en) Implicit Advertising
US8595760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n advertisement within content
KR20150100583A (ko)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KR20150044984A (ko) 스마트 tv 기반의 음성을 통한 광고 방법 및 이를 통한 구매 시스템
KR101566362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12011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612000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11995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533836B1 (ko)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664000B1 (ko) 감성광고를 위한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시스템
KR101612014B1 (ko) 모바일 스마트단말 기반의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453826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감성광고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
KR101734021B1 (ko) 방송화면인지와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연계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KR101566214B1 (ko) 범위 커서를 이용한 타임테이블 생성을 위한 감성광고 방법
WO2016204944A1 (en) Measuring call conversions for ads using aggregated call lo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