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816A - 도어 진열장 - Google Patents

도어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816A
KR20080028816A KR1020070097294A KR20070097294A KR20080028816A KR 20080028816 A KR20080028816 A KR 20080028816A KR 1020070097294 A KR1020070097294 A KR 1020070097294A KR 20070097294 A KR20070097294 A KR 20070097294A KR 20080028816 A KR20080028816 A KR 20080028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liding bar
roller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286B1 (ko
Inventor
한용진
Original Assignee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캡스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8002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3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furniture, e.g. beds,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4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flat articles, e.g. panels, tile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진열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도어 중 특정 도어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도어의 전 부위를 동일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도어가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프레임체; 상기 프레임체 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며, 저면 중앙측 부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 내에 설치된 슬라이딩바; 상기 도어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바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프레임체 내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체 내에 수납된 각 도어의 하단 일부가 수용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그리고, 상기 프레임체의 외측 저면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진열장이 제공된다.
도어 진열장, 슬라이딩, 회전

Description

도어 진열장{display cas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를 진열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도어 중 특정 도어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도어의 전 부위를 동일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각종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그 설치 위치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형성된다.
최근에는 상기한 도어가 단순히 출입구만을 개폐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 가구의 하나로 적용됨으로써 그 외관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최근에 들어서는 건물을 지을 때에 단순히 출입문으로써의 도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내부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상기 도어가 선택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도어는 그 필요에 따라 사용자(건물주나 건설업체 혹은, 해당 건물의 입주자 등)가 직접 도어를 선택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한 도어의 선택은 팜플렛이나 실물을 직접 보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상기 팜플렛을 통해 도어를 구매할 경우에는 팜플렛에 프린팅된 내용과 실제 도어와는 색상이나 형상에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사용자의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도어의 실물을 직접 보고 구매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는 있지만, 다양한 도어를 전시하는 공간이 부족함과 더불어 상기 다양한 도어의 운반 등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장소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도어 중 특정 도어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도어의 전 부위를 동일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 진열장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특정 도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출시나 도어 진열장의 이동시 도어의 유동에 따른 인접 도어와의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원활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 진열장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다수의 도어가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은 상기 각 도어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프레임체; 상기 프레임체 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며, 저면 중앙측 부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 내에 설치된 슬라이딩바; 상기 도어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바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프레임체 내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면서 상 기 프레임체 내에 수납된 각 도어의 하단 일부가 수용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그리고, 상기 프레임체의 외측 저면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바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만큼만 상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인출거리 제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출거리 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슬라이딩바가 인출되는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바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만큼 돌출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각 부위 중 최 후방측에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단이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는 상기 각 도어의 수납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의 외측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 바퀴가 지면에 닿음을 방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바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는 제1롤러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의 저면과 각각 접촉되면서 구 름 이동되는 제2롤러부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롤러부는 전후로 롤러가 각각 설치된 제1롤러프레임과, 상기 제1롤러프레임의 중앙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롤러부는 전후로 롤러가 각각 설치된 제2롤러프레임과, 상기 제2롤러프레임의 중앙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연결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의 상면 및 저면에는 상기 각 롤러부의 롤러에 대한 구름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레일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의 저면 중 각 장변측 저면의 중앙 부위에는 각 바퀴의 구름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바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각 바퀴에 비해 더욱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보조 바퀴의 크기는 상기 각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10mm 이하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다수의 각 종류별 도어를 진열하여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고객의 필요에 따라 각 도어 중 특정 도어만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해당 도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은 한 자리에서 해당 도어의 전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도어의 보관이나 인출 과정에서 상기 도어가 그 주변의 여타 도어와 부딪힘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각 도어 간의 부딪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각 롤러부의 추가적인 구조로 인해 도어의 인출시 도어의 무게로 인한 슬라이딩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서포트 프레임의 선택적인 착탈 구조로 인해 도어의 진열시 도어 진열장의 원치않는 이동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무게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도어 진열장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다양한 장소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도어(10) 중 특정 도어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도어(10)의 전 부위를 동일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도어 진열장이 크게 프레임체(100)와, 가이드 프레임(200)과, 슬라이딩바(300)와, 회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러한 도어 진열장에 대하여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프레임체(100)는 그 내부에 다수의 도어(10)가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도어 진열장의 몸체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체(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그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상기 각 도어(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프레임체(100)의 전면만이 완전히 개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각 도어(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100)에는 그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플레이트(110)와, 그 저면을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면 플레이트(110)는 없어도 상관은 없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저면 각 모서리부위에는 도어 진열장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다수의 바퀴(14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바퀴(14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20)에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도어 진열장의 원활한 이동 및 원하는 방향으로의 원활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 도어(10)가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중의 하나로써, 상기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상면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체(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다수가 제공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체(100)에 상기 상면 플레이트(110)가 없다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 프레임체(100) 내의 상단에 직접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각 가이드 프레임(200)은 내부가 빈 사각의 파이프로 형성하되, 그 저면 중앙측 부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공(20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부(400)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바(300)는 도어(10)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가이드 프레임(200)의 지지를 받아 상기 프레임체(100)의 개구된 전면(혹은, 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슬라이딩바(300)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에 요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200)에 각각 제공된다. 즉,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이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 프레임(200)과 상기 슬라이딩바(300)에는 상기 슬라이딩바(300)가 소정 길이만큼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로부터 인출되었을 경우 더 이상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 해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인출거리 제한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출거리 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각 부위 중 슬라이딩바(300)가 인출되는 인출단(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만큼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20)와,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각 부위 중 최 후방측에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220)에 걸려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하는 걸림턱(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220)는 상기 슬라이딩바(300)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310)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회전부(400)는 각 도어(10)가 각 슬라이딩바(300)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10)가 상기 슬라이딩바(30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회전부(400)는 그 일단이 상기 각 슬라이딩바(300)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절개공(201)을 관통하여 상기 각 도어(1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10)의 상면에는 별도의 브라켓(11)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400)의 하단은 상기 브라켓(11)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회전부(400)에 대하여 상기 도어(1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물론, 상기 회전부(40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는 회전 가 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300)로부터 상기 도어(1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에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10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판(130)을 더 구비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각 격벽판(130)은 상기 프레임체(100) 내의 수납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함으로써, 도어 진열장의 이동 도중 유동에 의한 각 도어(10) 간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을 구성하는 프레임체(100)에는 회동 방지부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회동 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체(100) 내에 수납된 각 도어(10)의 수납 혹은, 인출시 이동을 지지하면서 상기 도어(10)의 수납이나 인출과 같은 이동시에 상기 도어(10)가 회동됨을 방지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즉, 상기한 회동 방지부의 구성은 각 도어(10)가 수납이나 인출시 회동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인접된 도어의 손상(예컨대, 스크래치 등)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 방지부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그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각 도어(10)의 저부가 요입되는 다수의 가이드홈(121)으로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사 용 과정에 대하여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 1과 같이 통상적인 보관 상태에서는 각 도어(10)가 프레임체(100) 내의 수납 공간상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각 도어(10)는 서로 간의 디자인이 각각 상이하거나 색상이 상이한 다수의 도어이다.
이의 상태에서 고객에 의해 상기한 각 도어(10) 중 특정 도어에 대한 확인이 요청될 경우 해당 도어(10)를 프레임체(102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방으로 당기면 된다.
이의 경우, 해당 도어(10)의 상면에 회전부(400)에 의해 연결된 슬라이딩바(300)가 가이드 프레임(20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프레임체(1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결국, 상기 도어(10)가 프레임체(100)의 수납 공간 외부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5와 같다.
이때, 상기 도어(10)는 상기 프레임체(100)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인출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슬라이딩바(300)와 가이드 프레임(200)에 각각 형성된 인출거리 제한부(즉, 스토퍼 및 걸림턱)(220,310)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인출 거리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바(300)가 설정된 인출거리만큼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에 형성된 스토퍼(220)에 걸려 더 이상의 인출됨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프레임체(10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도어(10)는 그 회전 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객은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10)를 회전시키면서 해당 도어(10)에 대한 전 부위의 확인을 수행하게 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6과 같다.
만일, 전술한 상태에서 상기 고객이 상기 도어 진열장에 진열된 각 도어(10) 중 여타의 도어(10)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상기 인출한 도어(10)를 회전시켜 그 수납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한 후 상기 도어(10)를 밀어 원위치로 수납하고, 계속해서 상기 여타의 도어(10)를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서와 같이 인출한 후 회전시키면서 확인하면 된다.
물론, 첨부된 도 7과 같이 두 도어(11,12)의 위치가 서로 간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는 부위에 위치되어 있다면 어느 한 도어(11)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다른 한 도어(12)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반드시 전술한 제1실시예의 형상으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가이드 프레임(200)을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구비함과 더불어 슬라이딩바(300) 및 회전부(400)는 도어(10)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회동 방지부는 단순한 가이드홈(121)으로 형성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10)의 저부 양측을 받치도록 상기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각 도어는 그 종류나 재질에 따라 무게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대적으로 가벼운 도어가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무거운 도어 역시 있다.
하지만, 상기 상대적으로 무거운 도어(예컨대, 80kg 이상의 무게를 가지는 도어)에 대한 진열시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구조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어의 무게로 인해 슬라이딩바(300)가 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상기한 슬라이딩바(300)의 휨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바(300)와 가이드 프레임(200) 간의 마찰력이 커지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바(300)가 가이드 프레임(200) 내를 원활히 슬라이딩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바(300)와 가이드 프레임(200)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에 의해 코팅 부위(예컨대, 페인팅 부위)가 벗겨져서 녹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어(10)의 무게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 아니라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일련의 구성이 더 포함됨을 제시하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가이드 프레임(200)과 슬라이딩바(300) 간의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도시된 구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은 슬라이딩바(300)의 상면 및 저면에 롤러부(500,6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롤러부(500,60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는 제1롤러부(500)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내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구름 이동되는 제2롤러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부(500)는 전후로 롤러(511,512)가 각각 설치된 제1롤러프레임(510)과, 상기 제1롤러프레임(510)의 중앙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상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바(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롤러부(600)는 전후로 롤러(611,612)가 각각 설치된 제2롤러프레임(610)과, 상기 제2롤러프레임(610)의 중앙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저면에 연결하는 제2연결바(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롤러부(600)를 이루는 롤러(611,612)는 상기 제2롤러프레임(6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롤러부(600)를 이루는 각 쌍의 두 롤러(611,612)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저면 중앙을 따라 형성된 절개공(201)의 좌우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그 구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내의 상면 및 저면에는 상기 각 롤러부(500,600)의 롤러에 대한 원활한 구름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레일(231,23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각 롤러(511,512,611,612)는 내측 부위가 오목한 상태로 상기 지지레일(231,232)의 지지를 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내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레일(231)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저면 중앙을 따라 형성된 절개공(201)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 면서 상기 제2롤러부(600)를 이루는 각 쌍의 두 롤러(611,6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각 롤러부(500,600)는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후방에 각각 위치되며, 두 롤러부(500,600) 간은 서로 수직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한 각 롤러부(500,600)로 인해 가이드 프레임(20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두 롤러부(500,600)를 서로 수직하게 배치시킬 경우 상기한 두 롤러부(500,600)의 높이를 합친 높이만큼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높이 역시 높아질 수밖에 없지만, 상기한 두 롤러부(500,600)를 실시예로 제시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시킨다면 실질적인 두 롤러부(500,600)로 인한 가이드 프레임(200)의 높이 증가는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성으로 인해 슬라이딩바(300)에 설치되는 도어(10)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상기 슬라이딩바(3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슬라이딩바(300)와 가이드 프레임(2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바(300)와 가이드 프레임(200) 간의 대응 부위에 대한 코팅의 벗겨짐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녹의 발생이 방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성 중 각 롤러부(500,600)를 갖는 슬라이딩바(300) 및 가이드 프레임(200)에 대한 일련의 구성은 프레임체(100) 내의 상부(상면 플레이트의 저면)에만 구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프레임체(100) 내의 저부(저면 플레이트의 상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시하고자 하는 도어의 무게가 일반적인 종류의 도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종류일 경우 더욱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성하거나 혹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종류의 도어가 2개 이상 동시에 동일한 특정 공간에 전시할 경우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저부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어 진열장의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외측면에 서포트 프레임(7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은 상기 프레임체(10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그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체(100)의 저면에 설치된 바퀴(140)에 비해 더욱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을 상기 프레임체(100)의 외측 저면에 설치하였을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이 지면에 맞닿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각 바퀴(14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체(100)의 원치않는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진열된 각 도어(10)의 무게로 인한 바퀴(140)로 집중되는 하중을 대신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서포트 프레임(700)은 상기 프레임체(100)의 단변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을 상기 프 레임체(100)의 장변측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서포트 프레임(700)은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프레임체(100)의 저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이 두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프레임체(100)의 저면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끝단 부위에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서포트 프레임(700)과 프레임체(100) 간의 선택적인 착탈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을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체(100)의 저면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의 상면에는 복수의 결합공(122,71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서로 대응되는 두 결합공(122,710)에 볼트(20)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상기 서포트 프레임(700)과 프레임체(100) 간의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프레임(700)의 선택적인 제공으로 인해 도어 진열장의 위치 변경 등의 이동시에는 첨부된 도 12와 같이 바퀴(140)에 의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고, 도어 진열장의 고정 설치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각 서포트 프레임(700)을 각각 설치하는 일련의 작업에 의해 첨부된 도 11과 같이 도어 진열장의 안정적인 지지 및 상기 도어 진열장의 원치않는 이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도어 진열장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이동에 대한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 바퀴(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800)는 프레임체(100)를 이루는 저면 플레이트(120)의 저면 중 두 장변측의 중앙부위에 각각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한 보조 바퀴(80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20)의 저면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각 바퀴(140)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면 플레이트(120)의 저면 중앙에 위치되는 두 보조 바퀴(800)로 인해 도어 진열장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두 보조 바퀴(800)만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타의 각 바퀴(14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더욱 원활한 회전 조작(도어 진열장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물론, 상기한 보조 바퀴(800)의 크기는 각 바퀴(140)의 크기에 비해 월등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조 바퀴(800)로 인한 각 바퀴(14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대략 10mm 이하가 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에 도어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에 도어가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회동 방지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으로부터 도어를 인출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롤러부에 대한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롤러부에 의한 슬라이딩바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서포트 프레임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 진열장의 보조 바퀴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Claims (13)

  1. 다수의 도어가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한 면은 상기 각 도어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프레임체;
    상기 프레임체 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며, 저면 중앙측 부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 프레임 내에 설치된 슬라이딩바;
    상기 도어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바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프레임체 내의 저면에 상기 프레임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체 내에 수납된 각 도어의 하단 일부가 수용되는 다수의 가이드홈; 그리고,
    상기 프레임체의 외측 저면에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딩바가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만큼만 상기 가이 드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인출거리 제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거리 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각 부위 중 슬라이딩바가 인출되는 인출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바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만큼 돌출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각 부위 중 최 후방측에 내향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단이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는 상기 각 도어의 수납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외측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 바퀴가 지면에 닿음을 방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이동되는 제1롤러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의 저면과 각각 접촉되면서 구름 이동되는 제2롤러부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는 전후로 롤러가 각각 설치된 제1롤러프레임과, 상기 제1롤러프레임의 중앙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롤러부는 전후로 롤러가 각각 설치된 제2롤러프레임과, 상기 제2롤러프레임의 중앙 부위를 상기 슬라이딩바의 저면에 연결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의 상면 및 저면에는 상기 각 롤러부의 롤러에 대한 구름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레일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외측 저면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 바퀴가 지면에 닿음을 방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저면 중 각 장변측 저면의 중앙 부위에는 각 바퀴의 구름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바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각 바퀴에 비해 더욱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의 크기는 상기 각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10mm 이하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진열장.
KR1020070097294A 2006-09-27 2007-09-27 도어 진열장 KR100919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4353 2006-09-27
KR1020060094353 200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816A true KR20080028816A (ko) 2008-04-01
KR100919286B1 KR100919286B1 (ko) 2009-10-01

Family

ID=3922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94A KR100919286B1 (ko) 2006-09-27 2007-09-27 도어 진열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72499A1 (ko)
KR (1) KR100919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4574A1 (en) * 2008-10-08 2010-04-14 Moidecar, S.L. Disassemblable rack for display panels
DE102011016165A1 (de) * 2011-04-05 2015-04-02 Raumplus Besitz- Und Entwicklungs-Gmbh & Co. Kg Möbel mit wenigstens einer Schiebetür
US10070739B2 (en) * 2014-01-29 2018-09-11 Liberty Hardware Mfg. Corp. Shower door assembly display
CN104481362A (zh) * 2014-12-08 2015-04-01 安徽人防设备有限公司 人防设备门扇专用存储架
US11559148B2 (en) * 2016-02-05 2023-01-24 Liberty Hardware Mfg. Corp. Mirror display assembly and retail display system
CN108420247A (zh) * 2018-06-13 2018-08-21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电梯门组件及电梯门组件展览架
US11643812B2 (en) * 2019-05-17 2023-05-09 Operations Support Gmbh Device for storage and use of wall elements and method for room division
CN111067308A (zh) * 2019-12-12 2020-04-28 涡阳县幸福门业有限公司 一种金属门展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359A (en) * 1872-11-26 Improvement in hanging sliding doors
US45648A (en) * 1864-12-27 Photographic glass-rack
US343779A (en) * 1886-06-15 Door-hanger
US297485A (en) * 1884-04-22 Joseph amis a ycock
US338440A (en) * 1886-03-23 Pbeley b
US520199A (en) * 1894-05-22 Track or carrier for doors
US511894A (en) * 1894-01-02 Display-case
US254836A (en) * 1882-03-14 File for postal and other cards
US655981A (en) * 1899-12-11 1900-08-14 Charles Lietz Display-rack.
US840061A (en) * 1904-08-16 1907-01-01 John Hofman Movable supporting means for doors, display-frames, &c.
US813165A (en) * 1905-06-23 1906-02-20 Frederick F Fanning Lace-curtain-exhibiting apparatus.
US842193A (en) * 1906-03-23 1907-01-29 Charles Frankel Clothes-hanger support.
US859860A (en) * 1906-05-16 1907-07-09 Roderick Weir Clothes-wardrobe.
US867283A (en) * 1906-12-26 1907-10-01 Oscar F Mann Hanger for doors.
US879341A (en) * 1907-07-05 1908-02-18 Lyman W Welch Extension-bracket for garment-display cases.
US915610A (en) * 1908-08-06 1909-03-16 James Goddard Lamb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storing curtains and other articles.
US937497A (en) * 1909-03-25 1909-10-19 Fannie Wolf Support for garment-hangers.
US1093232A (en) * 1909-12-06 1914-04-14 Fannie Wolf Support for garment-hangers.
US1073854A (en) * 1912-02-14 1913-09-23 Robert Helmer Filing device.
US1127782A (en) * 1912-04-26 1915-02-09 Morris Kurtzon Extensible supporting-rack for wardrobes.
US1257611A (en) * 1916-02-29 1918-02-26 William J Kelly Supporting device.
US1601988A (en) * 1924-12-15 1926-10-05 Grand Rapids Show Case Co Show case rotating display rack
US1618946A (en) * 1925-06-12 1927-02-22 Pinto Edward Henry Garment-suspension fitting for clothing cabinets
US1572832A (en) * 1925-10-03 1926-02-09 Proctor And Schwartz Inc Locking device for drying frames
US1722731A (en) * 1928-08-20 1929-07-30 Burstein Max Door hanger
US1902338A (en) * 1930-10-21 1933-03-21 Clarence E Riley Photoengraver's glass dipping rack
US1891844A (en) * 1931-05-09 1932-12-20 Albert R Spikings Swingable garment hanger support
US2274908A (en) * 1941-01-23 1942-03-03 James B Murray Filing apparatus
US2460997A (en) * 1947-06-18 1949-02-08 Donald C Myers Clothes hanger assembly
US2660506A (en) * 1950-02-24 1953-11-24 Wright Elvin Stanley Storage file for program tapes
US2702127A (en) * 1951-04-11 1955-02-15 Iii Louis E Pastorius Shelf rack
US2757804A (en) * 1953-06-29 1956-08-07 Sadwin Daniel Extendable closet rod
US2740531A (en) * 1953-07-08 1956-04-03 Anna J Ragsdale Clothes hanger rack for closets
US2788132A (en) * 1954-05-17 1957-04-09 Dewey S Lewis Adjustable hanger
US2812067A (en) * 1954-06-18 1957-11-05 Grant Pulley & Hardware Corp Horizontal pivot slide
US2851167A (en) * 1954-08-03 1958-09-09 Marvin D Rosenberg Rack
US2864513A (en) * 1955-07-18 1958-12-16 Novack Lawrence Traverse track for clothes closets
US2988012A (en) * 1958-03-24 1961-06-13 Eastern Air Lines Inc System and means for supporting and handling materials along a work line
US3321090A (en) * 1965-06-01 1967-05-23 Mfg Specialties Co Inc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bottles and the like
US3294267A (en) * 1965-07-28 1966-12-27 Johnny P Schweigert Saddle carriers
US3349924A (en) * 1965-12-06 1967-10-31 American Handling Equipment Co Storage device for articles and method
US3468509A (en) * 1967-09-06 1969-09-23 Lawrence Brothers Track mounting bracket
US3389807A (en) * 1972-08-22 1968-06-25 Evan N. Manning Garment support
US3813728A (en) * 1972-09-11 1974-06-04 L Johnson Door hangers
US3883004A (en) * 1973-01-02 1975-05-13 Advertising Metal Display Co Cantilever movable panel display rack
ZA732925B (en) * 1973-04-30 1974-11-27 Slide O Sell Pty Ltd Storage and display of goods
US4008807A (en) * 1975-02-26 1977-02-22 Geoff Phillips Display device particularly suitable for shoes
US4182538A (en) * 1978-03-20 1980-01-08 Armistead Hubert P Storage module for tapes
US4235490A (en) * 1978-12-26 1980-11-25 Le-Bo Products Company, Inc. Video cassette storage and ejection device
US4327835A (en) * 1980-01-10 1982-05-04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Universal snap-in card guide for printed circuit card enclosures
US4579231A (en) * 1984-01-26 1986-04-01 Price Macy J Data tape storage system
US5057977A (en) * 1990-04-17 1991-10-15 Triangle Pacific Corp. Pull-out lighted display
MX9101405A (es) * 1990-10-04 1992-06-01 Humbert Bohner Sistema de colocacion y transportes especialmente para fines gastronomicos
DE4404901A1 (de) * 1994-02-16 1995-08-17 Hauni Werke Koerber & Co Kg Aufnahmeeinrichtung für Zigarettenschragen
US5894945A (en) * 1997-03-05 1999-04-20 Curran; William F. Multiple door paint rack system
AU741052B2 (en) * 1997-04-23 2001-11-22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Height adjustment or levelling apparatus
US5924577A (en) * 1997-09-04 1999-07-20 Gessert; Roy E. Modular rack and storage system
NL1013634C2 (nl) * 1999-11-22 2001-05-28 Paulus Gerardus Roetenberg Ophangsysteem en producthouder voor producten.
US6464092B1 (en) * 2000-03-23 2002-10-15 Production Assembly Service, Inc. Industrial component rack assembly
US6484893B1 (en) * 2001-06-29 2002-11-26 Vladimir D. Tkatch Shelving apparatus
US6557710B1 (en) * 2001-10-31 2003-05-06 Coastal Sales Associates, Inc. Media disc holder
AUPS136102A0 (en) * 2002-03-26 2002-05-09 Glidestore Freetrack Pty Ltd Drive mechanism for a track mounted body
KR200299049Y1 (ko) * 2002-06-12 2003-01-03 김호경 수레용 바퀴의 설치구조
US6994410B2 (en) * 2002-09-10 2006-02-07 Knape & Vogt Manufacturing Co. Pocket door slide
KR200352096Y1 (ko) * 2004-02-23 2004-06-10 미광기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납장의 조립구조
US20080006594A1 (en) * 2006-07-07 2008-01-10 Layton Jeff H Pocket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2499A1 (en) 2008-03-27
KR100919286B1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286B1 (ko) 도어 진열장
US20060213850A1 (en) Display assembly
US7258317B1 (en) Pull-out display shelf
US9687090B2 (en) Standalone merchandise display and storage table
US9217273B2 (en) Apparatus for restricting access to a retail store aisle
EP3346882B1 (de) Ausgabevorrichtung
US7407238B2 (en) Dispensers with removable storage cartridges
EP0010730A1 (de) Fahrbarer Verkaufsstand
EP2345347B1 (de) Kühlregal mit Türvorrichtung
US10112522B2 (en) Frozen confection kiosk and liquid-dispensing assembly for use therewith
KR20180033457A (ko) 보안 문
US9161638B2 (en) Retail merchandising platform
US6394566B1 (en) Workstation and spring-assisted door therefor
EP0658327B1 (en) Display cabinet or rack
DE102010037933A1 (de) Einzelhandelsbedienschrank
EP2441356A2 (de) Einzelhandelsbedienschrank
EP2218994B1 (de) Kältegerät mit ausziehbare Abstellplatten untergreifenden Auflagern
EP2187785B1 (de) Vorsatzsystem für ein warenpräsentationssystem
CN109864507B (zh) 一种带卷帘门结构蔬果台
DE102017126379A1 (de) Bauwerkstand
JPS6215070Y2 (ko)
AU709439B3 (en) Kiosk for presenting for sale various articles such as newspapers
DE202011005563U1 (de) Trittstufe
JPH1132876A (ja) 展示ケース
DE202011050129U1 (de) Einzelhandelsbedienschr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