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372A - 파이프 연결부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372A
KR20080028372A KR1020077029424A KR20077029424A KR20080028372A KR 20080028372 A KR20080028372 A KR 20080028372A KR 1020077029424 A KR1020077029424 A KR 1020077029424A KR 20077029424 A KR20077029424 A KR 20077029424A KR 20080028372 A KR20080028372 A KR 2008002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connection
strength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프 모시브닉
알프레드 바그너
Original Assignee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2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5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for thin-walled pipes having at least their extremities deformed so as to have the shape of screw-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두 개의 파이프(1, 2) 사이의 파이프 연결부가 개시되며, 하나의 파이프의 단부 섹션이 다른 파이프의 단부 섹션에 의해 중첩되고 또는 각 접합 요소(3, 4)가 파이프(1, 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섹션들내로 각각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1, 2)들은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다른 파이프와 중첩된 파이프의 단부 섹션 또는 단부 섹션(3, 4)내로 삽입된 하나 이상의 접합 요소(3, 4)가 파이프의 내부를 향하는 단부에서 인접하는 하위영역에 비해 강성도가 감소된 영역(18, 19)을 구비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강성도가 감소된 영역(18, 19, 30)이 내측 원주상의 하나 이상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20, 21, 21', 3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 상기 파이프들이 서로에 대해 경사지거나 틸팅되는 경우에도, 심지어는 파이프 연결부에 편심적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1, 2)들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

Description

파이프 연결부{PIPE CONNECTION}
본 발명은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 사이의 파이프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파이프의 단부 섹션이 다른 파이프의 단부 섹션에 의해 중첩되고 및/또는 접합 요소(joining element)가 파이프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섹션들내로 각각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나사식으로, 특히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파이프와 중첩된 파이프의 단부 섹션 및/또는 파이프의 단부 섹션내로 삽입된 하나 이상의 접합 요소가 파이프의 내부를 향하는 단부에서 인접하는 하위영역(subarea)에 비해 강도가 감소된 영역으로 형성된다.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 사이에 제공된 파이프 연결부 분야에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파이프의 단부 섹션이 상기 파이프와 연결되는 다른 파이프의 단부 섹션으로 들어가서 서로 중첩되고, 또한 그 파이프들 사이에는 연결부가 제공된다. 분리가능한 연결부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적절한 나사산을 이용하는 나사식 연결부가 제공된다. 그 대신에, 연결될 파이프들을 아교접착, 용접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접합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연결은 파괴 없이 분리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서로 연결될 파이프 요소 또는 파이프의 단부 섹션내로 서로 연결될 접합 요소를 삽입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으며, 이때 특히 분리가능한 연결이 예를 들어 나사식 연결 또는 베이요닛 캐치(bayonet catch)에 의해서 다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암반이나 토양 물질내에 터널이나 일반적인 통로를 생성하기 위한 앵커리지(anchorage) 또는 파이프 실드(shield)을 제조할 때, 그러한 앵커리지 또는 파이프 실드는 일반적으로 미리 규정된 길이에 걸쳐 홀을 드릴가공함으로써 각각 형성되며, 이때 적절한 파이프 연장부가 제공되어 적절한 고정을 위한 앵커리지 또는 파이프 실드의 선택적으로 긴 길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앵커리지 또는 파이프 실드를 제조할 때, 예를 들어, 여러 가지 토양이나 암반 물질로 인해, 각 토양이나 암반 층 사이의 전이(shift)가 부분적으로 일어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는 파이프 형상 요소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경사진 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파이프 실드의 요소 또는 앵커리지에 응력 또는 변형을 유발할 것이다. 만약, 그러한 파이프-형상 요소의 길이방향 연장선 또는 축선에 대해 경사진 또는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일어나는 그러한 응력들이 인접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의 연결 영역내에서 발생된다면, 특히 연결되는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의 겹쳐진 또는 서로 결합된 단부 섹션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는 곳에서, 하나의 파이프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선택적으로 날카로운 엣지를 가지는 단부 섹션이 손상될 것이고 결국에는 그 주변의 다른 파이프의 단부 섹션를 파괴하여 그러한 연결부 영역에서 전체 파이프-형상 요소의 완전성(integrity)이 더이상 유지되지 않거나 영향을 받을 것이다. 만약, 몇 개의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로 이루어진 그러한 파이프-형상의 요소가 파이프 실드의 요소 또는 앵커리지로서 사용된다면, 필요한 보호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거나 또는 그러한 보호가 더이상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파이프 연결부와 달리, 본 발명은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 사이의 파이프 연결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작용하는 편심 응력 또는 변형의 경우에도, 연결부 및 특히 각각 다른 파이프와 중첩되는 단부 섹션의 재킷(jacket) 영역의 완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파이프 연결부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전술한 종류의 파이프 연결부는, 강도가 감소된 영역의 내측 원주상에 하나 이상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depression or recess)를 구비하도록 그러한 강도 감소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본질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되는 파이프로 유입되는 단부 섹션 또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들 사이에 삽입되는 접합 요소의 하나 이상의 단부가 인접하는 하위영역에 대비한 함몰부 또는 리세스 형태의 강도 감소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 사이의 파이프 연결부 영역에 편심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그리고 그에 따라 중첩된 단부 섹션의 외측에 위치된 재킷 영역과 내측에 위치된 단부 섹션 사이에 접촉이 유발되는 경우에도, 연결부의 완전성이 이러한 영역에서 유지될 수 있고, 특히 주변 단부 섹션 또는 단부 섹션의 재킷 영역에 대한 파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작용하는 또는 연장하는 힘 또는 응력의 경우에, 그리고 인접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의 결과적인 경사 또는 틸팅(tilting)의 경우에, 내측에 위치되는 단부 섹션이 주변 단부 섹션과 접촉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이프의 내부를 향하는 강도 감소 영역에 의해, 이러한 강도 감소 영역이 변형되어 주변 파이프의 재킷 섹션 또는 단부 섹션이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강도 감소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가 매우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강도가 감소된 영역은 재질의 두께가 감소된 영역으로서 구현되며, 그에 따라 단순화된 제조에 의해 파이프 연결부의 완전성을 보존한다.
내측에 위치된 단부 섹션의 강도가 감소된 영역이 재킷 영역 또는 주변 단부 섹션내로 절개(cutting)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강도 감소 영역이 외측 표면상의 자유 단부를 향해 둥글게 처리(rounded off)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그렇게 자유 단부를 둥글게 처리하는 것은 실시하기가 용이하고 또 주변 단부 섹션의 내측 원주에 대한 손상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게 한다.
가능한 한 단순한 제조 및 그에 따른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각 단부 섹션으로 삽입되는 접합 요소, 또는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일정한 재질 단면(material cross section)에서 파이프 내부를 향하는 단부 부분 또는 단부 섹션에 강도가 감소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강도 감소 영역이 내측 원주에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파이프 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작용하거나 연장하는 힘 또는 편심적인 힘이 파이프 연결부 영역에서 발생한다면, 인접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이 정렬된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틸팅될 때 수용된 단부 섹션의 자유 단부가 변형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단순한 수단에 의해, 최외측 단부 섹션에 감소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특히 균일하게 또는 일정하게 변화되는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가 제공되며, 그러한 함몰부 또는 리세스의 폭 및/또는 깊이는 강도 감소 영역의 자유 단부를 따라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함몰부 또는 리세스의 폭 및/또는 깊이가 강도 감소 영역의 자유 단부쪽으로 갈수록 증대된다는 그러한 사실로 인해, 주변 파이프내로 가장 깊이 삽입된 하위영역이 가장 작은 강도를 가지게끔 형성되도록 보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연결되는 파이프의 단부 섹션에 의해 하나의 단부 섹션이 다른 파이프와 중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단부들이 서로 상이하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특히, 연결되는 각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의 단순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연결되는 단부들 또는 인접 단부들의 여러 실시예를 고려할 필요 없이,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단부 섹션들내로 접합 요소들을 각각 삽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 요소는 그에 따라 짧은 길이를 가지며 인접 파이프들의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각 단부 섹션내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접합 요소들이 체결 요소, 특히 내부 나사산 및 상보적(相補的)인 외부 나사산을 파이프의 돌출 단부에 구비하는 슬리브(sleeve) 요소를 구비한다. 그러한 슬리브 요소들은 제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연결되는 그리고 선택적으로 얇은 벽 방식으로 디자인되는 극단적(extreme)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인접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의 적절한 연결을 위해서 제공되어야 하는 증대된 재질 단면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될 각 파이프 요소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되는 단부 섹션의 적절한 연결에 필요한 중첩을 보장하기 위해 매칭(matching) 단부 섹션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단부 섹션에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특히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접합 요소의 고정을 위해, 각 슬리브 요소가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지부는 특히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하고 각 파이프내로 슬리브 요소가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며, 상기 정지부 영역내에서 상기 슬리브 요소가 특히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하는 용접부에 의해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파이프 연결부들은 큰, 특히 편심적인 응력에 노출될 수 있으며, 각 파이프 또는 파이프 요소내에 접합 요소를 고정하는 것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관통부 또는 통로 개구부를 원주를 중심으로 분포된 방식으로 파이프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용접부가 삽입된 슬리브 요소와 함께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라 파이프내에 삽입된 접합 요소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접합 요소의 개량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와 유사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제 1 파이프 및 제 2 파이프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의 개선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파이프(2)와 연결되는 제 1 파이프(1)를 도시한다. 파이프(1)와 파이프(2)를 연결하기 위해, 슬리브 요소(3 또는 4)를 각각 포함하는 접합 요소가 각 파이프(1 또는 2)내로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 또는 접합 요소(3 및 4)는 도면부호 '5' 및 '6'으로 각각 도시한 나사식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접합 요소 또는 슬리브 요소(3 또는 4)가 파이프(1 및 2)의 최종 또는 단부 섹션내로 각각 삽입되고, 이때 슬리브 또는 접합 요소(3 및 4)의 삽입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정지부(7 또는 8)가 각각의 접합 요소(3 또는 4)의 외측 원주 에 제공된다. 정지부(7 및 8)의 영역에서, 도면부호 '9' 및 '10'으로 각각 표시되는 용접부가 각각 삽입된 슬리브 또는 접합 요소(3 및 4)와 함께 각 파이프(1 및 2)의 자유 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슬리브 또는 접합 요소(3 및 4)를 각각의 파이프(1 및 2)내에서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개구부 또는 홀(13 및 14)이 또한 각 자유 단부(11 또는 12)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파이프(1 및 2)내에 각각 제공되며, 그러한 개구부 또는 홀을 통해 슬리브 요소(3 및 4)가 각각 삽입된 파이프(1 및 2) 사이의 추가적인 연결부들이 도면부호 '15' 및 '16'으로 각각 표시된 용접부에 의해 형성된다.
파이프(1 및 2)의 길이방향 축선(17)에 대해 횡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의 파이프(1 및 2)의 상대적인 경사 또는 틸팅 중에 슬리브 요소(3 및 4)의 중첩된 단부 섹션들이 파이프(1 및 2)의 재킷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슬리브 요소(3 및 4)의 단부 섹션(18 및 19)이 낮은 강성도(rigidity) 또는 감소된 강도의 영역을 파이프 내부를 향하는 각 단부에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감소된 강도를 얻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그리고, 특히,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20 및 21)가 각각 제공되며, 이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확대도인 도 2에는 슬리브 요소(4)가 도시되어 있으며, 슬리브 요소(3; 도시하지 않음)과의 연결을 위한 내부 나사산이 다시 도면부호 '5'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 요소(4)의 단부 섹션(19)이 슬리브 요소(4)의 전체 내측 둘레에 걸쳐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 스(21)를 구비하며, 상기 함몰부 또는 리세스(21)의 폭은 각각 자유 단부(22) 방향으로 증대된다. 그에 따라, 단부 섹션(19)의 강도 또는 강성도가 자유 단부(22) 쪽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될 것이며, 그에 따라 단부 섹션(19)은 틸팅이나 경사 중에 자유 단부(22) 방향으로 갈수록 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될 것이다. 또한, 도 2로부터, 단부 섹션(19)이 외측 원주 표면상에 둥글게 처리한 부분(23)을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정지부(8)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으며, 그러한 정지부는 파이프 요소(2; 도시하지 않음)내로 슬리브 요소(4)가 삽입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3에 도시된 슬리브 요소(4')의 개선된 실시예로부터, 함몰부(21')가 동일한 폭을 가지나, 그 깊이는 자유 단부(22) 방향을 따라 증대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부 섹션(19)내에서 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며, 그에 따라 자유 단부(22) 방향을 따라 보다 더 잘 변형될 수 있게 하여 파이프(2;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음)의 내측 재킷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로부터, 파이프(24)가 제 2 파이프(25)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서로 연결되는 파이프(24 및 25)의 각 단부(26 및 27)는 단부(26)가 단부(27)와 중첩될 수 있도록 서로 매칭되게 디자인된다. 두 파이프(24 및 25)의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해, 나사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나사산 연결부(28)가 다시 도 4에 표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측에 위치된 파이프(25)의 단부 섹션(27)이, 틸팅 또는 경사 중에, 길이방향 축선(29)에 대해 경사지게 또는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내측에 위치되는 단부 섹션(26)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파이프의 내부를 향하는 파이프(24)의 단부 섹션(30)이 감소된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감소된 강도를 위해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31)가 다시 제공된다. 이러한 함몰부 또는 리세스(31)는, 전수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이한 깊이 및/또는 폭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서로 다른 거리에 정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둥글게 처리된 외측 단부 섹션(32)이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감소된 강도를 얻기 위한 함몰부 또는 리세스(20 및 21, 또는 31)를 포함하는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둥글게 처리한 부분 또는 베벨형(bevelled) 단부 섹션(23 또는 32)을 제공함으로써 재질 두께의 감소에 의해 감소된 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내부를 향하는 단부 섹션들의 감소된 강도는 감소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이러한 하위영역의 적절한 물질 처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파이프(24 및 25)의 각 단부가 각각 상보적인 단부 섹션(26 및 27)을 가지도록 디자인되어야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제조가 단순하고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적이 일정한 재질을 가지는 파이프 또는 파이프 요소(1 및 2)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마찬가지로 제조 및 삽입이 단순한 접합 또는 슬리브 요소(3 및 4)가 연결을 위해 제공되며, 상기 접합 또는 슬리브 요소는 특히 나사산 영역에서 적절한 재질 두께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접 파이프들 또는 파이프 요소들(1 및 2)은 제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작은 재질 단면을 허용할 수 있는데, 이는 단부에서 안전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성형이나 추가적인 재질 단면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길이가 긴 파이프 또는 파이프 요소들에서, 감소된 재질 입력 및 감소된 중량도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제 1 파이프(1)와 제 2 파이프(2) 사이의 파이프 연결부로서, 하나의 파이프의 단부 섹션이 다른 파이프의 단부 섹션에 의해 중첩되고 및/또는 접합 요소(3, 4)가 파이프(1, 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섹션들내로 각각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들은, 바람직하게 나사식으로, 특히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파이프와 중첩된 파이프의 단부 섹션 및/또는 파이프(1, 2)의 단부 섹션내로 삽입된 하나 이상의 접합 요소(3, 4)가 파이프의 내부를 향하는 단부에서 인접하는 하위영역에 비해 강도가 감소된 영역(18, 19)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감소된 영역(18, 19)이 내측 원주상의 하나 이상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20, 21, 21', 3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감소된 영역(18, 19, 30)이 감소된 재질 두께의 영역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감소된 영역(18, 19, 30)은 외측 표면상에서 자유 단부를 향해 둥글게 처리된 부분(23, 32)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감소된 영역(18, 19, 30)이 내측 원주상에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20, 21, 21', 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5. 제 4 항에 있어서,
    다수의 함몰부 또는 리세스(20, 21, 21', 31)가 제공되며, 상기 함몰부 또는 리세스의 폭 및/또는 깊이는 상기 강도가 감소된 영역의 자유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함몰부 또는 리세스(21')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강도가 감소된 영역(19')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되는 파이프(1, 2)의 각 단부 섹션내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접합 요소(3,4)들이 체결 요소(5, 6), 특히 내부 나사산 및 상보적인 외부 나사산을 파이프(1, 2)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단부들상에 구비하는 슬리브 요소(3, 4, 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요소(3, 4, 4')가 특히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하고 각 파이프(1, 2)내로 상기 슬리브 요소(3, 4, 4')가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정지부(7, 8)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7, 8) 영역내에서 상기 슬리브 요소(3, 4, 4')는 특히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하는 용접부(9, 10)에 의해 파이프(1, 2)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관통부 또는 통로 개구부(13, 14)들이 원주 주위로 분포되는 방식으로 파이프(1, 2)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관통부 또는 통로 개구부를 통해 서 추가적인 용접부(15, 16)가 삽입된 슬리브 요소(3, 4)와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
KR1020077029424A 2005-05-27 2006-05-26 파이프 연결부 KR20080028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GM350/2005 2005-05-27
AT0035005U AT8404U1 (de) 2005-05-27 2005-05-27 Rohrverbi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372A true KR20080028372A (ko) 2008-03-31

Family

ID=3621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424A KR20080028372A (ko) 2005-05-27 2006-05-26 파이프 연결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90230679A1 (ko)
EP (1) EP1886056B1 (ko)
JP (1) JP2008542634A (ko)
KR (1) KR20080028372A (ko)
CN (1) CN101184949A (ko)
AT (2) AT8404U1 (ko)
AU (1) AU2006251841B2 (ko)
CA (1) CA2608676C (ko)
DE (1) DE502006004522D1 (ko)
ES (1) ES2330882T3 (ko)
PL (1) PL1886056T3 (ko)
SI (1) SI1886056T1 (ko)
WO (1) WO2006125241A1 (ko)
ZA (1) ZA2007098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152B1 (ko) * 2011-09-02 2013-07-26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대상부재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0168B (zh) * 2018-08-16 2024-02-13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管棚插焊式连接装置及其方法
CN110260067A (zh) * 2019-06-28 2019-09-20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一种管道锁紧机构及管道与辊同步转动装置
CN110255879B (zh) * 2019-06-28 2024-05-03 吴江南玻玻璃有限公司 管道锁紧机构及管道与辊同步转动装置
CN110508436A (zh) * 2019-09-23 2019-11-29 重庆通用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雾化喷头组件
AU2021278098A1 (en) * 2020-05-28 2023-01-05 Hollister Incorporated Drainage member design and ultrasonic welding method for attachment of catheter tube to drainag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4221A (en) * 1918-02-18 1920-06-22 Charles E Stratton Drill-stem
FR664685A (fr) * 1928-11-28 1929-09-06 Dispositif d'assemblage de tuyaux métalliques
US2211173A (en) * 1938-06-06 1940-08-13 Ernest J Shaffer Pipe coupling
US2259232A (en) * 1938-08-17 1941-10-14 Hydril Co Well pipe joint
US2301495A (en) * 1939-04-08 1942-11-10 Abegg & Reinhold Co Method and means of renewing the shoulders of tool joints
US2239942A (en) * 1939-05-17 1941-04-29 Hydril Company Of California Well pipe joint
GB758333A (en) * 1954-12-29 1956-10-03 Reed Roller Bit Co Improvements in drill-pipe joints
US2862729A (en) * 1955-02-10 1958-12-02 Crane Co Flexible bellows seal for flanged pipe joint
US2857175A (en) * 1955-03-15 1958-10-21 Browning Harold Pipe fitting capable of absorbing torsional deflections
US2930634A (en) * 1957-02-21 1960-03-29 Coast Mfg And Supply Co Coupler and method of joining conduits
US3709529A (en) * 1970-08-03 1973-01-09 Parker Hannifin Corp Weld joint
CA1148193A (en) * 1980-01-11 1983-06-14 Kornelis N. Zijlstra Coupling for interconnecting pipe sections and pipe section for well drilling operations
US4509777A (en) * 1982-11-01 1985-04-09 Dril-Quip Inc. Weld-on casing connector
GB8414203D0 (en) * 1984-06-04 1984-07-11 Hunting Oilfield Services Ltd Pipe connectors
US4776616A (en) * 1986-05-26 1988-10-11 Usui Kokusai Sangyo Kabushiki Kaisha Coupling
US4962952A (en) * 1989-03-29 1990-10-16 Vetco Gray Inc. Pressure tube with deflecting section
FR2677104B1 (fr) * 1991-05-30 1993-12-17 Hutchinson Raccord pour tuyau en caoutchouc a armature textile.
US5286069A (en) * 1992-12-03 1994-02-15 Prideco, Inc. Stress relief groove for drill pipe
US6050610A (en) * 1997-05-20 2000-04-18 Hydril Company Stress reduction groove for tubular connection
FR2807095B1 (fr) * 2000-03-31 2002-08-30 Vallourec Mannesmann Oil & Gas Element filete tubulaire delarde pour joint filete tubulaire resistant a la fatigue et joint filete tubulaire result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152B1 (ko) * 2011-09-02 2013-07-26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대상부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8404U1 (de) 2006-07-15
ES2330882T3 (es) 2009-12-16
JP2008542634A (ja) 2008-11-27
ZA200709810B (en) 2008-10-29
US20090230679A1 (en) 2009-09-17
CA2608676A1 (en) 2006-11-30
WO2006125241A1 (de) 2006-11-30
CA2608676C (en) 2011-10-11
SI1886056T1 (sl) 2010-01-29
AU2006251841A1 (en) 2006-11-30
ATE439545T1 (de) 2009-08-15
EP1886056A1 (de) 2008-02-13
EP1886056B1 (de) 2009-08-12
AU2006251841B2 (en) 2011-03-24
PL1886056T3 (pl) 2010-01-29
CN101184949A (zh) 2008-05-21
DE502006004522D1 (de)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8372A (ko) 파이프 연결부
KR980701061A (ko)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 조인트(Mortar Filling type Reinforcement Joint)
JP4566914B2 (ja) 再接合セグメント及び連結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6860994B2 (ja) 杭頭接合部
KR101496413B1 (ko) 강관 연결 구조체
TWI586873B (zh) Pile joint structure
KR101148218B1 (ko) 토목구조물의 이음매 장치
WO2019117087A1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の止水部材
JP2019011627A (ja) 鋼管杭用の接合部材
JP2008169550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拡幅構造、シールドトンネルセグメント及びシールドトンネルの拡幅方法
JP6190625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KR20180096435A (ko) 이음부재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부 구조
JP7365270B2 (ja) 端部セグメント
JP7076215B2 (ja) 継手金具の固定構造
BRPI0807257A2 (pt) Prisioneiro com orifício hidráulico para solda em peça única.
JP7277402B2 (ja) 六角形セグメントの角部集合部における接合構造
JP7431119B2 (ja) 継手構造
KR102445336B1 (ko)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RU2817054C1 (ru) Бетонный элемент с вкладышем полимерным защитным тюбинговым
JP3581116B2 (ja) 斜ボルトセグメントおよび斜ボルトセグメントの固定方法
FI115151B (fi) Kalliokärkirakenne teräsbetonista lyöntipaalua varten
KR101870872B1 (ko) 결합홀 덮개,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22094129A (ja) Rcセ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の挿入型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セrc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
JP2004100222A (ja) 杭体用継手
JP2021139177A (ja) 六角形セグメント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