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36B1 -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36B1
KR102445336B1 KR1020220037070A KR20220037070A KR102445336B1 KR 102445336 B1 KR102445336 B1 KR 102445336B1 KR 1020220037070 A KR1020220037070 A KR 1020220037070A KR 20220037070 A KR20220037070 A KR 20220037070A KR 102445336 B1 KR102445336 B1 KR 102445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sing
bolt
conn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정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이상정
티쉐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정, 티쉐어건설(주) filed Critical 이상정
Priority to KR102022003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두 개의 케이싱(1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120)는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케이싱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용 구조체를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케이싱의 연결 작업이 손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Casing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케이싱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용 구조체를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로 고정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증축 및 용도 변경으로 인하여 상부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지반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의 보강을 위해 마이크로파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물의 증축 및 용도 변경 등의 경우에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가 행해지는데, 기초공사에서 마이크로파일이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경질지반처럼 구조물에 접한 지반이 이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위에 직접 기초공사를 수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파일을 박거나 지반을 개량하는 지정공사를 수행하여 지반을 강화한 후, 기초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마이크로파일의 시공과정은 기초콘크리트 천공 및 철거, 지반 천공, 지반 천공홀 내에 케이싱 삽입, 케이싱 내 마이크로파일 조립체 삽입, 케이싱 내 시멘트 타설, 기초콘크리트에 트레이드바 정착 및 지지, 기초콘크리트 단면복구 및 마감의 순서로 시공된다.
이때, 마이크로파일을 형성하여 기초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스틸이 주재료가 되는 길이가 긴 파이프 형태의 마이크로파일(케이싱이라고도 함)을 연속적으로 연결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파이프 형태의 마이크로파일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4044호(2016년01월05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5377호(2018년12월20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042272호(2011년06월10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42271호(2011년06월10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케이싱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용 구조체를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케이싱 연결 작업이 손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케이싱(1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구(120)는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돌출된 결합 보스(126);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결합 보스(126)와 만나도록 정렬되는 홀(122); 상기 홀(122)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보스(126)에 결합된 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된 보스 포밍홀(122)의 주위를 푸시 바아(124)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 쪽에서 내주면 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 쪽으로 상기 결합 보스(126)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과 만나도록 정렬된 너트(140);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상기 볼트 결합홀(112)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너트(140)에 결합된 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결합 보스(126)와 만나도록 정렬되는 홀(122); 상기 연결구(120)의 상기 홀(122)에 결합됨과 동시에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상기 볼트 결합홀(112)에 비나사부(131)가 삽입된 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너트(140)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140)의 확장부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결착 지지링체(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는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에 비하여 용융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과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하면,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는 용융되어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 사이에 결착 본딩층(144BL)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 본딩층(144BL)에 의해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이 견고하게 결착되고, 상기 볼트(130)는 상기 연결구(120)에 형성된 상기 홀(122)과 상기 너트(140)에 동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결합 지지보스(152);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의 내주면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에 결합된 결합 지지볼(154);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볼(154)을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결합 지지 탄성체(156); 상기 볼트(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지지 탄성체(156)에 의해 탄지된 상기 결합 지지볼(154)이 삽입되는 결합 지지홈(15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에 결합된 상기 볼트(130)가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 탄성체(156)에 의해 탄지된 상기 결합 지지볼(154)이 상기 볼트(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지지홈(158)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스톱퍼 유입홀(122);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결합 스톱퍼(163);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상기 볼트(130)를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커버하는 캡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하면에는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에서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걸려지는 적어도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을 구비한 결합 지지캡(16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의 한쪽 단부가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각각의 스톱퍼 유입홀(122)과 만나도록 상기 결합 지지캡(164)을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을 상기 연결구(120)의 상기 홀(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돌려주면,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에 구비된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들어가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에 걸려지도록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의 한쪽 단부는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형성된 상기 결합 스톱퍼(163)에 걸려지면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이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130)의 외주면에는 패킹홈(182)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홈(182)은 상기 볼트(130)의 외주면에서 상기 볼트(130)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내부 양측벽 사이의 거리가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킹홈(182)에 패킹(184)이 결합되며, 상기 볼트(130)가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과 상기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구(120)의 상기 홀(122)의 내주면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눌려져서 상기 볼트(130)의 상기 패킹홈(182)을 꽉 채운 상태에서 상기 볼트(130)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구(120)의 상기 홀(122) 사이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는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케이싱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용 구조체를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케이싱 연결 작업이 손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케이싱(파이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구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체결을 위해 불필요하게 연결구를 회전하지 않아도 되므로,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하는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에 체결되는 볼트는 무두볼트와 유두볼트가 있으며, 무두볼트의 경우, 연결구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나 케이싱에는 핀 형태로 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되어 볼트가 매립된 형태로 체결되므로, 연결구와 볼트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하는 작업이 보다 원활하고 수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실시예에서 케이싱에 결합 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푸시 바아로 보스 포밍홀 주위를 가압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바아에 의해 보스 포밍홀 주위를 가압하여 케이싱의 내주면에서 결합 보스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과정과 결합 보스에 연통되도록 케이싱에 볼트 결합홀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에 결합 보스가 형성된 상태의 반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보스의 반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볼트의 헤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볼트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다른 주요부인 연결구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하는 상태로서 한쪽 케이싱에 볼트가 결합되고 다른 케이싱에는 볼트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너트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너트의 평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너트 내부의 나사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너트의 저면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너트를 케이싱의 내주면에 용접하여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평단면도,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너트를 케이싱의 내주면에 용접하여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한쪽의 케이싱에는 볼트가 결합되고 다른 케이싱에는 볼트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무두볼트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무두볼트가 결합되는 케이싱을 반절단한 측면도,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연결구와 볼트 및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무두볼트가 연결구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너트와 케이싱 사이에 결착 지지링체가 개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6은 도 26에 도시된 결착 지지링체가 용용 및 경화된 결착 본딩층에 의해 너트와 케이싱을 결합시킨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와 너트 및 결착 본딩층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의 변형된 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한쪽의 케이싱에는 볼트가 결합되고 다른 쪽의 케이싱에는 볼트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의 변형된 실시예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주요부인 연결구의 바깥면을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연결구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지지캡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결합 지지캡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연결구의 결합 브라켓에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결합 지지캡의 걸림 지지편이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바깥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연결구의 결합 브라켓에 결합 지지캡의 걸림 지지편이 결합된 이후의 상태를 바깥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35는 도 30에 도시된 연결구의 결합 브라켓에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결합 지지캡의 걸림 지지편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연결구와 볼트와 결합 지지캡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주요부인 볼트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에 연결구가 결합되고 연결구와 케이싱에 볼트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볼트가 연결구와 케이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실시예에서 케이싱에 결합 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푸시 바아로 보스 포밍홀 주위를 가압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바아에 의해 보스 포밍홀 주위를 가압하여 케이싱의 내주면에서 결합 보스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과정과 결합 보스에 연통되도록 케이싱에 볼트 결합홀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싱에 결합 보스가 형성된 상태의 반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보스의 반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볼트의 헤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볼트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의 다른 주요부인 연결구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구와 볼트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을 연결하는 상태로서 한쪽 케이싱에 볼트가 결합되고 다른 케이싱에는 볼트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1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용 구조체를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130)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라 함은 두 개의 케이싱(110)이 단부끼리 맞닿은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싱(110)에 결합 보스(126)를 형성하기 위하여 푸시 바아(124)로 보스 포밍홀(122) 주위를 가압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바아(124)에 의해 보스 포밍홀(122) 주위를 가압하여 케이싱(110)의 내주면에서 결합 보스(126)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과정과 결합 보스(126)에 연통되도록 케이싱에 볼트 결합홀(112)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케이싱(110)에 결합 보스(126)가 형성된 상태의 반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케이싱(110)은 내부의 공간부가 일단부와 타단부로 연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10)에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심부에서 폭방향으로 지나가는 선을 케이싱(110)의 폭방향 중심선(도 3 참조)이라 할 때에 케이싱(110)의 일단부에서 상기 폭방향 중심선(C1-C1)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온 위치에 볼트 결합홀(1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의 타단부에서 상기 폭방향 중심선(C1-C1)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온 위치에 볼트 결합홀(112)이 구비된다.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라고 하는 것은 두 개의 케이싱(110)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각각 맞닿은 상태를 의미한다. 두 개의 케이싱(110)을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110)이라 할 때에 제1케이싱(110)의 타단부와 제2케이싱(110)의 일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두 개의 케이싱(110)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각각 맞닿은 상태를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볼트 결합홀(112)은 케이싱(110)에 90° 각도로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은 원형 파이프 형상인데, 네 개의 볼트 결합홀(112)이 케이싱(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볼트 결합홀(112)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연결구(120)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연결구(120)의 평면도이다.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20)가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120)는 내부의 공간부가 일단부와 타단부로 연통된 단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120)에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가운데를 폭방향으로 지나가는 선을 폭방향 중심선(C2-C2)(도 7 참조)이라 할 때에 연결구(120)의 일단부에서 상기 폭방향 중심선(C2-C2)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온 위치에 홀(1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120)에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에 연결구(120)의 타단부에서 상기 폭방향 중심선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온 위치에 홀(12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120)의 일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홀(122)은 연결구(120)에 90°의 각도로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20)는 원형 단관 형상인데, 상기 연결구(120)의 일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의 영역에 90° 각도로 네 개의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20)의 일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네 개의 홀(122)이 연결구(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120)의 일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네 개의 홀(122)은 편의상 제1포지션 홀 셋트(122FHS)라 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제1포지션 홀 셋트(122FHS)의 네 개의 홀(122)이 연결구(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볼트 결합홀(112)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연결구(120)의 타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홀(122)은 연결구(120)에 90°의 각도로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20)는 원형 단관 형상인데, 상기 연결구(120)의 타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의 영역에 90° 각도로 네 개의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20)의 타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네 개의 홀(122)이 연결구(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120)의 타단부와 상기 폭방향 중심선 사이에 형성된 네 개의 홀(122)은 편의상 제2포지션 홀 셋트(122SHS)라 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제2포지션 홀 셋트(122SHS)의 네 개의 홀(122)이 연결구(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120)를 일측에서 볼 때에 상기 연결구(120)는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에 각각 상기 제1포지션 홀 셋트(122FHS)와 상기 제2포지션 홀 셋트(122SHS)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구(120)의 내경은 두 개의 케이싱(110)의 외경보다 더 크므로, 두 개의 케이싱(110)이 연결구(120)의 내부로 들어가서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한다.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20)와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이웃한 케이싱(110)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케이싱(110)(파이프)에 볼트(130)를 박기 위해서는 18mm 홀이 필요한데, 처음에 그보다 작은 10mm 짜리 홀을 성형하고, 푸시 바아(124)(막대같은 도구)로 그 홀(122)을 압력(푸시)하면 케이싱(110)의 나머지 부분이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서 케이싱(110) 내측에 결합 보스(126)(돌출부)와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됨과 동시에 결합 보스(126)와 연통된 볼트 결합홀(112)(즉, 상기한 180mm 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 보스(126)와 볼트(130)를 이용한 결착수단에 의해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한다. 즉,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돌출된 결합 보스(126)와,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되어 결합 보스(126)와 만나도록 정렬되는 홀(122)과, 상기 홀(122)에 삽입되고 결합 보스(126)에 결합된 볼트(130)를 포함한다.
두 개의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된 보스 포밍홀(122)의 주위를 푸시 바아(124)에 의해 케이싱(110)의 외주면 쪽에서 내주면 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케이싱(110)의 내주면 쪽으로 결합 보스(126)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결착수단을 형성하는 볼트의 헤드(132)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볼트의 측면도이다.
정리하면, 상기 연결구(120)는 두 개의 케이싱(110)의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돌출된 결합 보스(126)와,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되어 결합 보스(126)와 만나도록 정렬되는 홀(122)과, 상기 홀(122)에 결합되고 동시에 결합 보스(126)에 결합된 볼트(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홀(122)에 삽입된 볼트(130)를 케이싱(112)의 볼트 결합홀(112)과 결합 보스(126)에 체결함으로써 볼트(130)의 헤드(132)가 연결구(120)의 외주면을 받쳐주고 있게 됨으로써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본 발명에서의 결착수단이 된다. 물론, 볼트(130)에 헤드(132)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볼트(130)만으로도 연결구(120)를 두 개의 케이싱(1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130)를 케이싱(110)의 내주면으로 돌출된 결합 보스(126)의 내부에서 돌려주면, 상기 볼트(130) 외주면의 나사산이 결합 보스(126)의 내주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내려가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트(130)가 케이싱(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결합 보스(126)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연결구(120)와 볼트(130)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결합 보스(126)에 의해 두 개의 맞닿은 케이싱(1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120)와 일정한 각도로 결합된 다수의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구(120)와 90°의 각도로 결합된 네 개의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도 9는 연결구(120)와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된 상태를 반단면도로 보여준다. 도 9에서는 세 군데에서 볼트(130)가 연결구(120)와 케이싱(11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4와 도 8에서와 같이 케이싱(110)과 연결구(120)에 각각 네 개의 볼트 결합홀(112)과 홀(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네 개의 볼트(130)가 90°의 각도로 배열된 상태에서 연결구(120)와 케이싱(110)에 동시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케이싱(110) 중에서 한쪽의 케이싱(110)은 무두볼트로 체결되고, 한 쪽의 상기 케이싱(11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쪽의 케이싱(110)은 연결구(120)와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볼트(130)는 무두볼트이며 연결구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나 케이싱(110)에는 핀 형태로 결합되어 볼트가 매립된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과,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과 만나도록 정렬된 너트(140)와, 두 개의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삽입되고 동시에 너트(140)에 결합된 볼트(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구(120)에 형성된 홀(122)에 볼트(130)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볼트(130)가 결합되며 동시에 너트(140)에 볼트(130)가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구(120)와 볼트(130)와 너트(14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한쪽 케이싱(110)의 타단부와 다른 쪽 케이싱(110)의 일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두 개의 케이싱(11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연결구(120)와 90°의 각도로 결합된 네 개의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케이싱(110) 중에서 한쪽의 케이싱(110)은 무두볼트로 체결되고, 한 쪽의 상기 케이싱(11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쪽의 케이싱(110)은 연결구(120)와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케이싱(110)을 각각 제1케이싱(110)과 제2케이싱(110)이라 한다면, 제1케이싱(110)은 무두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제1케이싱(11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케이싱(110)은 연결구(120)와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는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1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케이싱(1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연결용 구조체를 연결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130)로 고정함으로써 케이싱(110) 연결 작업이 손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케이싱(110)(주로, 원형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구(120)에 홀(122)이 90° 각도로 네 개가 형성되어, 볼트(130) 체결을 위해 불필요하게 연결구(120)를 회전하지 않아도 되므로,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하는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0)가 무두볼트로 구성되고, 무두볼트의 일부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는 비나사부(131)로 구성되어, 도 22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두볼트의 나사부는 연결구(120)에 볼트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무두볼트의 비사나부(131)는 상기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매립된 형태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120)에 체결되는 볼트(130)가 무두볼트로 구성된 경우에는 연결구(120)에는 볼트(130)가 나사결합되나 케이싱(110)에는 핀 형태로 결합(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되어 볼트(130)가 매립된 형태로 체결되므로, 연결구(120)와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하는 작업이 보다 원활하고 수월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결착수단은 너트(140)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140)의 확장부와 케이싱(1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결착 지지링체(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140)와 케이싱(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는 너트(140)와 케이싱(110)에 비하여 용융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140)와 결착 지지링체(144)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는 용융되어 너트(140)와 케이싱(110) 사이에 결착 본딩층(144BL)이 형성되어, 상기 결착 본딩층(144BL)에 의해 너트(140)와 케이싱(110)이 보다 더 견고하게 결착되고, 상기 볼트(130)는 연결구(120)에 형성된 홀(122)과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되고 동시에 너트(140)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착 지지링체(144)가 용융되어 너트(140)의 외주면과 케이싱(1110)의 볼트 결합홀(112)과 너트(140)의 대직경부의 안쪽면과 케이싱(110)의 내주면 사이에 결착 본딩층(144BL)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착 본딩층(144BL)에 의해 너트(140)와 케이싱(110)이 보다 더 견고하게 결착되는 것이다.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에 의해 너트(140)와 케이싱(110)이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연결구(120)와 볼트(130)와 너트(14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이 서로 맞닿은 상태(한쪽 케이싱(110)의 타단부와 다른 쪽 케이싱(110)의 일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결착수단은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결합 지지보스(152)와,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의 내주면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 지지보스(152)에 결합된 결합 지지볼(154)과,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에 구비되어 결합 지지볼(154)을 결합 지지보스(152)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결합 지지 탄성체(156)와, 상기 볼트(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결합 지지 탄성체(156)에 의해 탄지된 결합 지지볼(154)이 삽입되는 결합 지지홈(1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지지 탄성체(156)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지지보스(152)에는 지지캡(154CA)이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캡(154CA)을 결합 지지보스(152)에서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볼(154)과 결합 지지 탄성체(156)는 결합 지지보스(152) 내부에 형성된 수용홀(154CH)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캡(154CA)을 결합 지지보스(152)의 수용홀(154CH)에 볼트 결합식으로 결합하면, 상기 결합 지지 탄성체(156)는 결합 지지볼(154)의 일부가 수용홀(154CH)의 밖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탄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에 결합된 볼트(130)가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지지 탄성체(156)에 의해 탄지된 결합 지지볼(154)이 볼트(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 지지홈(158)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볼트(130)를 돌려서 연결구(120)의 홀(122)에 결합하고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 지지홈(158)이 아직 결합 지지볼(154)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결합 지지볼(154)이 후퇴하고 결합 탄성 지지체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상기 볼트(130)를 계속 돌려서 볼트(130)가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과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완전히 결합되고 상기 결합 지지홈(158)이 결합 지지볼(154)에 도달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지지볼(154)이 결합 지지 탄성체(156)가 밀어주는 탄성력에 의해 볼트(130)의 결합 지지홈(158)에 탄성적으로 들어가서 결합되면서 복수개의 결합 지지볼(154)이 볼트(130)를 더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조가 되므로, 상기 연결구(120)와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을 더욱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결착수단은,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120)의 홀(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과,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결합 유입홀(162AH)과,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결합 스톱퍼(163)와,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에 결합되고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볼트(130)를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커버하는 캡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하면에는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에서 결합 브라켓(162)에 걸려지는 적어도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을 구비한 결합 지지캡(164)을 포함한다.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에서 한쪽의 결합 브라켓(162)의 결합 유입홀(162AH)과 다른 쪽의 결합 브라켓(162)의 결합 유입홀(162AH)은 연결구(120)의 홀(122)의 중심부를 지나가는 가상의 중심선(VC)(도 33 및 도 34 참조)을 기준으로 할 때에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20)를 옆에서 볼 때에 한쪽의 결합 브라켓(162)의 결합 유입홀(162AH)이 상기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의 중심부를 지나가는 가상의 중심선(VC)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고 한다면, 다른 쪽의 결합 브라켓(162)의 결합 유입홀(162AH)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VC)을 기준으로 할 때에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의 한쪽 단부가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각각의 결합 유입홀(162AH)과 만나도록 결합 지지캡(164)을 연결구(120)의 외주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을 연결구(120)의 홀(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돌려주면,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이 연결구(120)에 구비된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들어가므로,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에 걸려지도록 구성되고,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의 한쪽 단부는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에 형성된 결합 스톱퍼(163)에 걸려지면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이 연결구(120)의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이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결합 지지캡(164)이 볼트(130)를 덮어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볼트(130)가 연결구(120)의 홀(122)과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서 빠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과 연결구(120)와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의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보다 더 견고하게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5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하면에는 탄성부재(168)가 더 구비되어,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이 연결구(120)의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168)의 탄성력에 의해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이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탄성부재(168)에 의해 결합 지지캡(164)이 연결구(120)에 결합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결합 지지캡(164)이 볼트(130)를 덮어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볼트(130)가 연결구(120)의 홀(122)과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서 빠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결합 지지캡(164)과 연결구(120)와 볼트(130)에 의해 두 개의 케이싱(110)의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보다 더 견고하게 두 개의 케이싱(110)을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볼트(130)의 외주면에는 패킹홈(182)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홈(182)은 볼트(130)의 외주면에서 볼트(130)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내부 양측벽 사이의 거리가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킹홈(182)에 패킹(184)이 결합된다.
따라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0)가 연결구(120)의 홀(122)과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의 내주면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눌려져서 볼트(130)의 패킹홈(182)을 꽉 채운 상태에서 볼트(130)의 외주면과 연결구(120)의 홀(122) 사이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과 볼트(130)의 외주면 사이를 패킹홈(182)에 꽉 채워지도록 가압된 패킹(184)에 의해 볼트(130)와 연결구(120)의 홀(122) 사이의 밀봉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볼트(130)와 연결구(120)의 홀(122) 사이의 밀봉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 가능함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로 지나가는 유체가 상기 볼트(130)와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과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 사이의 틈새로 세어나가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케이싱 112. 볼트 결합홀
120. 연결구 122FH. 보스 포밍홀
122. 홀 122FHS. 제1포지션 홀 셋트
122SHS. 제2포지션 홀 셋트 124. 푸시 바아
126. 결합 보스 130. 볼트
132. 헤드 140. 너트
144. 결착 지지링체 144BL. 결착 본딩층
152. 결합 지지보스 154CH. 수용홀
154CA. 지지캡 154. 결합 지지볼
156. 결합지지 탄성체 158. 결합 지지홈
162. 결합 브라켓 162AH. 결합 유입홀
163. 결합 스톱퍼 164. 결합 지지캡
166. 걸림 지지편 168. 탄성부재
182. 패킹홈 184. 패킹

Claims (9)

  1. 두 개의 케이싱(1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120)는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착수단에 의해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10)에는 볼트 결합홀(112)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10) 내측에 결합 보스(126)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 보스(126)와 연통된 상기 볼트 결합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브라켓(162);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스톱퍼 유입홀(122);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구비된 결합 스톱퍼(163); 상기 연결구(120)의 홀(122)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에 결합된 볼트(130)를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커버하는 캡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하면에는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에서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걸려지는 적어도 두 개의 걸림 지지편(166)을 구비한 결합 지지캡(164);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의 한쪽 단부가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각각의 스톱퍼 유입홀(122)과 만나도록 상기 결합 지지캡(164)을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을 상기 연결구(120)의 상기 홀(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돌려주면,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에 구비된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들어가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의 아래쪽에 걸려지도록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의 한쪽 단부는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에 형성된 상기 결합 스톱퍼(163)에 걸려지면서 상기 결합 지지캡(164)의 두 개의 상기 걸림 지지편(166)이 상기 연결구(120)의 두 개의 상기 결합 브라켓(162)이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된 보스 포밍홀(122)의 주위를 푸시 바아(124)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외주면 쪽에서 내주면 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 쪽으로 상기 결합 보스(126)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케이싱(110)의 볼트 결합홀(112)과 만나도록 정렬된 너트(140);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상기 볼트 결합홀(112)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너트(140)에 결합된 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112);
    상기 연결구(12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결합 보스(126)와 만나도록 정렬되는 홀(122);
    상기 연결구(120)의 상기 홀(122)에 결합됨과 동시에 두 개의 상기 케이싱(110)의 상기 볼트 결합홀(112)에 비나사부(131)가 삽입된 볼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케이싱(110) 중에서 한쪽의 케이싱(110)은 무두볼트로 체결되고, 한 쪽의 상기 케이싱(11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쪽의 케이싱(110)은 연결구(120)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30)는 무두볼트이며 연결구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나 케이싱(110)에는 핀 형태로 결합되어 볼트가 매립된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너트(140)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너트(140)의 확장부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결착 지지링체(144);를 더 포 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은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는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에 비하여 용융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과 상 기 결착 지지링체(144)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하면, 상기 결착 지지링체(144)는 용융되어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 사이에 결착 본딩층(144BL)이 형성되 어, 상기 결착 본딩층(144BL)에 의해 상기 너트(140)와 상기 케이싱(110)이 견고하 게 결착되고, 상기 볼트(130)는 상기 연결구(120)에 형성된 상기 홀(122)과 상기 너트(140)에 동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KR1020220037070A 2022-03-25 2022-03-25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KR10244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70A KR102445336B1 (ko) 2022-03-25 2022-03-25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70A KR102445336B1 (ko) 2022-03-25 2022-03-25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336B1 true KR102445336B1 (ko) 2022-09-20

Family

ID=8344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070A KR102445336B1 (ko) 2022-03-25 2022-03-25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33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6A (ja) * 1991-04-16 1993-01-08 Kubota Corp 鋼管杭の接合方法
JPH0957388A (ja) * 1995-08-18 1997-03-04 Nakajima Kokan Kk ナット部を有する鋼板部材および鋼板部材へのナット部形成方法
JP3135948U (ja) * 2007-07-23 2007-10-04 ガイアパイル東日本 株式会社 鋼管杭の継合構造
KR101042272B1 (ko) 2008-08-26 2011-06-17 (주)서림건설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042271B1 (ko) 2008-08-26 2011-06-17 (주)서림건설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584044B1 (ko) 2015-10-26 2016-01-11 김경호 마이크로파일 커플러
JP2017180072A (ja) * 2016-03-31 2017-10-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鋼管杭用継手
JP2018193735A (ja)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技研製作所 杭構成部材の継手構造及び杭体、並びに、杭構成部材の継手方法及び杭体の製造方法
KR20180135377A (ko) 2017-06-12 2018-12-20 박명훈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6A (ja) * 1991-04-16 1993-01-08 Kubota Corp 鋼管杭の接合方法
JPH0957388A (ja) * 1995-08-18 1997-03-04 Nakajima Kokan Kk ナット部を有する鋼板部材および鋼板部材へのナット部形成方法
JP3135948U (ja) * 2007-07-23 2007-10-04 ガイアパイル東日本 株式会社 鋼管杭の継合構造
KR101042272B1 (ko) 2008-08-26 2011-06-17 (주)서림건설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042271B1 (ko) 2008-08-26 2011-06-17 (주)서림건설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584044B1 (ko) 2015-10-26 2016-01-11 김경호 마이크로파일 커플러
JP2017180072A (ja) * 2016-03-31 2017-10-0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鋼管杭用継手
JP2018193735A (ja)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技研製作所 杭構成部材の継手構造及び杭体、並びに、杭構成部材の継手方法及び杭体の製造方法
KR20180135377A (ko) 2017-06-12 2018-12-20 박명훈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82B1 (ko) 모르타르충전식철근조인트
JP3747594B2 (ja) 鋼管杭の接合継手
JP4753426B2 (ja) 鋼管の接合継手
KR20140001554A (ko) 로타리 파일의 강관 연결구조를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WO2019196743A1 (zh) 套筒外螺母卡接式连接装置及其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445336B1 (ko) 케이싱 연결용 구조체
CN206145290U (zh) 钢筒混凝土顶管
US4558970A (en) Tunnel shield structure
KR20150035087A (ko) 압력 재주입식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1702B1 (ko) 그라우팅 동시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H08333743A (ja) 杭体の継手構造
KR20100052847A (ko) 말뚝연결장치
RU2342588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т коррозии зоны 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противокоррозионным покрытием
CN216865130U (zh) 一种预应力高强混凝土管桩接桩连接处的防水结构
KR102222828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연장부가 구비된 강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선행식 터널 보강 공법
KR200277683Y1 (ko)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
JP6745573B2 (ja) ロックボルト保持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KR0119385Y1 (ko)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JP6470699B2 (ja) 杭の接続構造
KR101918125B1 (ko) 스레드바의 부식을 방지하여 지지력을 유지시키는 마이크로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3896179B2 (ja) 鋼材の接合構造
EP4092197A1 (en) Reinforced concrete pile
EP4092198A1 (en) A splicing arrangement for joining to each other two reinforced concrete piles
CN218933609U (zh) 一种建筑用机械接头及混凝土预制件组
JP7422064B2 (ja) 六角形セグ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