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385Y1 -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385Y1
KR0119385Y1 KR2019940031790U KR19940031790U KR0119385Y1 KR 0119385 Y1 KR0119385 Y1 KR 0119385Y1 KR 2019940031790 U KR2019940031790 U KR 2019940031790U KR 19940031790 U KR19940031790 U KR 19940031790U KR 0119385 Y1 KR0119385 Y1 KR 0119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attached
connecting portion
pile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747U (ko
Inventor
이봉학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40031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385Y1/ko
Publication of KR960017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말뚝 상호간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말뚝(1)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연결부(10)와, 상기 상부말뚝(1)의 상부연결부(1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부말뚝(2)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하부연결부(20)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말뚝(1)(2)들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면서 그 가운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10)는 상기 상부말뚝(1)의 하단부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그 내부면에 부착돌기(11a)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착통(11)과, 상기 부착통(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되는 수나사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연결부(20)는 상기 하부말뚝(2)의 상단부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그 내부면에 부착돌기(21a)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착통(21)과, 상기 부착통(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암나사부(22)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나사부(12)와 암나사부(22)를 상호 나사돌림으로 결합하여 상,하부말뚝(1)(2)을 상호 결합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본 고안은 콘크리트말뚝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운데 중공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말뚝 상호간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뚝지정은 고층건축물이나 중량건축물 시공시 연약한 지층이 깊어서 기초상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없거나 부등침하의 우려가 있는 곳에 말뚝을 박아 기초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말뚝은 가운데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말뚝이나 H형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말뚝이 박히는 지층의 깊이가 공사현장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성 콘크리트말뚝을 공사현장에서 지정깊이에 맞게 절단 또는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밖에없다.
이때 지정깊이가 지정말뚝보다 깊을 때는 말뚝을 연결하여 지정하여야 하므로, H형강은 철제이므로 용접 및 볼트 접합 등으로 연결이 비교적 수월하지만, 중공 콘크리트말뚝은 연결이 수월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한편, 지정깊이에 맞춰 말뚝을 공장에서 조립이 가능하지만 이것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그 길이가 최대길이 12m를 넘지 못하고 있으나, 공사현장에서 말뚝이 지정되는 깊이는 얕게는 10m에서 깊게는 70m를 넘는 것도 있음에 따라 공사현장에서 기성말뚝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또한 연결부분이 기초상부의 하중이 말뚝을 통하여 지반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고 연결될 뿐만 아니라 말뚝연결에 따른 인건비 등의 절약을 위하여 말뚝 연결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말뚝(1)의 하부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철판으로 제작된 상부덧댐판(4)과, 하부말뚝(2)의 상부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철판으로 제작된 하부덧댐판(5)과, 상기 상,하부 덧댐판(4)(5)을 상호 맞대어서 용착시켜서 부착되는 용접부(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콘크리트말뚝 연결구조는 두 콘크리트말뚝을 상호 연결시킬 때 상부덧댐판(4)과 하부덧댐판(5)을 상호 맞대어서 공사현장에서 용접부(6)를 용접으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첫재, 용접작업이 부실해질 수 있었으며, 둘째, 말뚝간을 용접으로 연결시키므로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 특개소62-194320호(1987. 8.26) 및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133730호(1987. 8.22)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서 만든 합성강관말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합성강관말뚝은 제작단가가 높아서 전반적인 공사비를 증대시키게 됨으로 본 고안에서는 배제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콘크리트말뚝 연결작업의 부실을 방지하고, 둘째,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공기를 단축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콘크리트말뚝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말뚝 연결구조의 상·하부연결부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말뚝 연결구조의 상·하부연결부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말뚝 연결구조의 상·하부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부말뚝 2:하부말뚝
3:중공부 4:상부덧댐편
5:하부덧댐편 6:용접부
10:상부연결부 11:부착통
11a:부착돌기 12:수나사부
20:하부연결부 21:부착통
21a:부착돌기 22:암나사부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는 상부말뚝(1)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연결부(10)와, 상기 상부말뚝(1)의 상부연결부(1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부말뚝(2)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하부연결부(20)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말뚝(1)(2)들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면서 그 가운데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10)는 상기 상부말뚝(1)의 하단부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그 내부면에 부착돌기(11a)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착통(11)과, 상기 부착통(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되는 수나사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연결부(20)는 상기 하부말뚝(2)의 상단부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그 내부면에 부착돌기(21a)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착통(21)과, 상기 부착통(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암나사부(22)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나사부(12)와 암나사부(22)를 상호 나사돌림으로 결합하여 상,하부말뚝(1)(2)을 상호결합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는 고층건축물 또는 중량건축물의 하중이 지정된 말뚝을 통하여 튼튼한 지반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말뚝지정을 할 때 사용되는 바, 즉, 하부말뚝(2)이 지정깊이보다 짧을 때는 하부말뚝(2)의 머리에 상부말뚝(1)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3a,b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두 말뚝은 하부말뚝(2)의 상부에 암나사홈이 있는 하부연결부(20)에 상부말뚝(1)의 하부에 수나사홈이 있는 상부연결부(10)가 서로 맞추어 나사돌림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의 상·하부연결부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의 상·하부연결부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의 상·하부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말뚝 연결방법은 먼저 하부말뚝(2)을 고정물에 고정시키고, 상부말뚝(1)의 상부연결부(10)를 하부말뚝(2)의 하부연결부(20)에 맞추고 건설장비 등으로 회전을 시켜서 간편하게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말뚝 연결구조는 상부연결부(10)와 하부연결부(20)에 각각 수나사부(12)와 암나사부(22)가 공장에서 제작되어 공사현장으로 운반되어 현장에서 나사돌림으로 간편하게 돌려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말뚝 연결작업의 부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며,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10)는 도2 및 도3a,b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말뚝(1)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외부면을 감싸는 부착통(11)과 그 하부에 일체로 성형돌출되며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인 수나사부(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착통(11)은 도3a,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돌기(11a)들이 형성되며, 이러한 부착통(11)은 말뚝을 박을 때에 말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하부연결부(20)는 도2 및 도3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말뚝(2)의 상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외부면을 감싸는 부착통(21)과 그 상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된 암나사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통(21)은 상부연결부(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그 내주면에 부착돌기(21a)들이 형성된다.
한편, 중공 콘크리트말뚝 제작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별반 다를 바가 없으나, 단, 말뚝의 상부에는 상부덧댐판(4) 대신 상부연결부(10)를 하부에는 하부덧댐판(5) 대신 하부연결부(1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후, 기성 콘크리트말뚝은 필요한 공사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는 상부말뚝(1)의 하부에 수나사부(12)가 형성되는 상부연결부(10)와 하부말뚝(2)의 상부에 암나사부(22)가 형성되는 하부연결부(20)로 구성되어, 상부연결부(10)와 하부연결부(20)를 일치시켜 상호 나사돌림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 강도가 충분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상부말뚝(1)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상부연결부(10)와, 상기 상부말뚝(1)의 상부연결부(1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부말뚝(2)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하부연결부(20)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말뚝(1)(2)들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면서 그 가운데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3)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10)는 상기 상부말뚝(1)의 하단부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그 내부면에 부착돌기(11a)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착통(11)과, 상기 부착통(1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되는 수나사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연결부(20)는 상기 하부말뚝(2)의 상단부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그 내부면에 부착돌기(21a)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착통(21)과, 상기 부착통(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암나사부(22)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나사부(12)와 암나사부(22)를 상호 나사돌림으로 결합하여 상,하부말뚝(1)(2)을 상호결합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KR2019940031790U 1994-11-29 1994-11-29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KR0119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790U KR0119385Y1 (ko) 1994-11-29 1994-11-29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790U KR0119385Y1 (ko) 1994-11-29 1994-11-29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47U KR960017747U (ko) 1996-06-19
KR0119385Y1 true KR0119385Y1 (ko) 1998-07-15

Family

ID=1939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790U KR0119385Y1 (ko) 1994-11-29 1994-11-29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38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83B1 (ko) * 2007-05-10 2009-11-23 강상욱 강관 말뚝의 시공시 강관의 변형 방지와 시공작업의효율증대를 위한 회전장치
KR20150146031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N105951824A (zh) * 2016-06-20 2016-09-21 袁雪峰 预制混凝土抗拔扩头桩
KR102193020B1 (ko) 2020-03-17 2020-12-18 케이투건설 주식회사 무용접 방식의 콘크리트 말뚝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WO2021146606A1 (en) * 2020-01-15 2021-07-22 Ojjo, Inc.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constructing solar founda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83B1 (ko) * 2007-05-10 2009-11-23 강상욱 강관 말뚝의 시공시 강관의 변형 방지와 시공작업의효율증대를 위한 회전장치
KR20150146031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N105951824A (zh) * 2016-06-20 2016-09-21 袁雪峰 预制混凝土抗拔扩头桩
WO2021146606A1 (en) * 2020-01-15 2021-07-22 Ojjo, Inc.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constructing solar foundations
KR102193020B1 (ko) 2020-03-17 2020-12-18 케이투건설 주식회사 무용접 방식의 콘크리트 말뚝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747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6318B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0119385Y1 (ko) 중공 콘크리트말뚝의 연결구조
CN111188462A (zh) 钢筋连接用拼接式灌浆套筒及制作方法
KR200277683Y1 (ko)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
JPH04122733U (ja) Pc杭のネジ式ジヨイント
CN210194675U (zh) 一种地下预制综合管廊
JPH0349199Y2 (ko)
JP4312623B2 (ja) 段差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床の構築方法及びその構造並びにその構築方法に用いられる段差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板
KR20030001654A (ko) 수로관
JP7450417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セグメント
JPS6343274Y2 (ko)
CN210562273U (zh) 一种用于承载装配式电梯的地基
JPS6124728A (ja) マンホ−ルの構築方法
CN216640645U (zh) 装配式预制井壁结构
JP7438166B2 (ja) 補強方法
JP4722820B2 (ja) セグメント
KR102086215B1 (ko) 차수벽 고정용 지그
JPH027999Y2 (ko)
KR200157899Y1 (ko) 연결이음부가 형성된 조립식 암거 블럭
JPH01187236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施工方法とその基礎板
JPH0344880Y2 (ko)
JP2017186744A (ja) 杭の接続構造
EP0633360B1 (en) Pile coupling for prefabricated pile elements made of concrete
KR100281308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JPS5833142Y2 (ja) 鋼管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