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979A -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979A
KR20080026979A KR1020060092292A KR20060092292A KR20080026979A KR 20080026979 A KR20080026979 A KR 20080026979A KR 1020060092292 A KR1020060092292 A KR 1020060092292A KR 20060092292 A KR20060092292 A KR 20060092292A KR 20080026979 A KR20080026979 A KR 20080026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patter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111B1 (ko
Inventor
김헌
박연우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1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일정한 길이의 연속적인 데이터인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된 진동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동패턴을 읽어 들여,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및 진동 패턴 전송 방법.
진동, 패턴, 통화, 메시지, 감성

Description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vibration pattern generation function and a vibration patter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패턴 생성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패턴 생성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진동 전송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통화 중에 진동 패턴을 전송하는 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중 진동 패턴 전송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메시지와 함께 진동 패턴을 전송하는 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9는 진동 패턴의 설정에 따른 실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람마다 다른 진동을 설정하는 실시 예시도이다.
도 11 진동 패턴을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경우의 실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중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생성한 진동 패턴 혹은 미리 저장된 진동 패턴을 진동코드의 형태로 저장하거나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크게 소리(벨)와 진동, 이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진동방식은 독서실이나 영화관 등 벨소리가 타인에게 피해가 되는 장소에서 주로 이용된다.
벨소리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진동방식은 단일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변화와 재미를 추구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진동패턴을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정을 통화 상대에게 진동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진동패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자극을 진동 패턴으로 저장 또는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압력센서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패턴 전송방법은 저장된 진동 패턴을 코드화하여 통화 중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패턴 전송방법의 다른 특징은 통화중에 진동패턴을 생성하여 이를 코드화하여 전송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패턴 전송방법의 다른 특징은 저장된 진동 패턴을 코드화하여 문자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일정한 길이의 연속적인 데이터인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된 진동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동패턴을 읽어 들여,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특징은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진동 제어 전용 버튼을 단말기 소정 부위에 구비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진동패턴생성 모드(mode)로 전환하는 과정과;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일정한 길이의 연속적인 데이터인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패턴을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자극은 단말기 소정 부위에 형성된 압력센서를 통해 전달되는 태핑(tapping)(압력세기, 압력시간) 신호 또는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sound)(음톤, 음장) 신호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각 진동 패턴을 구별하기 위한 명칭을 부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은 세션이 설정되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진동패턴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일정한 길이의 연속적인 데이터인 진동 패턴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진동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진동 코드를 패킷 형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 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10)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사운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0)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센서부(30)와, 상기 압력센서부(30)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환된 진동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60)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60)에 저장된 진동패턴을 읽어 들여,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모터(70)와, 소정 부위에 구비되어 진동 패턴 생성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모드전환 키(진동패턴 전용키)(40)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60)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동 패턴 전용키(40)는 통화 중이나 메시지 작성중에 혹은 통화대기 상태에서 진동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다. 따라서, 그 기능 을 구현하는 의미에서 이하에서 "모드 전환키"라고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에 진동패턴 제어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110: 도 1의 40)이 형성되어 있다.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압력센서부(120: 도 1의 3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력센서부(120)는 터치 패드(touch pad)(121)와 그 주위의 발광소자(122)로 구성된다. 터치패드(121)는 표시부(8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스크롤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122)는 상기 터치 패드(121)에 자극이 전달될 때, 빛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발광소자(122)는 상기 터치패드(121)에 전달되는 자극, 즉,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진동모터(70)는 구동 전압의 크기에 따라 속도가 가변되는 변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패턴 생성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진동 패턴 생성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4의 (a)와 같이 통화 대기 상태에서 모드전환키를 누르면(S301),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진동패턴 생성 모드로의 전환은 소정 시간 이상으로 길게(longkey) 누르는 것으로 한다. 즉, 짧게 누르는 것은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진동패턴 모드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신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S302).
진동 패턴 생성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센서를 두드리거나, 소리를 내어 자극을 발생시킨다. 단말기에 구비된 압력센서와 마이크 는 각각 압력 및 소리를 감지한다(S303).
제어부에서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c)와 같이 단말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진동의 형태를 그래프로 보여줄 수 있다 (S304).
이러한 과정은 진동패턴 생성의 종료를 위해 상기 모드 전환키를 다시 누를 때까지 수행된다 (S305).
모드 전환키의 입력에 따라 다시 통화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S306).
제어부는 상기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동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 압력센서부에 전달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진동 패턴으로 변환한다. 입력된 태핑(tapping)을 진동으로 변환하여 계속 반복 재생한다. 이때, (d)에서와 같이, 그래프 상에 막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이 재생된다(S307).
생성된 진동 패턴에 대하여 사용자가 고유 명칭을 설정할 수 있도록 (e)와 같이 입력화면을 표시한다(S308). 입력된 명칭으로 상기 진동패턴을 저장하고, (f)와 같이, 저장 사실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309).
한편, 진동패턴 생성모드에서 모드 전환키를 연속해서 누르면 자동 진동모드로 전환한다. 자동모드는 소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5초, 입력된 태핑(tapping) 또는 소리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1회 재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다시 새로운 것이 입력되면 다시 새로운 진동이 울리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가 사용자의 태핑 또는 목소리를 바로 따라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진동 전송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고, 도 6은 통화 중에 진동 패턴을 전송하는 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상대 단말과의 일대일 혹은 그룹통신을 위한 호가 설정되면(S501), 일대일 통신 혹은 그룹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표시부에 나타나는 화면은 도 6의 (a)와 같다 (S502).
사용자가 진동을 전송하기 위해서 (b)와 같이 모드 전환키를 누른다(S503).
이에 따라 단말은 진동 전송 모드로 전환된다(S504).
이때, 즉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과 현재 단말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전송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또한, 저장된 진동 패턴 또한 다시 두 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생성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 패턴과 단말기에 디폴트로 저장된 패턴이 있을 수 있다(S505).
만일, 즉시 생성인 경우, 압력센서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과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검출하고(S508), 이를 이용하여 진동패턴을 생성한다(S509).
한편, 저장된 진동패턴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도 6의 (c)와 같이 저장된 진동패턴 목록을 표시한다(S506).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S507) 진동패턴이나 즉시 생성된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진동 제어 코드로 변환한다(S510).
변환된 진동 제어 코드를 상대 단말로 전송한다 (S512). 만일, 그룹 통신을 수행하는 중인 경우에는 해당 진동 제어 코드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S511).
한편, 디폴트 진동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어떤 키가 눌렸는 지 인식하여 상대 단말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에서 수신된 정보에 상응하는 진동 패턴을 읽어 들여 진동한다. 이러한 동작은 모드 전환키를 다시 눌러 통화모드로 전환될 때까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수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중 진동 패턴 전송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메시지와 함께 진동 패턴을 전송하는 과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7의 (a)와 같이 문자 메시지 작성을 수행하는 중(S701), 문자와 함께 진동패턴을 전송하기 위해서 메뉴를 이용하여 (b)의 화면에서 진동 추가를 선택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통화 중 진동 패턴 전송에 대한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진동 전송을 위한 모드 전환키를 누르는 방법도 구현이 가능하다(S702).
(c)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단말기에 저장된 진동 패턴 목록을 표시한다(S703).
사용자가 진동 패턴을 선택하면 표시부에는 (d)와 같이 진동 전송 여부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선택한(S704)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인 후, 문자 코드로 변환한다 (S705).
변환된 진동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에 포함시켜(S706), 메시지 작성을 완료한 사용자가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진동데이터가 문자 데이터로 변환되어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작성 가능한 문자 데이터는 최대 크기의 데이터에서 진동데이터가 문자 데이터로 변환된 크기만큼을 제외한 크기가 된다 (S708).
도 9는 진동 패턴의 설정에 따른 실시 예시도이다. 착신에 따른 벨소리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유사한 방법으로 설정한다. 도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패턴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된 진동 패턴과 디폴트로 제공되는 진동 패턴 정보가 포함된 진동 패턴 목록이 표시된다. 진동 패턴 목록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을 위해 커서를 이동하면 해당 진동이 1회씩 수행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b)와 같이 화면 상에 그래프를 나타내면서 진동을 1회 재생한다. 선택이 완료되면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진동 패턴으로 설정된다. 즉, 진동 혹은 매너 모드일때, 호 신호나 문자 메시지가 착신되거나 스케쥴이나 모닝콜 등에 따른 알람 시각이 되었을 때, 설정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도 10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람마다 다른 진동을 설정하는 실시 예시도이다. 필요에 따라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사람마다 서로 다른 진동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발신자에 따라 서로 다른 착신 벨소리를 출력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언급하지 않아도 그 방법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 진동 패턴을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경우의 실시 예시도이다. 메시지 전송 중 진동 패턴을 전송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메시지에 진동 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의 형태로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벨소리 또는 진동 설정 메뉴에서 수행되는 점이 다르다 할 수 있다. 즉, 진동 패턴을 먼저 선택한 상태에서 메시지 전송 메뉴를 이용하는 점이 다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감성을 진동의 형태로 통화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자신이 태핑(tapping) 동작 등으로 입력한 자극에 대하여 단말기에서 진동의 형태로 저장 및 동작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Claims (2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진동패턴생성 모드(mode)로 전환하는 과정과;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패턴을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패턴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단말기 소정 부위에 형성된 압력센서를 통해 전달되는 태핑(tapping)(압력세기, 압력시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sound)(음톤, 음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저장과정은 각 진동 패턴을 구별하기 위한 명칭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의 전환과정은 단말기 소정 부위에 구비된 진동 제어 전용 버튼을 통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읽어들여 진동으로 변환하여 소정 시간 동안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진동 패턴 정보는 임시 저장되어 새로운 진동이 입력될 때마다 새로운 진동 패턴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방법.
  8. 세션이 설정되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진동패턴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진동 패턴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진동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진동 제어 코드를 패킷 형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그룹통신 가능한 상태이고, 사용자가 진동 제어 코드를 수신할 상대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0. 세션(session)이 설정되어 통화 가능한 상태에서 진동패턴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데이터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진동 패턴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진동 패턴을 진동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진동 제어 코드를 세션이 설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그룹통신 가능한 상태이고, 사용자가 진동 제어 코드를 수신할 상대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2. 세션(session)이 설정되어 통화 가능한 상태에서 진동패턴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신호를 진동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진동 제어 코드를 세션이 설정된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그룹통신 가능한 상태이고, 사용자가 진동코드를 수신할 상대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4. 단문 메시지 작성 중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데이터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기에 저장된 진동 패턴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선택한 진동 패턴을 진동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진동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5. 단문 메시지 작성 중 진동 패턴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소정 시간 동안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진동 패턴으로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진동 제어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진동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진동 패턴 전송방법.
  16.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력센서부와;
    상기 압력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환된 진동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진동패턴을 읽어 들여,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를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패턴 정보를 문자 코드로 변환하여 단문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패턴 정보를 코드화하여 통화 중 패킷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소정 부위에 진동 패턴 생성 모드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진동 제어 전용 버튼을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는 구동 전압의 크기에 따라 속도가 가변되는 변속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부는 터치패드(touchp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에 자극이 전달될 때, 빛을 발생하는 발광소자가 상기 압력센서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92292A 2006-09-22 2006-09-22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KR10125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92A KR101259111B1 (ko) 2006-09-22 2006-09-22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92A KR101259111B1 (ko) 2006-09-22 2006-09-22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979A true KR20080026979A (ko) 2008-03-26
KR101259111B1 KR101259111B1 (ko) 2013-04-26

Family

ID=3941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292A KR101259111B1 (ko) 2006-09-22 2006-09-22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1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53B1 (ko) * 2008-04-02 2009-11-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KR20100092814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및 디지털 동영상 처리장치
KR101032632B1 (ko) * 2008-04-01 2011-05-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작용힘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
KR101047771B1 (ko) * 2008-07-01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715797B2 (en) 2014-12-16 2017-07-25 Hyundai Motor Company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687A (ja) * 2001-06-18 2003-01-10 Nec Viewtechnology Ltd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その報知パターン作成方法なら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483130B1 (ko) * 2003-09-05 2005-04-14 오픈젠(주)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진동 발생 장치 및 진동 발생 방법
KR20050102991A (ko) * 2004-04-23 2005-10-27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 발생 방법 및 장치
JP2005332063A (ja) 2004-05-18 2005-12-02 Sony Corp 触覚機能付き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32B1 (ko) * 2008-04-01 2011-05-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작용힘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방법 및 기록매체
KR100925553B1 (ko) * 2008-04-02 2009-11-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KR101047771B1 (ko) * 2008-07-01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8452345B2 (en) 2008-07-01 2013-05-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messenger program in portable terminal
KR20100092814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및 디지털 동영상 처리장치
US9715797B2 (en) 2014-12-16 2017-07-25 Hyundai Motor Company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111B1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3628B1 (en) Telephone set
TWI228905B (en) Communication machine
JP4032615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40025398A (ko) 이동 통신 단말의 호착신 알림 방법
KR101259111B1 (ko)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JP2003051864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H10257135A (ja) 携帯電話装置
JPH1168891A (ja) 携帯電話機
KR20110050483A (ko) 통신 방법, 통신 관련 시스템 및 관련 변환부
KR101294214B1 (ko)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409869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着信通知方法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547884B1 (ko) 회의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02328758A (ja) 小型情報端末装置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
JP2005229386A (ja) 携帯電話用無線端末装置
KR100364663B1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7189706A (ja) 端末装置
KR1010722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KR100925424B1 (ko) 음량 및 진동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KR200337937Y1 (ko) 다양한 벨소리 출력기능을 갖는 유선 전화기 장치
KR100697704B1 (ko) 모닝콜 발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0674469B1 (ko) 파티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504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효과음 출력 방법
KR200311152Y1 (ko) 음성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작동 인형
KR20060017043A (ko)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