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771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771B1
KR101047771B1 KR1020080063456A KR20080063456A KR101047771B1 KR 101047771 B1 KR101047771 B1 KR 101047771B1 KR 1020080063456 A KR1020080063456 A KR 1020080063456A KR 20080063456 A KR20080063456 A KR 20080063456A KR 101047771 B1 KR101047771 B1 KR 10104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pattern
mobile terminal
us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522A (ko
Inventor
이진백
김종환
조선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771B1/ko
Priority to US12/350,033 priority patent/US8452345B2/en
Publication of KR2010000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 일축이 진동 시간, 타축이 진동 세기인 2차원 좌표 공간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생성된 진동 패턴 및 진동 패턴 조합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동 패턴을 설정하는 메뉴의 수행 중에는, 사용자가 상기 좌표 공간에 드래그한 패턴에 따라 진동 패턴을 생성 또는 변경하고, 진동 패턴 조합을 설정하는 메뉴의 수행 중에는, 상기 저장된 진동 패턴 중 다수개의 선택된 진동 패턴들을 결합한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고, 좌표 공간에 표시된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 조합된 각각의 진동 패턴에 대하여 외부 입력 객체를 통하여 터치 앤 드래그함에 따라 변경된 새로운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 메신저, IE, 진동 패턴, 촉각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로서, 메신저 프로그램의 상태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 성능 향상 및 휴대 단말기를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에 따라, 종래의 개인용 PC 상에서 사용되었던 인터넷을 이용한 메신저 서비스(예 : (주)마이크로 소프트의 MSN)는 휴대 단말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신저 서비스는 현재 IM(Instance Message)란 명칭으로 실시 중에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선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메신저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휴대 단말기에서 진동 패턴을 다양하게 출력하도록 하는 움직임들이 있으나,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진동 패턴을 적용하는 방안은 제시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움직임 및/또는 촉감에 의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및/또는 촉감에 의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 일축이 진동 시간, 타축이 진동 세기인 2차원 좌표 공간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진동 패턴 및 진동 패턴 조합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상기 좌표 공간에 드래그한 패턴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생성 또는 변경하고, 저장된 상기 진동 패턴 중 다수개를 결합한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상기 진동 패턴 각각을 외부 입력 객체를 통하여 터치 앤 드래그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 조합 내의 상기 진동 패턴의 순서를 변경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순서 및 반복회수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진동 패턴에 대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진동 주파수, 또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일축이 진동 시간, 타축이 진동 세기인 2차원 좌표 공간을 표시한 것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좌표 공간에 드래그한 패턴에 따라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동 패턴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 중 다수개의 진동 패턴을 결합한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구성하는 상기 진동 패턴 각각을 외부 입력 객체를 통하여 터치 앤 드래그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 조합 내의 상기 진동 패턴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패턴 조합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순서 및 반복회수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진동 패턴에 대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진동 주파수, 또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에 따르면, 촉각을 이용한 인터페이스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감을 증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메신저'는 인터넷 등 공용 통신망을 이용하여, 대화(문자, 음성, 영상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를 원하는 상대방들을 특정 대화방 형태로 그룹핑하여, 장시간 간헐적으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예로서 (주)마이크로 소프트의 MSN을 제시할 수 있다.
하기 설명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신저 서비스를 위주로 서술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대방을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서비스라면, 어떤 것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여러가지 '패턴'의 사전적 의미들 중, '반복되는 형/도안'에 가까운 의미를 사용된다. 여기서 '형/도안'은 가시적인 의미의 형/도안이 아니라 소정이 시간 간격 내에서의 신호의 특정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형/도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사용자'는 설명하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상대방'은 메신저 서비스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이 통신하고 있는 대상이 되는 다른 메신저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환경 정보, 프로그램의 응답 등을 포함한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상태 정보'에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응답,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망 상태 정보, 상대방 메신저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상대방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정보, 프로그램의 응답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사용자/상대방이 메신저 프로그램을 현재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 가에 대한 정보인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현재, 일반적인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상기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로서, '온라인, 오프라인, 자리비움(away), 용무중(busy)'등의 항목들을 가지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무선 통신망을 구성하는 전산장치와 무선 접속되며,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메신저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 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미 도시)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 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 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 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미리 정해진 시간을 알리는 알람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 또는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 또는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 바 또는 미니 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의 세부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 스크린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 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 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터치패드(4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룸으로써 터치 스크린(500)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터치패드(400)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4각형의 도전막(411)과 상기 도전막(41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막(411) 상에는 보호막(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400)는 정전 용량 감지 방식(Capacitive sensing type)의 위 치 검출 장치로서,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에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하여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과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 사이에 전기력선(Electric Field Lines)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전기력선은 상기 보호막(420)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400)에 외부에 연장된다. 이에 따라, 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패드(400)에 근접하거나 상기 터치패드(400)를 직접 터치할 경우 상기 전기력선을 일부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로 흐르는 전류의 위상 및 크기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는 인체가 지면에 대하여 수 pF의 정전 용량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터치패널(400)에 손가락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형성된 전기력선을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에 구성된 프로세서들(미도시)은 상기 객체의 터치 동작에 따른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의 전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가 근접한 거리와,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객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패드(400) 상에 형성된 전기력선을 왜곡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물체라면 모두 포함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객체의 근접 거리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도전막(411)에 형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 지 412-4) 중 송신측 금속 전극(412-1)에 교류 전압(430)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412-1)과 수신측 금속 전극(412-2) 사이에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은 터치 스크린(5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근접한 거리에 따라, 상기 손가락(510)이 차단하는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510)에 의하여 전기력선들(501 내지 503)에 가해진 영향은 각각의 금속 전극(412-1, 412-2)에 연결된 전류 검출부(440-1, 440-2)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화시키게 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440-1, 440-2)는 상기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Analog-Digital Converter)(450)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450)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입력되는 전류의 변화량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터치 시간 측정부(460)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450)로부터 제공된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500)이 상기 손가락(510)이 근접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인식 유효 거리(즉, 도 5에서 'd1') 이내에 상기 손가락(510)이 머무른 시간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은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상기 손가 락(510)이 근접 터치 인식 유효 거리(즉, 도 5에서 'd1') 이내에 머무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은 상기 손가락(510)이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초) 보다 짧은 시간 동안 근접 터치 인식 유효 거리(즉, 도 5에서 'd1') 이내에 머무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에 의해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 동작에 따른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는 상기 거리 검출부(470)에 터치 입력 발생 정보 및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제공된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손가락(510)과 상기 터치 스크린(500)간의 거리, 즉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패널(4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부터 d1(예를 들어, 30mm)보다 가깝고 d2(예를 들어, 20mm)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즉, d1~d2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이 외부 객체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시작하는 터치 인식 유효 거리 이내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접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터치란 사용자 명령을 입력 하기 위하여 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상기 터치 인식 유효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를 말하며, 상기 근접 터치는 상기 객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직접 터치하지는 않는 것이라는 점에서 상기 객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직접 터치하는 직접 터치 동작과 구분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부터 d2(예를 들어, 20mm)보다 가깝고 d3(예를 들어, 10mm)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즉, d2~d3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상당히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수직 상방향(즉, z방향)으로부터 d3(예를 들어, 10mm)보다 가까운 거리에 위치(즉, d3 이내에 위치한 경우)하거나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의 표면을 직접 터치한 경우, 상기 거리검출부(460)는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 스크린(500)을 오차 범위 내에서 직접 터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손가락(510)의 터치 동작을 상기 손가락(510)과 상기 터치 스크린(500)간의 거리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터치 동작은 4단계 이상으로 더욱 정밀하게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검출부(480)는 상기 전류 변화량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손가락(510)이 지시하고 있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의 위치, 즉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의 x 및 y방향의 수평 좌표를 계산한다. 상기 y방향은 도 5에 도시된 x 및 z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손가락(510)과 상기 터치 스크린(500)간의 이격된 수직 거리 및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위치한 수평 좌표는 제어부(180)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직 거리 및 수평 좌표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도 6은 상기 도 4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매체의 위치 검출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400)의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에 교류전압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과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 사이에 전기력선들(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510)이 근접하거나 상기 터치패널(400)을 직접 터치하면 상기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에 전류 변화가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전류검출부(440-1 내지 440-4)는 이러한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검출부(470)는 이와 같은 전류량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손가락(510)이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위치한 수평 좌표(즉, x-y 좌표)를 검출하여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손가락(510)이 터치하고 있는 상기 터치 스크린(500) 상의 수평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 거리 검출부(470) 및 위치 검출부(480)를 각각의 기능에 따라 서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터치 시간 측정부(460), 거리 검출부(470) 및 위치 검출부(480)는 제어부(18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정전 용량 감지 방식에 따른 터치 패널(400)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500)을 예로 들어, 상기 터치 스크린(500)에 대한 상기 입력 매체의 근접 터치 및 직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원리를 설명하였으나, 입력 매체와 터치 스크린(500) 간의 거리 및 입력 매체가 지시하고 있는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상기 터치패널(400)의 종류 또는 상기 터치 패널(400)에 구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의 배열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패널(400)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및 자기형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매체와 상기 터치패널(400)간에 근접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하여 눌려진 위치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저항막 감지 방식(Resistive Sensing Type)과 상기 정전 용량 감지 방식을 서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도 1의 구성 요소들 중 본 발명의 사상의 구현을 위한 부분의 기능 설명 및 구현 방안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휴대 단말기에서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은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07-0042130호 등 수회 제안된 공지기술이므로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되,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 또는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고, 상기 진동 패턴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에 대한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부는, 휴대 단말기를 기계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 소자는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들 중 휴대 단말기에 내장하기에 적합한 크기 및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진동 소자는 구동을 위한 전력으로서 단순한 턴온 전위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클럭 형태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구현이 용이하여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으나, 상기 진동 발생부가 생성할 수 있는 진동 패턴들의 개수가 작아져, 복잡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구현이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이 요구되나, 상기 진동 발생부가 생성할 수 있는 진동 패턴의 개수가 많아서 보다 복잡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클럭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진동 소자의 진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진동 소자를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진동 소자를 2개 이상 구비하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데, 예컨대, 고유 진동 주파수가 다른 진동 소자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주파수 차이로 응답의 차이를 감별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또는 진동 방향 및/또는 위치가 다른 진동 소자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쥐었을 때 느껴지는 진동 방향 및/또는 진동 위치로 응답의 차이를 감별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에 할당된 소정 영역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DB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필드가 각종 상태 정보이며 다른 필드가 진동 패턴인 레코드들로 이루어진 상태 정보 - 진동 패턴 DB들을 도 1의 저장부(160)에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신저 프로그램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메신저 프로그램 구동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메신저 프로그램 또는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20);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진동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진동 패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과 통신하는 상대방 메신저 측을 고려하면, 상기 S120 단계 이전에, 상기 상대방의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상기 상대방의 지시에 따라 상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에서 상대방의 상태 정보란, 상기 상대방 메신저 측의 거의 모든 요소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과 통신하는 상대방의 메신저 프로그램 자체의 상태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상대방 메신저가 실행되는 휴대 단말기나 PC의 위치 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메신저 프로그램에 표시한 자신의 기본 정보(예 : 사용자의 기분을 표시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S140 단계에서는, 상기 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대방의 식별자를 파악하여, 상기 식별자를 상기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대방이 포함된 메신저 그룹 식별자를 파악하여, 상기 메신저 그룹 식별자를 상기 진동 패턴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40 단계 및 S160 단계 사이에, 상기 S140 단계에서 결정된 진동 패턴에 대한 출력 회수를 결정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50 단계는 사용자가 각 상황에 대하여 미리 설정한 회수를 파악하는 작업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S150 단계를 생략하는 구현의 경우에는 진동 패턴에 대하여 1회 출력 또는 소정의 회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20 단계와 상기 S140 단계 사이에, 2 이상의 상태 정보들 중 상기 진동 패턴으로 변환할 상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지시를 독출하는 동작이나, 진동 패턴을 출력할 때 마다 사용자의 지시를 받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대화창에서 상대방의 이름을 포인팅(터치)하면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고, 상대방의 아이콘(아바타, 사진)을 포인팅(터치)하면 상대방이 표시한 기분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변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20 단계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S140 단계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상태 정보들의 각 조합을 식별할 수 있는 진동 패턴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상태 정보의 각 종류별로 다수개의 항목들에, 각각 구별되는 진동 패턴을 부여한 경우의 그래프들을 도시하였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항목별로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부여하면, 상대방 항목에서 선택된 하나의 진동 패턴,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진동 패턴, 및 기분 항목에서 선택된 또 다른 하나의 진동 패턴을 시간적으로 결합시킨 조합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대방 항목 및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 항목을 결합한 조합의 진 동 패턴 출력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진동 패턴에서는 상대방을 식별하는 진동 패턴과 상기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를 나타내는 진동 패턴을 조합하여 3회 반복 출력하고 있다.
한편,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상태 정보들의 각 조합에 대하여, 진동 패턴의 출력 회수를 다르게 부여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조합을 이루는 각 진동 패턴 항목들에 대한 출력 회수가 정해질 수 있다.
Y = (A + B + ... + N )×R
A, B, ... , N : 서로 다른 종류의 상태 정보들
R : 반복 회수
Y = (A×R1) + (B×R2) + ... + (N×Rn)
A, B, ... , N : 서로 다른 종류의 상태 정보들
R1, R2, ... , Rn : 반복 회수
예컨대, 상기 수학식 1 및 2에서 A는 상대방 사람을 식별하는 정보, B는 상대방이 속한 그룹 정보, C는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 D는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수학식 1의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메신저 프로그램 구동에 따른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의 실행 중 상태 정보가 변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10), 변화된 상태 정보가 진동 패턴 출력의 대상이 되는 가를 판단하고(S20), 진동 패턴의 출력 회수를 표시하는 ValueT 플래그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S30).
이후,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진동 패턴의 조합을 결정하고(S40), 우선 최초로 상기 조합을 출력한다(S50).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의 출력 후, 상기 ValueT 플래그가 수학식 1의 R값 보다 작은지 검사하여(S60), 그렇지 않으면 진동 패턴 출력을 종료하고, 그렇다면 소정의 지연시간을 부여한 후(S70), 상기 ValueT 플래그를 1 증가시키고(S80) 나서, S50 단계로 복귀하여 해당 진동 패턴 조합을 다시 출력한다.
도 11은 상기 수학식 2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에서, 그룹, 상대방, 위치 정보 및 각 항목별로 다른 출력 회수에 따라 결정된 진동 패턴 출력을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메신저 서비스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2a 및 12b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상대방을 식별하는 진동 패턴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목록 등의 화면에서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동 패턴을 등록할 상대방을 결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도 12b의 진동 패턴 등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진동 패턴 등록 화면에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원하는 진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가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패드)을 구비하는 경우, 진동 패턴 설정 메뉴를 실행하면,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세로축이 세기, 가로축이 시간인 2차원 좌표 공간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2차원 좌표 공간에 원하는 진동 패턴을 터치-드래그로 지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이를 사용자 지정 진동 패턴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는,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 패턴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 버튼만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키나, 상하좌우를 나타낼 수 있는 키들로서 상기 진동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시한 구현에서는 각 진동 패턴들을 소정 시간 동안의 진폭의 패턴에 따라 식별되지만, 구현에 따라서는, 진동의 주파수가 일정 시간 동안 소정 패턴을 이루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진동이 시작하기까지의 지연시간 또는 복수개의 진동간의 시간 간격을 달리하여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 패턴을 입력받은 휴대 단말기는, 기존에 저장된 진동 패턴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새로 추가를 원하는 진동 패턴과 인간의 촉감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유사한 진동 패턴이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바람직한 진동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거나 가이드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추가를 원하는 진동 패턴에서 어느 부분을 변형하여야, 기존 등록된 진동 패턴들과 구별이 되는가를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로그온/아웃, 자리비움, 용무중)를 식별하는 진동 패턴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한 지인 목록 화면, 또는 전화번호부 목록 등의 화면에서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동 패턴을 등록할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로서 '로그온/아웃, 자리비움, 용무중' 중 하나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는 도 13b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진동 패턴에 대한 등록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진동 패턴 등록 화면에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원하는 진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상대방의 위치 정보(집, 사무실, 실외, 기타)를 식별하는 진동 패턴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a에 도시한 지인 목록 화면, 또는 전화번호부 목록 등의 화면에서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진동 패턴을 등록할 상대방의 위치 정보로서 '집, 사무실, 실외, 기타' 중 하나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는 도 14b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를 식별하는 진동 패턴에 대한 등록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진동 패턴 등록 화면에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원하는 진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도시한 방법 외에 다른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진동 패턴에 대한 셈플들을 저장하고 있는 셈플 저장소(휴대 단말기 내 저장부 또는 통신망에 구비되는 서버에 위치할 수 있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원하는 진동 패턴 셈플들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진동 패턴을 결정하는 각 파라미터를 키 조작 등을 통해 직접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진동 패턴을 시간 축과 진동 진폭 축에 대한 패턴으로 규정하지만, 구현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규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진동 주파수, 진동 개시까지의 지연시간, 복수의 진동 간의 지연시간 등을 적용하여 규정할 수도 있다.
도 15a 및 15b는 특정 사용자의 메신저 이용 상태 및 위치 정보에 따른 진동 패턴들에 대한 조합 설정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a에서 메신저의 지인 목록 화면에서 진동 패턴을 편집할 지인을 선택하면, 도 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진동 패턴 항목들을 터치 및 드래그&드롭 하 여 하나의 진동 패턴 조합 내에서의 각 진동 패턴 항목들의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도 15b의 반복 회수 설정용 버튼(B)을 이용하여 각 진동 패턴 항목에 대한 반복 회수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6a 및 16b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지시한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알려주는 실시예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a에 도시한 지인 목록 화면에서 터치 스크린(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을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을 지정하면, 지정된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출력한다. 도 16b에 도시한 대화창 화면에서는 대화 상대방의 아이콘(또는 아바타, 사진)을 터치하면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를 진동 패턴으로 출력한다.
도 17a 및 17b는 메신저 대화중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나 위치 정보의 변화가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를 진동으로 알려주는 실시예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7a와 같은 대화창에서 대화 도중에, 도 17b에서와 같이 대화중인 상대방의 상태가 자리비움(away)이 되었을 때, 이를 진동 패턴으로 알려준다. 구현에 따라 대화중인 상대방의 위치 정보에 변화가 있을 때 이를 진동 패턴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18a 및 18b는 메신저 대화중 현재 대화를 수행 중인 상대방이 아닌 다른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나 위치 정보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변화된 상태 정보 및 해당 상대방을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주는 실시예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8a와 같은 대화창에서 어느 한 상대방과의 대화 도중에, 도 18b에서와 같이 다른 상대방이 로그온한 경우, 새로이 로그온한 상대방의 식별 진동 패턴과, 메신저 이용 상태 정보로서 로그온을 나타내는 진동 패턴을 조합하여 출력한다.
또한, 구현에 따라 다수인의 상대방들과 대화 중인 경우, 상태 정보의 변경이 발생한 상대방을 식별하는 진동 패턴과 변화된 상태 정보에 대한 진동 패턴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진동 패턴을 이용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메신저라고 불려지는 서비스를 본 발명의 상기 설명에서는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로 구체화하여 설명하였지만, 인터넷 등 공용 통신망을 이용하여, 대화를 원하는 상대방들을 특정 대화방 형태로 그룹핑하여, 장시간 간헐적으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떤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 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객체의 근접 거리를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도 4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객체의 위치 검출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메신저 프로그램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상태 정보의 각 종류별로, 다수개의 항목들에, 각각 구별되는 진동 패턴을 부여한 경우의 그래프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상대방 및 메신저 이용 상태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수학식 2에 의한 진동 패턴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상대방, 그룹 및 위치 정보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2a 및 12b는 사용자 별로 다른 진동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 념도.
도 13a 및 13b는 메신저 이용 상태 별로 다른 진동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4a 및 14b는 위치 정보 별로 다른 진동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5a 및 15b는 서로 다른 항목들에 대한 진동 패턴들의 출력 순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16a 및 16b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및 상기 이용 상태의 변경에 따라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7a 및 17b는 대화 중인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및 상기 이용 상태의 변경에 따라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8a 및 18b는 대화중인 상대방이 아닌 다른 상대방의 메신저 이용 상태 및 상기 이용 상태의 변경에 따라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Claims (21)

  1.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
    일축이 진동 시간, 타축이 진동 세기인 2차원 좌표 공간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진동 패턴 및 진동 패턴 조합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상태정보를 식별하는 진동 패턴을 부여하고, 상기 진동 패턴 중 소정 사용자의 메신저 상태에 따른 진동 패턴에 대한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 내에서 외부 입력 객체를 통하여 터치 앤 드래그함에 따라 각 진동 패턴의 순서를 변경하고, 상기 진동 패턴 조합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순서 및 반복회수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진동 패턴에 대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진동 주파수, 또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일축이 진동 시간, 타축이 진동 세기인 2차원 좌표 공간을 표시하는 단계;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좌표 공간에 드래그한 패턴에 따라,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상태정보를 식별하는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동 패턴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동 패턴 중 소정 사용자의 메신저 상태에 따른 진동 패턴에 대한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동 패턴 조합 내에서 외부 입력 객체를 통하여 터치 앤 드래그함에 따라 각 진동 패턴의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패턴 조합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순서 및 반복회수를 구성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진동 패턴에 대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패턴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진동 주파수, 또는 상기 진동 패턴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80063456A 2008-07-01 2008-07-01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04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56A KR101047771B1 (ko) 2008-07-01 2008-07-01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2/350,033 US8452345B2 (en) 2008-07-01 2009-01-07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messenger program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56A KR101047771B1 (ko) 2008-07-01 2008-07-01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22A KR20100003522A (ko) 2010-01-11
KR101047771B1 true KR101047771B1 (ko) 2011-07-07

Family

ID=4146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456A KR101047771B1 (ko) 2008-07-01 2008-07-01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52345B2 (ko)
KR (1) KR101047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7019B2 (en) * 2006-01-19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associating groups of classified source addresses with vibration patterns
TWI452488B (zh) * 2009-05-18 2014-09-11 Pixart Imaging Inc 應用於感測系統的控制方法
JP2010286986A (ja) * 2009-06-10 2010-12-24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11048409A (ja) * 2009-07-29 2011-03-10 Kyocera Corp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8487759B2 (en) 2009-09-30 2013-07-16 Apple Inc. Self adapting haptic device
US9047052B2 (en) * 2009-12-22 2015-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implified control input to a mobile device
US9501802B2 (en) 2010-05-04 2016-11-22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Conversation capture
US20110276901A1 (en) * 2010-05-04 2011-11-10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Family chat
US9559869B2 (en) 2010-05-04 2017-01-3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Video call handling
US9003306B2 (en) 2010-05-04 2015-04-0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Doodle-in-chat-context
US9356790B2 (en) 2010-05-04 2016-05-3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ulti-user integrated task list
US8819566B2 (en) 2010-05-04 2014-08-26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ulti-modal chat
AU2013205577B2 (en) * 2011-06-03 2016-08-04 Apple Inc. Custom vibration patterns
US9383820B2 (en) 2011-06-03 2016-07-05 Apple Inc. Custom vibration patterns
EP2581807B1 (en) * 2011-10-14 2019-03-20 BlackBerry Limited Tactile indicato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754756B2 (en) 2011-10-14 2014-06-17 Blackberry Limited Tactile indicator which changes the texture of a su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77813B2 (en) * 2012-02-29 2015-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sking mobile message content
JP2013228936A (ja) * 2012-04-26 2013-11-07 Kyocera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0236760B2 (en) 2013-09-30 2019-03-19 Apple Inc. Magnetic actuators for haptic response
US9317118B2 (en) 2013-10-22 2016-04-19 Apple Inc. Touch surface for simulating materials
US9685052B2 (en) * 2014-01-13 2017-06-20 Alexis Ander Kashar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user
US10274908B2 (en) * 2014-01-13 2019-04-30 Barbara Ander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user
US10600291B2 (en) 2014-01-13 2020-03-24 Alexis Ander Kashar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user
US8941500B1 (en) 2014-01-23 2015-01-27 Google Inc. Somatosensory type notification alerts
CN103809911B (zh) * 2014-02-28 2017-06-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振动模式的设置方法及系统
CN106489116B (zh) 2014-04-21 2019-08-16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多触摸输入设备的力的分配
KR102143310B1 (ko) 2014-09-02 2020-08-28 애플 인크. 햅틱 통지
AU2016100399B4 (en) 2015-04-17 2017-02-02 Apple Inc.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JP6625372B2 (ja) * 2015-08-27 2019-12-25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入力装置および車載装置
WO2017044618A1 (en) 2015-09-08 2017-03-16 Apple Inc. Linear actuato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9600985B1 (en) 2015-11-12 2017-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arable computing system with temporal feedback during presentations
CN105677336B (zh) * 2015-12-30 2019-05-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送振动文件的方法及终端
US10039080B2 (en) 2016-03-04 2018-07-31 Apple Inc. Situationally-aware alerts
US10268272B2 (en) 2016-03-31 2019-04-23 Apple Inc. Dampening mechanical modes of a haptic actuator using a delay
KR102651705B1 (ko) * 2017-02-23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진동 제공 방법 및 장치
EP3614652A4 (en) * 2017-06-07 2020-06-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VIBRATION NOTIFICA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10622538B2 (en) 2017-07-18 2020-04-14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WO2019072389A1 (en) * 2017-10-12 2019-04-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TENDING A HAPTICAL SIGNAL
US10834543B2 (en) * 2018-11-26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a social group with mobile phone vibration
US11380470B2 (en) 2019-09-24 2022-07-05 Apple Inc. Methods to control force in reluctance actuators based on flux related parameters
CN111552377B (zh) * 2020-03-30 2024-05-1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信号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977683B2 (en) 2021-03-12 2024-05-07 Apple Inc. Modular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localized haptic feedback using inertial actuators
US11809631B2 (en) 2021-09-21 2023-11-07 Apple Inc. Reluctance haptic engin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681373B1 (en) * 2021-12-08 2023-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nger movement management with haptic feedback in touch-enabled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82B1 (ko) * 2006-10-31 2007-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의 진동패턴 생성장치 및 전송 및 재생방법
KR20080026979A (ko) * 2006-09-22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883A (en) * 1992-01-17 1994-03-29 Pilney Richard G Proximity alert system
US6653930B1 (en) * 1999-05-14 2003-11-25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s, Inc. Urgency-based variable call notification
FI113519B (fi) * 2001-03-02 2004-04-30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ominaisuuksien yhdistämiseksi matkaviestimessä
US6963762B2 (en) * 2001-05-23 2005-11-08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using tactile icons
JP3937982B2 (ja) * 2002-08-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40025398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호착신 알림 방법
US20080204266A1 (en) * 2004-02-03 2008-08-28 Jussi Malmberg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Vibration Output Commands in Mobile Terminal Devices
US20060248183A1 (en) * 2005-04-28 2006-11-02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mable notifications for a mobile device
JP5292732B2 (ja) * 2007-07-09 2013-09-18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979A (ko) * 2006-09-22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KR100772582B1 (ko) * 2006-10-31 2007-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의 진동패턴 생성장치 및 전송 및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1849A1 (en) 2010-01-07
KR20100003522A (ko) 2010-01-11
US8452345B2 (en)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71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8658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5051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CN101539834B (zh) 能够感测近距离触摸的便携式终端以及利用该终端控制屏幕的方法
KR1014749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66601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2658227B1 (en) Exchange of hand-drawings on touch-devices
KR20100013411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9794396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lateral conversation
KR20100013420A (ko)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000218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499963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51965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9280B1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90104469A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35923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113562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KR10155969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45721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20100050089A (ko) 사용자 터치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6358A (ko)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 기능 제공 방법
KR101488532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157273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57272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10000984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