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553B1 -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 Google Patents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553B1
KR100925553B1 KR1020080030771A KR20080030771A KR100925553B1 KR 100925553 B1 KR100925553 B1 KR 100925553B1 KR 1020080030771 A KR1020080030771 A KR 1020080030771A KR 20080030771 A KR20080030771 A KR 20080030771A KR 100925553 B1 KR100925553 B1 KR 10092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attern
data
vibration patter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358A (ko
Inventor
오성진
전경구
성미영
조동현
유용희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3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5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패턴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동 패턴 설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를 선택하여 진동 소자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동 소자 선택부,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을 결정하여 결정된 진동 시간을 출력하여 진동 시간 설정부, 그리고 상기 진동 소자 선택부와 상기 진동 시간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데이터와 진동 시간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진동 패턴으로 진동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고, 쉽고 간편하게 진동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진동패턴, 진동패턴데이터, 진동기기, 진동마우스, 진동키보드, 진동해드폰, 진동패드

Description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APPARATUS FOR DEFINDING VIBRATION PATTERN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FOR VIBRATING}
본 발명은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청각과 촉각을 동시에 느끼게 되면 청각과 촉각을 별도로 느낄 때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소리를 들으면서 진동을 느끼게 되면, 사람은 소리뿐만 아니라 그때 몸으로 느꼈던 진동도 함께 기억하게 되므로 기억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진동 헤드폰, 진동 키보드, 진동 마우스 및 진동 패드 등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감각, 예를 들면 청각과 촉각을 동시에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진동 헤드폰은 컴퓨터나 MP3 플레이어 등에서 전송되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 소자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진동을 느끼게 한다. 진동 키보드, 진동 마우스나 진동 패드 역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키보드, 마우스 또는 패드에 부착된 진동 소자가 동작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게임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킬 때, 현실감을 좀더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리와 진동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진동 기기는 일반적 으로 복수의 진동 소자, 진동 소자와 연결된 제어부, 그리고 제어부와 연결된 메모리 등을 구비한다.
복수의 진동 소자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or unit)로서, 진동 소자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는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펌웨어(firmware) 형태로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상태로 진동 소자의 진동 상태를 제어한다. 이때, 메모리는 롬(RO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제어부 내에 내장되거나 제어부와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진동 소자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진동 시간, 진동 간격, 진동 강도 등과 같은 진동 패턴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진동 패턴을 바꾸기 위해서, 사용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자체를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급 언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진동 패턴으로 진동 소자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소스를 개발한 후,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 소스를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로 변경한 다음,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즉,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을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갱신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케이블 등을 통해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이처럼, 진동 기기의 진동 패턴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자체를 갱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기기의 진동 패턴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동 패턴 설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를 선택하여 진동 소자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동 소자 선택부,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을 결정하는 진동 시간 설정부, 그리고 상기 진동 소자 선택부와 상기 진동 시간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데이터와 진동 시간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는 프레임 시작부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패턴 식별 필드, 진동기기 식별 필드 및 프레임 크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은 상기 진동 데이터가 기재되는 진동 데이터 필드 및 상기 진동 시간이 기재되는 진동 시간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기기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적용되는 진동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크기 필드는 생성된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동 패턴 설정 장치는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 데 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진동 패턴 설정 방법은 선택된 진동 소자를 판정하는 단계,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진동 소자와 상기 선택된 진동 시간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진동 기기 데이터에 기초한 프레임 시작부와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을 이용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패턴 식별 필드, 진동기기 식별 필드 및 프레임 크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진동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소자를 구동하는 진동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동 패턴으로 상기 진동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는 프레임 시작부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패턴 식별 필드, 진동기기 식별 필드 및 프레임 크기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은 상기 진동 데이터가 기재되는 진동 데이터 필드 및 상기 진동 시간이 기재되는 진동 시간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기기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적용되는 진동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크기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에 속한 진동 패 턴 프레임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패턴 식별 필드값과 진동기기 식별 필드 값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의 유형을 판정하고, 프레임 크기 필드값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에 포함되는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를 판정하고, 각 진동 패턴 프레임의 진동 데이터 필드값과 상기 진동 시간 필드값에 기초하여 동작되는 진동 소자와 진동 시간을 판정하여 해당 진동 소자에 진동 시간 동안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진동 패턴으로 진동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고, 쉽고 간편하게 진동 패턴을 변경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해석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진동 제어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진동 패턴의 변경이나 생성이 용이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기기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패턴 생성 제어부(13)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기기 구동 장치는 진동 패턴 설정부(10), 진동 패턴 설정부(10)에 연결된 진동 제어부(20), 진동 제어부(20)에 연결된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를 구비한다.
이때, 진동 패턴 설정부(10)와 진동 제어부(20)는 진동 패턴 설정부(10)로부터 진동 패턴 데이터를 진동 제어부(20)에 전송할 경우 서로 연결되며, 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 통신이나 적외선 등을 통한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패턴 설정부(10)는 진동 소자 선택부(11), 진동 시간 설정부(12), 패턴 생성 제어부(13), 그리고 진동 소자 선택부(11), 진동시간 설정부(12), 패턴 생성 제어부(13)에 연결된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 및 메모리(15)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키는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한다.
진동 소자 선택부(11)는 진동을 원하는 진동 소자와 진동을 원치 않은 진동 소자를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를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에 전달한다.
진동 시간 설정부(12)는 진동 소자 선택부(11)에 의해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에 전달한다.
패턴 생성 제어부(13)는 진동 패턴 설정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에 전달한다.
패턴 생성 제어부(13)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 기기 선택키(131),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 완료키(132), 진동 패턴 프레임 삭제키(133), 진동 패턴 데이터 저장키(134),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 및 진동 패턴 데이터 전송키(136)를 구비한다.
진동 기기 선택키(131)는 생성되는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적용되는 진동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 완료키(132)는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키이다.
진동 패턴 프레임 삭제키(132)는 생성된 진동 패턴 프레임을 삭제하기 위한 키이다.
진동 패턴 데이터 저장키(134)는 생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 등의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기억 장치에 파일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키이다.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불러오기 위한 키이다.
진동 패턴 데이터 전송키(136)는 진동 패턴 데이터를 진동 제어부(20)로 전송하기 위한 키이다.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진동 소자 선택부(11)로부터의 진동 소자 선택 데이터, 진동 시간 설정부(12)로부터의 진동 시간 데이터, 패턴 생성 제어부(13)로부터의 제어 신호 등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한다.
메모리(15)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에서 생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가 기억되며, 롬과 EEPRO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메모리(15)는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지만, 이와는 달리,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 내에 내장될 수 있거나 진동 패턴 설정부(10)와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제어부(20)는 메모리(21)를 구비하며, 진동 기기에 각각 부착된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1)는 진동 패턴 설정부(10)의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21)는 롬과 EEPROM 등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를 구비한 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진동소자부(31), 제2 진동소자부(32) 및 제3 진동소자부(33)는 각각 컴퓨터 등에 연결된 진동 마우스, 진동 키보드 및 진동 패드에 부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진동소자부(31-33)의 개수는 세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 각각에 구비된 진동 소자는 진동 제어부(30)에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이때, 진동 소자는 진동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 인가 시간 등에 따라 진동 상태와 진동 시간 등이 정해질 수 있다.
다음,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진동 기기 구동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진동 패턴 설정부(10)에 의해 생성되어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의 진동 패턴을 결정하는 진동 패턴 데이터의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의 한 예이며, 도 5는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진동 소자 선택부, 진동 시간 설정부 및 패턴 생성 제어부의 한 예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 시작부(stat of frame, SOF)(F1)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vibrate pattern frame, VPF)(F2)을 구비한다.
프레임 시작부(F1)는 패턴 식별 필드(F11), 진동기기 식별 필드(F12) 및 프 레임 크기 필드(F13)를 구비한다.
패턴 식별 필드(F11)는 각 진동 패턴 데이터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패턴 식별자가 기재되는 필드이다. 패턴 식별 필드(F11)에 기재된 패턴 식별자에 기초하여 해당 진동 패턴 데이터의 유형을 판정한다. 패턴 식별 필드(F1)의 값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다.
진동기기 식별 필드(F12)는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적용되는 진동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기재되는 필드이다. 진동기기 식별 필드(F12)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거나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해당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마다 각각 고유의 식별자가 지정되어 있으므로, 진동기기 식별 필드(F12)에 기재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해당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제1 내지 제3 진동소자부(31-33) 중에서 어느 진동기기에 부착된 진동소자부(31-33)를 구동시키기 위한 진동 패턴 데이터인지 알 수 있다.
프레임 크기 필드(F13)는 프레임 시작부(F1) 이후에 이어지는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개수, 즉 총 길이나 크기나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크기 필드(F13)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개수에 따라 그 값이 자동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세 개의 진동 패턴 프레임(F2)이 생성되면, 프레임 크기 필드(F13)의 값은 "3"이 된다.
사용자는 해당 진동기기에 장착된 진동 소자의 개수, 각 진동 소자의 진동 횟수 등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진동 패턴 프레임(F2)은 진동 데이터 필드(F21) 및 진동 시간 필드(F22)를 구비한다.
진동 데이터 필드(F21)는 선택된 진동 소자에 대한 진동 여부를 정의한 진동 데이터가 기재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데이터값이 "1"일 경우엔 해당 진동 소자의 상태는 동작 상태인 진동 상태이고, 데이터값이 "0"일 경우엔 해당 진동 소자의 상태는 비동작 상태이지만, 이와는 반대일 수 있다. 진동 데이터 필드(F21)에 입력되는 진동 데이터의 비트수는 진동 데이터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진동소자의 개수와 진동 패턴 설정부(10)의 데이터 처리 비트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진동소자에 해당하는 비트수는 "1"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 패턴 설정부(10)의 데이터 처리 비트수가 16이고 제어되는 진동소자의 개수가 14일 때, 진동소자의 개수에 대응되는 비트수는 14이므로 나머지 2개의 비트수를 추가하여 총 16비트의 진동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때, 2개의 비트수는 설정된 진동 데이터의 총 비트수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패딩 데이터(padding data)라고 할 수 있다.
진동 시간 필드(F22)는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이 기재되는 필드이다.
이런 구조를 갖는 진동 패턴 데이터의 한 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서, "A"부분이 프레임 시작부(F1)이고, "B"부분이 진동 패턴 프레임(F2)이다. 도 4에서, vpf[4]이므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개수는 네 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진동 패턴 데이터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설정부(10)에 의해 생성된다.
진동 패턴 설정부(10)의 진동 소자 선택부(11), 진동 시간 설정부(12) 및 패턴 생성 제어부(13)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설계되어, 도 5와 같은 모습으로 진동 패턴 설정부(10)가 설치된 컴퓨터 등의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나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cathode ray tube) 등일 수 있고,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마우스, 키보드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한 터치 동작으로 원하는 진동 패턴에 맞는 선택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 소자 선택부(11)는 해당 진동기기에 설치된 진동 소자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의 진동 소자 모형으로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진동 소자 모형에 대응하는 진동소자의 동작 상태를 정한다. 도 5에 표시된 진동 소자 모형은 원형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진동 시간 설정부(12)는 슬라이드 바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패턴 생성 제어부(13)의 진동 기기 선택키(131)는 "Pad Edit" 메뉴의 하부 메뉴키로 정해져 있고,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 완료키(132)는 "Update Pattern"으로 정해져 있으며, 진동 패턴 프레임 삭제키(133), 진동 패턴 데이터 저장키(134) 및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는 각각 "Pattern Edit" 메뉴의 하부 메뉴키로 정해져 있다. 또한 진동 패턴 데이터 전송키(136)는 "Send pattern"으로 정해져 있다.
도 5에서, "Animation"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제 게임 등과 같은 데모 프로그램에 연동하여 진동소자를 동작시켜, 생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것이고, "Chart"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각 진동 소자의 동작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Simulation Pattern"은 연결된 진동소자를 설정된 유형의 진동 패턴 데이터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도 6을 참고로 하여, 진동 패턴 설정부(10)를 이용한 진동 패턴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동작이 시작되면(S10),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사용자에 의해 진동 패턴 데이터의 생성 동작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 이를 위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진동기기 선택키(131)에 의해 원하는 진동기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진동기기의 종류, 해당 진동기기에 장착된 진동 소자의 개수와 각 진동 소자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이미 생성되어 저장된 데이터(이하, 진동기기 데이터"라 함)를 불러옴으로써 원하는 진동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5)에는 해당 진동기기에 장착된 진동 소자의 개수와 각 진동 소자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진동기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진동기기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이미 저장되어 있는 진동기기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프레임 시작부(F1)의 각 필드(F11, F12)는 기존의 값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프레임 시작부(F1)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 필드(F11, F12)값을 정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사용할 진동기기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진동기기의 종류, 해당 진동기기에 부착된 진동 소자의 개수, 각 진동 소자의 위치 등을 정의하여 진동기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프레임 시작부(F1)의 각 필드(F11, F12)의 값을 정하여 프레임 시작부(F1)를 생성해야 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프레임 크기 필드(F13)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개수에 의해 자동으로 정해진다.
사용자에 의해 판독된 기존의 진동기기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사용자가 진동기기 데이터를 생성하면, 즉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기 의한 동작이 행해지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진동기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에 해당 화면이 표시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도 5에 표시된 진동 소자 모형의 개수와 배치 형태 등은 진동기기 데이터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진동기기의 종류가 키보드일 경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진동 소자 모형의 배치 형태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진동기기의 종류가 마우스일 경우엔, 마우스 형태로 진동 소자 모형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임의의 진동기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된 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 소자 모형의 개수의 총 개수는 16개이 고, 정사각형 형태로 진동 소자 모형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진동기기에 부착된 진동 소자의 개수는 16개임을 알 수 있고, 진동 소자가 정사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때의 진동기기 데이터는 진동 패드에 대응되는 진동기기일 수 있다. 도 5의 진동 소자 모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진동 소자 모형에는 "OFF"가 기재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진동소자 모형에는 "ON"이 기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선택된 진동 소자와 진동 시간을 판정한다(S12, S13). 이를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또는 손가락 등으로 표시 장치에 표시된 진동소자 모형을 하나 이상 선택한 후, 슬라이드 바 형태인 진동 시간 설정부(12)를 이용하여 원하는 진동 시간을 선택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진동 소자는 모두 동일한 진동 시간을 갖게 된다.
그런 다음,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 완료키(132)가 동작되었는지를 판정한다(S14).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 완료키(132)인 "Update Pattern"이 선택되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F2)이 생성된 상태로 판정하여 메모리(15)에 기억한다(S15).
하지만,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 완료키(132)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을 경우,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단계(S12)로 넘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진동 소자 모형, 즉, 진동 소자를 판정한다.
다음,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진동 소자 선택부(1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새로운 진동 소자 모형(즉, 진동 소자)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6). 즉, 사용자가 또 다른 진동 패턴 프레임(F2)를 생성하기 위해 진동 소자 모형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
새로운 진동 패턴 프레임(F2)을 생성하기 위해 진동 소자 모형이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단계(S12)로 넘어가 선택된 진동 소자 모형을 판정한다.
하지만, 새로운 진동 소자 모형이 선택되지 않을 경우,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 예를 들면 진동 패턴 데이터 저장키(134)나 진동 패턴 전송키(136)를 판정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행한다(S17, S18). 즉, 사용자에 의해 진동 패턴 데이터 저장키(134)가 선택되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어 메모리(15)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던 진동 패턴 프레임(F2)과 해당 진동기기 데이터에 기초한 프레임 시작부(F1)를 조합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한 후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이 지정된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또한, 진동 패턴 데이터 전송키(136)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진동 제어부(20)로 전송한다.
하지만, 단계(S11)에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9).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이미 생성되어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진동 데이터 패턴 중에 서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에 의해 선택된 해당 진동 패턴 데이터를 읽어온다(S20). 하지만,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가 동작되지 않을 상태로 판단되면,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계속해서 진동 패턴 데이터 로딩키(135)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
다음,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단계(S17)로 넘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를 판정하여,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시한다(S17).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14)는 읽어온 진동 패턴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진동 제어부(20)로 전송하거나, 지정된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다음, 도 7을 참고로 하여 저장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진동소자부(31-33)를 동작시키는 진동 제어부(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동작이 시작되면(S20), 진동 제어부(20)는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진동 패턴 설정부(10)로부터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
진동 패턴 설정부(10)로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전송되면, 진동 제어부(20)는 전송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판독한 후, 메모리(21)에 저장한다(S22).
하지만, 진동 패턴 설정부(10)로부터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진동 소자부(31-3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23). 구동 상황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며, 구동 상황마다 이미 해당하는 진동 패턴의 유형이 지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 총소 리가 발생하면, 진동 마우스에 부착된 제1 진동소자부(31)를 제1 유형의 진동 패턴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진동소자부(31-3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구동 제어부(24)는 발생된 구동 상황을 판정하고, 판정된 구동 상황에 맞는 진동 패턴을 판정한다(S24).
다음, 진동 제어부(20)는 구동 상황에 해당하는 유형의 진동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메모리(21)에 저장된 진동 패턴 데이터의 프레임 시작부(F1)의 패턴 식별 필드(F11)와 진동기기 식별 필드(F12)를 판독하여, 해당하는 구동 상황에 대응되는 해당 진동 기기의 진동 패턴 데이터인지를 식별한다(S25).
이와 같이, 프레임 시작부(F1)의 패턴 식별 필드(F11)와 진동기기 식별 필드(F12)의 값을 이용하여 구동 상황에 맞는 해당 진동 기기의 진동 패턴 데이터가 선택되면, 진동 제어부(20)는 해당 진동 패턴 데이터의 프레임 크기 필드(F13)의 값을 판독하여, 판정된 진동 패턴 데이터에 속한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개수를 판정한다(S26).
따라서, 진동 제어부(20)는 첫 번째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진동 데이터 필드(F21)에 기록된 진동 데이터와 진동 시간 필드(F22)에 기록된 진동 시간을 판정한다(S27, S28). 예를 들어, 진동 소자의 개수가 16개이고 진동 데이터의 비트수가 16일 때, 진동 데이터의 한 예가 "1010 0000 0000 0000"이면, 1번과 3번에 해당하는 진동 소자는 온 상태이고 나머지 진동 소자는 오프 상태를 의미한다.
그런 다음, 진동 제어부(20)는 해당 진동 패턴 프레임(F2)을 통해 판독된 진 동 데이터와 진동 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진동소자부(31-32)의 해당 진동소자를 해당 시간 동안 진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S29), 구동 상황에 맞는 진동 패턴으로 동작시킨다.
그런 다음, 진동 제어부(20)는 위의 동작을 통해 판독된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가 단계(S26)에서 판정된 프레임 크기 필드값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210).
판독된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가 판정된 프레임 크기 필드값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진동 제어부(20)는 단계(S27)로 넘어가 다음 번째 진동 패턴 프레임(F2)의 진동 데이터 필드(F21)와 진동 시간 필드(F22)의 값을 판독하여 해당 진동 소자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진동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진동 패턴으로 진동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고, 쉽고 간편하게 진동 패턴을 변경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해석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진동 제어부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진동 패턴의 변경이나 생성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기기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패턴 생성 제어부(13)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의 한 예이다.
도 5는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진동 소자 선택부, 진동 시간 설정부 및 패턴 생성 제어부의 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를 선택하여 진동 소자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동 소자 선택부,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을 결정하는 진동 시간 설정부, 그리고
    상기 진동 소자 선택부와 상기 진동 시간 설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데이터와 진동 시간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동 패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는,
    프레임 시작부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패턴 식별 필드, 진동기기 식별 필드 및 프레임 크기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은 상기 진동 데이터가 기재되는 진동 데이터 필드 및 상기 진동 시간이 기재되는 진동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설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패턴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기기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적용되는 진동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크기 필드는 생성된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설정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진동 패턴 설정 장치.
  5. 선택된 진동 소자를 판정하는 단계,
    선택된 진동 소자의 진동 시간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진동 소자와 상기 선택된 진동 시간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프레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진동 기기 데이터에 기초한 프레임 시작부와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을 이용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패턴 식별 필드, 진동기기 식별 필드 및 프레임 크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은 상기 진동 데이터가 기재되는 진동 데이터 필드 및 상기 진동 시간이 기재되는 진동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진동 패턴 설정 방법.
  6. 삭제
  7. 적어도 하나의 진동소자를 구동하는 진동기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에 해당하는 진동 패턴으로 상기 진동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는,
    프레임 시작부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패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시작부는 패턴 식별 필드, 진동기기 식별 필드 및 프레임 크기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패턴 프레임은 상기 진동 데이터가 기재되는 진동 데이터 필드 및 상기 진동 시간이 기재되는 진동 시간 필드를 포함하는 진동기기.
  8. 삭제
  9. 제7항에서,
    상기 패턴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기기 식별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가 적용되는 진동 기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크기 필드는 상기 진동 패턴 데이터에 속한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를 포함하는 진동기기.
  10. 제9항에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패턴 식별 필드값과 진동기기 식별 필드 값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의 유형을 판정하고, 프레임 크기 필드값에 기초하여 진동 패턴 데이터에 포함되는 진동 패턴 프레임의 개수를 판정하고, 각 진동 패턴 프레임의 진동 데이터 필드값과 상기 진동 시간 필드값에 기초하여 동작되는 진동 소자와 진동 시간을 판정하여 해당 진동 소자에 진동 시간동안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기기.
KR1020080030771A 2008-04-02 2008-04-02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KR10092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71A KR100925553B1 (ko) 2008-04-02 2008-04-02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71A KR100925553B1 (ko) 2008-04-02 2008-04-02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58A KR20090105358A (ko) 2009-10-07
KR100925553B1 true KR100925553B1 (ko) 2009-11-05

Family

ID=4153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771A KR100925553B1 (ko) 2008-04-02 2008-04-02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510B1 (ko) * 2010-12-22 2012-03-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기기 내부에 국부적인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 패턴 형성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38B1 (ko) * 2007-05-02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080026979A (ko) * 2006-09-22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979A (ko) * 2006-09-22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KR100807738B1 (ko) * 2007-05-02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58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4897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fining a haptic effect
JP5999839B2 (ja) 音声案内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WO2009123030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JP5565399B2 (ja) 電子音響信号発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EP3435200A1 (en) System for providing tactile stimulation
JPWO2010024358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CN111033441B (zh) 振动控制装置
US20060036973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to design a processing system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WO2005116811A1 (ja) タッチパネル装置、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タッチパネ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70013011A (ko) 개선된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처리 장치
KR100925553B1 (ko) 진동 패턴 설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진동 기기
JP5071290B2 (ja) 電子音響システム
KR20190071518A (ko)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521889B2 (ja) プログラム自動生成装置
JP3762408B2 (ja) 複数ページに渡るファンクションメニューを一覧表示する機能を有する電子測定装置及びそのファンクションメニュー表示方法
CN109062536A (zh) 屏幕发声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JP2003108139A (ja) 電子楽器の表示処理装置
JP4089576B2 (ja) パラメータ設定装置およびパラメータ設定プログラム
KR20090019629A (ko) 오디오 신호 정보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오디오 기기
JP3862989B2 (ja) 電子楽器
KR20110121543A (ko) 진동 패턴 생성 장치 및 방법
JP3873872B2 (ja) 演奏情報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13488B2 (ja) 楽譜表示装置及び楽譜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552718B2 (ja) 音楽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183901A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