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518A -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518A
KR20190071518A KR1020170172626A KR20170172626A KR20190071518A KR 20190071518 A KR20190071518 A KR 20190071518A KR 1020170172626 A KR1020170172626 A KR 1020170172626A KR 20170172626 A KR20170172626 A KR 20170172626A KR 20190071518 A KR20190071518 A KR 2019007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music file
user
low frequenc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구
최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웨이브
Priority to KR102017017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518A/ko
Publication of KR2019007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음악파일을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음원 분석부, 상기 생성된 펄스 파형 정보에 대응하는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에 맞추어 저주파가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하고 재미있는 파형을 느끼면서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음악이 들어있는 USB를 통해 다양한 저주파를 음악에 맞춰 즐길 수 있다. 다양한 음악모드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블루트스 스마트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누워서도 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Low Frequency Therapy Apparatus Interlocked With Music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치료기는 공급된 소정의 전원에너지를 저주파 펄스로 변조한 다음, 그 저주파 펄스를 증폭하여 한쌍의 도전성 전극(전극 패드)에 공급하고, 상기 한쌍의 도전성 전극(전극 패드)을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시켜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적 자극을 일으킴으로써 치료적 효과를 얻게 되는 장치이다.
저주파 치료기는 이러한 전기적 자극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저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저주파 발생장치를 그 내부에 내장하고 있으며, 발생된 저주파를 한쌍의 도전성 전극(전극 패드)에 보내주면, 한쪽의 도전성 전극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거쳐서 다른 쪽의 도전성 전극으로 전류가 흘러가게 되고, 그 과정에서 한쌍의 도전성 전극 사이에 놓인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 발생기에서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개량되어 왔고, 그러한 형태의 저주파를 주기적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그 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률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처음 사용할 경우에는 비록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부분도 없지 않지만,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저주파 치료를 행하게 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곧바로 잃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저주파 치료기는 제조 당시에 설정되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저주파 치료를 행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점점 무미건조한 치료방법에 익숙해져 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망하는 저주파 치료행위를 지속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음악을 이용한 치료방식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음악과 저주파 치료기를 결합한 치료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음악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펄스 파형 정보에 대응하는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패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악파일 분석은 대응하는 부분의 음악재생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악파일 분석은, 상기 음악파일 분석용 데이터를 임의의 주파수 밴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밴드별로 데시벨 데이터로 가공하여, 데시벨이 급격 상승하는 구간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기간의 분석 결과를 취합하여 펄스 파형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음악파일을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음원 분석부, 상기 생성된 펄스 파형 정보에 대응하는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 치료기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에 맞추어 저주파가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하고 재미있는 파형을 느끼면서 저주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음악이 들어있는 USB를 통해 다양한 저주파를 음악에 맞춰 즐길 수 있다. 다양한 음악모드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블루트스 스마트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누워서도 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분석 시스템에 대한 사용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 분석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출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분석 시스템을 사용 중인 프로그램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전원부(130), 음악 재생부(140), 스피커(150), 제어부(160), 표시부(170), 저주파 발생부(180), 저장부(185), 음원 분석부(190) 및 패드(19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 USB 포트, 메모리 포트 등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USB 포트, 메모리 포트 등의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파일을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거나, 케이블 등의 유선 시리얼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원하는 음악 파일을 휴대용 정보 통신 단말로부터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휴대용 정보 통신 단말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전용 어플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원부(130)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용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종류에 따라 배터리 등으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음악 재생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 파일을 스피커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피커(150)는 음악 재생부(140)에서 재생되는 음악 파일을 소리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70)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주파 발생부(180)는 전원부(130)에 의해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주파 발생부(180)는 음원 분석부(190)에서 생성되는 펄스 파형을 제공받고, 그에 대응하는 펄스 파형의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장부(185)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디스크, SSD, 램, 롬 등의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8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악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음원 분석부(190)에서 분석된 음악 파일과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85)는 음원 분석부(190)에서 분석되는 음악 파일의 펄스 파형과 별도로 사전에 미리 정해진 소정 개수의 펄스 파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음원 분석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음악 재생부(140)에서 재생되는 음악 파일을 분석하여, 해당 음악 파일과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펄스의 폭과 길이 등의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음원 분석부(190)에서 생성되는 펄스 파형 정보에 따라 저주파 발생부(180)에서 해당 펄스 파형을 가지는 저주파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패드(195)는 사용자 피부에 부착되어, 저주파 발생부(180)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전류를 사용자에게 인가하여 자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에 구비되는 패드(195)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전원부(130), 음악 재생부(140), 스피커(150), 표시부(170), 저장부(185), 음원 분석부(190) 및 제어부(160)를 안드로이드(Android) PC와 같은 정보 통신 단말의 패널부로 구현하고, 저주파 발생부(180)는 안드로이드 PC 패널부에서 전달되는 펄스 파형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저주파 펄스를 방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분석 시스템에 대한 사용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USB 메모리를 통해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에 삽입하거나,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에 음악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S105).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음악 모드 선택을 하면(S110), 제어부(160)는 해당 모드에서 재생 가능한 음악 파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사용자가 음악 파일 리스트에서 특정 음악 파일에 대한 재생을 선택하면(S115),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100)는 음악 재생부(140)에서 음악 파일을 재생을 시작하여 스피커(150)를 통한 출력되게 할 수 있다(S125).
한편 사용자가 단계(S115)에서 선택한 음악파일에 대해서 음원 분석부(190)에서 음원 분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음원 분석부(190)는 해당 음악 파일에 대해 주파수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S130). 실시예에 따라 음원 분석부(190)는 유니티 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유니티 엔진에 내장된 API를 통해 외부에 있는 음악 파일을 분석에 용이한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리소스(음악 파일)을 메모리로 불러오고, 불러온 메모리를 바탕으로 유니티 엔진 컴포넌트인 AudioClip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분석할 위치(앞으로 음악으로 재생될, 기본값은 0.1초 이후의 위치로 지정할 수 있음)의 데이터(samples)를 가져올 수 있다.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공식을 사용하여 분석용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데이터 값은 프로그램에 지정한 값에 따라 2의 제곱 형태의 개수를 갖춘 실수값(float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음악 파일 분석은 흔히 스펙트럼 분석(Spectrum Analysis)(주파수 분석)이라고 불리우는 방식이며 음원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음원 분석부(190)는 음악 파일에 대해서 밴드를 만들어 데시벨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S135). 여기서 밴드는 음악 파일을 주파수 대역별로 나눈 것을 의미하고, 데시벨은 음량, 주파수 대역은 옥타브로 저음, 중음, 고음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음악 파일에 대한 분석용 데이터를 일정한 구간별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에 대한 분석용 데이터를 옥타브 주파수 대역대 별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옥타브 밴드라고 부블 수 있다. 그리고 도레미파솔라시도와 같은 계명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옥타브와 관계없이 임의의 주파수 대역 단위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분석용 데이터를 나누는 밴드 개수는 프로그램 내부에 지정된 변수 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디폴트값(예컨대 '5')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밴드 개수가 '5'인 경우, 초저음/저음/중음/고음/초고음 등으로 밴드를 나눌 수 있다.
한편 밴드별로 나눠진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밴드에 속하는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데시벨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데시벨 데이터 변환 공식은 아래 수식 1을 사용할 수 있다.
[수식 1]
벤드 데시벨값[i] = 20.0f * Mathf.Log10(주파수분석데이터밴드별총합[i] / 2.5f + 1.5849e-13f)
물론 실시예에 따라 데시벨 데이터 변환 공식은 위 수식 1과 다르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 분석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출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예시한 것과 다른 방법으로 음악 파일 분석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출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음원 분석부(190)는 음악 파일을 분석하면서 데시벨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S140).
단계(S14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음원 분석부(190)는 각 밴드 별로 데시벨이 급격하게 상승되는 구간을 확인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단계(S130) 내지 단계(S135)의 작업을 매 1/30초(약 0.03초)마다 반복하여 연속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작업을 반복하는 시간 주기 등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음원 분석부(190)는 각각의 밴드들(예컨대 기본 5개)의 데시벨 변화량을 확인하여 상승이 있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S140). 단, 상승량이 일정 이상이어야만 급격하게 상승되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데시벨이 급격하게 상승되는 구간 확인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된다.
1) x값 이상의 데시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x의 공식은 [최근 급상승구간의 데시벨 - y* 급상승 구간이 없었던 시간]이다.
3) y의 값은 프로그램 내부의 지정된 변수값(변경될 수 있는 값)으로 디폴트 값은 0.3이다.
음원 분석부(190)는 일정 기간의 분석결과를 취합하여 펄스 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S145).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는 미리 정해진 주기, 예컨대 매 1/10초(0.1초)마다 분석결과를 취합할 수 있다. 음원 분석부(190)는 0.1초마다 취합되는 경우 단계(S140)에서 약 3개 정도의 데이터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원 분석부(190)는 취합된 결과를 바탕으로 펄스 파형을 제작할 수 있다(S145).
3개의 분석결과 중 급격하게 상승되는 경우의 개수와 주파수 대역대(저음, 고음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파형이 변경될 수 있다.
i.급격하게 상승되는 경우가 없는 경우, 펄스를 방출하지 않는다.
ii.상승하는 경우가 있는 분석결과가 총 1개 있는 경우, 펄스를 1회 방출한다.
iii.상승하는 경우가 있는 분석결과가 총 2개 있는 경우, 펄스를 2회 방출한다.
iv.상승하는 경우가 있는 분석결과가 총 3개 이상 있는 경우, 펄스를 20000μsec 간격으로 방출하며, 다음 분석 때도 같은 결과인 경우 70%만큼 간격이 더욱 짧아져 최소 500μsec 간격까지 방출된다.
v. 또한 상승되는 벤드 데시벨의 주파수 대역대가 저음 구간이 많을수록 낮은 전압의 펄스가 방출되고, 높은 구간이 많을수록 높은 전압의 펄스가 방출된다.
이하 펄스 출력 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원 분석부(190)는 제작된 펄스 파형 정보를 저주파 발생부(180)로 전달하여(S155), 해당 펄스 파형을 가지는 저주파 전류를 패드(195)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S160).
음원 분석부(190)는 단계(S145)에서 제작된 펄스 파형을 프로토콜화 하여 USB 케이블을 통해 저주파 발생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S150).
저주파 발생부(180)는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 파형에 따라 전류를 패드(195)로 내보낼 수 있다(S155).
이후 사용자는 패드(195)에 접촉된 피부에 저주파 전류에 의한 자극을 느낄 수 있다(S160).
분석에서부터 출력하여 사용자가 느끼기까지 대략 0.1초가 걸리므로 음악 파일 분석은 음악이 스피커(150)에서 나오기 전 0.1초 이전의 것을 분석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음원 분석부(190)를 포함하는 AndroidPC와 저주파 발생부(180)에 해당하는 저주파 출력보드의 CPU의 성능에 따라 좌우되는 요소이며, 대략 0.1초가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출력되는 음악보다 0.1초 한발 앞서 분석을 진행해야만 사용자는 음악의 리듬감에 맞는 파형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분석 시스템을 사용 중인 프로그램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USB 메모리 스틱에 닮긴 음악파일 목록을 좌측 패널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음악파일을 선택하고 재생 버튼을 누르면 스피커로 음악이 나타나며 동시에 음원 분석 시스템이 발동될 수 있다. 무릎, 복부, 발 등의 패드 버튼을 통해 패드별 자극 세기를 상승시키면 해당 패드에서 펄스(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제작된)가 나타난다. 좌측 하단의 막대기는 옥타브 데시벨 밴드를 의미하며 음악에 따라 계속 낮아졌다 높아졌다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로부터 음악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펄스 파형 정보에 대응하는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패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제어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파일 분석은 대응하는 부분의 음악재생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서서 수행되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제어방법.
  3. 제 1 항에서,
    상기 음악파일 분석은,
    상기 음악파일 분석용 데이터를 임의의 주파수 밴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밴드별로 데시벨 데이터로 가공하여, 데시벨이 급격 상승하는 구간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기간의 분석 결과를 취합하여 펄스 파형을 제작하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제어방법.
  4. 사용자로부터 음악파일을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음악파일에 연동되는 펄스 파형 정보를 생성하는 음원 분석부,
    상기 생성된 펄스 파형 정보에 대응하는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저주파를 가지는 전류를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패드
    를 포함하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5. 제 4 항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파일 분석은 대응하는 부분의 음악재생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앞서서 수행되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6. 제 4 항에서,
    상기 음악파일 분석은,
    상기 음악파일 분석용 데이터를 임의의 주파수 밴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밴드별로 데시벨 데이터로 가공하여, 데시벨이 급격 상승하는 구간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기간의 분석 결과를 취합하여 펄스 파형을 제작하는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KR1020170172626A 2017-12-14 2017-12-14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1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626A KR20190071518A (ko) 2017-12-14 2017-12-14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626A KR20190071518A (ko) 2017-12-14 2017-12-14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18A true KR20190071518A (ko) 2019-06-24

Family

ID=6705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626A KR20190071518A (ko) 2017-12-14 2017-12-14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5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78A (ko) * 2019-11-28 2021-06-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파형 에너지 기반 펄스파 변조 기법을 이용하는 저주파 마사지기
WO2023167421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과 연동된 저주파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3167420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을 이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78A (ko) * 2019-11-28 2021-06-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파형 에너지 기반 펄스파 변조 기법을 이용하는 저주파 마사지기
WO2023167421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과 연동된 저주파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3167420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을 이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6432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haptic events from a digital audio signal
US9078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ound as vibrations
US9330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haptic events from a digital audio file
US96400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aptic signal with auditory saliency estimation
US83789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haptic events from a digital audio signal
KR20190071518A (ko)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874144A (zh) 使用映射的声音-触觉效应转换系统
CN105530565A (zh) 自动声音均衡装置
KR20190109921A (ko) 음악 연동 저주파 치료 시스템
CN108269578A (zh) 用于处理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80110461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10007829A1 (en) Game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for
KR20220091459A (ko) 진동 제어 장치, 진동 제어 프로그램 및 진동 제어 방법
JP2018185704A (ja) 生体電気刺激装置、生体電気刺激システムおよび生体電気刺激方法
KR20150007813A (ko) 이명 치료 장치 및 이명 치료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WO20111470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ound as vibrations
CN114209311A (zh) 一种基于声疗法的耳鸣检测治疗仪
WO2021171933A1 (ja) 音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957467B2 (en) Neural stimulation through audio with dynamic modulation characteristics
KR101611362B1 (ko) 헬스케어용 오디오 장치
CN117043848A (zh) 声音编辑装置、声音编辑方法以及声音编辑程序
CN118013071A (zh) 个性化音乐推荐方法、装置、设备、介质及可穿戴设备
JP2003228387A (ja) 動作制御装置
JP2024076340A (ja) 脳動力のオーディオ刺激のための音声生成装置及び脳動力のオーディオ刺激のための音声生成方法
JP5714774B2 (ja) 振動信号生成装置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体感音響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