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574A -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574A
KR20080025574A KR1020060090231A KR20060090231A KR20080025574A KR 20080025574 A KR20080025574 A KR 20080025574A KR 1020060090231 A KR1020060090231 A KR 1020060090231A KR 20060090231 A KR20060090231 A KR 20060090231A KR 20080025574 A KR20080025574 A KR 2008002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heating roller
separa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5574A/ko
Publication of KR2008002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는, 용지를 가열하는 히팅롤러와, 히팅롤러에 대해 상기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에 있어서, 히팅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가압롤러의 가압영역을 통과한 용지를 히팅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선단부를 갖는 용지분리부재와; 용지분리부재를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 이동시키는 분리부재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지분리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히팅롤러 표면의 마모를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기의 요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정착기의 작동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 : 용지
100 : 급지부 200 : 화상형성부
300 : 정착기 310 : 히팅롤러
320 : 가압롤러 330 : 지지프레임
331 : 슬라이딩가이드 333 : 제1프레임
335 : 제2프레임 340 : 용지분리부재
341 : 분리선단부 343 : 안내물림부
345 : 이동부재 345a : 제1이동부재
345b : 제2이동부재 350 : 슬라이딩구동부
351 : 아이들롤러 351a : 제1아이들롤러
351b : 제2아이들롤러 352 : 롤러측면부
352a : 제1롤러측면부 352b : 제2롤러측면부
353 : 회전축 353a : 제1회전축
353b : 제2회전축 355 : 돌기부
355a : 제1돌기부 355b : 제2돌기부
357 : 탄성부재 400 : 배지부
본 발명은,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분리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히팅롤러 표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장치에 결합되어, 호스트장치에서 인가되는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화상데이터를 용지에 가시화시킨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에서 용지 상에 토너 등의 현상제를 전사시킨 후, 정착기에서 현상제를 용지에 정착시킨다.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는 현상제가 전사된 용지가 히팅롤러 및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가 정착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용지가 히팅롤러에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히팅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히팅롤러에 말린 용지를 분리시키는 용지분리부를 설치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 있어서는, 용지분리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분리부가 히팅롤러의 특정 부위하고만 접촉하는 문제점이 있다. 히팅롤러의 회전에 따라서, 용지분리부의 끝단부가 히팅롤러 외주면의 특정 부위에 반복하여 접촉하게 되어, 히팅롤러 표면의 해당 부위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마모된 위치에서 현상제의 정착에 불량이 생기며, 히팅롤러를 교체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분리부를 히팅롤러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용지분리부와 히팅롤러와의 접촉면을 분산시킴으로써, 히팅롤러의 외주면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지를 가열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에 대해 상기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의 가압영역을 통과한 상기 용지를 상기 히팅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선단부를 갖는 용지분리부재와;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 이동시키는 분리부재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슬라이딩가이드를 더 포함 하며,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맞물려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물림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재이동유닛은,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구동부는, 상기 히팅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로부터 배출 이동하는 용지에 접촉하여 회동되며,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돌기부를 가지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구동부는,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회귀시키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아이들롤러는, 제1돌기부를 가지는 제1아이들롤러와;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돌기부에 대해 편심되게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돌기부를 가지는 제2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형성된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시키는 상기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에서 배출된 상기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장치(1)는, 용지(10)가 적재되는 급지부(100)와; 급지부(100)로부터 공급된 용지(10)에 현상제를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200)와; 화상형성부(200)에서 전사된 현상제를 열과 압력을 가해 용지(10)에 정착시키는 정착기(300)와; 정착기(300)에서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착기(300)는, 히팅롤러(310)와; 히팅롤러(310)에 대해 용지(1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320)와; 지지프레임(330)과; 지지프레임(330)에 지지되어 히팅롤러(310) 외주면에 접촉하는 용지분리부재(340)와; 용지분리부재(340)를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분리부재이동유닛을 포함한다.
히팅롤러(3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히팅롤러(310)는 내부에 발열체(미도시)를 포함하며, 발열체(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정착 온도로 가열된다. 히팅롤러(310)는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에 화상형성부(200)에서 현상제가 전사된 용지(10)가 접촉하며, 현상제가 정착되도록 용지(10)에 열을 가한다.
가압롤러(320)는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회전한다. 가압롤러(320)는 히팅롤러(310)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로 회전하여, 용지(10)가 히팅롤러(310)와 가압롤러(320)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가압롤러(320)는 히팅롤러(310)를 향해 가압됨으로써,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가 용지(10)에 정착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330)은 용지분리부재(340) 및 분리부재이동유닛을 지지하기 위해 히팅롤러(3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지지프레임(330)은 용지분리부재(3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331)와, 슬라이딩가이드(331)를 사이에 두고 히팅롤 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게 형성된 제1프레임(333) 및 제2프레임(335)을 포함한다.
슬라이딩가이드(331)는 히팅롤러(310) 및 가압롤러(320)로부터 용지(10)가 배출되는 방향인 히팅롤러(310)의 전면부에, 히팅롤러(310)의 상측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가이드(331)는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배치된다. 슬라이딩가이드(331)는 후술할 안내물림부(343)가 맞물려 이동함으로써, 용지분리부재(340)의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딩가이드(331)는 안내물림부(343)와 접촉하는 면이, 낮은 마찰력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용지분리부재(340)가 슬라이딩가이드(331)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가이드(331) 및 안내물림부(343)의 상호 접촉면은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331)는 후술할 안내물림부(343)가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물림부(343)의 형상 및 크기에 상호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슬라이딩가이드(331)는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형상 및 크기가 한정되지 않는다.
제1프레임(333)은 슬라이딩가이드(331)의 왼쪽에 형성된다. 제1프레임(333)은 히팅롤러(310)의 상측 전면부로 연장된 리브(rib) 형상을 가지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프레임(333)은 리브 형상의 판면이 용지분리부재(34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2프레임(335)은 슬라이딩가이드(331)의 오른쪽에, 제1프레임(333)과 동일 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프레임(335)은 판면이 용지분리부재(340)를 향하도록, 즉 용지분리부재(340)를 사이에 두고 제1프레임(333)의 판면과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용지분리부재(340)는 제1프레임(333) 및 제2프레임(335) 사이에 배치된다. 용지분리부재(340)는 용지(10)가 배출되는 방향인 히팅롤러(310) 전면부의 상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하나의 히팅롤러(310)에 마련되는 용지분리부재(340)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정착기(300)의 설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용지분리부재(340)만을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용지분리부재(340)가 히팅롤러(310)에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단, 분리부재이동유닛 또한 용지분리부재(340)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용지분리부재(340)는 갈고리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용지분리부재(340)는 갈고리 모양을 이루는 일측 끝단부인 분리선단부(341)와,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안내물림부(343)를 포함한다.
분리선단부(341)는 회전하는 히팅롤러(310)의 전면부 일측에 접촉하여, 히팅롤러(310) 및 가압롤러(320) 사이로부터 배출되어 히팅롤러(310)로 말리는 용지(10)를 히팅롤러(310)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선단부(341)는 히팅롤러(310)와의 접촉영역을 가능한 한 줄이도록, 예를 들면 선접촉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분리선단부(341)는 히팅롤러(310)의 회전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고, 히팅롤러(310)와의 접촉에 의해 히팅롤러(310)의 외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줄인다.
안내물림부(343)는 슬라이딩가이드(331)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딩가 이드(331)에 맞물린다. 안내물림부(343)는 이에 의하여, 분리선단부(341)가 히팅롤러(3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용지분리부재(340)가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안내물림부(343)는 슬라이딩가이드(331)를 따라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슬라이딩가이드(331)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안내물림부(343)는 슬라이딩가이드(331)와의 접촉면이, 낮은 마찰력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안내물림부(343)가 슬라이딩가이드(331)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안내물림부(343) 및 슬라이딩가이드(331)의 상호 접촉면은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도록 표면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분리부재이동유닛은 용지분리부재(340)를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 이동시킨다. 분리부재이동유닛은 용지분리부재(340)에 형성된 이동부재(345)와, 이동부재(345) 및 용지분리부재(340)를 가압하는 슬라이딩구동부(350)를 포함한다.
이동부재(345)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용지분리부재(340)의 좌측면으로부터 제1프레임(333)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부재(345)는 그 끝단부가 슬라이딩구동부(350)에 의해 제2프레임(335) 방향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이동부재(345)의 연장 길이는 슬라이딩구동부(350)가 이동부재(345)를 가압하여 용지분리부재(3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며, 정착기(3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크기 및 형상과 같은 여러 설계 요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슬라이딩구동부(350)는 용지분리부재(340)를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슬라이딩구동부(350)는 제1프레임(333)에 설치된 아이들롤러(idle-roller)(351)와; 아이들롤러(351)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1프레임(333)에 결합시키는 회전축(353)과; 아이들롤러(351)의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355)와; 용지분리부재(340)와 제2프레임(335)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57)를 포함한다.
아이들롤러(351)는 원형의 판면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아이들롤러(351)는 상기 판면이 제2프레임(335) 방향, 즉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회전축(353)에 의해 제1프레임(3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이들롤러(351)는 원형 판면에 직교하는 측부 외주면이 롤러측면부(352)를 형성한다. 아이들롤러(351)는, 히팅롤러(310) 전방으로 배출되는 용지(10)가 롤러측면부(352)에 접촉하며 이동함에 따라서, 히팅롤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여기서 아이들롤러(351)는 롤러측면부(352)가 용지(10)에 접촉하였을 때에, 용지(10)의 이동에 의해 아이들롤러(35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측면부(352)의 마찰계수를 조정하는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아이들롤러(351)는 이동하는 용지(1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용지분리부재(340) 및 이동부재(345)의 하중, 안내물림부(343) 및 슬라이딩가이드(331) 사이의 마찰력, 분리선단부(341)와 히팅롤러(310) 사이의 마찰력, 탄성부재(357)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아이들롤러(351)의 회전에 의해 용지분리부재(3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돌기부(355)는 아이들롤러(351)의 판면 상에 이동부재(345)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돌기부(355)는 아이들롤러(351)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345)를 가압한다. 돌기부(355)는 이동부재(345)를 가압하여 용지분리부재(340)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 형상, 높이 및 아이들롤러(351) 판면을 점유하는 넓이 등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돌기부(355)는 아이들롤러(351)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345)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아이들롤러(351)가 회전하는 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돌기부(355)는 아이들롤러(351)가 회전할 때에 이동부재(345)의 끝단부가 상기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하여, 제2프레임(335) 방향으로 용지분리부재(340)를 가압하도록 한다.
탄성부재(357)는 용지분리부재(340)와 제2프레임(335)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357)는 용지분리부재(340)의 우측면으로부터 제2프레임(335)의 판면 사이에 설치되며, 용지분리부재(340)를 제1프레임(333)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탄성부재(357)는 제2프레임(335)에 의해 지지되어, 아이들롤러(351) 및 돌기부(355)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한 용지분리부재(340)가 원래의 위치로 회귀되도록, 용지분리부재(340)를 탄성가압한다.
탄성부재(357)는 용지분리부재(340)를 가압하는 탄성력이, 안내물림부(343) 및 슬라이딩가이드(331) 사이의 마찰력과, 용지분리부재(340) 및 이동부재(345)의 하중과, 분리선단부(341)와 히팅롤러(310)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탄성부재(357)는 용지분리부재(340)를 원래의 위치로 회귀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57)는 또한, 용지분리부재(340)를 가압하는 탄성력이, 아이들롤러(351)의 회전에 따른 돌기부(355)의 가압에 의해 극복되어짐으로써, 용지분리부재(340)가 탄성부재(35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돌기부(355)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탄성부재(35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지분리부재(340)와 제2프레임(335) 사이에 설치된다고 표현했으나, 슬라이딩 이동한 용지분리부재(340)를 원래의 위치로 회귀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설계변경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357)는 슬라이딩가이드(331)의 우측 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물림부(343)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정착기(300)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와 도 3에 나타난 제1위치(X1)와 제2위치(Y1)에 대해 설명한다. 제1위치(X1)는 용지분리부재(340)의 초기위치로서, 이동부재(345)가 돌기부(355)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며, 탄성부재(357)에 의한 탄성력이 용지분리부재(340)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의, 용지분리부재(340)의 위치이다.
제1위치(X1)로부터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 이격된 제2위치(Y1)는, 돌기부(355)가 이동부재(345)를 가압함에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의 용지분리부재(340)의 위치이다. 제1위치(X1)와 제2위치(Y1)의 간격은 아이들롤러(351) 판면로부터의 돌기부(355)의 높이에 대응한다.
화상형성부(200)에서 현상제가 산포된 용지(10)는 정착기(300)로 이동한다. 용지(10)는 히팅롤러(310) 및 가압롤러(320)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는 용지(10)에 정착된다.
용지(10)는 히팅롤러(310) 및 가압롤러(320) 사이로부터 전방으로 배출된다. 용지(10)가 배출되는 와중에 히팅롤러(310)에 말리는 경우, 용지(10)의 끝단이 분리선단부(341)에 걸림으로써, 용지(10)는 히팅롤러(310)로부터 분리된다.
용지분리부재(340)에 의해 분리된 용지(10) 또는 히팅롤러(310)에 말리지 않고 배출된 용지(10)는 히팅롤러(310)의 전방 상부의 롤러측면부(352)와 접촉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아이들롤러(351)가 회전한다.
아이들롤러(351)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355)가 이동하며, 돌기부(355)는 이동부재(345)의 끝단부를 제2프레임(335)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이동부재(345)는 용지분리부재(340)를 제1위치(X1)로부터 제2위치(Y1)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아이들롤러(351)가 계속 회전하면 돌기부(355) 또한 이동하여, 이동부재(345)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이에, 탄성부재(357)는 용지분리부재(340)를 제1프레임(333)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며, 용지분리부재(340)는 제2위치(Y1)로부터 제1위치(X1)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용지(10)가 연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서 아이들롤러(351)의 회전이 계속되며, 돌기부(355)의 이동부재(345)에 대한 가압과, 상기 가압의 해제에 따른 탄성부재(357)의 탄성가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지분리부재(340)는 제1위치(X1)와 제2위치(Y1)를 반복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용지(10)의 이동에 따라서 구동하는 분리부재이동유닛에 의해, 용지분리부재(340)를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정착기(300)는, 용지분리부재(340)에 형성된 제1이동부재(345a) 및 제2이동부재(345b)와, 제1이동부재(345a) 및 제2이동부재(345b)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딩구동부(35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이동부재(345a)는 제1프레임(333)을 향해 용지분리부재(340)의 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제2이동부재(345b)는 제2프레임(335)을 향해 용지분리부재(340)의 우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이동부재(345a) 및 제2이동부재(345b)는 용지분리부재(340)의 좌우측으로부터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딩구동부(350)는 제1프레임(333)에 결합된 제1아이들롤러(351a)와; 제1아이들롤러(351a)의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1돌기부(355a)와; 제2프레임(335)에 결합된 제2아이들롤러(351b)와; 제2아이들롤러(351b)의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2돌기부(355b)를 포함한다.
제1아이들롤러(351a)는 제1회전축(353a)을 중심으로 하여 제1프레임(3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아이들롤러(351a)는 원형의 판면이 용지분리부재(340)를 향하며, 상기 판면에 직교하는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제1롤러측면부(352a)를 포 함한다.
제1롤러측면부(352a)는 후술할 제2롤러측면부(352b)와 함께, 히팅롤러(310) 및 가압롤러(320) 사이로부터 배출 이동하는 용지(10)에 접촉함으로써, 제1아이들롤러(351a) 및 제2아이들롤러(351b)가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제1돌기부(355a)는 제1아이들롤러(351a)의 판면 상에 용지분리부재(34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돌기부(355a)는 제1아이들롤러(351a)의 회전에 따라 제1이동부재(345a)를 가압하여, 용지분리부재(3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제2아이들롤러(351b)는 제2회전축(353b)에 의해 제2프레임(3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아이들롤러(351b)는 원형의 판면이 용지분리부재(340)를 향하며, 제1아이들롤러(351a)의 판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2아이들롤러(351b)는 상기 판면에 직교하는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제2롤러측면부(352b)를 포함한다.
제2롤러측면부(352b)는 제1롤러측면부(352a)와 함께, 이동하는 용지(10)에 접촉함으로써, 제2아이들롤러(351b) 및 제1아이들롤러(351a)가 회전하도록 한다.
제2돌기부(355b)는 용지분리부재(340)를 향한 제2아이들롤러(351b)의 판면 상에, 제1돌기부(355a)와 대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돌기부(355b)는 상호 대향하는 제1돌기부(355a)에 대하여 편심되게 마련됨으로써, 제1돌기부(355a)가 제1이동부재(345a)를 가압하는 동작과 제2돌기부(355b)가 제2이동부재(345b)를 가압하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제1돌기부(355a)의 가압과 제2돌기부(355b)의 가압이 교대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지분리부재(340)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돌기부(355b)의 제1돌기부(355a)에 대한 편심 각도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1돌기부(355a)에 의한 가압 동작과 제2돌기부(355b)에 의한 가압 동작이 동일한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180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용지분리부재(340)가 어느 한 위치에서, 타 위치에서보다 오래 머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아이들롤러(351a) 및 제1돌기부(355a)와, 제2아이들롤러(351b) 및 제2돌기부(355b)는, 생산성의 향상 및 동작의 통일성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각각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나, 이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용지(10)와 제1롤러측면부(352a) 및 제2롤러측면부(352b)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제1아이들롤러(351a) 및 제2아이들롤러(351b)의 회전력은, 용지분리부재(340)와 제1이동부재(345a) 및 제2이동부재(345b)의 하중과, 분리선단부(341) 및 히팅롤러(310) 사이의 마찰력과, 안내물림부(343) 및 슬라이딩가이드(331)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용지분리부재(34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정착기(300)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 및 도 6에는 제1위치(X2)와 제2위치(Y2)가 도시되어 있다. 제1위치(X2)는 제2돌기부(355b)가 제2이동부재(345b)를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한 용지분리부재(340)의 위치이다. 제1위치(X2)로부터 히팅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 라 소정 간격 이격된 제2위치(Y2)는 제1돌기부(355a)가 제1이동부재(345a)를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한 용지분리부재(340)의 위치이다. 여기서, 초기위치를 제1위치(X2)로 한다.
용지(10)가 히팅롤러(310) 및 가압롤러(320)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기까지의 과정 및 히팅롤러(310)에 말린 용지가 용지분리부재(340)에 의해 분리되는 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배출된 용지(10)는 제1롤러측면부(352a) 및 제2롤러측면부(352b)와 접촉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제1아이들롤러(351a) 및 제2아이들롤러(351b)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제1돌기부(355a) 및 제2돌기부(355b) 또한 이동하며, 제1돌기부(355a)가 제1이동부재(345a)의 단부를 제2프레임(335)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1위치(X2)에 있던 용지분리부재(340)는 제2위치(Y2)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아이들롤러(351a) 및 제2아이들롤러(351b)의 회전이 계속되면, 제2돌기부(355b)가 이동하여 제2돌기부(355b)를 제1프레임(333)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용지분리부재(340)는 제2위치(Y2)에서 제1위치(X2)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용지(10)의 연속적인 배출 및 이동에 의해 제1아이들롤러(351a) 및 제2아이들롤러(351b)의 회전이 계속되는 경우, 제1돌기부(355a)에 의한 가압과 제2돌기부(355b)에 의한 가압이 번갈아 발생한다. 따라서, 용지분리부재(340)는 제1위치(X2)와 제2위치(Y2) 사이를 반복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롤러로부터 용지를 분리시키 는 용지분리부재를 분리부재이동유닛에 의해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용지분리부재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히팅롤러의 접촉면을 분산시켜 히팅롤러의 마모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히팅롤러의 마모된 부위에서 현상제의 정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용지를 가열하는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에 대해 상기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롤러의 가압영역을 통과한 상기 용지를 상기 히팅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선단부를 갖는 용지분리부재와;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 이동시키는 분리부재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슬라이딩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지분리부재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 맞물려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물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이동유닛은,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부는,
    상기 히팅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로부터 배출 이동하는 용지에 접촉하여 회동되며,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돌기부를 가지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부는,
    상기 히팅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회귀시키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는,
    제1돌기부를 가지는 제1아이들롤러와;
    상기 용지분리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돌기부에 대해 편심되게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돌기부를 가지는 제2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정착기.
  7.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형성된 화상을 상기 용지에 정착시키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에서 배출된 상기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90231A 2006-09-18 2006-09-18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20080025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31A KR20080025574A (ko) 2006-09-18 2006-09-18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31A KR20080025574A (ko) 2006-09-18 2006-09-18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574A true KR20080025574A (ko) 2008-03-21

Family

ID=3941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231A KR20080025574A (ko) 2006-09-18 2006-09-18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5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4505A (ja) * 2017-02-03 2018-08-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89874A (ja) * 2017-05-10 2018-1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4505A (ja) * 2017-02-03 2018-08-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89874A (ja) * 2017-05-10 2018-11-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0375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05725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including a retractable pressure belt with deviation control
US20170205743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9093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188520B2 (ja) 像加熱装置
US5835835A (en) Fixing unit having press roller opening/closing mechanisms
JP2005351939A (ja) 画像加熱装置
US9014603B2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82956B2 (ja) 像加熱装置
US20150137443A1 (en) Sheet conveying device
JP2009047913A (ja) 定着装置およびその定着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80025574A (ko) 정착기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914105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21328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632467B2 (en) Fixing device
JP6143900B2 (ja) 像加熱装置
US9790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73312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93373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witching portion
JP4745810B2 (ja)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09240058B (zh) 定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1080242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31948B2 (en) Liquid applying device for fixing belt
US9465334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98149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