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943A -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943A
KR20080023943A KR1020060088112A KR20060088112A KR20080023943A KR 20080023943 A KR20080023943 A KR 20080023943A KR 1020060088112 A KR1020060088112 A KR 1020060088112A KR 20060088112 A KR20060088112 A KR 20060088112A KR 20080023943 A KR20080023943 A KR 2008002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roadcas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877B1 (ko
Inventor
황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된 호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에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연결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연결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현재 방영중인 방송내용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방송시청 중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사실 및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중에 시청하지 못한 방송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NTERWORKING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송수신장치 12 : 근거리통신 제어부
14 : 근거리통신 수신부 16 : 방송화면 표시부
18 : 예약녹화모듈 20 : 메모리
22 : 방송신호 입력부 24 : 방송신호처리부
26 : 비디오디코더 28 : 오디오디코더
30 : 스피커 32 : 착신알림창
50 : 이동통신단말기 52 : 이동통신단말 제어부
54 : RF모듈 56 : 근거리 통신모듈
58 : 음성처리부 60 : LCD
62 : 키패드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시간 및 공간의 제약 없이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업무상으로나 개인적으로 전화통화를 해야할 일이 빈번해 졌다. 전화통화는 기본적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대화를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변이 소란스러울 경우 통화상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사용자들은 전화통화 수행 시 텔레비전 등의 음향기기의 볼륨을 감소시켜야 통화를 원할히 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텔레비전에 이동통신단말의 착신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하여 전화 착신 사실을 감지하고, 전화가 착신되면 방송음향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107141,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12864 등을 통해 제안된바 있다.
그런데,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은 텔레비전에서 단순히 착신신호만을 감지하여 전화수신 여부를 판단함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전화 착신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된 발신자정보 등의 세부 사항은 확인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은 모두 전화 착신신호만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어, 사용자가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화 착신 시에는 사용자가 방송시청을 잠시 중단하고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시청하지 못한 방송화면에 대해서는 다시 확인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방송시청 중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사실과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중에 시청하지 못한 방송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된 호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에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연결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연결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현재 방영중인 방송내용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이름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에 대해 설정된 아바타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호 연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방송음향의 볼륨을 하향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방송내용의 녹화를 중단하고 상기 녹화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방송음향의 볼륨을 원상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한 호 설정을 위한 RF모듈과,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RF모듈을 통해 호가 착신된 경우 상기 착신된 호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송신하고, 상기 착신된 호가 연결된 경우 호 연결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 제어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응되는 근거리통신 수신부 와, 입력된 방송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된 방송영상을 녹화하는 녹화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 연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녹화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녹화하는 근거리 통신제어부를 갖는 방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정보는, 발신자의 이름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에 대해 설정된 아바타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음향을 송출하는 오디오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 연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방송음향의 볼륨을 하향 조정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 제어부는,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는,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방송내용의 녹화가 중단되도록 상기 녹화모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 제어부는,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는,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방송음향의 볼륨이 원상복귀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10)와 이동통신단말기(50) 간 연동시스템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 RFID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에, 이동통신단말기(50)는 호 착신 및 발신 데이터, 호 연결 및 해제 데이터 등의 호 상대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10) 측에 근거리 무선송신함으로써 방송수신장치(10)가 이동통신단말기(50)의 호 처리 상태와 연동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기(50)는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RF모듈(54)과, RF모듈(54)을 통해 송수신 되는 음성데이터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스피커와 통해 출력하는 음성처리부(58)와,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키패드(62)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60)와, 방송수신장치(10)와의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56)과, RF모듈(54) 및 음성처리부(58)를 제어하여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호 처리기능의 수행에 따른 호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 듈(56)을 통해 무선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는 RF모듈(54)을 통해 호 요청신호가 착신되면 벨소리를 송출하거나 진동장치(미도시)를 구동시키는 등의 착신알림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호 요청신호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처리하여 입출력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방송수신장치(10)와의 연동을 위해, 발신자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 측에 송신한다.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는 키패드(62)를 통한 사용자의 전화통화 연결 선택에 따라 상대방 측과 호를 설정하며, 근거리 통신모듈(56)을 제어하여 방송수신장치(10)에 호 연결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는 음성처리부(58)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RF모듈(54)로 발신하고, RF모듈(54)로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처리부(58)를 통해 가청신호로 처리하여 송출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제어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는 상대방과 설정되었던 호를 해제하는 한편,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 측에 송신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62)를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는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호 발신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 측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는 전화통화기능 수행에 따라 변화하는 호 착신 및 발신 상태, 호 연결 및 해제 상태에 따른 호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 측에 송신하여, 방송수신장치(10)가 호 상태 와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 제어부(52)가 전화통화 기능과 겸하여 호 상태 데이터 제공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호 상태 데이터를 제공을 위한 별도의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송수신장치(10)는 방송신호가 입력되는 방송신호 입력부(22)와,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화면 표시부(16)에 방송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30)를 통해 방송음향을 송출하는 방송신호처리부(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신호처리부(24)는 방송영상의 디코딩을 위한 비디오디코더(26)와 방송음향의 디코딩을 위한 오디오디코더(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는 이동통신단말기(50)로부터 호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수신부(14)와, 소정 시간 내의 방송영상 및 음향을 메모리(20)에 저장하는 예약녹화모듈(18)과, 근거리통신 수신부(14)를 통해 수신된 호 상태 데이터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0)의 기능을 제어하는 근거리통신 제어부(12)를 포함한다.
방송수신장치(10)의 근거리통신 수신부(14)는 이동통신단말기(50)의 근거리 통신모듈(56)에 대응되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 RFID 등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이동통신단말기(50)로부터 호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한다.
근거리통신 제어부(12)는 근거리통신 수신부(14)를 통해 호 착신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착신알림 창(32)의 영상을 생성한다. 착신알림창(32)은 방송화면 표시부(16)에 표시된 방송영상의 소정영역에 OSD(On Screen Display)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착신알림창(32)에는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발신자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발신자에게 설정된 아바타, 사진 등을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호 발신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근거리통신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입력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방송화면 표시부(16)에 표시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제어부(12)는, 호 연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예약녹화모듈(18)의 구동을 개시하여 방송내용을 녹화하여 메모리(20)에 저장하며, 이 후, 호 해제 데이터가 수신되면 녹화를 정지한다. 여기서, 근거리통신 제어부(12)는 녹화된 내용이 메모리(20)에 저장되어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방송화면 표시부(16)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통화 중에 시청하지 못한 방송내용을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근거리통신 제어부(12)는, 호 연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방송처리부의 오디오디코더(28)를 제어하여 방송음향의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뮤트(Mute)시키고, 이 후, 호 해제 데이터가 수신되면 방송음향의 볼륨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와 이동통신단말기(50) 간 연동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50)에서 호 착신 및 발신, 호 연결 및 해제 등의 호 상대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10) 측에 근거리 무선송신한다. 이에, 방송수신장치(10)는 호 상대 데이터를 수신하여 방송신호 표시부에 발신자정보를 표 시하고, 호 연결 시 방송음향을 제어하는 한편 통화수행 중에 방영되었던 방송내용을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방송수신장치(10)와 이동통신단말기(50)에는 상호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 기능이 탑재되고, 상호 연동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사용자설정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방송수신장치(10)에는 근거리통신 제어부(12) 및 근거리통신 수신부(14)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스위치, 메뉴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50)에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호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동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메뉴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상호 간에 연동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방송수신장치(10)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방송신호 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 중 영상신호는 방송신호처리부(24)의 비디오디코더(26)를 통해 방송화면 표시부(16)에 방송영상으로 표시되고, 음향신호는 오디오디코더(28)를 통해 스피커(30)로 송출된다(S10).
한편, 이동통신단말기(50)에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S12), 이동통신단말기(50)는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에 호 착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14). 여기서, 호 착신 데이터는 착신된 호의 발신자 전화번호, 이름, 해당 캐릭터나 사진 등의 발신자정보를 포함한다.
방송수신장치(10)는 수신된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방송화면 표시부(16)에 착신알림창(32)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6). 착신알림창(32)에는 발 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등과 함께, 해당 발신자에게 설정된 아바타 내지는 사진 등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단말기(50)의 키패드(62)를 통해 사용자가 통화연결을 선택하면 발신자와 호 연결이 성립되어 전화통화가 시작되며(S18), 이에, 이동통신단말기(50)는 호 연결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10)에 송신한다(S20). 여기서, 호 연결 데이터는 볼륨제어정보, 녹화기능제어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방송수신장치(10)는 호 연결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디코더(28)를 통해 스피커(30)로 송출되는 방송음향의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뮤트(Mute)시키고(S22), 예약녹화모듈(18)의 구동을 개시하여 호 연결 시점부터 방송내용이 녹화되도록 한다(S24).
이동통신단말기(50)에서 통화가 종료되면(S26), 이동통신단말기(50)는 통화종료를 알리는 호 해제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10)에 송신한다(S28).
방송수신장치(10)는 이동통신단말기(50)가 제공한 호 해제 데이터에 따라, 예약녹화모듈(18)의 구동을 정지하여 녹화기능을 종료하고(S30), 방송음향의 볼륨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0)는 방송녹화 내용이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음을 방송화면 표시부(16)에 메시지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호 해제 데이터에 따라, 통화시간을 방송화면 표시부(16)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연동시스템은 방송시청 중에 이동통신단말기(50)에 호가 착신된 경우 방송화면 표시부(16)를 통해 발신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화 통화가 개시되면 방송수신장치(10)의 볼륨이 조절되어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중에 방영된 내용은 자동으로 녹화됨으로 사용자가 전화통화 중에 시청하지 못한 방송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50)의 제어 흐름도로서, 이동통신단말기(50)는 방송수신장치(10)와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연동기능이 활성화된 이동통신단말기(50)가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S50), 소정 상대방으로부터 요청된 호를 착신하거나, 발신한 호를 해당 상대방이 착신하는 경우 호 연결상태로 전환된다.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S54), 이동통신단말기(50)는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에 호 착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56). 여기서, 호 착신 데이터는 착신된 호의 발신자 전화번호, 이름, 해당 캐릭터나 사진 등의 발신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 수신 후, 사용자가 통화연결을 선택할 때까지 이동통신단말기(50)는 통화대기모드 상태에 돌입한다(S58).
그리고, 호를 발신한 경우(S52), 사용자는 이미 이동통신단말기(50)를 조작중인 상태임으로 방송수신장치(10)에 별도의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상대방 측에서 통화연결을 선택할 때까지 이동통신단말기(50)는 통화대기모드 상태에 돌입한다(S58).
이동통신단말기(50)는 상대방 측과의 통화연결이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S60), 양측에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시작되면 이동통신단말기(50)는 근거 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에 호 연결 데이터를 송신한다(S62). 여기서, 호 연결 데이터는 방송내용의 녹화를 요청하는 녹화개시명령이나, 방송음향의 볼륨조절을 요청하는 볼륨조절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이동통신단말기(50)는 상대방 측과의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S64),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통신단말기(50)는 근거리 통신모듈(56)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에 호 해제 데이터를 송신한다(S66). 여기서, 호 해제 데이터는 녹화중지를 요청하는 녹화종료명령이나, 방송음향의 볼륨을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볼륨복귀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50)와 방송수신장치(10)에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탑재하여, 이동통신단말기(50)에서 호 착신 및 발신, 호 연결 및 해제에 따른 호 상태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10)에 제공함으로써, 방송수신장치(10)에 발신자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한편 통화 연결 시 방송음향을 조절하거나 통화중에 방영되었던 방송내용을 자동으로 녹화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 착신 및 발신, 호 연결 및 해제에 따른 호 상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방송수신장치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방송수신장치에서 착신된 호의 발신자정보를 표시하고, 통화 연결 시 방송음향을 조절하며 통화중에 방영되었던 방송내용을 자동으로 녹화하는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송시청 중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사실 및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중에 시청하지 못한 방송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가 착신된 호에 포함된 발신자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에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연결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연결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현재 방영중인 방송내용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이름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에 대해 설정된 아바타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방송음향의 볼륨을 하향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방송내용의 녹화를 중단하고 상기 녹화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방송음향의 볼륨을 원상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방법.
  6. 통신망을 통한 호 설정을 위한 RF모듈과, 근거리 무선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RF모듈을 통해 호가 착신된 경우 상기 착신된 호에 포함된 발신 자정보를 포함하는 호 착신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송신하고, 상기 착신된 호가 연결된 경우 호 연결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는 이동통신단말 제어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응되는 근거리통신 수신부와, 입력된 방송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된 방송영상을 녹화하는 녹화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 착신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발신자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 연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녹화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녹화하는 근거리 통신제어부를 갖는 방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정보는,
    발신자의 이름과,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에 대해 설정된 아바타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음향을 송출하는 오디오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 연 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방송음향의 볼륨을 하향 조정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 제어부는,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는,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방송내용의 녹화가 중단되도록 상기 녹화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 제어부는, 착신된 호가 해제된 경우 호 해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신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는, 상기 호 해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방송음향의 볼륨이 원상복귀되도록 상기 오디오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KR1020060088112A 2006-09-12 2006-09-12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83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12A KR100833877B1 (ko) 2006-09-12 2006-09-12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12A KR100833877B1 (ko) 2006-09-12 2006-09-12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943A true KR20080023943A (ko) 2008-03-17
KR100833877B1 KR100833877B1 (ko) 2008-06-02

Family

ID=3941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112A KR100833877B1 (ko) 2006-09-12 2006-09-12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749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334A (ja) 2000-05-22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信機
JP2004159099A (ja) 2002-11-06 2004-06-03 Rohm Co Ltd 通話装置、着信表示装置及び着信表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749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877B1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5296B1 (en) Receiving and sending method of mobile TV phone and mobile TV phone terminal
KR10130528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EP1773054A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510723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KR20100043777A (ko)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96611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hile the folder typ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the closed state
US200602761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JP3877137B2 (ja) 携帯端末装置の着信通知方法及びその携帯端末装置
JP2004080289A (ja) 通信装置
WO2006115012A1 (ja) 通話機能付情報処理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JP2001309086A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端末装置、回線制御装置、マルチメディア通信方法
KR100833877B1 (ko) 방송수신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 연동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06211435A (ja) 携帯端末
KR2003006067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방법
US20070211139A1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with telephone control functions
JP2002291052A (ja) 携帯電話
CN112039756A (zh) 一种建立实时通信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0790099B1 (ko) 휴대 단말기의 배경음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US8582747B2 (en) Telephone device with mail function, method of initiating mail, and program
CN115701700A (zh) 蓝牙通信方法、蓝牙通信装置及存储介质
KR100828321B1 (ko) 텔레비전을 이용한 화상 전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KR20060065916A (ko) 휴대 단말기의 자동 응답 방법
KR100647215B1 (ko) Pc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52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