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777A -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777A
KR20100043777A KR1020080102960A KR20080102960A KR20100043777A KR 20100043777 A KR20100043777 A KR 20100043777A KR 1020080102960 A KR1020080102960 A KR 1020080102960A KR 20080102960 A KR20080102960 A KR 20080102960A KR 20100043777 A KR20100043777 A KR 2010004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video call
video
call
cal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3777A/ko
Priority to US12/582,920 priority patent/US20100097440A1/en
Publication of KR2010004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18Conference organisation arrangements, e.g. handling schedules, setting up parameters needed by nodes to attend a conference, booking network resources, notifying involved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화 착신 시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화상통화모드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들 간의 화상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이 수신측 이동단말로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요청되는 화상통화가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할 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동단말, 화상통화, 음성통화, 모드전환

Description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MOD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착신 화상통화를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통화 연결을 처리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용자와 상대방 간의 음성통화만이 가능했던 이동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면서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음성, 화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이 개발되고, 본격적인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 단순한 음성만을 이용한 통화가 아닌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하는 화상통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화상통화는 마이크(Microphone) 등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와 함께 카메라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상통 화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영상데이터까지 전송함으로써,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다. 또한 3세대 서비스가 보급됨에 따라 화상통화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상통화의 경우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음성통화가 가능하며, 이때, 상기 음성통화에 따른 음성데이터의 출력은 일반 음성통화 시의 음성데이터 출력 시보다 보다 고출력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화상통화 시 이동단말은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음성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통화 시 상대방의 음성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고출력으로 제공됨에 따라 화상통화가 불편한 장소에서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화상통화 수행 시 스피커폰 모드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는 사용자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전달됨에 따라 통화내용의 비밀이 보장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즉, 화상통화 시 상대방과의 통화내용이 주변에 공개됨에 따라 사생활 보호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동단말을 이용한 통화는, 발신 이동단말로부터 통화연결이 요청되면, 수신 이동단말은 벨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통화연결 요청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이동단말이 통화연결 요청한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통화를 수행하였다. 즉, 발신 이동단말이 화상통화모드를 통해 전화를 걸어오면 수신 이동단말은 화상통화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발신 이동단말이 음성통화모드를 통해 전화를 걸어오면 수신 이동단말은 음성통화에 의한 서비스 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 여부를 수신자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발신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통화모드를 선택하여 통화연결을 요청하면, 수신 이동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통화모드에 응답하여 통화연결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수신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강제적으로 화상통화에 의한 통화연결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즉,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수신 이동단말에서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상기 수신 이동단말 사용자의 영상이 발신 이동단말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수신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착신 화상통화에 의한 통화연결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상통화를 위한 카메라를 가리거나 대체영상을 설정하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의 경우 화상통화모드를 수행할 시 스피커폰 모드가 활성화되어 발신 이동단말 사용자의 음성이 수신 이동단말 사용자의 주변까지 전달되며, 수신 이동단말 사용자의 주변 음성 역시도 발신 이동단말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신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화상통화 대신 음성통화만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사용자의 영상을 공개하고 싶지 않은 상황, 사용자의 영상이 촬영되어 전송되는 것이 곤란한 상황 등)이나, 또는 사용자가 음성통화만을 희망하는 경우에도, 화상통화를 수신할 때마다 카메라를 가리거나 대체영상을 일일이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화상통화 시 기본으로 활성화되는 스피커폰 모드 역시도 특정 키 조작 등을 통해 수화기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는 상황에서의 화상통화는 사용자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화상통화 착신 시 이를 거부하는 일차적인 방법으로, 상기 화상통화 신호에 응답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발신 이동단말의 사용자는 그 연유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화상통화 시도를 몇 번 되풀이 할 수 있으며, 이는 발신 이동단말 사용자와 수신 이동단말 사용자 양측에 모두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수신 이동단말의 사용자는 상대와의 통화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화상통화를 거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단말에서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 화상통화는 음성통화와는 달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많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에 대해 착신 거부를 하는 것 이외에는 화상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화상통화를 거부함과 동시에 음성통화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 간의 전환을 처리할 수 있는 착신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이동단말에서 착신된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통화가 착신될 시,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착신되는 화상통화모드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통화의 착신 가능 여부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이동단말 또는 서버에 미리 설정함으로써, 화상통화 착신 시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상통화 및 음성통화 간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단말들 간의 화상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이 수신측 이동단말로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요청되는 화상통화가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 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할 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측 이동단말로의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의 수신거부 정보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요청되는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 및 수신측 이동단말로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임을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통화를 수신하는 시점이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대응하면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응답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1연결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응답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화상통화모드에 관계없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 화를 연결하는 제2연결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 이동단말로 화상통화를 요청하고, 상기 화상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이 상기 화상통화 연결을 거부하는 응답이면 설정된 방식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방식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과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방식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화상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과, 화상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영상 및 상대 이동단말 사용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하는 수신거부 조건과 관련한 수신거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착신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수신된 화상통화를 간편하게 음성 통화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화상통화를 확인하여 필요시마다 음성통화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원치 않을 경우 해당 시점을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화상통화가 착신될 시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통화를 수신할 시 수신한 화상통화를 사용자 설정 조건에 따라 음성통화로 전환하고, 그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화상통화 발신 이동단말과 음성통화에 의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희망하는 않은 시점에서 화상통화가 요청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요청되는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화상통화의 착신으로 인해 사용자가 겪게 되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에서 일반적인 화상통화 방식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화상통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화상통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화상통화 및 음성통화 간 통화 방식 을 사용자 설정 조건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이동단말 또는 네트워크에서 착신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 및 그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신 이동단말의 화상통화 요청 시, 이동단말 또는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설정 조건에 대응하여, 요청되는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에 따른 안내정보를 발신 이동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화상통화의 발신 이동단말과 음성통화에 의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르면, 발신 이동단말이 요청하는 화상통화모드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원하는 않는 설정 조건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이동단말에 수신거부 조건을 미리 설정하여 해당 조건에 대응하는 착신 화상통화를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거부 조건을 미리 설정하여 해당 조건에 대응하는 착신 화상통화를 네트워크에서 음성통화로 전환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들 간에 화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망(300)과 다수의 이동단말들(200, 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다수의 이동단말들(200, 400)에 무선으로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 각종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이동단말들(200, 400), 즉 제1 이동단말(200)과 제2 이동단말(400)은 무선으로 상기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하며,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부터 각종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다수의 이동단말들(200, 400)은 화상통화 착신 시 착신된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로 전환하고, 화상통화 발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이동단말은 화상통화호가 착신되면 사용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통화연결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화상통화 발신측 이동단말로 음성통화 전환 요구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통화 전환 요구를 수신한 화상통화 발신측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이를 허가하면 화상통화 발신측 이동단말과 상기 임의의 이동단말 간에 음성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고,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임의의 이동단말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화상통화에 요청에 의하여 연결되면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통화모드에서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 모드전환에 대한 안내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화상통화 발신측 이동단말과 화상통화에 의한 통화 수행 시,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영상패킷은 백그라운드로 처리하고, 음성패킷만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임의의 이동단말들(200, 400)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세 동작 과정을 하기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특히,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사용자의 화상통화 수신거부에 따른 음성통화 전환을 처리하는 전체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사용자의 화상통화 수신거부에 따른 음성통화 전환을 처리하는 전체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 설정된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따른 음성통화 전환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측 이동단말이고,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상기 화상통화에 대응하는 수신측 이동단말이며, 음성통화 전환 요구를 발생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이동단말(200)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화상통화 수신거부 정보(이하, "수신거부 정보"라 칭함)를 설정하고, 그의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201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거부 정보는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할 시점을 설정하는 정보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와, 거부기간(날짜/시간/구간)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신거부 정보 설정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 스(UI, User Interface)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거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신거부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거부기간 중 상기 날짜 항목에서 직접설정/한번/매일/월~금/특정요일 중 어느 하나로 세부 설정하고, 상기 거부기간 중 시간 항목에서 수신거부를 시작하는 시각과 종료하는 시각을 설정하고, 상기 거부기간 중 구간 항목에서 상기의 설정을 유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를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72922116-PAT00001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수신거부 기능을 활성화 설정하고, 수신거부 기능이 활성화되는 날짜가 월요일에서 금요일이고, 월요일에서 금요일 중 수신거부 기능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활성화하고, 상기와 같은 설정정보에 의한 수신거부 기능을 2008년 10월 01일까지 유지하는 수신거부 설정정보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의 예시에 근거하면, 토요일 및 일요일에서는 수신거부 기능이 일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며, 월요일 오전 9시부터 다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월요일에서 금요일 기간 중에도 오후 6시 이후부터 다음 날 오전 9시 이전가지 수신거부 기능이 일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오전 9시 이후부터 다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2008년 10월 01일이 지난 시점인 2008년 10월 02일부터 상기 수신거부 기능이 완전 비활성화 상태로 자동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201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수신거부 정보가 제1 이동단말(200)에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의 화상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203단계). 즉,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화상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 상기 화상통화 요청을 전달한다(205단계). 즉,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화상통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 상기 화상통화를 착신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화상통화가 착신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화상통화가 착신되는 현재 시점이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207단계). 이때,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화상통화를 착신할 시, 사용자에게 화상통화가 착신됨을 설정된 피드백정보로 알릴 수 있다.
상기 피드백정보는 설정방식에 따라 일시적인 진동을 발생함과 아울러, 표시부를 이용하여 팝업을 통해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정보는 상기 화상통화 착신에 따른 실제 수신알림 이벤트가 아니며, 단지 화상통화가 제2 이동단말(400)로부터 착신되었음을 일시적으로 알리는 이벤트일 수 있다. 따라서 화상통화 착신에 따른 화상통화모드에 대응하는 벨소리 출력, 카메라 구동, 표시부 구동, 진동 출력 등의 이벤트는 발생하지 않고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피드백정보는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화상통화 착신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209단계).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통화모드에 대응하는 벨소리, 카메라 구동, 표시부 구동 등의 실제 화상통화 착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해당 기능 수행은 통상적인 화상통화 시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한다(211단계).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상기 음성통화모드는 화상통화 착신이 있더라도, 스피커의 스피커폰 모드에 의한 고출력의 음성신호 출력, 수신 영상패킷에 따른 영상신호 표시, 카메라 구동에 의한 사용자의 영상신호 전송 등과 같은 화상통화모드에 따른 동작을 생략하고, 일반적인 음성통화에서와 같이 스피커의 수화기 모드에 의한 음성신호 출력, 표시부 오프 등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요청되는 화상통화가 음성통화모드로 진행됨을 알리는 전환안내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전송한다(213단계). 즉,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는 화상통화가 음성통화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즉,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상기 제2 이동단말(400)에게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 대신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 수행됨을 알리는 전환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응용 실시 예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 전송 후 상기 착신하는 화상통화를 종료하고,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발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의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전달한다(215단계).
다음으로,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217단계),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환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전송한다(219단계). 그러면, 상기 전환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 상기 전환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221단계).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화상통화가 아닌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통화 연결을 진행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은 전술한 제1 이동단말(200)의 동작과 같이, 화상통화 수행을 위한 화상통화 모드를 오프, 즉 설정된 카메라 기능, 표시부, 스피커폰 모드 등을 오프하고, 음성통화 수행을 위한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응용 실시 예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안내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발신하는 화상통화를 종료하고,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발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상기 전환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동단말(200)과 상기 제2 이동단말(400) 간에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223단계). 여기서, 상기 통화 연결은 화상통화를 위한 화상통화 채널(3G 네트워크)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음성패킷만이 송수신되는 연결을 나타낸다. 즉, 상기 제1 이동단말(200)과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이동단말(200) 사용자와 상기 제2 이동단말(400) 사용자 간에 합의에 따라, 통화 중에도 언제든지 일반적인 화상통화모드로 바로 전환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 2와 같은 절차에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213단계),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안내 메시지 전송 후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바로 연결할 수도 있다(231단계). 즉,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제2 이동단말(400)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화상통화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고, 수신하는 음성패킷을 수화기모드에 의해 출력함으로써, 일반적인 음성통화와 같은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233단계).
여기서, 상기 영상패킷의 백그라운드 처리는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오프된 표시부를 통해 출력은 하지만, 실제 표시부를 통해 표시는 하지 않는 처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패킷의 백그라운드 처리는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오프된 표시부로 출력하지 않고 상기 영상패킷 자체를 무시하는 처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단말(400)에서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 수신에 따른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상기 제1 이동단말(200)과 통화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화상통화모드에서 상기 통화를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진행 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표시부에는 상기 제1 이동단말(200)에서 전송된 전환안내 메시지의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설정된 대체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진행 시, 일반적인 화상통화 방식에 대응하여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 설정된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따른 음성통화 전환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3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측 이동단말이고,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상기 화상통화에 대응하는 수신측 이동단말이며, 음성통화 전환 요구를 발생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이동단말(200)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수신거부 등록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전송한다(301단계).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수신거부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거부 등록 메시지에 설정되는 수신거부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의 수신거부 정보를 등록한다(303단계).
상기 수신거부 등록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술한 <표 1>과 같은 수신거부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수신거부 정보를 상기 수신거부 등록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거부 등록 메시지는 상기 수신거부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이동단말(200)에 대한 기본정보(제1 이동단말(200)의 식별을 위한 식별자, 전화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용으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의 화상통화 수신거부 등록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해, 수신거부 등록을 위한 사이트에 접속하고, 상기 사이트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수신거부 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설정하는 수신거부 정보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의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거부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301단계 및 상기 303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수신거부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망(300)에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의 화상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305단계). 즉,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화상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화상통화 요청되는 대상인 상기 제1 이동단말(200)에 대한 수신거부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수신거부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시 상기 수신거부 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화상통화가 착신되는 현재 시점이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307단계).
다음으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화상통화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309단계). 상기 해당 기능 수행은 통상적인 화상통화 시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망(300)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요청하는 화상통화의 대상인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를 희망함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전송한다(311단계).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부터 화상통화가 요청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 전송한다(313단계). 여기서,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 전송되는 상기 안내 메시지는 등록된 수신거부 정보에 의하여 음성통화모드로 전환을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요청함을 알리는 안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315단계), 상기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환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300)으로 전송한다(317단계). 그러면, 상기 전환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망(300)은 상기 제1 이동단말(200)로 상기 전환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319단계).
상기 315단계에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화상통화가 아닌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통화 연결을 진행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통화 수행을 위한 화상통화 모드를 오프, 즉 설정된 카메라 기능, 표시부, 스피커폰 모드 등을 오프하고, 음성통화 수행을 위한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응용 실시 예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안내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발신하는 화상통화를 종료하고,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발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안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환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화 모드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한다(321단계).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상기 음성통화모드는 화상통화 착신이 있더라도, 스피커의 스피커폰 모드에 의한 고출력의 음성신호 출력, 수신 영상패킷에 따른 영상신호 표시, 카메라 구동에 의한 사용자의 영상신호 전송 등과 같은 화상통화모드에 따른 동작을 생략하고, 일반적인 음성통화에서와 같이 스피커의 수화기 모드에 의한 음성신호 출력, 표시부 오프 등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이 상기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제1 이동단말(200)과 상기 제2 이동단말(400) 간에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323단계). 여기서, 상기 통화 연결은 화상통화를 위한 화상통화 채널(3G 네트워크)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음성패킷만이 송수신되는 연결을 나타낸다.
즉, 상기 제1 이동단말(200)과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화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이동단말(200) 사용자와 상기 제2 이동단말(400) 사용자 간에 합의에 따라, 통화 중에도 언제든지 일반적인 화상통화모드로 바로 전환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 3과 같은 절차에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313단계)하는 시점에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331단계). 이어서,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화상통화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바로 연결할 수 있다(333단계).
즉,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상기 제2 이동단말(400)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200)은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화상통화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고, 수신하는 음성패킷을 수화기모드에 의해 출력함으로써, 일반적인 음성통화와 같은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패킷의 백그라운드 처리는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오프된 표시부를 통해 출력은 하지만, 실제 표시부를 통해 표시는 하지 않는 처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패킷의 백그라운드 처리는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오프된 표시부로 출력하지 않고 상기 영상패킷 자체를 무시하는 처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단말(400)에서는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400)의 안내 메시지 수신에 따른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상기 제1 이동단말(200)과 통화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화상통화모드에서 상기 통화를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진행 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의 표시부에는 상기 이동통신망(300)에서 전송된 안내 메시지의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설정된 대체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진행 시, 일반적인 화상통화 방식에 대응하여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착신 화상통화를 음성통화 전환하는 방법과, 이동단말에서 화상통화의 수신거부에 따른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수신거부 조건에 따라 통화모드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이동단말에 수신거부 정보가 설정되고, 이후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의 수신측 이동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은 화상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401단계),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를 판단한다(403단계). 이때,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수신거부 정보 판단에 의하여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따른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는지 확인한다(405단계).
다음으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407단계). 상기 해당 기능 수행은 통상적인 화상통화 시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한다(409단계). 상기 음성통화모드는 화상통화 착신이 있더라도 화상통화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음성통화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상기 음선통화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화상통화가 음성통화모드로 진행됨을 알리는 전환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해당 발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한다(411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 전송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의 상기 응답을 체크한다(413단계).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 체크에 의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응답이 음성통화모드 진행 요청에 대응하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 응답인지, 또는 이전에 요청된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 응답인지를 판단한다(415단계).
다음으로, 상기 응답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발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통화가 연결될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423단계),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한다(425단계). 상기 425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에서도 상기 이동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 경우의 통화 연결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는 음성패킷만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신측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영상패킷의 영상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만을 화상통화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이다. 상기 423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하는 응답에 대응하여 바로 해당 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응답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발신측 이동단말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해 통화가 연결될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417단계),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화상통화모드에 관계없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한다(419단계). 이때,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한다(421단계).
즉, 표시부를 통한 영상패킷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419단계는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이 처음 발신한 화상통화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 경우의 통화 연결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는 영상패킷과 음성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신측 이동단말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신호와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화상통화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영상패킷은 백그라운드 처리하고, 수신하는 음성패킷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417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하는 응답에 대응하여 바로 해당 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수신거부 조건에 따라 통화모드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화상통화의 수신거부에 따른 발신측 이동단말의 통화 연결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측 이동단말로 화상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501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응답을 체크한다(503단계).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응답 체크에 의하여 상기 응답이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 응답인지, 또는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을 거부하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 응답인지를 판단한다(505단계).
다음으로, 상기 응답이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507단계). 상기 해당 기능 수행은 통상적인 화상통화 시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은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응답이 상기 화상통화 연결을 거부하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응답이면, 상기 이동단말은 그에 따른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509단계). 상기 안내 정보는 수신측 이동단말이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상기 이동단말에게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 대신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 수행됨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 수신거부를 수신할 시 상기 화상통화 수신거부에 따라 화상통화모드에 의해 통화 연결을 계속하여 진행할 것인지, 또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통화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팝업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안내 정보 제공 후 설정된 통화모드 방식을 체크하거나, 또는 상기 팝업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511단계).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팝업 또는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연결을 계속하여 진행함을 인지하면, 화상통화모드에 의해 통화가 연결될 것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513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과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한다(515단계). 이때, 상기 이동단말은 표시부를 통해 화상통화모드에 따른 수신측 이동단말의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을 상기 안내 정보로 제공하거나, 또는 설정된 대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팝업 또는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연결을 인지하면, 상기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517단계), 수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통화가 연결될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519단계). 이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한다(521단계).
상기 521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 수신거부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따라 화상통화에 따른 영상패킷의 영상신호는 생성하지 않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만을 화상통화용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519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에 대응하여 바로 해당 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측 이동단말, 이동통신망 및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이루어지는 통화모드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6에 나타낸 이동단말의 구성은 전술한 발신측 이동단말과 수신측 이동단말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은 제1 무선통신부(610)와, 제2 무선통신부(620)와, 입력부(630)와, 오디오처리부(640)와, 카메라모듈(650)과, 표시부(660)와, 저장부(670) 및 제어부(68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670)는 설정정보 저장영역(675)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80)는 수신거부 설정부(681), 조건 판단부(683) 및 통신 처리부(68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610, 620)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610, 620)는 이동통신망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610, 6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부(610, 620)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부는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과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처리하고, 다른 하나의 무선통신부는 2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과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3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이동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68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630)는 사용자의 화상통화 수신거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신호 등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68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64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68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38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64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68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모듈(650)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광)을 센서(Sensor)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카메라모듈(650)은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모듈(650)은 화상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660) 및 상기 제어부(680)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모듈(650)은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수행 시 상기 제어부(680)의 제어에 따라 온될 수 있으며, 화상통화모드에서 음성통화모드 전환 시 상기 제어부(680)의 제어에 따라 오프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모듈(650)은 화상통화모드와 음성통화모드 간 전환에 대응하여 온/오프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60)는 상기 이동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이동단말의 수신거부 정보 설정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이동통신망의 수신거부 등록과 관련된 화면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660)는 상기 카메라모듈(65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며, 화상통화에 따른 상대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60)는 상기 제어부(68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6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660)는 화상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영상 및 상대 이동단말 사용자의 영상을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수행 시 상기 제어부(680)의 제어에 따라 온될 수 있으며, 화상통화모드에서 음성통화모드 전환 시 상기 제어부(680)의 제어에 따라 오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650)는 화상통화모드와 음성통화모드 간 전환에 대응하여 온/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7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70)는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송수신하는 메시지와, 상기 이동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동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670)는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하는 조건과 관련한 수신거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거부 정보는 전술한 <표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며, 상기 수신거부 정보는 설정정보 저장영역(67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70)는 상기 이동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수신거부 조건에 따른 통화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부(67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7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70)는 상기 이동단말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동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610)와, 상기 제2 무선통신부(620)와, 상기 입력부(63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640)와, 상기 카메라모듈(650)과, 상기 표시부(660) 및 상기 저장부(67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이동단말이 수신측 이동단말로 수행되는 동작과, 발신측 이동단말로 수행되는 동작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음성통화모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수신측 이동단말로 동작할 시, 상기 제어부(68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670)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80)는 화상통화 착신이 발생할 시,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따라 착신하는 화상통화에 대한 통화모드(화상통화모드, 음성통화모드)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80)는 화상통화가 착신되는 시점이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모드에 의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화상통화가 착신되는 시점이 수신거부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통화를 화상통화모드에 의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제어 시,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오디오처리부(640), 상기 카메라모듈(650) 및 상기 표시부(660) 등을 일반적인 음성통화에서와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수행 시, 상대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고, 상기 표시부(660)에 의한 출력은 생략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발신측 이동단말로 동작할 시, 상기 제어부(68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화상통화 발신 동작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80)는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진행을 위해 상기 오디오처리부(640), 상기 카메라모듈(650) 및 상기 표시부(660) 등을 일반적인 화상통화에서와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화상통화 발신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거부를 수신함을 감지하면, 설정 방식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통화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화상통화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거나,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화상통화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따른 화상통화 제어 시, 상기 오디오처리부(640), 상기 카메라모듈(650) 및 상기 표시부(660) 등을 일반적인 음성통화에서와 같이 동작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부(680)는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측 동작 및 발신측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68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8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통신모듈 및 카메라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 설정된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따른 음성통화 전환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 설정된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따른 음성통화 전환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수신거부 조건에 따라 통화모드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수신거부 조건에 따라 통화모드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31)

  1. 이동단말들 간의 화상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이 수신측 이동단말로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요청되는 화상통화가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할 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할 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 처리하고, 음성패킷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할 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에 대응하여 전환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에 대응하는 전환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전환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시,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 요청을 유지하거나,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수신거부 정보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거부 정보는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할 시점을 설정하는 정보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정보, 거부기간(날짜/시간/구간)의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7.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측 이동단말로의 화상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의 수신거부 정보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은 상기 요청되는 화상통화가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 및 수신측 이동단말로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임을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 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연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망의 통지에 대응하여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하여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 처리하고, 음성패킷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연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음성통화모드 전환에 따른 전환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시,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연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망의 통지를 수신할 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통화모드 전환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수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수신하는 응답메시지에 대응하여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간에 상기 각각 전환하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하여 상기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연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망의 통지를 수신할 시,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 요청을 유지하거나, 음성통화모드 전환 후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이 상기 수신거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미리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거부 정보는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할 시점을 설정하는 정보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정보, 거부기간(날짜/시간/구간)의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들 간 화상통화 제어 방법.
  14.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수신거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통화를 수신하는 시점이 화상통화 수신거부 조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거부 조건에 대응하면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응답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1연결 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응답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화상통화모드에 관계없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2연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모드는 화상통화 착신이 있더라도 화상통화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음성통화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 전송 후, 상기 안내 메시지 전송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하는 응답이 음성통화모드 진행 요청에 대응하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인지, 이전에 요청된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과정 이후,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발신측 이동단말의 수신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 과정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19.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 이동단말로 화상통화를 요청하고, 상기 화상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이 상기 화상통화 연결을 거부하는 응답이면 설정된 방식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방식이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과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방식이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이면, 상기 화상통화를 음성통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 후,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 또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하는 응답이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인지, 상기 화상통화 연결 요청을 거부하는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연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연결을 거부하는 응답을 수신할 시, 설정된 통화모드 방식을 체크하거나, 설정된 팝업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에 따른 통화모드가 결정될 시, 해당 통화모드에 의해 화상통화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 시, 화상통화에 따른 영상패킷의 영상신호는 생성하지 않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만을 화상통화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25. 이동단말에 있어서,
    화상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하는 영상에 대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과,
    화상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영상 및 상대 이동단말 사용자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하는 수신거부 조건과 관련한 수신거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성통화를 위한 2G 네트워크로의 전환 없이 화상통화를 위한 3G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과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제1 무선통신부와,
    2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과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제2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수행 시 상기 카메라모듈 및 표시부를 온하고,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수행 시 상기 카메라모듈 및 표시부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이 수신측 이동단말로 동작할 시, 화상통화가 착신되면 상기 수신거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통화가 착신되는 시점이 수신거부 조건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대응 여부에 따라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제어 시, 발신측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패킷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이 발신측 이동단말로 동작할 시, 화상통화 발신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거부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통화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화상통화 연결을 제어하거나, 음성통화모드에 의한 화상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거부 정보는,
    수신측 이동단말 또는 이동통신망에 화상통화 수신을 거부할 시점을 설정하는 정보로,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정보, 거부기간(날짜/시간/구간)의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KR1020080102960A 2008-10-21 2008-10-21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43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960A KR20100043777A (ko) 2008-10-21 2008-10-21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582,920 US20100097440A1 (en) 2008-10-21 2009-10-21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960A KR20100043777A (ko) 2008-10-21 2008-10-21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777A true KR20100043777A (ko) 2010-04-29

Family

ID=4210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960A KR20100043777A (ko) 2008-10-21 2008-10-21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97440A1 (ko)
KR (1) KR201000437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4766A (zh) * 2009-12-18 2011-06-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视频通话中的隐私保护系统及方法
US8290525B2 (en) 2010-01-15 2012-10-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ext alternative to established voice call session
KR20110101587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통화 방법 및 장치
WO2012131932A1 (ja) * 2011-03-30 2012-10-0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送信制御機能を含む情報処理装置
US20130147719A1 (en) * 2011-12-08 2013-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temporarily limiting operability of user-interface portion of communication device
CN103907334A (zh) * 2012-02-21 2014-07-02 斯塔斯克莱伯公司 用于提供高效的电信服务的方法和系统
CN102984374A (zh) * 2012-11-22 2013-03-20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通信终端及其通话方式的切换方法
FR3000329B1 (fr) * 2012-12-20 2016-11-25 Thales Sa Procede de communication, terminal de communication, terminal superviseur et programmes d'ordinateur associes
CN104427287B (zh) * 2013-08-20 2018-01-02 联想(北京)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设备
US9571623B2 (en) * 2014-02-20 2017-02-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viding a customized visual interface based on a dialed number
CN105100368B (zh) * 2014-04-21 2018-11-09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313395B1 (ko) * 2015-09-18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계정에 기반한 통신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104710B1 (en) 2017-06-19 2018-10-16 Global Tel*Link Corporation Dual mode transmission in a controlled environment
US10333870B2 (en) 2017-07-06 2019-06-25 Global Tel*Link Corporation Presence-based communication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8885B2 (en) * 2003-05-09 2007-07-24 Lucent Technologies Inc. Automatic/timed silencing of mobile phone from a network
KR20060111036A (ko) * 2005-04-21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약전계 상황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US20070195158A1 (en) * 2006-02-23 2007-08-23 Kies Jonathan K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calls on a wirel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7440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3777A (ko) 이동단말의 통화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EP2432203B1 (en) Receiving and sending method of mobile TV phone and mobile TV phone terminal
CN107846730B (zh) 呼叫转移方法及装置
KR100678166B1 (ko) 어쿠스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4328181A (ja) 電話機及び電話網システム
KR10057592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수신알림 제어 방법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6067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방법
KR10081024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1151607B1 (ko)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N112039756A (zh) 一种建立实时通信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36562B1 (ko)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KR100576004B1 (ko)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101315875B1 (ko) 링신호 울림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CN116016750A (zh) 通话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与芯片
JP2003298680A (ja)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装置
KR20020021474A (ko) 회의 모드시 휴대폰과 이동교환국의 착신 호 처리방법
KR20060037916A (ko) 카메라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촬영 기능과 통화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94938A (ko) 자동응답모드를 이용한 원격지 감시방법
KR20040037677A (ko) 피씨를 이용한 휴대폰의 호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