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147A -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147A
KR20080023147A KR1020070089925A KR20070089925A KR20080023147A KR 20080023147 A KR20080023147 A KR 20080023147A KR 1020070089925 A KR1020070089925 A KR 1020070089925A KR 20070089925 A KR20070089925 A KR 20070089925A KR 20080023147 A KR20080023147 A KR 20080023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ime
program
sec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를, 콘텐츠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녹화가 실시된 프로그램의 재생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는 것에 따라서, 전체의 길이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길이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가 프로그램의 영상에 겹쳐서 표시된다. 프로그레스 바의 좌단 위와 우단 위에는, 각각,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10:00」와 방송 종료시각을 나타내는 「11:00」가 표시된다. 프로그레스 바 전체 가운데, 녹화가 실시된 구간인 10시 15분부터 10시 45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구간은,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인, 10시부터 10시 15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구간, 10시 45분부터 11시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구간과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은, 콘텐츠의 기록, 재생을 실시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를, 콘텐츠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녹화 기능을 가지는 기기 중에는, 녹화가 끝난 콘텐츠의 재생 시에, 사용자가 현재의 재생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서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프로그레스 바는, 녹화가 끝난 콘텐츠의 시청 중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등 표시를 온으로 하는 것을 사용자가 지시했을 때, 콘텐츠의 영상에 겹쳐서, 화면의 귀퉁이 등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레스 바는 소정의 길이의 띠 모양의 표시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전체에 의하여, 녹화가 실시된 프로그램의 구간 전체가 나타난다. 도 1의 예에 있어서는, 녹화의 개시시각은 10시 15분이며, 녹화의 종료시각은 10시 45분으로 되어 있다. 프로그레스 바의 좌단 위와 우단 위에는, 각각, 그 시각을 나타내는 「10:15」, 「10:45」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10시부터 11시까지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시청 중, 사용자가 10시 15분의 타이밍에 녹화를 개시하게 하고, 10시 45분의 타이밍에 녹화를 종료하게 하는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재생시에, 이러한 프로그레스 바가 표시된다.
또, 현재의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프로그레스 바의 위치에는 포인터(P)가 표시되며,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어느 프로그램의 녹화가 끝난 구간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의 재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의 포인터(P)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10시 15분부터 10시 45분까지의 녹화가 끝난 구간 전체 가운데, 그 한가운데의 시각보다 전인 10시 20분 무렵에 방송되고 있던 위치가 재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표시 중의 영상의 녹화가 실시된 시각을,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평10-304313호 공보(US 6204886 B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에 의해서는, 프로그레스 바 전체에 의하여 녹화가 끝난 구간이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그램 전체 가운데, 어느 부근 시간대의 부분이 녹화되고 있는지를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면 10시부터 11시까지의 시간대에 방송되고 있던 것을 기억하고 있으면, 프로그램의 한가운데 부근을 녹화한 것을 도 1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에서도 사용자는 파악할 수 있는 것, 방송 시간대를 기억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러한, 프로그램의 한가운데 부근을 녹화한 것이라고 한 것을, 도 1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에서는 파악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를, 콘텐츠 전체를 기준으로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기록 재생장치는,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하여 취득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게 한다.
상기 취득부에는, 콘텐츠의 방송 개시시각부터 방송 종료시각까지의 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콘텐츠 전체를 재생했을 때에 걸리는 시간으로서 EPG에서 취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의 길이가 고정 길이이며,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바 위의 현재의 재생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표시 제어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한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게 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는,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이 취득되며, 취득된 시간을 나타내는 바가 표시됨과 동시에, 표시된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이,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는,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를, 콘텐츠 전체를 기준으로서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의 실시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의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 안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다고 해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실시의 형태가 발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기록 재생장치(예를 들면, 도 2의 기록 재생장치(1))는,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는 취득부(예를 들면, 도 5의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와, 상기 취득부에 의하여 취득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르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예를 들면, 도 5의 표시 제어 부(32))를 갖추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색으로 표시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표시 제어방법 또는 프로그램은,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한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게 하는 스텝(예를 들면, 도 6의 스텝(S4))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기록 재생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록 재생장치(1)는, BS(Broadcasting Satellite)/CS(Communications Satellite)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또는 인터넷을 통한 방송에 의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수신한 프로그램의 영상이나 음성을 TV(텔레비전 수상기)(2)에서 출력하게 한다. 즉, 기록 재생장치(1)에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서의 신호 등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기록 재생장치(1)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가 내장되어 있고, 거기에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기록(녹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방송 중의 프로그램을 사용자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녹화하는 기능 외에, 방송 중의 프로그램의 녹화를 실시하면서, 녹화가 끝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에 의하여, 방송되고 있는 위치에서 늦어진 프로그램의 위치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추적 재생 기능 등도 기록 재생장치(1)에는 탑재되어 있다. 추적 재생 등의 사용자에 의한 각종의 조작은,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녹화가 실시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그 프로그램의 길이를 100%의 길이로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게 함으로써, 프로그램 전체를 기준으로서,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그 표시를 온으로 하는 것을 지시했을 때, 프로그램의 영상에 겹치고,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TV(2)의 화면의 좌우 등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된다.
도 3은, TV(2)에 표시되는 프로그레스 바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10시에 방송이 개시되며, 11시에 방송이 종료되는 1시간 프로그램 가운데, 10시 15분부터 10시 45분의 시간대만 녹화가 실시된 경우,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프로그레스 바가 표시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길이의 띠 모양의 표시가 프로그레스 바로서 표시되며, 그 전체의 길이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길이인 1시간이 나타나고 있다. 프로그레스 바의 좌단 위와 우단 위에는, 각각,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10:00」와, 방송 종료시각을 나타내는 「11:00」가 표시되어 있다. 이 방송 개시시각과 방송 종료시각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녹화시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취득된 것이다. EPG에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채널, 프로그램의 개요 등의 정보 외에,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또,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레스 바 전체 가운데, 녹화가 실시된 구간인 10시 15분부터 10시 45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구간은,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인, 10시부터 10시 15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구간, 10시 45분부터 11시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구간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무지와 사선은, 예를 들면 백색과 회색 같이, 각각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시각(t1)은, 녹화가 개시된 시각인 10시 15분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시각(t2)은, 녹화가 종료된 시각인 10시 45분에 대응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시각(t1,t2)의 표시, 구간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은 프로그레스 바의 주위에 실제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상 첨부하고 있는 것이다.
도 3의 프로그레스 바 상에 표시되어 있는 포인터(P)는, 재생 중의 프로그램의 위치를 나타낸다. 프로그램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는 우측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이러한 프로그레스 바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10시부터 11시까지의 사이에 방송된 프로그램 전체를 기준으로서,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에서, 방송의 한가운데 부근의 구간을, 전체의 방송 시간 가운데 절반 정도의 시간만 녹화한 것을 사 용자는 확인할 수 있다.
또, 포인터(P)의 표시에서,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시청중, 프로그램 전체를 기준으로 한 현재의 재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에 의하여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가 나타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그레스 바에 의해서는, 프로그램 전체의 가운데 어느 부근이 재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에 의하면,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한가운데에서 약간 이전의 위치가 재생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게 하는 기록 재생장치(1)의 처리에 대해서는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기록 재생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는, 플래쉬 메모리(1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하드 디스크(14)에서 RAM(Random Access Memory)(12)으로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버스(15)를 통하여 접속되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RAM(12)은, CPU(1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일시적인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플래쉬 메모리(13)는, 예를 들면 NOR형의 플래쉬 메모리이며, RAM(12)에 로드되지 않고 CPU(11)에 의하여 직접 읽어내지며,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녹화 예약의 내용을 나타내는 파일을 기억한다.
하드 디스크(14)는, TS디코더(18)에서 버스(15)를 통하여 공급된, 녹화의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나 EPG를 기록한다. 프로그램의 데이터 는, 그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채널,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 등의 EPG에 포함되는 정보나, 녹화 개시시각, 녹화 종료시각 등의 정보가 대응 지어지며 기록된다.
튜너(tuner)(16)는, CPU(1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안테나에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기(複調器)(17)에 출력한다.
복조기(17)는, 튜너(16)에서 공급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소정의 채널에서 방송되는 트랜스폴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TS디코더(18)에 출력한다.
TS디코더(18)는, CPU1(1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복조기(17)에서 공급된 트랜스폴트 스트림에서 소정의 스트림을 추출하고, 추출한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packets)을 버스(15) 상에, 또는, AV(Audio Visual) 디코더(19)에 출력한다. 버스(15) 상에 출력된 패킷(프로그램의 데이터)은 하드 디스크(14)에 공급되며, 기록된다. TS디코더(18)에 의하여 얻어진 EPG도, 적당히, 하드 디스크(14)에 공급되며, 기록된다.
AV디코더(19)는, TS디코더(18)에서 공급된 비디오 패킷과 오디오 패킷을 디코드하고, 디코드하여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MUX(multiplexer)(20)에, 비디오 데이터를 MUX(21)에 각각 출력한다. 또, AV디코더(19)는,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14)에서 읽어내지며, 공급되었을 때, 그것을 디코드하고, 디코드하여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MUX(20)에, 비디오 데이터를 MUX(21)에 각각 출력한다. 재생의 대상으로 하는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선택은, 예를 들면, TV(2)에 표시되는,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MUX(20)는, AV디코더(19)에서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와 CPU(11)에서 공급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음성을 TV(2)의 스피커에서 출력하게 한다.
MUX(21)는, AV디코더(19)에서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와 표시 컨트롤러(22)에서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의 영상 등을 TV(2)에 표시하게 한다. 표시 컨트롤러(22)에서는, 예를 들면,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에 이용되는 데이터나,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리스트의 표시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공급된다.
표시 컨트롤러(22)는, CPU(1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TV(2)에 표시하게 하는 프로그레스 바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MUX(21)에 출력한다. 또, 표시 컨트롤러(22)는,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리스트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MUX(21)에 출력한다.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리스트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대응 짓고 하드 디스크(14)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도 5는, 기록 재생장치(1)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기능부 가운데 적어도 일부는, 도 4의 CPU(11)에 의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록 재생장치(1)에 있어서는,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와 표시 제어부(32)가 실현된다.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는,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가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었을 때, 하드 디스크(14)에 기록되어 있는 EPG에서, 재생의 대상이 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방송 중의 프로그램이 재생의 대상이 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는, 방송 중의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를 취득하고, 방송 개시시각부터 방송 종료시각까지의 시간을 프로그램의 길이로서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의 길이는, 1개의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즉, 1개의 프로그램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는, 취득한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와 함께 표시 제어부(32)에 출력한다.
또,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이 재생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 길이 취득부(31)는,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대응 짓고 하드 디스크(14)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 중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 녹화 개시시각, 녹화 종료시각의 정보를 취득하고, 방송 개시시각부터 방송 종료시각까지의 시간을 프로그램의 길이로서 취득한다.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는, 취득한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하드 디스크(14)에서 취득한 그러한 시각의 정보와 함께 표시 제어부(32)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32)는,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에서 공급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컨트롤러(22)를 제어하고, 프로그레스 바를 TV(2)에 표시하게 하고, 현재의 재생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게 한다.
예를 들면, 방송 중의 프로그램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와,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가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에서 공급된 경우, 표시 제어부(32)는,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이 좌우의 귀퉁이 위에 표시되며, 프로그 램의 길이를 전체의 길이로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게 한다. 프로그레스 바의 길이는, 프로그램의 길이가 1시간이어도 2시간이어도, 프로그램의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으로 된다.
또, 표시 제어부(32)는, 방송 중의 프로그램의 길이를 전체의 길이로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TV(2)에 표시하게 하고 있는 상태에서 녹화를 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된 경우, 녹화가 개시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가 실시되고 있는 시각(방송 중의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프로그레스 바의 구간을, 녹화가 개시되기 전의,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르다, 예를 들면 적색으로 표시하게 한다. 프로그램의 방송이 진행되며,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녹화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적색의 구간은, 개시 위치를 고정으로서 프로그레스 바 위에서 우측으로 성장해 가게 된다.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백색으로 표시된다.
녹화의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 표시 제어부(32)는, 녹화가 개시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가 종료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프로그레스 바의 구간을, 녹화가 끝난 구간인 것을 나타내는 예를 들면 회색으로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등, 회색에 의하여 나타나는 녹화가 끝난 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와,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 녹화 개시시각, 녹화 종료시각의 정보가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에서 공급되었을 경우, 표시 제어부(32)는,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이 좌우의 구석 위에 표시되며, 프로그램의 길이를 전체의 길이로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게 한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프로그레스 바 가운데, 녹화 개시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 종료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인 녹화가 끝난 구간은 회색으로 표시되며,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은 백색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를 제어하는 기록 재생장치(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사용자가 녹화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청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소정의 프로그램이 선택되었을 때, TS디코더(18)에 의하여 추출된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이 AV디코더(19)에 공급되며, AV디코더(19)에 의하여 디코드 됨으로써 얻어진 데이터에 의거하고, MUX(21)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영상이 TV(2)에 표시된다. 또, 프로그램의 음성도 MUX(20)에 의하여 TV(2)에서 출력된다.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었을 때, 스텝(S1)에 있어서,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는, 방송 중의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를 하드 디스크(14)에 기록되어 있는 EPG에서 취득하고, 방송 개시시각부터 방송 종료시각까지의 시간을 프로그램의 길이로서 취득한다.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는, 취득한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의 정보와 함께 표시 제어부(32)에 출력한다.
스텝(S2)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32)는, 프로그램길이 취득부(31)에서 공급된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컨트롤러(22)를 제어하고, 방송 개시시각, 방송 종료시각 이 좌우의 끝 위에 표시되며, 프로그램의 길이를 전체의 길이로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TV(2)의 소정의 위치에 프로그램의 영상에 겹쳐서 표시하게 한다. 또, 표시 제어부(32)는, 현재의 재생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게 한다.
도 7은, 방송 중의 프로그램이 재생되며, 한편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통상 시청 중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10시에 방송이 개시되며, 11시에 방송이 종료되는 1시간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가 지시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그레스 바가 표시된다. 녹화가 아직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레스 바 전체가,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인 것을 나타내는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1시간 프로그램의 한가운데 부근이 재생 중(방송 중)인 것이 포인터(P)에 의하여 나타나고 있다.
도 6의 설명으로 돌아와, 스텝(S3)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32)는, 녹화를 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지시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스텝(S2)의 처리를 반복한다. 프로그램의 방송이 진행됨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는 프로그레스 바 위에서 우측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한편, 스텝(S3)에 있어서, 녹화를 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표시 제어부(32)는, 스텝(S4)으로 진행되고,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포인터(P)까지의 프로그레스 바의 구간을 적색으로 표시한다.
도 8은, 녹화 중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7의 포인터(P)에 의하여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위치가 재생되고 있는 타이밍에 녹화를 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었을 때, 프로그레스 바 전체 가운데,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각(t11)에서 나타나는, 녹화가 개시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포인터(P)까지의 구간이 적색으로 표시된다. 도 8에 있어서, 점이 첨부되어 있는 것은, 그 구간이 적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는, 녹화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설명으로 돌아와, 스텝(S5)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32)는, 녹화가 끝난 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지시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스텝(S4)의 처리를 반복한다. 프로그램의 방송이 진행되고,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는 프로그레스 바 위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적색의 구간이 우측으로 성장해 간다.
한편, 스텝(S5)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32)는, 녹화가 끝난 구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하여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S6)으로 진행된다. 녹화가 끝난 구간의 재생의 형태로서는, 거기까지 실시되어 있던 녹화를 정지하고 나서의 재생과, 녹화를 실시하면서의 재생(추적 재생)의 2개의 형태가 있다. 재생이 지시된 위치 이후의 녹화가 끝난 구간의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14)에서 차례차례 읽어내지며, AV디코더(19) 등에 의하여 재생된다.
스텝(S6)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32)는, 프로그레스 바 가운데 녹화가 끝난 구간을 회색 등의 소정의 색으로 표시하고, 재생이 실시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프로그레스 바의 위치에 포인터(P)를 표시하게 한다.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포인터(P)의 위치는 우측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처리는 종료된다.
도 9는, 녹화가 끝난 구간의 재생 중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8의 프로그레스 바가 표시되어 있을 때 실시되고 있던 녹화가 진행되고,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되는 11시에 가까운 시각에 녹화가 끝난 구간을 선두에서 재생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 TV(2)에는, 녹화가 끝난 프로그램의 영상이 표시됨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영상에 겹쳐서, 도 9에 나타나는 프로그레스 바가 표시된다.
도 9의 예에 있어서는, 시각(t11)에서 나타내는, 녹화가 개시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시각(t12)에서 나타내는, 녹화가 종료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은 회색으로 표시되며, 재생 중의 위치가 포인터(P)에 의하여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는, 이 회색으로 표시되는 구간 내이면, 기호의 위치에서 재생을 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9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는, 녹화가 끝난 구간의 재생이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 실시되고 있는 녹화가 끝난 구간의 재생이 추적 재생인 경우, 프로그램의 방송이 진행되고,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 회색으로 표시되는 구간의 우단은 도 9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이와 같이, 기록 재생장치(1)에 있어서는, 프로그레스 바 전체에 의하여 1개의 프로그램의 길이가 나타나며, 그 중에서, 녹화가 끝난 구간이나 녹화 중의 구간이,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녹화가 끝난 구간의 길이, 위치를, 프로그램 전체를 기준으로서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녹화가 실시되지 않은 구간은 백색, 녹화가 끝난 구간은 회색, 녹화 중의 구간은 적색으로 표시하기로 했지만, 표시되는 색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상과 같이 하여 표시되는 프로그레스 바의 근방에, 통상 시청시에는 「LIVE」의 문자가 표시되며, 녹화 시에는 녹화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가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동일하게, 녹화가 끝난 구간의 재생 시에는, 재생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가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행하게 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행하게 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부착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 하는 것으로,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서 인스톨 된다.
도 10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CPU(51)는, ROM(52), 또는 기억부(58)에 기억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53)에는, CPU(5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적당히 기억된다. 이들의 CPU(51), ROM(52) 및 RAM(53)은, 버스(54)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51)에는 또, 버스(5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5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5)에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 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5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57)가 접속되어 있다. CPU(51)는, 입력부(56)에서 입력되는 지령에 대응하여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51)는, 처리의 결과를 출력부(57)로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5)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부(58)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에서 이루어지며, CPU(5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59)는, 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60)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61)가 장착되었을 때, 그것들을 구동하고,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취득한다. 취득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58)에 전송되며, 기억된다.
컴퓨터에 인스톨 되며,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 크(flexible disk를 포함),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인 리무버블 미디어(61),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격납되는 ROM(52)이나, 기억부(58)를 구성하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의 프로그램의 격납은, 필요에 따라서 루터(router),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인 통신부(59)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이라고 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실시되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기록 재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록 재생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기록 재생장치의 기능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기록 재생장치의 프로그레스 바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통상 시청 중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녹화 중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녹화가 끝난 구간의 재생 중의 프로그레스 바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록 재생장치 2. TV
11. CPU 12. RAM
13. 플래쉬 메모리 14. 하드 디스크
15. 버스 16. 튜너
17. 원상회복기 18. TS디코더
19. AV디코더 20,21. MUX
22. 표시 컨트롤러 31. 프로그램길이 취득부
32. 표시 제어부

Claims (5)

  1.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하여 취득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한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과 다르게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콘텐츠의 방송 개시시각부터 방송 종료시각까지의 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상기 콘텐츠 전체를 재생했을 때에 걸리는 시간으로서 EPG에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길이가 고정 길이이며,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바 위의 현재의 재생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게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방법.
  5.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전체의 재생에 걸리는 시간을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을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상기 바 가운데, 상기 콘텐츠의 녹화를 개시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녹화를 실시하고 있는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녹화를 종료한 시각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구간의 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게 하는 스텝을 포함한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70089925A 2006-09-08 2007-09-05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20080023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4569A JP2008067207A (ja) 2006-09-08 2006-09-08 記録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6-00244569 2006-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147A true KR20080023147A (ko) 2008-03-12

Family

ID=3854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925A KR20080023147A (ko) 2006-09-08 2007-09-05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63361A1 (ko)
EP (1) EP1898641A2 (ko)
JP (1) JP2008067207A (ko)
KR (1) KR20080023147A (ko)
CN (1) CN1011415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0443A (ja) * 2004-07-14 2006-02-02 Sony Corp 記録媒体、記録装置及び方法、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データ出力装置及び方法
JP2007280486A (ja) * 2006-04-05 2007-10-25 Sony Corp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7280485A (ja) 2006-04-05 2007-10-25 Sony Corp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719833B2 (ja) * 2008-07-03 2011-07-0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エアチェック装置及びエアチェックプログラム
KR101939253B1 (ko) * 2012-05-21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녹음 중에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기기
JP6341815B2 (ja) * 2014-09-08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43931B (zh) * 2016-07-20 2022-02-08 北京迪文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芯片gui效率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964A (en) * 1973-05-14 1976-04-20 Natalia Ilinichna Alexeeva Support assembly of vertical rotor
US4872767A (en) * 1985-04-03 1989-10-10 General Electric Company Bearing support
US6847778B1 (en) * 1999-03-30 2005-01-25 Tivo, Inc. Multimedia visual progress indication system
US6597375B1 (en) * 2000-03-10 2003-07-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User interface for video editing
US7290698B2 (en) * 2004-08-25 2007-11-06 Sony Corporation Progress bar with multiple portions
JP2006157697A (ja) * 2004-11-30 2006-06-15 Orion Denki Kk 録画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1584A (zh) 2008-03-12
US20080063361A1 (en) 2008-03-13
JP2008067207A (ja) 2008-03-21
EP1898641A2 (en)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591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KR20080023147A (ko) 기록 재생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JP2005184071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8048297A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コンテンツ提供装置
JP200702008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312106B2 (ja) 記録再生装置、そ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94966A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2010124073A (ja)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記録方法
JP2009033656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4264563B2 (ja) 記録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168395B2 (ja) 録画番組一覧用サムネイル画像の作成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KR101000919B1 (ko) 시간 지연 없는 타임 시프트 재생을 위한 디지털 방송녹화 재생 장치
US20040228611A1 (en) Disc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ing signal recorded on disc that has recorded signals of plurality of programs, and program for disc reproduction
JP4667212B2 (ja) 動画像再生表示装置
JP2009118050A (ja) 番組予約装置
WO2010050033A1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処理プログラム
JP2009164934A (ja) 録画装置
JP2006294164A (ja) 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903768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10183165A (ja) 字幕切替装置および字幕切替方法
KR100862575B1 (ko) 방송 녹화기기에서의 방송 정보 자막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201000969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と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7116566A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135959A (ja) 記録再生装置、そ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