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886A -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886A
KR20080022886A KR1020060086685A KR20060086685A KR20080022886A KR 20080022886 A KR20080022886 A KR 20080022886A KR 1020060086685 A KR1020060086685 A KR 1020060086685A KR 20060086685 A KR20060086685 A KR 20060086685A KR 20080022886 A KR20080022886 A KR 2008002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picture frame
digital pictur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616B1 (ko
Inventor
장세원
추경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6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액자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DIGITAL PICTURE FRAME FOR USING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개인 컴퓨터 등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저장하거나 액정표시소자(LCD) 등에 디스플레이하여 이미지의 해상도 차이 없이 사진 액자 또는 앨범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상기 디지털 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되거나 기존의 인화지 사진을 스캐너를 이용해 스캐닝하고 코덱(Codec) 등으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메모리에 파일 형태로 저장한 후 상기 파일을 상기 전자 액자 혹은 디지털 액자로 로딩(Loading)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또는 공유를 위해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야 했다.
즉, 디지털 액자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를 통해 일단 저장한 후, 외부 기기에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를 연결함으로써,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졌다.
역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액자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유에스비 메모리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중개 수단이 필요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의 절차는 번거로웠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더라도, 디지털 액자를 통해 사진을 감상하는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동시간에 동일한 사진을 감상하고 있다는 교감을 느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공유시,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한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데이터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부(160), 효과 발생부(170) 및 조작부(18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데이터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인터페이 스(150), 디스플레이부(160), 효과 발생부(170) 및 조작부(18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122) 및 외부 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24)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모뎀으로 구성되어,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해 다른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랜카드로 구성되어, 랜을 통해 다른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가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통신부(12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한 고유의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부(120)마다 구별되는 유일한 고유 코드를 부여하거나, 고유 코드보다 사용자가 더 식별하기 쉬운 형태의 정보를 일대일로 고유 코드에 매핑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통신부(120)에서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액자(100)의 디스플레이부(160)에서 영상으로 표시하는데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디 스플레이부(160)에서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메모리부(140)는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처리한 데이터 또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40)는 디지털 액자(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디지털 액자(100) 내 소정 위치에 구비되도록 다양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부(140)는 시큐어 디지털(SD), 멀티미디어카드(MMC) 또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0)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미도시)가 디지털 액자(100)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인터페이스(150)의 형태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의 단말 부분의 형태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는 USB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시큐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카드 또는 컴팩트 플래시 카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를 통해 디지털 액자(100)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는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표시소자(LCD)로 구성될 수 있다.
효과 발생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신호를 송신하면, 디지털 액자(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부(11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60)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통신부(120)는 상기 외부 기기가 전원이 켜져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기기가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아닌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지털 액자(100)로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60)에 영상으로 표시될 때, 상기 영상이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110)는 효과 발생부(17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효과 발생부(170)에서 일정한 효과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와 같은 영상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효과 발생부(170)는 발광부(172), 음향 발생부(174) 및 향 발생부(176)를 포함한다.
발광부(172)는 디지털 액자(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172)는 소형 램프 또는 발광소자(LED)로 구성할 수 있다.
발광부(172)는 디지털 액자(100)의 케이스 면을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소정 주기로 점멸을 반복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음향 발생부(174)는 디지털 액자(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경우, 소정의 음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향 발생부(176)는 디지털 액자(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소정의 향기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각적 효과에 의해 특정 사용자와 동일한 영상을 감상하고 있다는 교감을 느낄 수 있다.
조작부(180)는 통신부(120)와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외부 기기를 설정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네트워크가 가능한 외부 기기에는 각각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80)를 통해 상기 고유 코드를 디지털 액자(100)에 입력함으로써, 신호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8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각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는 서버(200)로 접속하여,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 간에 데이터 교환 또는 공유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 외에 네트워크가 가능한 컴퓨터, PDA,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이 서버(200)로 접속되어,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각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의 통신부(120)는 모뎀 또는 랜카드로 구성되어, 공중 전화망 또는 랜을 통한 디지털 액자(100a, 100b, 100c 및 100d) 간의 교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100)는 디스플레이부(160), 발광부(172), 조작부(180) 및 연결단자(190)를 포함한다.
조작부(180)에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100)와 교신 가능한 외부 기기를 설정한 이후, 상기 외부 기기가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으면,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관한 신호를 통신부(120)에서 수신한다.
연결단자(190)는 통신부(120)를 모뎀 또는 랜카드 등으로 구성한 경우,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통신연결선(미도시)이 결합하는 단자이다.
계속하여, 통신부(120)에서 수신한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디코딩하여 데이터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영상이 표시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영상과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일한 경우, 발광부(172)가 발광하여,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와 동일한 영상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172) 외에 음향 발생부(174) 및 향 발생부(176)가 더 구비되어, 효과를 더 극대화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조작부(180)를 통해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경우, 효과 발생부(170)에서 발생하는 효과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의 차단 등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효과 발생부(170)에서 발생하는 효과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 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 또는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데이터 공유 시, 데이터를 공유하는 사용자 간에 교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외부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정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과 동일한 경우,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효과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디지털 액자, 컴퓨터, PDA 또는 휴대 전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발생부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및
    소정의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액자는,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가 결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액자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한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의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액자는,
    상기 통신부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를 설정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
KR1020060086685A 2006-09-08 2006-09-08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KR10083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85A KR100833616B1 (ko) 2006-09-08 2006-09-08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85A KR100833616B1 (ko) 2006-09-08 2006-09-08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886A true KR20080022886A (ko) 2008-03-12
KR100833616B1 KR100833616B1 (ko) 2008-05-30

Family

ID=3939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85A KR100833616B1 (ko) 2006-09-08 2006-09-08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5139A2 (en) * 2008-08-28 2010-03-04 Sony Corporation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9942A1 (en) * 2009-05-18 2010-11-18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Feedback system for optimizing exposure
US8770815B2 (en) 2009-05-18 2014-07-08 Sony Corporation Active bezel edge lighting with diffuser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876B1 (ko) * 2004-02-27 2006-09-25 주식회사 엠텔로 동적 이미지가 적용되는 디지털 전자액자 및 그 동적이미지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5139A2 (en) * 2008-08-28 2010-03-04 Sony Corporation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WO2010025139A3 (en) * 2008-08-28 2010-05-27 Sony Corporation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US8456104B2 (en) 2008-08-28 2013-06-04 Sony Corporation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KR101382926B1 (ko) * 2008-08-28 2014-04-08 소니 주식회사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616B1 (ko)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783B2 (en) Machine-to-machine visual code generation and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communications
JP4407841B2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CN102098078B (zh) 数据传输装置及数据传输方法
JPWO2009113416A1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20080107211A (ko)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CN107357585B (zh) 视频获取方法、装置、视频设备及存储介质
JP2015169952A (ja) 通信システム、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CN110895459A (zh) 信息处理系统、装置、方法以及存储介质
CN102957887A (zh) 网络系统和图像投影装置
TWI576721B (zh) 數位看板裝置、數位看板系統及其操作方法
KR100833616B1 (ko)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US20130278781A1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communication serve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mage communication
CN113438442A (zh) 一种会议资料的共享方法及装置
JP2009130725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とその光受信装置
JP201003480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65689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TWI465912B (zh) 電子裝置間建立連線之方法
JP6519095B2 (ja)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17777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2001218176A (ja) 画像音声通信処理機構
KR20060131478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KR101169211B1 (ko) 큐알코드 인식 랜딩페이지를 광고페이지로 사용하는 방법
KR10161019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합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54966B1 (ko) 디지털 액자
KR20010097719A (ko) 사진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