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926B1 -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 Google Patents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926B1
KR101382926B1 KR1020117004566A KR20117004566A KR101382926B1 KR 101382926 B1 KR101382926 B1 KR 101382926B1 KR 1020117004566 A KR1020117004566 A KR 1020117004566A KR 20117004566 A KR20117004566 A KR 20117004566A KR 101382926 B1 KR101382926 B1 KR 10138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backlighting
display device
control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512A (ko
Inventor
리카 알라드
피터 신타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4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2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one senso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light-transmissive bezel)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컬러 제어 신호는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 소자에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된다. 백라이팅 소자는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한다;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백라이팅 컬러의 타입 및 지속 기간을 적응력 있게 제어한다.

Description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본 특허 문서의 설명의 일부분은 저작권 보호 대상인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소유자는, 특허청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나 있으므로,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기술의 팩시밀리 재현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다른 방식에 의한 모든 저작권 권리들은 무엇이든지 간에 보유한다.
플랫 스크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벽 또는 다른 적합한 뷰잉 표면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은 점점 더 흔한 일이 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벽 등의 장착면에 장착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대형 크기인 경우 벽의 외관을 실제로 지배할 수 있다. 또한, 베젤의 컬러, 디스플레이 스크린 자체를 프레이밍(frame)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주변의 경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컬러는 통상 장착면과 조합해서 볼 때 미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베젤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장착면의 컬러와 매치되지 않거나 잘 혼합되지 않는 컬러를 가질 수도 있다.
최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베젤로부터 베젤을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선택된 환경에서 더 매력적이게 하고자 시도한다. 구매자는 한정된 컬러들을 갖는 매우 제한적으로 공급되는 베젤들로부터 선택할 수 밖에 없을 수도 있다. 제한된 컬러 선택 사항들은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컬러 조합을 제공하기에는 충분할 수도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신규한 것으로 생각되는 본 발명의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청구항들과 함께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는, 동작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해, 그 목적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특정 일례의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도 1은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광 투과성 베젤(light-transmissive bezel)의 희망 백라이팅 컬러(들)에 영향을 주기 위해 컬러 제어 신호의 생성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5는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를 고려하는 컬러 제어 신호의 생성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들이다.
도 6은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투과성 베젤을 위한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컬러 제어 신호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컬러 제어 신호의 생성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당업자는, 도면들의 요소들이 단순 및 명확하게 도시된 것으로 반드시 비율적으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면들의 일부 요소들의 크기들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실시예를 허용하지만, 도면들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특정 실시예들로 기술될 것이다. 본 기술이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례로서 생각되며 도시 및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들의 수개의 뷰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파트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first) 및 제2(second), 상부(top) 및 하부(bottom) 등의 관계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다른 엔티티 또는 액션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엔티티들 또는 액션들 간에 임의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용어들 "포함하다(comprises)", "포함(comprising)"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non-exclusive inclusion)을 의미하며,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아티클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들만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프로세스, 방법, 아티클 또는 장치에 고유하거나 명백히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을 포함함(comprises ...a)"에 이은 요소는, 더 많은 제약 없이,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아티클 또는 장치의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도처에서 "일 실시예", "특정 실시예들", "하나의 실시예" 또는 유사 용어들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도처에서 이러한 구절들 또는 각종 장소에서 동일한 실시예를 모두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은 제한 없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or)"은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의미한다. 따라서, "A, B 또는 C"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A, B 및 C 중 임의의 하나를 의미한다. 요소들, 기능들,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조합이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래 상호적으로 배타적인 경우에만 상기 정의에 대한 예외가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컬러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어, 백라이팅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이 백라이팅 제어 신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 소자에 송신된다. 백라이팅 소자는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백라이트)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한다;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가 수신한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백라이팅 컬러의 타입 및 지속 기간을 적응력 있게 제어한다. 백라이팅 컬러는, 환경 특징물의 컬러, 시각(time of day), 연중 시각, 날짜, 컬러 제어 신호를 선택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 작용을 통한 사용자 정의에 의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등의 조건들에 의해 유연하게 정의된 백라이팅 컬러를 정의하는데 컬러 제어 신호가 사용되게 함으로써 동적으로 적응력 있게 제어될 수 있다. 백라이팅 컬러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지배적인 컬러의 반대가 되게 하거나 컬러를 추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뷰어에 의해 보여지는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데 명백히 도움이 된다.
벽의 컬러 등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의 패널, 또는 센서 디바이스 등의 다른 시스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룸 컬러 데이터(room color data)를 뷰어가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인터넷 커넥션을 통해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사하거나 페인트 컬러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방들을 페인트하거나 다시 페인트하며, 다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룸 컬러 데이터로서 입력될 수 있는 컬러 정보를 갖는 페인트 캔을 가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로부터 컬러 제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센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가까운 문, 벽 또는 천장 등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싱된 환경 컬러를 사용해서, 컬러 제어 신호는 센싱된 컬러에 응답해서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제어 신호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가깝도록 백라이팅 컬러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컬러 제어 신호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에 의해 일부 결정될 수 있다;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컬러 제어 신호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로부터 생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백라이팅 컬러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및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검출된 주요 컬러로부터 생성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적응력 있게 제어될 수 있다.
센싱된 환경 컬러 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검출된 주요 컬러에 대한 정보는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데 커다란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백라이팅 컬러는, 백라이팅 컬러와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고; 백라이팅 컬러와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소화하며;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와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고;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와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소화하도록 적응력 있게 제어될 수 있다.
컬러 제어 신호는 또한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 등의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센서 또는 센싱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컬러 제어 신호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센싱 디바이스의 경우에, 센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깝게 있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센서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 기능 블록도(10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텔레비전, 케이블 또는 위성 텔레비전 프로그래밍, 비디오 및 인터랙티브 게임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위한 프로그래밍,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래밍 등의 스크린에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115)을 둘러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위에 광 투과성 베젤(120)을 갖는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HDTV, 플랫 스크린 텔레비전 세트, 컴퓨터 모니터, PDA 스크린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세트를 위한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광 투과성 베젤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중간 투명도이거나, 불투명하거나 또는 다른 재료 등의 광 투과성 재료로 되어 있어서, 일부 빛이 빛나게 한다. 이 백라이팅은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130)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150)의 제어 하에서 백라이팅 소자(160)에 의해 생성된다. 기술되는 바와 같이, 컬러 제어 신호(140)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130)에 의해 수신되고, 점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의 비디오 신호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외부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내부의 소스로부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130)에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광 투과성 베젤(120)을 가지며, 방, 자동차, 또는 다른 공간과 같은 환경에 위치한다.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130)로부터의 백라이팅 제어 신호(150)에 응답해서, 백라이팅 소자(160)는 백라이팅 컬러를 광 투과성 베젤에 조사한다. 백라이팅 컬러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생성되어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130)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140)에 의해 결정된다.
백라이팅 소자(160)는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광원들일 수 있다. 레드, 블루 및 그린의 세개의 주요 컬러들에서, 저렴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유효하면, LED는 베젤을 위한 백라이팅의 양호한 소스이다. 투명한 광 디스플레이는 확산기 뒤의 LED 등의 내부 광 확산기로 달성될 수 있다. 반투명 중립 그레이 베젤 컬러가 달성될 수 있어서, 확산기의 필요성이 제거될 수 있다. 단지 베젤의 에지들을 조사하기 위해 라이트 파이핑(light piping)이 사용될 수 있어서, 비용이 별로 들지 않는 베젤 조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누설 라이트 파이프 파이버들(leaky light pipe fibers)이 반투명 베젤 뒤에서 빛을 유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요 컬러 LED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전류는, 임의로 대형 팔레트의 컬러들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그 후, 베젤의 백라이팅의 컬러는 백라이팅 소자(160)에 제공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150)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기술되는 바와 같이, 베젤을 위한 백라이팅 컬러의 제어는, 벽 또는 천장 컬러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위치한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달성된다.
이제부터 도 2를 참조하면, 플로우챠트(200)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 블록(2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컬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블록(2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 소자에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블록(230)에서, 백라이팅 소자는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적응력 있게 생성하고,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백라이팅 컬러의 지속 기간을 제어하며,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LED를 사용해서, 각각의 LED에 제공된 전류를 간단히 변화시킴으로써 희망하는 대로 백라이팅 컬러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광원들, 컬러 및 컬러의 지속 기간이 희망하는 대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달성된 백라이팅 컬러의 지속 기간 및 컬러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정 컬러의 지속 기간에 있어서, 컬러 제어 신호는, 임의의 방식으로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선정된 컬러들에 따라,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가 정기적으로 변경되게 할 수 있다.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의 지속 기간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벽 또는 천장 등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 시각(아침용 밝은 컬러 대 저녁용 어두운 컬러, 또는 정오의 블루 및 저녁의 일몰에 매치되는 불그스름한 컬러) 또는 연중의 계절(예를 들어, 가을을 위한 오렌지 컬러); 외부의 주변 온도(예를 들어, 겨울을 위한 화이트 또는 블루; 여름을 위한 오렌지 또는 옐로); 할로윈(오렌지 또는 그린 베젤) 등의 휴일 및 국경일(베젤 백라이팅은 플래그의 컬러들을 통해 회전할 수 있음) 및 결혼(예를 들어, 화이트 또는 실버) 등의 특별한 이벤트들의 발생;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등의 특정 요인들에 응답해서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빈번히 발생하는 어떤 것, 즉, 스트리밍 비디오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에 의해 변경되는 이미지이면,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이미지의 주요 컬러를 보충하기 위해 종종 상응해서 변경되며, 그 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컬러 제어 신호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래밍에 따라 특정 백라이팅 컬러들 및 지속 기간들이 발생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래밍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 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 내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파트와 같이 외부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PDA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센서 디바이스 또는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s)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컬러 제어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도록 구상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컬러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에 대응해서 생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5의 시스템 및 플로우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3의 시스템(300)을 참조하면,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10)는 그 주변에 광 투과성 베젤(320)을 가지며, 컬러 제어 신호(340)에 응답해서, 백라이팅 소자(360)가 컬러 제어 신호(340)에 지정된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게 하기 위해 백라이팅 제어 신호(355)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330)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50)로부터 컬러 제어 신호(340)를 수신한다. 센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달려 있는 벽(370) 또는 인접 천장(380)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한다. 컬러 제어 신호(340)는 센서가 센싱한 컬러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컬러 제어 신호 및/또는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생성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가 환경 특징물의 컬러의 변경에 대응해서 적응력 있게 변경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330)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응답해서 백라이팅 제어 신호(355)를 생성한다.
센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장착된 벽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인접한 천장 등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셍싱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각종 컬러들을 쉽게 센싱 및 기록할 수 있다. 환경 특징물의 이러한 컬러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쉽게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제조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컬러 표현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컬러들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공급되는 정확한 컬러를 쉽게 확정할 수 있음을 주지하자.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응답해서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한다.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가까울 수 있다. 또는,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백라이팅 컬러 및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 또는 최소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에서 화이트로 센싱된 컬러는, 베젤과 벽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블랙이 되게 할 수 있다. 또는, 그린 베젤을 갖는 플랫-스크린 TV가 화이트 벽에 장착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액티브 이미지 컬러가 주로 오렌지인 뷰잉 환경을 생각해 보라; 이는 다수의 사람들을 상당히 자극하는 컬러 조합이다. 사용자는, 훨씬 더 만족스러운 컬러 조합을 유발시키도록,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를 그레이로 변경하는 컬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플로우챠트(400)가 각종 실시예들에 따른, 환경 특징물의 컬러 센싱을 고려하는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블록(410)에서, 광 투과성 베젤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까이에 있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가 센싱된다. 블록(420)에서, 컬러 제어 신호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로부터 생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컬러 제어 신호는 백라이팅 컬러가 (거의)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센싱된 환경 특징물 컬러와 대조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컬러 제어 신호는, 블록(4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다; 다시 말해서, 특히 백라이팅 컬러가 센싱된 환경 컬러와 대조되거나 상이한 경우에, 희망 백라이팅 제어 신호(355)를 생성하기 위한 센싱된 컬러의 프로세싱은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2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센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제어에 응답해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갖는 센서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내에서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하자.
블록(4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 소자에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블록(450)에서, 백라이팅 소자는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적응력 있게 생성하고,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백라이팅 컬러의 지속 기간 및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며,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컬러 제어 신호는, 센싱된 환경 컬러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1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15)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컬러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은, 컬러 제어 신호를 결정할 때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고려해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에 의해 특징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한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한 이미지 신호의 프로세싱에 의해 결정된, 디스플레이 상의 지배적인 컬러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및 이미지의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에 대응해서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는 다양한 방법들로 결정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이미지와 연관된 픽셀 데이터를 조사하는 것이며, 또는, 대안으로, Y 정보만이 루마(luma)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컬러 성분 부분들, 즉, Cb 또는 Cr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RGB 또는 4:4:4 컬러 샘플링 스페이스로 업스케일링 또는 변환하기 전에 컬러 데이터 또는 심지어는 모든 픽셀 데이터를 조사해서, 평균화되어야만 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킨다. 다수의 비디오 소스들은 DVD들과 같이 4:45:4도 아니고 4:2:2도 아니며, 오직 4:2:0이다. 또한, 대부분의 중요한 비디오 정보는 스크린의 중심에 있을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므로, 센터 컬러 데이터의 웨이팅이 바람직한 방법이 된다. 또한, 컬러 데이터의 간소화 프로세싱은, AV 캐비넷 또는 TV 스탠드에 의해 숨겨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측면 경계 영역들에 있는 또는 세트 아래에 있는 컬러를 인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시야는, 이미지의 상부 보다는 이미지의 (벽에 가장 가까운) 측면들에서 더 가시적이며 더 집중된다.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인식해서,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가 의미있는 방법으로 제어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와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도록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와의 콘트라스트를 최소화하도록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및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도록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센싱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및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소화하도록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5를 참조하면, 플로우챠트(500)는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및 환경 컬러를 센싱하는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블록(5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까이에 있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가 센싱된다. 컬러는, 상술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센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블록(5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가 검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의 검출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에 있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530)에서, 컬러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및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로부터 결정 또는 생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및 센싱된 환경 컬러로부터 컬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의 점선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두개의 컬러 신호들로부터 컬러 제어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은, 두개의 신호들이 어떤 컬러 제어 신호에 제공되는지를 사용자가 결정하는 일례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있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내에 있을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컬러 제어 신호는,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가 두개의 컬러들 중 하나에 가깝게 되게 하거나, 두개의 컬러들 중 하나와 대조되게 하거나, 두개의 컬러들의 평균이 되는 일부 타입이거나, 또는 두개의 컬러들을 고려해서 유도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블록(5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생성된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 소자에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블록(550)에서, 백라이팅 소자는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적응력 있게 생성하고,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백라이팅 컬러의 타입 및 지속 기간을 제어하며,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생성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리모트 컨트롤, 리모트 컨트롤러, 리모트 커맨더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베젤을 조사하는 백라이팅 컬러에 영향을 주기 위해, GUI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의 시스템(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는, 광 투과성 베젤(620),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615),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660)로부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트랜시버(630),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640)와, 백라이팅 소자(650)를 갖는다.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6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65)와의 사용자 상호 작용에 응답해서, 컬러 제어 신호(670)는 트랜시버(630)로부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640)에 의해 수신된다;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640)는 백라이팅 제어 신호(645)를 생성해서, 백라이팅 소자(650)가 컬러 제어 신호(670)에 의해 제어되는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게 한다. 트랜시버 소자가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로부터 컬러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해서,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로부터의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정의된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도록 백라이팅 소자를 적응력 있게 제어한다.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660)는, 텔레비전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에 유용하며, 텔레비전 세트에 연결된 제어 주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및 오디오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또는 모바일 폰,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등은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사용자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리모트 컨트롤러(66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 간의 통신 링크는 동작의 정상 동작 모드 중에 양방향 투웨이 링크이다.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66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65)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65)의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 정보 또는 키패드를 사용하는 입력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665)는 메뉴 또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뷰어가 광범위한 유효 프로그래밍을 항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채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들은 어떤 프로그래밍이 방영중인지를 뷰어들에게 알려주는 방법으로서 케이블 및 위성 시스템들에서는 흔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컬러 제어 신호(670)를 생성하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처리되는 명령들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도시된 복수의 키들 또는 버튼들을 피처링한다.
벽의 컬러 등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의 패널, 또는 센서 디바이스 등의 다른 시스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룸 컬러 데이터를 뷰어가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인터넷 커넥션을 통해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사하거나 페인트 컬러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방들을 페인트하거나 다시 페인트하며, 다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룸 컬러 데이터로서 입력될 수 있는 컬러 정보를 갖는 페인트 캔을 가질 수도 있다.
베젤의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에 액세스해서, 희망 베젤 세팅을 설정하기 위해, 초기 셋업 등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벽 또는 다른 환경 특징물의 컬러와 반대인 백라이팅 컬러를 선택하거나; 벽 또는 다른 환경 특징물의 컬러와 거의 동일한 백라이팅 컬러를 선택하는 옵션, 또는 다수의 유효 컬러가 사용자에게 유효할 수 있다(상기 옵션은 상술된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좌우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액세스는,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센서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 및 리모트 컨트롤러(660) 간의 통신은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시그널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R(infra-red), RF(radio-frequency), 초음파 시그널링, 또는 그 조합은 모두 데이터를 송신하는 용납될 수 있는 동등한 방법들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정상 동작 중에, 투웨이 통신 링크가 존재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플로우챠트(700)는 컬러 제어 신호에 영향을 주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플로우를 도시한다. 블록(71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컬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를 포함해서,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들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명령들은 시스템 내의 다양한 장소들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GUI의 인스턴스에서, 소프트웨어는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 작용은, 프로그램 명령들이 존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다. 블록(720)에서, 컬러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다. 블록(7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는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 소자에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블록(740)에서, 백라이팅 소자는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적응력 있게 생성하고,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백라이팅 컬러의 타입 및 지속 기간을 제어하며,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생성된 백라이팅 컬러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논-프로세서 회로들(non-processor circuits)과 함께,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들의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제어하는 독특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 및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논-프로세서 회로들은, 수신기, 트랜시버, 라디오, 신호 드라이버들, 클록 회로들, 전원 회로들, 및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기능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기능들을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프로그램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 머신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특정 기능들의 각각의 기능 또는 일부 조합들이 커스텀 로직으로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두개의 방법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들을 위한 방법들 및 수단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다. 또한, 당업자가, 유효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 사항들에 의해 동기화되는 가능한 의미있는 노력 및 다수의 디자인 선택 사항들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안내를 받을 때, 쉽게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들 및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최소 실험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들이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의 사용을 기반으로 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기술되고 청구된 본 발명과 동등한 특별 목적 하드웨어 및/또는 전용 프로세서들 등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동등물들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된 대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범용 컴퓨터들,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컴퓨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옵티컬 컴퓨터들, 아날로그 컴퓨터들, 전용 프로세서들 및/또는 전용 하드와이어드 로직이 본 발명의 다른 동등한 실시예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 프로그램 단계들 및 연관된 데이터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디바이스들, RAM(Random Access Memory) 디바이스들, 디스크 스토리지, 광 기억 소자들, 자기 기억 소자들, 광자기 기억 소자들,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다른 동등한 스토리지 기술들 등의 다양한 형태들의 스토리지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러한 대안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은 동등물들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종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합한 전자 기억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임의의 적합한 전자 통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는 플로우챠트 형태로 광범위하게 상술된 프로그래밍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들을 사용해서 구현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술된 프로세스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수의 변화들로 구현되고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정 동작들이 실행되는 순서는 종종 변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동작들이 추가되거나 또는 동작들이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에러 트래핑이 추가 및/또는 강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정보 표현에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동등한 것으로 숙고되고 생각된다.
상술된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기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의미라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모든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점들, 장점들, 문제 솔루션들,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솔루션이 발생되거나 더욱 더 명백하게 되게 하는 임의의 요소(들)는 임의의 청구항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결정적이거나, 필수적이거나, 본질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계류중에 이루어진 임의의 보정들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논의된 청구항들의 모든 동등물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23)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light-transmissive bezel)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컬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가 상기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백라이팅 소자에 상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백라이팅 소자가 상기 수신된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기 위해 백라이팅 컬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 상기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상기 백라이팅 컬러의 지속 기간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베젤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까이 있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의 함수로서 상기 컬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대응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광 투과성 베젤의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에 가깝도록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에서 상기 환경 특징물에 가깝게 위치한 센서에 의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팅 컬러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상기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로부터 상기 컬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상기 검출된 주요 컬러로부터 생성된 상기 컬러 제어 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광 투과성 베젤의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팅 컬러와 상기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팅 컬러와 상기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와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 간의 콘트라스트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컬러 제어 신호를 동적으로 제어해서 상기 베젤의 상기 백라이팅 컬러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동작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센싱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까이 있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상기 센싱 디바이스가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디바이스는 상기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하는 디지털 카메라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 투과성 베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환경에 위치한, 광 투과성 베젤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와,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로부터의 백라이팅 제어 신호에 대응해서 백라이팅 컬러로 상기 광 투과성 베젤을 조사하도록 동작 가능한 백라이팅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팅 컬러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백라이팅 소자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수신된 컬러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까이 있는 환경의 환경 특징물의 컬러를 센싱하도록 동작 가능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 제어 신호는 상기 환경 특징물의 컬러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제어 신호 및 상기 컬러 제어 신호로부터 생성된 상기 백라이팅 제어 신호는 상기 환경 특징물의 컬러의 변경에 응답해서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에 의해 특징화되고, 상기 컬러 제어 신호는 상기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 및 상기 환경 특징물의 센싱된 컬러로부터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상기 주요 디스플레이 컬러는 상기 이미지의 비디오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상기 비디오 신호는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23.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및 상기 백라이팅 제어 신호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에 신호들을 수신 및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트랜시버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 제어 신호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트랜시버 소자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백라이팅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117004566A 2008-08-28 2009-08-25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KR101382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0,294 2008-08-28
US12/200,294 US8456104B2 (en) 2008-08-28 2008-08-28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PCT/US2009/054908 WO2010025139A2 (en) 2008-08-28 2009-08-25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512A KR20110046512A (ko) 2011-05-04
KR101382926B1 true KR101382926B1 (ko) 2014-04-08

Family

ID=4172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566A KR101382926B1 (ko) 2008-08-28 2009-08-25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56104B2 (ko)
EP (1) EP2321962A2 (ko)
JP (1) JP5580313B2 (ko)
KR (1) KR101382926B1 (ko)
CN (1) CN102138330B (ko)
CA (1) CA2734826C (ko)
MX (1) MX2011001762A (ko)
WO (1) WO20100251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055A1 (ja) * 2008-08-26 201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駆動方法
US8770815B2 (en) * 2009-05-18 2014-07-08 Sony Corporation Active bezel edge lighting with diffuser layer
US20100289942A1 (en) * 2009-05-18 2010-11-18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Feedback system for optimizing exposure
EP2438799B1 (en) * 2009-06-05 2018-12-1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ighting control device
KR20100131634A (ko) * 2009-06-08 201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62276B2 (en) * 2009-07-27 2013-06-11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bezel
US8487977B2 (en) * 2010-01-26 2013-07-16 Polycom, Inc. Method and apparatus to virtualize people with 3D effect into a remote room on a telepresence call for true in person experience
KR101755598B1 (ko) * 2010-10-27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461238B1 (en) * 2010-12-02 2017-06-2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US9420268B2 (en) 2011-06-23 2016-08-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TWI516169B (zh) * 2011-07-20 2016-01-0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影音系統及其控制方法
CN102394957B (zh) * 2011-11-09 2017-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终端以及设置电子终端外壳颜色的方法
US9235995B2 (en) * 2011-12-30 2016-01-12 Eaton Corporation Panel communication via illuminated bezel
US20150168768A1 (en) * 2012-06-29 2015-06-18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20140037643A (ko) * 2012-09-19 2014-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50061364A (ko) * 2013-11-27 2015-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표시 방법
WO2016134074A1 (en) * 2015-02-18 2016-08-25 Pilldrill,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 monitoring
DE102016207042A1 (de) * 2016-04-26 2017-10-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180063591A (ko) 2016-12-02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하는 베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146100B2 (en) 2016-12-12 2018-12-04 Gracenote, Inc. Systems and methods to transform events and/or mood associated with playing media into lighting effects
CN109863471A (zh) * 2016-12-20 2019-06-0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JP6403295B2 (ja) * 2017-03-07 2018-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2435193B1 (ko) * 2017-11-09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비전 설정 방법
KR102594652B1 (ko) * 2018-12-07 2023-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071182B2 (en) 2019-11-27 2021-07-20 Gracenot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lighting effects
US11694654B1 (en) * 2022-03-30 2023-07-04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527A1 (en) 2005-03-18 2006-09-21 Dong-Hyok Shin Display having indirect lighting structure
KR20070108042A (ko) * 2006-05-04 2007-11-08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2886A (ko) * 2006-09-08 2008-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0451A (en) * 1963-10-21 1966-09-06 Eastman Kodak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xhibiting a display
US7064498B2 (en) 1997-08-26 2006-06-20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ight-emitting diode based products
US7038398B1 (en) 1997-08-26 2006-05-02 Color Kinetics, Incorporated Kinetic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s
US6339429B1 (en) * 1999-06-04 2002-01-15 Mzmz Technology Innovations Llc Dynamic art form display apparatus
US6778226B1 (en) * 2000-10-11 2004-08-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cabinet with dynamically controlled appearance
US6519140B1 (en) 2001-09-13 2003-02-11 Sun Microsystems, Inc. Hinged bezel for a computer system
GB0211898D0 (en) * 2002-05-23 2002-07-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ing ambient light
EP1551178A1 (en) * 2003-12-18 2005-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pplementary visual display system
WO2006059263A1 (en) * 2004-11-30 2006-06-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system
US20100053229A1 (en) * 2006-11-30 2010-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im system for a display
EP2100445B1 (en) * 2007-01-03 2011-09-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ing arrangement with ambient light
KR20090121504A (ko) * 2008-05-22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두리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적용한 영상표시방법
US20110018849A1 (en) * 2009-07-27 2011-01-27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bedding a display in a bezel
US8462276B2 (en) * 2009-07-27 2013-06-11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bez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527A1 (en) 2005-03-18 2006-09-21 Dong-Hyok Shin Display having indirect lighting structure
KR20070108042A (ko) * 2006-05-04 2007-11-08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2886A (ko) * 2006-09-08 2008-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0313B2 (ja) 2014-08-27
WO2010025139A3 (en) 2010-05-27
JP2012501526A (ja) 2012-01-19
CN102138330B (zh) 2013-11-20
EP2321962A2 (en) 2011-05-18
MX2011001762A (es) 2011-04-05
CA2734826C (en) 2014-12-23
US20100052548A1 (en) 2010-03-04
WO2010025139A2 (en) 2010-03-04
KR20110046512A (ko) 2011-05-04
CN102138330A (zh) 2011-07-27
US8456104B2 (en) 2013-06-04
WO2010025139A8 (en) 2010-07-15
CA2734826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926B1 (ko) 베젤에 대한 가변 백라이트 제어
US105792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8797451B2 (en) Embedded camera with privacy filter
US10635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2011001884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bedding a display in a bezel
US20110141358A1 (en) Illuminated bezel information display
US20150242178A1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quality matching method thereof
US10467949B2 (en)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0476147B (zh) 电子装置及其显示内容的方法
US826980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5641824A (zh) 画面调整设备、显示设备及画面调整方法
EP3817394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WO2021008102A1 (zh) 显示设备、显示面板的短路检测方法及装置
US11825172B2 (en) Display apparatus
KR201701240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14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8963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2610209A (zh) 屏幕显示讯息的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