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762A - 복합 재료로부터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 - Google Patents

복합 재료로부터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762A
KR20080021762A KR1020087000167A KR20087000167A KR20080021762A KR 20080021762 A KR20080021762 A KR 20080021762A KR 1020087000167 A KR1020087000167 A KR 1020087000167A KR 20087000167 A KR20087000167 A KR 20087000167A KR 20080021762 A KR20080021762 A KR 20080021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heating plate
conveying
machin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쥐르그 잔트
크리스토프 부스
Original Assignee
쓰리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즈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8892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217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즈 에이쥐 filed Critical 쓰리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즈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08002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 B30B5/02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onl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27Pressing using at least one press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dvancing Web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계(1)는 가열판(5), 가열판(5) 위의 이동 경로를 따라 판형 요소(4)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6), 가열판(5)에 대해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부분(8), 상부 부분(8)에 배열된 멤브레인(9), 및 가열판(5)과 멤브레인(9) 사이에 배치된 이송 수단과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는 분리막(10)을 포함한다. 분리막(10)은 여러 구획부(11)로 분할되며 각 구획부(11)는 이송 경로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나의 모서리에서 유지 수단(32)에 의해 배타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구획부(11)들은 느슨하고 인장되지 않으면서 요소(4)들에 놓인다. 멤브레인(9)은 가열판(5)을 향하는 상부 부분(8)의 주위로 연장하는 외주 표면(46)에 놓이며 가열판(5) 표면의 평면 바로 위로 이동되어 가열판과 함께 밀봉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멤브레인(9)은 인장 기구(25, 26, 27)와 연결된다.
Figure P1020087000167
판형 요소, 가열판, 냉각판, 이송 수단, 멤브레인, 분리막

Description

복합 재료로부터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SHEET ELEMENTS FROM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복합 재료로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판(heated plate)과, 가열판 위에 있는 이송 경로를 따라서 상기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과, 가열판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부분과, 상부 부분에 배치된 멤브레인(membrane)과, 이송 수단과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고 가열판과 멤브레인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separating film)을 구비하고 있다.
복합 재료로 제작된 판형 요소, 예를 들어 광기전성 요소를 생산할 때, 다른 것 중에서 유리를 포함하여 여러 층들이 압력과 열의 영향 하에서 조립된다. 이 공정을 위해 요구되는 기계는 가열 가능한 적층 스테이션과, 냉각 스테이션과, 요소를 단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구비한다. 적층 스테이션은 가열판과 가열판으로 내릴 수 있는 상부 부분을 구비하며, 내려진 상태에서 가열판과 함께 밀폐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는 멤브레인이 제공된다. 이러한 챔버를 진공화함으로써 요소 주변에서 기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챔버와 대향하는 멤브레인 일면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해서 멤브레인이 가열판에 접촉되어 요소들이 함께 압착되게 된다.
판형 요소를 위한 이송 수단과 관련하여, 공지된 수단은 오물, 예를 들어 판 형 요소로부터 흘러나온 접착제로부터 가열판의 보호도 동시에 행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진공 멤브레인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공지된 방법으로서는 판형 요소의 상부 표면을 덮고 있는 분리막을 상기 요소를 위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컨베이어 벨트와 분리막 둘 모두 순환 웨브(endless web)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의 단점은 순환 웨브가 그 순환 웨브를 이송시키고 회전시키는 롤러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어 기구가 제공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순환 웨브를 사용하는 대신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한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이동 경로의 일면에 배치되고 일례로 체인과 같은 견인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여러 구획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순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여러 구획부들이 스프링 요소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스프링 요소로 인하여, 구획부들은 이송 방향으로 인장 응력을 받게 되고, 이것은 압착력이 제거되자마자 요소 위에 놓여 있는 분리막의 구획부들이 상기 요소로부터 들어올려지게 한다. 분리막과 상기 요소들 사이에서 누출된 모든 접착제는 상기 요소를 향해 상부로 지향된 힘을 가하며, 이것은 특히 적층 스테이션에서 문제가 되는데 그 이유는 요소들의 여러 층 사이의 접착제가 이 단계에서는 아직 경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 공지된 기계의 경우에 있어서, 멤브레인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것은 다시 프레스가 밀폐될 때 주위로 연장된 밀봉부에 의해서 가열판과 그 가장자리에 대해서 밀봉된다. 프레임과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과는 별도로, 이와 같은 방식의 문제점은 프레싱 작업 중에 프레임 영역에서 멤브레인이 높은 인장력을 받는다는 점이다. 프레싱 중에 멤브레인이 찢어지면 적층될 판형 요소에 손상 을 유발할 수 있다. 작업 중에, 멤브레인은 높은 온도 변화에 노출되고, 그 결과 멤브레인은 매 작업 사이클에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한다. 멤브레인이 프레임에 너무 느슨하게 유지되면 주름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다시 팽팽해져야 한다. 차후에 주름을 팽팽하게 하는 작업은 프레임이 제거되어야 하고 그리고 나서 주름을 편 후에 다시 나사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이 없는 적층 기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분리막이 여러 구획부들로 분할되고 매 구획부가 이송 경로와 교차하는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배타적으로 유지 수단에 의하여 유지되며, 상기 여러 구획부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유지 수단은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러한 방안의 장점은 분리막이 적층될 요소의 형태와 효과적으로 일치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데, 그 이유는 프레스가 개방될 때 분리막이 판형 요소에 느슨하게 놓여 있고 분리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인데, 이것은 분리막에 의해서 상기 요소로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 구성 부재를 절약할 수 있고 공지 기계의 경우에 수행되어야 하는 분리막의 구획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것과 관련된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수단은 주위로 연장하는 견인 수단, 구체적으로 체인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견인 수단은 가열판 옆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이송 기구와 손쉽게 동기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막의 구획부들은 풀리 수단에 의해서 원형으로 안내되며, 구획부들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으로 안내되는 영역에서는 강모가 구획부들의 두 표면 중 적어도 한 표면을 향하는 브러시 형태의 가이드가 제공된다. 이러한 가이드가 없다면, 이송 방향에서 봤을 때 뒤쪽의 분리막의 구획부들은 단지 전방 단부에서만 유지 수단에 의해 효율적으로 유지되고 이와 같은 영역에서 아래로 떨어져서 상기 요소가 기계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수단은 C자형 부분을 가지며, 상기 C자형 부분의 길이 방향 오리피스 안으로 상기 구획부의 밀폐된 루프가 연장하며, C자형 부분 안에 정착 바(anchoring bar)가 수용되며, C자형 부분의 직경은 오리피스의 폭보다 크다. 이와 같은 유지 수단은 매우 단순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분리막의 구획부가 주름 없이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 멤브레인이 가열판을 향하는 상부 부분의 주위로 연장하는 외주 표면에 대향하여 놓여 있고, 멤브레인이 과도한 외측 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주 표면에 대향하여 놓여 있는 표면의 영역을 밀봉하는 배열로 가열판 또는 그 가장자리의 표면에 맞게 설치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이 상부 부분에 배치된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에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와 같은 방안의 중요 장점은 멤브레인 그 자체가 이와 함께 밀폐된 챔버를 형성하는 가열판에 밀봉부를 제공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데, 이 때 분리막과 선택적으로 이송수단은 중간에 삽입되지만 그러나 프레임은 추가적인 밀봉부를 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착 작업 중에 인장력이 멤브레인에 거의 작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멤브레인이 고정되는 구역이 배경 기술에서와 같이 가열판 위가 아니라 가열판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멤브레인의 최대 인장력은 프레스가 개방될 때까지 발휘되지 않으며, 그 결과 발생할 수도 있는 멤브레인의 모든 찢어짐 현상은 적층된 요소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미리 정해진 클램핑 작용이 클램핑 수단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고 이러한 클램핑 작용이 멤브레인에서 유지될 수 있음으로써 멤브레인의 과도한 변형률과 주름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 수단은 클램프 기구에 의해 멤브레인에 연결된다. 클램프 기구는 공지의 방식으로 찢어서 개방할 수 있는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에 구멍을 제공하지 않고서도 멤브레인이 유지되고 조여지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클램프 기구는 두 개의 클램핑 조(clamping jaw)를 포함하는데, 상기 클램핑 조는 나사에 의해서 서로 조여질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홈을 구비하며 두 개의 클램핑 조 사이에서 멤브레인을 조이며, 멤브레인을 변형시키는 부분은 여러 홈 중 적어도 한 홈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저비용의 특징부들은 강력한 핀칭(pinching) 작용에 의한 과도한 변형률 없이 신뢰성이 매우 높게 멤브레인이 고정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램핑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힘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포함한다. 스프링과 같이 힘을 저장하는 기구와 달리 서보 모터와 같은 장치가 힘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멤브레인의 길이가 크게 변화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클램핑 작용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힘 발생 장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이다. 이러한 유닛은 공간을 절약하며 특히 조작하기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힘 발생 장치는 견인 수단을 통해 멤브레인에 연결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기계 상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이 남아 있는 곳에 힘 발생 장치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로서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기계의 실시예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상세를 도 1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와 동일한 부분의 상세를 서로 다른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도시한 도면.
도 4는 분리막을 위한 유지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멤브레인의 클램핑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진 유형의 기계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
우선,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기술된 동일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부품 명칭으로 표시되며 명세서에 걸쳐서 개시된 내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부품 명칭을 가지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의미상 전치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연하다. 또한, 상부, 하부, 측면 등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된 위치는 특정적으로 설명되고 있는 도면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또 다른 위치가 설명될 때에는 새로운 위치를 의미하는 관점에서 바꾸어 쓰일 수도 있다.
예로서 예시하고 있는 실시예들은 기계의 가능한 설계상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특정하여 예시된 그와 같은 설계상의 변화에 국한되지 않고 대신에 개개의 설계상 변화는 서로 달리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가능한 변화는 개시된 기술적 교시 사항과 관련한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설계상 변화의 개별적 상세 사항들을 조합해서 얻을 수 있는 구상 가능한 모든 설계상의 변화가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보기 좋게 정렬하기 위하여 마지막으로, 기계의 구조를 보다 명료히 이해하도록 기계와 기계의 구성 부분들은 어느 정도 축척을 벗어나거나 그리고/또는 확대하거나 그리고/또는 축소하여 도해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기계(1)의 일 실시예의 종축을 따라 자른 단면을 아주 단순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당연히 본 기계는 프레임에 장착되지만 프레임은 명료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기계에서, 광기전성 요소와 같은 판형 요소(4)는 이송 수단(6)에 의해 적층 스테이션(2)으로 이송되며, 적층 스테이션에서 상기 요소(4)들은 압력과 열의 영향 하에서 적층된다. 다음으로 판형 요소(4)는 화살표 방향(31)으로 이송 수단(6)에 의하여 냉각 스테이션(3)으로 이송되며, 상기 냉각 스테이션에서 상기 요소들은 소정의 기간 동안 압 력 하에서 유지된다. 본질적으로 적층 스테이션(2)은 가열판(heated plate, 5)과 가열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부분(8)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 12는 리프팅 드라이브(lifting drive)를 표시하며, 이에 의해서 상부 부분(8)이 가열판(5)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 부분(8)은 그 하부면에서 멤브레인(9)을 내리 누르며, 멤브레인은 상부 부분(8)이 내려진 상태에 있을 때 진공화될 수 있는 가열판(5)과 함께 밀폐된 챔버를 형성한다. 챔버가 진공화될 때, 적층될 요소(4)는 가열판(5)에 대해 멤브레인(9)에 의해서 압착되며 상기 요소(4)의 여러 층들 사이에 여전히 존재할 수 있는 기체 함유물이 제거되며 요소(4)들의 여러 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는 압력 및/또는 열로 인해 활성화된다. 챔버(16)는 멤브레인(9)과 중간벽(14) 사이의 상부 부분(8)에 형성되며 멤브레인(9)을 올리거나 아래로 밀기 위하여 음압 또는 양압이 상기 챔버에 인가될 수 있다. 상부 부분에 제공된 공동(13)은 중간벽(14)에 배치된 오리피스(15)를 통해서 챔버와 교통한다.
냉각 스테이션(3)은 본질적으로 냉각판(21)과 상부 부분(2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분은 리프팅 드라이브(22)에 의해서 냉각판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적층 스테이션(2)의 상부 부분(8)과 같이 비슷하게 멤브레인(29)을 압착한다.
이와 같은 예에서 이송 수단(6)은 평탄한 가요성 재료로 된 직사각형 구획부(7)들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구획부들은 이송 방향(31)에서 전방 가장자리에 의해서 그리고 이송 방향의 후방 가장자리에서는 유지 수단(23)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송 수단(6)의 두 인접한 구획부(7)의 유지 수단(23)은 스프링(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송 수단(6)은 풀리 블록(18) 주위에서 안내되는 순환 루프를 형성하며, 이것의 재순환 스트랜드는 냉각판(21)과 가열판(5) 아래로 안내된다.
분리막(10)은 모든 요소(4) 각각에 또는 요소(4)들 집단 위에 흡입 단부(30)에서 기계(1) 내측으로 인장됨 없이 놓여지며, 이것은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요소(4)에서 흘러나온 접착제로 인해 멤브레인(9)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적층 스테이션(2)을 개방할 때 특히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힘이 요소(4)들의 개별 층들 사이의 상대 운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막(10)의 각 구획부들은 이송 방향에 수직인 이송 방향(31)의 선두 가장자리에서 유지 수단(32)에 의해서 본 명세서에서 예시로서 도시된 실시예의 구획부의 형태로 유지되며, 이것은 이송 경로의 양 단부에 배치된, 일례로서 체인과 같은 견인 수단 드라이브에 의해서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유지 수단(32)은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분리막(10)의 구획부(11)들의 다른 가장자리들은 자유 가장자리이며, 따라서 각 구획부들은 기계(1)로 이송될 때 요소(4)에 느슨하게 놓여 있다. 이것은 적층 스테이션(2)을 떠나 냉각 스테이션(3)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요소(4)들이 이곳에서 여전히 뜨거우며 개개의 층을 결합하는 접착제가 아직 경화되지 않았고 따라서 접착성이 있고 흐르는 경향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의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기계에서와 같이 분리막이 이 방향에서 인장되면 이것은 층들 사이의 원하지 않는 상대 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장치가 선행기술의 것보다 우수한 다른 장점은 분리막(10)의 각 구획부의 일 측에 유지 수단이 필요 없을 수 있으며 구획부들을 연결하는 스프링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유지 수단(32)을 움직이는 견인 수단 드라이브는 원 형태로 작동하 며 분리막(10)의 구획부(11)들은 풀리 블록(17)에 의해 안내되며, 그 결과 각 구획부들이 냉각 스테이션(3)과 적층 스테이션(2)의 각 상부 부분(28, 8) 위에서 도 1의 좌측에 있는 기계(1)의 흡입 단부(30)로 공급된다.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들이 기계 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가로질러 분리막(10) 각 구획부의 자유 단부(19)가 끌어 당겨진다. 구획부(11)들이 흡입 단부(30)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되돌려지는 영역으로 구획부(11)들이 단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는 이 때 이송 방향(31)을 향하는 긴 브러시(20) 형태로 제공된다. 분리막(10)의 양면에 강성 있는 가이드가 배치되는 것은 부적절한데 그 이유는 유지 수단이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만큼 가이드들이 서로 떨어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공간 내에서 분리막(10)은 그 분리막(10)의 강성에 따라서는 가이들 사이에서 뒤로 그리고 앞으로 접힐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게도 절곡이 유발된다. 반면에, 분리막(10)의 양측의 브러시는 그 상부 표면만큼 떨어진 곳에 이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브러시의 강모가 구부러짐으로써 유지 수단이 아무 어려움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송 수단(6)과 분리막(10)이 냉각 스테이션(3)을 떠나 기계(1)의 흡입 단부(30)로 돌아갈 때 향하는 방향에 세정 기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접착제 잔여물과 같은 모든 오염물이 이송 수단(6)과 분리막(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수단(6)과 분리막(10)은 동일한 길이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아주 용이하게 분리막(10)은 이송 수단(6)보다 하나 이상의 구획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개방된 상태, 즉 상부 부분(8)이 올려졌을 때의 적층 스테이션(2)을 확대된 축척으로 나타낸 도 1의 상세도이다. 적층될 요소(4)는 가열판(5)에 위치하며 이 때 이송 수단의 일 구획부(7)가 중간에 배치되며 분리막의 일 구획부(11)에 의해서 덮인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획부(11)의 유지 수단(32)과, 또 다른 구획부(7)의 유지 수단(23)과 구획부(23)들을 상호 연결하는 스프링(24)은 상부 부분이 아래로 이동될 때 상부 부분(8)에 의해서 이들이 고정되도록 위치된다. 구획부(11)의 유지 수단(32)과 또 다른 구획부(7)의 유지 수단(23)은 이송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 되어 이들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멤브레인(9)은 상부 부분(8)의 가장자리(46) 주위에서 안내되며, 밀봉부(34)는 멤브레인(9)과 상부 부분(8)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멤브레인(9)의 가장자리는 클램프 드라이브(25)와 함께 작동하는 클램프 기구(33)에 의해 유지된다. 클램프 드라이브(25)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또는 공압 구동 피스톤-실린더 유닛의 형태로 제공된다.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클램프 드라이브(25)가 상부 부분(8) 위에 배치되고 그 힘이 예를 들어 풀리 블록(27)에 의해 공급되는 바우덴 케이블(Bowden cable)과 같은 견인 수단(26)에 의해서 클램프 기구(33)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 드라이브(25)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이 멤브레인(9)에 유지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이것은 기계의 제어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밀폐된 상태에 있는 적층 스테이션, 즉 주위로 연장하는 하부 가장자리(46)가 밀봉부(34), 멤브레인(9), 분리막의 구획부(11), 그리고 이송 수단(6)의 구획부(7)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가열판(5)과 그 가장자리에 대하여 밀봉 배열 상 태로 압착할 때까지 상부 부분(8)이 리프팅 드라이브(12)에 의해서 내려진 상태에 있는 적층 스테이션을 도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가열판(5)과 멤브레인(9) 사이의 밀폐된 챔버(35)가 형성되며, 여기에 적층될 요소(4)가 배치된다. 이 때 이와 같은 챔버(35)는 진공화되어 기체가 요소(4) 주위에서 제거되며, 멤브레인(9)은 요소(4)에 타이트하게 놓여 있는 한 편 분리막(10)의 구획부(11)는 요소의 상부에 느슨하게 놓여있다.
도 4는 분리막(10)의 구획부(11)의 유지 수단(32)의 일례로서 일 실시예를 이전 도면들보다 보다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분리막(10)의 구획부(11)에는 일 가장자리에 루프(36)가 제공되며, 이 루프는 이것을 접어서 용접, 접착 또는 스티칭(stitching)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루프(36)는 정착 바(38)에 의해서 C자형 구획부(37)의 길이 방향 오리피스에 유지되며 그 직경은 상기 오리피스의 폭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정착 바는 관형이다.
도 5는 상기의 도 2 및 도 3보다 보다 큰 축척으로 도시된 멤브레인(9)을 위한 클램프 기구를 나타낸다. 멤브레인(9)은 두 개의 클램핑 조(39, 40) 사이에서 고정되며, 이 중에서 한 클램핑 조(39)는 견인 수단(26)에 연결되나 그러나 이것은 도시되지는 않았다. 클램프 기구(33)에서 멤브레인(9)이 보다 잘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클램핑 조(40)에는 또한 피팅 구획부(42)가 설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제공된다. 클램핑 조(39)는 또한 피팅 구획부의 영역에 홈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멤브레인(9)은 조여지자마자 둘레에서 휘어지며, 이것은 찢어지는 것에 대한 마찰 저항력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나사(41)는 클램핑 조(39, 40)를 함께 조 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6은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진 유형의 적층 프레스의 디테일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멤브레인(9)은 상부 부분(8)에 부착된 클램핑 프레임(43)에 의해서 고정된다. 클램핑 프레임(43)은 멤브레인(9)에 제공되는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45)에 의해서 상부 부분의 플랜지에 단단하게 나사 체결된다. 가열판(5)과 그 가장자리의 프레임(43)을 밀봉하기 위하여 클램핑 프레임(43)에 밀봉부(44)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면 부호 목록
1: 기계
2: 적층 스테이션
3: 냉각 스테이션
4: 판형 요소
5: 가열판(heated plate)
6: 이송 수단
7: 이송 수단(6)의 구획부
8: 적층 스테이션(2)의 상부 부분
9: 멤브레인
10: 분리막
11: 분리막(10)의 구획부
12: 적층 스테이션의 상부 부분(8)을 위한 리프팅 드라이브
13: 적층 스테이션의 상부 부분(8)의 공동
14: 적층 스테이션의 상부 부분(8)의 중간 벽
15: 적층 스테이션의 상부 부분의 중간 벽(14)의 오리피스
16: 챔버
17: 분리막(10)을 위한 풀리 블록
18: 이송 수단(6)을 위한 풀리 블록
19: 분리막(10)의 자유 단부
20: 브러시
21: 냉각판
22: 냉각 스테이션의 상부 부분(28)을 위한 리프팅 드라이브
23: 이송 수단(6)을 위한 유지 수단
24: 스프링
25: 클램프 드라이브
26: 견인 기구
27: 풀리 블록
28: 냉각 스테이션(3)의 상부 부분
29: 멤브레인
30: 흡입 단부
31: 이송 기구
32: 분리막의 구획부(11)를 위한 유지 수단
33: 클램프 기구
34: 밀봉부
35: 챔버
36: 루프
37: C자형 구획부
38: 바
39: 클램핑 조
40: 클램핑 조
41: 나사
42: 피팅 구획부
43: 클램핑 프레임
44: 밀봉부
45: 나사
46: 외주 표면

Claims (10)

  1. 가열판(5)과, 가열판(5)을 가로지르는 이송 방향을 따라 판형 요소(4)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6)과, 가열판(5)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부분(8)과, 상부 부분(8)에 배치된 멤브레인(9)과, 이송 수단과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고 가열판(5)과 멤브레인(9)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10)을 구비하는 복합 재료로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에 있어서,
    분리막(10)은 여러 구획부(11)들로 분할되고,
    모든 구획부(11)는 이송 경로를 가로질러 향하는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유지 수단(32)에 의해 배타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구획부(11)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유지 수단(32)은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서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수단은 순환 견인 수단, 특히 체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1)들은 풀리 수단(17)에 의해서 원형으로 안내되며,
    상기 구획부(11)들이 본질적으로 수직인 아래 방향으로 공급되는 영역에서 가이드들이 강모가 상기 구획부(11)들의 두 표면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는 브러시(20)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32)은 C자형 구획부(37)를 포함하고,
    상기 C자형 구획부의 길이 방향 오리피스 내로 상기 구획부(11)의 밀폐된 루프(36)가 연장하고,
    상기 C자형 구획부에 정착 바(38)가 수용되며,
    상기 C자형 구획부의 직경은 오리피스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5. 가열판(5)과 가열판(5)을 가로질러 인도하는 이송 방향을 따라 판형 요소(4)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6)과, 가열판(5)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부분(8)과, 상부 부분(8)에 배치된 멤브레인(9)과, 이송 수단과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는 가열판(5)과 멤브레인(9)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을 구비하는 복합 재료로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9)은 가열판(5)을 향하는 상부 부분(8)의 주위로 연장하는 외주 표면(46)에 대향해서 놓여 있고,
    상기 멤브레인은 과도한 외측 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주 표면 반대편에 놓여 있는 표면의 영역이 가열판(5) 또는 그 가장자리의 표면에 밀봉 배열로 결 합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멤브레인(9)은 상부 부분(8)에 배치된 클램핑 수단(25, 26, 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6.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25, 26, 27)은 클램프 기구(33)에 의해서 멤브레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모든 클램프 기구(33)는 두 개의 클램핑 조(39, 40)를 포함하는데, 상기 클램핑 조는 나사(41)에 의해서 서로 조여질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홈을 구비하며 클램핑 조 사이에서 멤브레인을 조이며,
    멤브레인을 휘게 하는 구획부는 여러 홈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힘을 발생 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힘 발생 장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힘 발생 장치(25)는 견인 수단(26)을 통해서 멤브레인(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KR1020087000167A 2005-06-03 2006-06-01 복합 재료로부터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 KR200800217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950/05 2005-06-03
CH9502005 2005-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762A true KR20080021762A (ko) 2008-03-07

Family

ID=3688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167A KR20080021762A (ko) 2005-06-03 2006-06-01 복합 재료로부터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122929B2 (ko)
EP (2) EP2295246B1 (ko)
JP (1) JP4908504B2 (ko)
KR (1) KR20080021762A (ko)
CN (2) CN101291810B (ko)
AT (1) ATE550182T1 (ko)
AU (2) AU2006254342B2 (ko)
BR (1) BRPI0611135A2 (ko)
CA (1) CA2611058A1 (ko)
ES (1) ES2387297T3 (ko)
MX (1) MX2007015237A (ko)
RU (1) RU2374073C2 (ko)
WO (1) WO20061286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5380A1 (de) 2007-05-30 2008-12-04 Robert Bürkle GmbH Mehretagen-Laminierpresse
AT506369B1 (de) * 2008-01-23 2011-08-15 3S Swiss Solar Systems Ag Spannschiene für eine membrane einer membranpresse
DE202008008799U1 (de) 2008-07-01 2008-09-11 Robert Bürkle GmbH Laminierpresse zum Laminieren von Werkstücken unter Druck- und Wärmeeinwirkung
DE102008030927A1 (de) 2008-07-02 2009-10-22 Robert Bürkl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minieren von im Wesentliche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unter Druck- und Wärmeeinwirkung
DE102008033631A1 (de) 2008-07-17 2010-01-21 Robert Bürkl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von Verbundwerkstücken aus miteinander laminierten Schichten
DE102008044862A1 (de) 2008-08-28 2010-03-04 Robert Bürkle GmbH Verfahren und Laminierpresse zum Laminieren von Werkstücken
DE102009002023B4 (de) * 2009-03-31 2013-04-04 Hans Gerd Stevens Laminationsvorrichtung
DE102009020172A1 (de) * 2009-05-07 2010-11-11 Robert Bürkle GmbH Presse zum Laminieren von im Wesentliche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DE102009042148B8 (de) 2009-09-14 2019-12-12 Schmid Technology Systems Gmbh Etagenpres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DE102009048999A1 (de) * 2009-10-09 2010-07-29 Fotoverbundglas Mar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bundsicherheitsglas
CN102582197A (zh) * 2012-02-07 2012-07-18 天津市昕源泰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太阳电池组件的层压装置和层压方法
CN104769418B (zh) * 2012-06-19 2018-04-03 克莱因医学有限公司 光谱分析
WO2014046810A1 (en) * 2012-09-24 2014-03-27 Dow Corn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 curing photovoltaic cell module preassemblies
CZ304597B6 (cs) * 2013-03-26 2014-07-23 Univerzita Tomáše Bati ve Zlíně Přítlačná membrána pro vakuové lisování dílců z polymerních kompozitů
DE102019005916A1 (de) * 2019-08-22 2021-02-25 Siempelkamp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Verfahren zum Vorspannen der Membran einer Membranpresse und Presse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KR20210152065A (ko) * 2020-06-05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E102021000928A1 (de) * 2021-02-22 2022-08-25 Siempelkamp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Presse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TWI794116B (zh) * 2021-10-28 2023-02-2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貼合裝置及貼合模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7273A1 (de) 1980-05-06 1981-11-12 Helmut Friz Gmbh & Co, 7102 Weinsberg Membranformpresse
IT1146791B (it) * 1981-05-27 1986-11-19 Valerio Savorgnan Procedimento e attrezzatura per l'incollaggio mediante pressa di sfogliati sottili su superfici curve e/o piane
JP3655076B2 (ja) * 1998-01-07 2005-06-02 株式会社エヌ・ピー・シー ラミネート装置
JP3546346B2 (ja) * 1998-05-20 2004-07-28 株式会社名機製作所 真空式ラミネータ装置及びその方法
JP4354029B2 (ja) * 1998-09-04 2009-10-28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装置における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8236A1 (en) 2012-06-07
WO2006128699A3 (de) 2007-04-19
CN101291810B (zh) 2011-07-27
JP2008542071A (ja) 2008-11-27
EP2295246A1 (de) 2011-03-16
BRPI0611135A2 (pt) 2010-08-17
JP4908504B2 (ja) 2012-04-04
CN101291810A (zh) 2008-10-22
EP1907209B1 (de) 2012-03-21
WO2006128699A2 (de) 2006-12-07
ES2387297T3 (es) 2012-09-20
US20110146916A1 (en) 2011-06-23
CN101941322A (zh) 2011-01-12
CN101941322B (zh) 2014-09-24
EP2295246B1 (de) 2012-05-30
MX2007015237A (es) 2008-02-21
ATE550182T1 (de) 2012-04-15
US8122929B2 (en) 2012-02-28
RU2007148929A (ru) 2009-07-20
AU2011200639A1 (en) 2011-03-10
EP1907209A2 (de) 2008-04-09
CA2611058A1 (en) 2006-12-07
AU2006254342A1 (en) 2006-12-07
RU2374073C2 (ru) 2009-11-27
AU2011200639B2 (en) 2012-02-02
AU2006254342B2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1762A (ko) 복합 재료로부터 판형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
KR100276131B1 (ko) 탄성적으로 압축된 제품의 적층체를 플라스틱 필름 튜브내로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CN1694834A (zh) 具有可自闭合注口的包装袋及其制造方法
US4169344A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cushioning and insulating material
CN103863600B (zh) 热成形包装机和方法
DK2112072T3 (da) Remdrevet klemmearrangement til at gribe og fremføre baneformet materiale i en emballeringsmaskine
AU2006332100A1 (en) Hood packaging installation with device for producing side folds
CN112249428A (zh) 一种真空覆膜机
KR100943369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트 포장기
CN103879819B (zh) 大型复合膜智能真空封膜机
US20170072655A1 (en) Sealing unit, seal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or gas filled bags, and air or gas filled bag
CN216443927U (zh) 一种光伏硅片用热封机
KR20200071482A (ko) 비닐장갑 제조기의 비닐장갑 접이장치
JP2016141397A (ja) 包装機
JP2754379B2 (ja) 繊維製品の包装装置
JP3612647B2 (ja) 袋詰品シール装置
JP2011031304A (ja) プレス機およびこのプレス機に対する加工物搬送方法
JP6595799B2 (ja) 包装機
JPS6212085B2 (ko)
CN214777090U (zh) 一种易撕薄膜包装机
US20020020505A1 (en) Device for heat sealing
JP4164766B2 (ja) 袋詰品シール方法
JP2010058402A (ja) 真空プレス装置
CN108454954A (zh) 塑料膜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