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341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341A
KR20080021341A KR1020060084649A KR20060084649A KR20080021341A KR 20080021341 A KR20080021341 A KR 20080021341A KR 1020060084649 A KR1020060084649 A KR 1020060084649A KR 20060084649 A KR20060084649 A KR 20060084649A KR 20080021341 A KR20080021341 A KR 2008002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mmand
command value
light source
un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일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1341A/ko
Priority to US11/806,141 priority patent/US20080055301A1/en
Priority to CNA2007101390565A priority patent/CN101140734A/zh
Priority to EP07112988A priority patent/EP1898678A1/en
Publication of KR2008002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영상의 밝기에 따른 전류지령값을 출력하는 전류지령부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여,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영상의 밝기에 따른 상기 광원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도록 상기 전류지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동일한 전류지령에 대해 생기는 장치별 오프셋값을 없애고,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후 광원이 발광하는 데 걸리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THEREOF}
도 1a 및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동일한 전류지령에 대해 출력되는 전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광원 20 : 트랜지스터
30 : 전류검출부 40 : 전류지령부
40a : DMD 제어보드 40b : 디지털 로직블록
40c : 전류컨트롤러 40d : D/A 변환부
50 : 제어부 50a : 전압비교부
50b : 지연시간산출부 6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근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는 광원으로서, 종래의 UHP (Ultra High Power) 램프에 비해 넓은 영역의 색 표현이 가능하고, 광원의 구동 지시가 있는 경우 즉각적으로 광출력을 얻을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이하 LED (Light-Emitting Diode)라 함)를 주로 이용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에 표시될 영상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류지령값을 생성하여 적절한 시점에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으로 가공하여 LED 구동회로로 전달함으로써 광원을 발광시킨다. 그런데, 디지털 전류지령값을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으로 변환하는 D/A컨버터의 기준전압 및 LED 구동회로에 포함된 부품의 산포 등으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오프셋값이 발생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동일한 디지털 전류지령값에 대해 출력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이 달라지는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에 공급되어야 할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으로 변환되면서 음의 오프셋값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1의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전달되어도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은 0보다 작은 값이 되므로 광원이 발광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에 공급되어야 할 디지털 전류지령 값이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으로 변환되면서 양의 오프셋값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광원이 발광하지 않도록 0의 디지털 전류지령값을 전달하여도 아날로그 전류지령값이 1보다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이 발광하지 않도록 0의 전류지령값을 전달하여도 광원이 발광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a의 경우와 같이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음의 오프셋값을 가지도록 하되 오프셋값을 충분히 작도록 LED 구동회로를 설계하였다.
그러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시간(Td) 즉,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전달된 후 광원이 발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오프셋값이 작은 경우 더욱 길어지기 때문에 LED구동회로의 응답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전류지령에 대해 생기는 장치별 오프셋값을 없애고, 전류지령값이 전달된 후 광원이 발광하는 데 걸리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영상의 밝기에 따른 전류지령값을 출력하는 전류지령부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여,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영 상의 밝기에 따른 상기 광원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도록 상기 전류지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발광이 시작되는 문턱전압보다 낮은 양의 기준전압과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구동전압을 비교하는 전압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위한 전류지령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은 상기 전류지령값의 변화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지령부로부터 상기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시점부터 상기 광원이 발광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지연시간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연시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지연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 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더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미러를 구비한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에 의해 출력되는 광신호를 상기 복수의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원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지령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광원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발광이 시작되는 문턱전압보다 낮은 양의 기준전압과 상기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구동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위한 전류지령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지령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기준전류지령값은 상기 전류지령값의 변화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시점부터 상기 광원이 발광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지연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더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광원(10)과, 트랜지스터(20)와, 전류검출부(30)와, 전류지령부(40)와, 제어부(50)와, 디스플레이부(60)를 포함한다.
광원(10)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0)에 광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광원(10)은 발광다이오드 (LED(Light-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원(10)은 복수의 LED소자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트랜지스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전류에 비례하는 전류를 광원(10)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트랜지스터(20)는 쌍극 접합 트랜지스터 (Bipolar Junction Transistor : BJT)와 MOSFE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 있는데, 이 중에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제어가 용이하며 온도 특성에 유리한 MOSFET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검출부(30)는 광원(1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전류 미러 (Current Mirror) 또는 전류 센서 (Current Sensor) 등을 이용하거나 광원(10)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압강하를 감지함으로써, 광원(10)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전류지령부(40)는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에 따른 전류지령값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지령부(40)는, DMD 제어보드(40a)와, 디지털 로직블록(40b)과, 전류컨트롤러(40c)를 포함할 수 있다.
DMD 제어보드(40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전류지령값을 생성하며, 마이컴,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디지털 로직블록(40b)은 DMD 제어보드(40a)로부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입력받아, 광원(10)이 발광해야 할 시점에 디지털 전류지령값을 출력하여 전류컨트롤러(40c)에 전달한다. 디지털 로직블록(40b)은 마이컴과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전류컨트롤러(40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A변환부(40d)와, OP-AMP를 포함하며, 전류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디지털 로직블록(40b)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일치하도록 트랜지스터(20)를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전류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여, 기준전류지령값을 영상의 밝기에 따른 광원(10)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도록 전류지령부(40)를 제어하며, 전압비교부(50a)와, 지연시간산출부(50b)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광원(10)의 발광이 시작되는 문턱전압보다 낮은 양의 기준전압을 미리 설정하고, 기준전압이 설정된 OP-AMP를 포함하는 전압비교부(50a)에 의해 트랜지스터(20)의 게이트로부터 감지된 구동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구동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증가시키도록 1의 상태를 출력하고, 구동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고, 이를 영상의 밝기에 따른 광원(10)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개시하도록 0의 상태를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전압비교부(50a)에 의해 1의 상태가 출력되면,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증가시킨다. 이후, LED 구동회로가 정상상태에 이르면, 제어부(50)는 구동전압과 기준전압을 다시 비교하여 전압비교부(50a) 로부터 1의 상태가 출력된 경우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전류지령값을 증가시키고, 0의 상태가 출력된 경우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고, 이를 영상의 밝기에 따른 광원(10)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개시하도록 전류지령부(4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50)는 전류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의 허용범위 내라 함은 광원(10)에 전류가 공급되지만 광원(10)이 실제로 발광하기 전의 전류값을 의미하며, 이를 기준으로 영상의 밝기에 따른 광원(10)의 목표전류지령값을 출력하면 동일한 전류지령에 대해 생기는 장치별 오프셋값을 없애고, 전류지령부(40)로부터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후 광원(10)이 발광하는 데 걸리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필요에 따라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기 위한 초기 전류지령값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고, 전압비교부(50a)에 의해 구동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1의 상태가 출력되도록 한 후, 전압비교부(50a)에 의해 1의 상태가 출력되면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감소시킴으로써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지연시간산출부(50b)는 디지털 로직블록(40b)으로부터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시점부터 광원(10)이 발광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지연시간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기준전류지령값이 양의 값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재설정함으로써, 전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로직블록(40b)으로부터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하여 출력되지 않는 경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50)는 결정된 기준전류지령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전류지령값이 반영된 전류가 광원(1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기준전류지령값의 결정을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기준전류지령값의 크기를 디지털 로직블록(40b)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증감하는 간격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전류지령값의 크기가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증감하는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면, 광원(10)에 공급되는 전류가 0보다 크면서도 최소값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의 디스플레이부(6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가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인 경우, 복수의 미러(Mirror)를 구비한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는 광원(10)에 의해 출력되는 광신호를 복수의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밝기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광원(1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지령값을 출력하도록 전류지령부(40)를 제어한다(S10). 다음, 제어부(50)는 단계 S10에서 출력된 전류지령값에 따라 광원(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전류검출부(30)를 통해 검출한다(S20). 그리고, 단계 S20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0).
단계 S20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S40), 단계 S30을 다시 수행하여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트랜지스터(20)의 게이트로부터 감지된 구동전압이 광원(10)의 발광이 시작되는 문턱전압보다 낮은 양의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전류지령값을 증가시키며, 반대로 구동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지령값을 감소시키도록 전류지령부(40)를 제어한다.
한편,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전류지령부(40)로부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한다(S50). 마지막으로, 제어부(50)는 단계 S50에서 결정된 기준전류지령값을 영상의 밝기에 따른 광원(10)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한다(S60).
위와 같은 단계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로직블록(40b)으로부터 디지털 전류지령값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하여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전류지령에 대해 생기는 장치별 오프셋값을 없애고, 전류지령값이 전달된 후 광원이 발광하는 데 걸리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LED구동회로의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영상의 밝기에 따른 전류지령값을 출력하는 전류지령부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여,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영상의 밝기에 따른 상기 광원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도록 상기 전류지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발광이 시작되는 문턱전압보다 낮은 양의 기준전압과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구동전압을 비교하는 전압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위한 전류지령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은 상기 전류지령값의 변화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지령부로부터 상기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시점부터 상기 광원이 발광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지연시간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연시간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지연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더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 (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미러를 구비한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에 의해 출력되는 광신호를 상기 복수의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광원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지령값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류값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상기 광원의 목표전류지령값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발광이 시작되는 문턱전압보다 낮은 양의 기준전압과 상기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구동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기 기준전압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된 전류지령값을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발광을 위한 전류지령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지령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준전류지령값은 상기 전류지령값의 변화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지령값이 출력된 시점부터 상기 광원이 발광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지연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기준전류지령값을 소정값만큼 더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 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방법.
KR1020060084649A 2006-09-04 2006-09-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KR20080021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649A KR20080021341A (ko) 2006-09-04 2006-09-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US11/806,141 US20080055301A1 (en) 2006-09-04 2007-05-30 Display apparatus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390565A CN101140734A (zh) 2006-09-04 2007-07-24 显示装置及其亮度控制方法
EP07112988A EP1898678A1 (en) 2006-09-04 2007-07-24 Display apparatus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649A KR20080021341A (ko) 2006-09-04 2006-09-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341A true KR20080021341A (ko) 2008-03-07

Family

ID=3869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649A KR20080021341A (ko) 2006-09-04 2006-09-0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55301A1 (ko)
EP (1) EP1898678A1 (ko)
KR (1) KR20080021341A (ko)
CN (1) CN101140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7543B (zh) * 2009-07-14 2012-02-1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用于调整该投影装置的驱动电压的方法
KR101182148B1 (ko) * 2011-10-07 2012-09-13 주식회사 지티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 검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262A (ko) * 2009-03-13 2010-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구동 장치
CN103323218B (zh) * 2013-06-20 2016-04-13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机的亮度检测校正方法和系统
CN104835472B (zh) 2015-05-28 2018-01-02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驱动显示面板的驱动芯片、显示装置及驱动控制方法
US9728143B2 (en) * 2015-06-29 2017-08-0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28A (ja) * 1993-06-22 1995-01-17 Sharp Corp 液晶表示用バックライト輝度制御方法
US6081073A (en) * 1995-12-19 2000-06-27 Unisplay S.A. Matrix display with matched solid-state pixels
US6300878B1 (en) * 2000-01-13 2001-10-09 Cooper Industries, Inc. Constant current regulator using IGBT control
US7057359B2 (en) * 2003-10-28 2006-06-06 Au Op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current of illumination source in a display system
US7265499B2 (en) * 2003-12-16 2007-09-04 Microsemi Corporation Current-mode direct-drive inverter
KR100670008B1 (ko) * 2004-11-26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과 이를 가지는 프로젝션장치 및 프로젝션장치의광학엔진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7543B (zh) * 2009-07-14 2012-02-1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用于调整该投影装置的驱动电压的方法
KR101182148B1 (ko) * 2011-10-07 2012-09-13 주식회사 지티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8678A1 (en) 2008-03-12
CN101140734A (zh) 2008-03-12
US20080055301A1 (en)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759B2 (en) Projection equipment and a method of driving a light source lamp in projection equipment
KR101614662B1 (ko)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고려한 광원을 구비한 투영장치 및 투영방법
JP5014154B2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9699861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21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밝기제어방법
JP6186682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40477B2 (ja) 光源制御装置および画像投射装置
KR20070076338A (ko) 영상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84741A (ko)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179401A (ja) 駆動装置、光源駆動装置、光源装置、投影装置及び駆動方法
JP2011119037A (ja) 光源装置、投影装置及び投影方法
KR101352107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80068327A1 (en) Backlight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27420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5494140B2 (ja) 投影装置、ledアレイ故障検知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ledアレイ故障検知方法
JP2017201834A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77585A (ja) バックライトの輝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TWI412872B (zh) 具有自動調整投影亮度功能的投影裝置及方法
JP5082208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46004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186686B2 (ja) 表示装置、投影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73803A (ja) 光源装置、投影装置及び光源制御方法
JP2012063436A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8243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9069679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