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899A - 스토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토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899A
KR20080019899A KR1020060082409A KR20060082409A KR20080019899A KR 20080019899 A KR20080019899 A KR 20080019899A KR 1020060082409 A KR1020060082409 A KR 1020060082409A KR 20060082409 A KR20060082409 A KR 20060082409A KR 20080019899 A KR20080019899 A KR 20080019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 block
vertical frame
jaw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775B1 (ko
Inventor
신대호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6008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7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Abstract

스토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토커 장치는, 기립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블록; 및 레일블록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는 작업자와 소정의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며, 작업자가 수직프레임 상에서 추락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레일에 대한 레일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상태를 구속하는 안전고리용 조(Ja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작업자의 이동 시 불편을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단순한 구조로써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스토커(stocker), 크레인, 추락, 추락방지, 장치, 조(jaw)

Description

스토커 장치{Stocke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토커 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보관 시스템 1a : 선반
10 : 스토커 장치 12 : 스토커 본체
12b : 수직프레임 15 : 사다리
16 : 레일 17 : 연결선
20 : 카세트용 포크부 30 : 추락방지장치
31 : 레일블록 40 : 안전고리용 조
41 : 조몸체부 42 : 힌지축
44 : 연결부 46 : 이동구속부
47 : 스토퍼 48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스토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작업자의 이동 시 불편을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단순한 구조로써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스토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FPD)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로서, 이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평면디스플레이(FPD) 중 하나로서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장치(TFT-LCD)는, 2장의 얇은 상하 유리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하고 상하 유리기판의 전극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기존의 음극선관(CRT)을 대체하고 있다. 현재, 액정표시장치(LCD)는 전자시계를 비롯하여 전자계산기, TV, 노트북 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평면디스플레이에서 글래스(Glass) 기판의 역할과 기능은 중요한데, 이는 글래스 기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회로소자의 기능에 따라 평면디스플레이의 전체적인 품질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평면디스플레이의 글래스 기판은 그 특성상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취급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에서 글래스 기판을 훼손 없이 효율적으로 이송, 보관할 수 있다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평면디스플레이의 품질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평면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에서 임의의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기판들은 일반적으로 카세트(Cassette)에 탑재되는데, 글래스 기판들이 탑재된 카세트들은 다음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임의의 장비로 운반되기 전에, 각 공정을 수행하는 각 장비들의 글래스 기판 처리 능력 및 처리 시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버퍼링(buffering)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에 임시로 저장된 후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장비로 운반된다. 이 때에 카세트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스토커 장치가 사용된다. 스토커 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스토커 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반으로 카세트를 넣거나 선반으로부터 카세트를 반출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토커 장치는 보통 좌우의 폭이 대략 5 미터(m) 내외에 이르고, 상하의 높이가 대략 10 미터(m) 내외에 이를 정도로 장비가 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크기가 큰 스토커 장치에서, 기립하게 배치된 수직프레임들에는 스토커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과 같은 상부작업을 위하여 사다리가 갖춰진다. 이 에, 스토커 장치의 상부영역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해당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부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토커 장치에 있어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들에 단순히 사다리만이 갖춰져 있을 뿐, 사다리를 통해 오르내리는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이동 시 매번 사다리에 안전고리를 걸면서 이동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불편하거나 번거로울 수밖에 없으며, 만약 이를 소홀히 하는 경우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작업자의 이동 시 불편을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단순한 구조로써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스토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립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블록; 및 상기 레일블록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는 작업자와 소정의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추락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레일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상태를 구속하는 안전고리용 조(Ja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고리용 조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블록의 가로로 배치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몸체부; 상기 레일블록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조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레일블록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추락될 때, 상기 레일의 벽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레일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구속부는 상기 조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 치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 치형은 상기 조몸체부의 타단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몸체부 내에서 상기 힌지축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전고리용 조의 연결부에 대한 소정 한도의 상향 회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고리용 조의 연결부가 상향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는 사다리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은 상기 사다리의 일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블록은 상호 도브테일(Dove-Tail)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토커 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10)는, 카세트(C, Cassette)가 수용되는 복수의 선반(1a)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12)와, 스토커 본체(12)에 결합되어 선반(1a)에 카세트(C)를 적재하거나 선반(1a)으로부터 카세트(C)를 반출하기 위하여 카세트(C)를 핸들링하는 카세트용 포크부(20)를 구비한다.
카세트(C)에는 글래스(Glass) 기판(G)이 수납되며,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된 카세트(C)는 스토커 장치(10)에 의하여 핸들링되어 카세트 보관 시스템(1)의 선반(1a)에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선반(1a)으로부터 반출되어 필요한 장소로 운반된다.
즉, 스토커 장치(10)의 스토커 본체(12)가 레일(R)을 통하여 적재 및 반출이 필요한 선반(1a)으로 이동하면, 카세트용 포크부(20)가 카세트(C)를 카세트 보관 시스템(1)의 선반(1a)에 적재하거나 또는 선반(1a)으로부터 카세트(C)를 반출하여 스토커 본체(12)에 적재시킨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커 장치(10)는 레일(R)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바디(12a)와, 이동바디(12a)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기립되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b)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2b)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2c)을 구비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토커 장치(10)는 좌우의 폭, 즉 한 쌍의 수직프레임(12b) 사이의 거리가 대략 5 미터(m) 내외에 이르고, 상하의 높이, 즉 수직프레임(12b)의 높이가 대략 10 미터(m) 내외에 이르는 거대한 구조물이므로, 스토커 장치(10) 자체의 유지보수나 혹은 상부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직프레임(12b)의 상부로 올라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12b)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수단으로 사다리(15)가 더 구비된다. 사다리(15)는 수직프레임(12b) 전후면에 각각 마련된다.
카세트용 포크부(20)는, 글래스 기판(G)이 수납되는 카세트(C)를 선반(1a)에 적재하거나 선반(1a)에 적재된 카세트(C)를 반출하기 위하여 카세트(C)를 핸들링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카세트용 포크부(20)는, 수직프레임(12b)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1)와, 한 쌍의 슬라이딩부(2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양단부가 결합된 운반대(22)와,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운반대(22)에 결합되는 로봇암부(23)와, 한 쌍의 슬라이딩부(21)를 수직프레임(12b)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로봇암부(23)는, 일단부가 전방으로 전진 및 후퇴가능하게 운반대(22)에 결합되는 로봇암(24)과, 로봇암(24)의 단부에 결합되되 카세트(C)의 적재나 반출 작업 시 카세트(C)가 적재되는 포크(25)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선반(1a)에 적재된 카세트(C)를 반출하기 위해 슬라이딩부(21)가 상하로 승강하게 되어 운반대(22) 및 로봇암부(23)가 작업이 필요한 선반(1a)의 전방으로 위치하게 되면, 로봇암(24)이 전방으로 전진하여 포크(25)를 카세트(C)의 하부로 삽입하여 접촉 지지시키고 다시 로봇암(24)을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카세트(C)를 운반대(22)에 적재시키게 되며, 이 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반대로 선반(1a)으로 카세트(C)를 적재시키는 경우에는 그 역 과정을 통하여 운반대(22)에 적재된 카세트(C)를 선반(1a)으로 적재시킨다.
한편, 이러한 구성과 동작을 갖는 스토커 장치(10)에서 카세트용 포크부(20)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혹은 높은 위치의 선반(1a)으로 작업자가 직접 진입하여 유지보수 작업과 같은 상부작업을 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수직프레임(12b)에 마련된 사다리(15)를 통해서 수직프레임(12b)을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게 된다.
이처럼 사다리(15)를 통해서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이동 시 매번 사다리(15)에 안전고리를 걸면서 이동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불편을 야기하였고, 이를 소홀히 하는 경우, 추락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다 리(15)에 추락방지장치(30)를 마련함으로써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영역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토커 장치(10)에 구비된 추락방지장치(30)는 사다리(15)의 일측벽에 형성된 레일(16)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레일(16)이 사다리(15)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지만, 레일(16)이 사다리(15)가 아닌 수직프레임(12b)에 형성된다면 이 곳에 추락방지장치(30)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추락방지장치(30)는, 사다리(15)의 레일(16)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블록(31)과, 레일블록(3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사다리(15)를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는 작업자와 소정의 연결선(17)에 의해 연결되며, 작업자가 부주의 등으로 인해 사다리(15) 상에서 하방으로 추락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레일(16)에 대한 레일블록(31)의 슬라이딩 이동상태를 구속하는 안전고리용 조(40, Jaw)를 구비한다.
레일블록(31)이 레일(16) 상에서 상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6)과 레일블록(31)은 상호 도브테일(Dove-Tail)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레일(16)이 도면과 같이 단면 "T"형상을 갖는다면, 이에 부합되도록 레일블록(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레일블록(31)은 그 자체가 레일(16)에 결합되어 레일(16)을 따라 이 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혹은 중앙의 블록몸체(31a)는 단순히 레일(16)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되, 블록몸체(31a)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캡(31b,31c)들이 레일(16)에 도브테일(Dove-Tail) 결합되어 캡(31b,31c)들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안전고리용 조(40)는, 레일(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블록(31)의 가로로 배치된 힌지축(4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몸체부(41)와, 레일블록(31)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몸체부(41)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연결선(17)이 연결되는 연결부(44)와, 레일블록(31) 내부로 삽입된 조몸체부(4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레일(16)의 벽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레일(16)에 대한 레일블록(31)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구속부(46)를 갖는다.
조몸체부(4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자유곡선 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몸체부(41)의 일부분은 레일블록(31)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레일블록(31)의 내부로 삽입되며, 힌지축(42)에 의해 상하로 회동한다.
연결부(44)는 연결선(17)을 통해서 작업자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연결선(17)으로는 보통 로프(17, Rope) 등이 될 수 있는데, 로프(17)의 일단은 작업자에 결합되고 타단은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44)는 관통공(44)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몸체부(41)의 노출단 영역에 형성된다.
이동구속부(46)는 레일블록(31) 내로 삽입된 조몸체부(41)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 치형(46)에 의해 마련된다. 이러한 나사산 치형(46)은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가 하향 회동할 경우에 레일(16)의 벽면에 접하여 레일(16)의 벽면을 강하게 척킹함으로써, 레일블록(31)이 레일(16) 상에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레일블록(31)의 구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치형(46)이 조몸체부(41)의 타단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조몸체부(41)가 하향 회동할 경우, 나사산 치형(46)이 레일(16)의 벽면에 접하되, 좀 더 강한 힘으로 레일(16)의 벽면을 척킹할 수 있도록 나사산 치형(46)의 방향이 결정되면 더욱 좋다.
한편, 레일블록(31)의 내부에는 힌지축(42)의 하부영역에, 힌지축(42)과 나란하게 배치된 스토퍼(47)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47)는 안전고리용 조(40)의 과도한 상향 회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와 같이, 작업자가 A 방향으로 오르는 경우, 연결선(17)에 의해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는 힌지축(42)을 기점으로 하여 상향 회동하게 되는데, 이 때엔 조몸체부(41)의 측면부(41a)가 스토퍼(47)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안전고리용 조(40)의 과도한 상향 회동이 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47)에 의해 안전고리용 조(40)의 상향 회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레일블록(31)이 레일(16)을 따라서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힌지축(42)에는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가 상향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48)를 더 마련되어 있다. 이 때의 탄성부재(48)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으로 채용될 수 있는데, 그 일단은 레일블록(31)의 내벽에 고정 되고 타단은 조몸체부(41)에 고정되어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가 상향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추락방지장치(30)의 동작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토커 장치(10)의 상부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로프(17)의 일단을 자신의 몸에 걸고 타단을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에 고정시킨다. 고정 시 매듭을 져도 좋고 혹은 별도의 연결용 고리(미도시)를 사용해도 좋다.
로프(17)를 연결한 후, 작업자가 사다리(15)를 통해서 수직프레임(12b)의 상측으로 오르면, 도 5와 같이, 로프(17)가 연결부(44)를 상측으로 끌어올림에 따라서 안전고리용 조(40)는 힌지축(42)을 기점으로 하여 연결부(44)가 상향 회동한다. 그러면, 안전고리용 조(40)의 타단부에 형성된 이동구속부(46)는 레일(16)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레일블록(31)은 레일(16)을 따라서 상측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A 방향으로 작업자가 사다리(15)를 통해서 오르는 과정에서, 부주의 등의 원인에 의해 작업자가 사다리(15)로부터 추락하게 되면, 도 6의 B 방향으로 걸리는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안전고리용 조(40)의 연결부(44)는 힌지축(42)을 기점으로 하여 하향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전고리용 조(40)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 치형(46) 형태의 이동구속부(46)는 레일(16)의 벽면에 강하게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레일블록(31)의 하향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면으로 추락하지 않고 로프(17)에 의해 사다리(15)의 어느 일 위치에 매달린 상 태가 되므로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이 예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사다리(15)를 통해서 내려오는 경우에는, 안전고리용 조(40)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 치형(46) 형태의 이동구속부(46)가 레일(16)의 벽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면서 레일블록(31)을 끌고 내려오면 되므로 종래보다 불편하지는 않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작업자의 이동 시 불편을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단순한 구조로써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추락방지장치를 이루는 모든 요소들, 즉 레일블록 및 안전고리용 조 등은 적어도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서도 변형되지 않는 강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작업자의 이동 시 불편을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단순한 구조로써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립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블록; 및
    상기 레일블록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는 작업자와 소정의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추락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레일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상태를 구속하는 안전고리용 조(Ja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용 조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블록의 가로로 배치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몸체부;
    상기 레일블록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조몸체부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레일블록 내부로 삽입된 상기 조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서 추락될 때, 상기 레일의 벽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레일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속부는 상기 조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산 치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치형은 상기 조몸체부의 타단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몸체부 내에서 상기 힌지축과 나란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전고리용 조의 연결부에 대한 소정 한도의 상향 회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고리용 조의 연결부가 상향 회동하는 방향 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는 사다리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은 상기 사다리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블록은 상호 도브테일(Dove-Tail) 결합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KR1020060082409A 2006-08-29 2006-08-29 스토커 장치 KR10083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409A KR100832775B1 (ko) 2006-08-29 2006-08-29 스토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409A KR100832775B1 (ko) 2006-08-29 2006-08-29 스토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899A true KR20080019899A (ko) 2008-03-05
KR100832775B1 KR100832775B1 (ko) 2008-05-27

Family

ID=3939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409A KR100832775B1 (ko) 2006-08-29 2006-08-29 스토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7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467A (zh) * 2018-09-01 2019-02-01 浙江众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叉子预清洗的自动收集装置
KR20200045632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장치
KR102412361B1 (ko) * 2020-12-21 2022-06-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트레이 반송용 스토커 시스템
KR20220089358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트레이 반송용 스토커 시스템
CN114772126A (zh) * 2022-04-29 2022-07-22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多层平台升降式切换的物流仓库冷鲜储存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299B1 (ko) * 2017-09-22 2019-0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572A (en) 1980-03-11 1981-10-06 Daifuku Machinery Works Preventing device for falling of lifting gear
JPS5895019A (ja) 1981-11-30 1983-06-06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整列装置の間欠回転駆動装置
JPH01137905U (ko) * 1988-03-17 1989-09-20
US5005681A (en) * 1989-12-20 1991-04-09 Eaton-Kenway, Inc. Brake mechanism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467A (zh) * 2018-09-01 2019-02-01 浙江众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叉子预清洗的自动收集装置
KR20200045632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장치
KR102412361B1 (ko) * 2020-12-21 2022-06-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트레이 반송용 스토커 시스템
KR20220089358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트레이 반송용 스토커 시스템
CN114772126A (zh) * 2022-04-29 2022-07-22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多层平台升降式切换的物流仓库冷鲜储存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775B1 (ko) 200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775B1 (ko) 스토커 장치
US20060226093A1 (en) Glass cassette for loading glass substrates of display panels
KR101058187B1 (ko) 기판 보관용 카세트 시스템
KR100973190B1 (ko) 기판 이송용 카세트 및 기판 이송용 로봇, 그리고 그것들을구비한 기판 이송용 카세트 시스템
KR101613119B1 (ko) 스토커 장치
KR100998206B1 (ko) 스토커 장치
KR101640122B1 (ko) 스토커 티칭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43299B1 (ko) 스토커 장치
US10774588B2 (en) Cluster tool system with step ladder assembly
KR101203894B1 (ko) 기판 그립 장치
KR101979075B1 (ko) 클린룸용 스택커
KR101183040B1 (ko) 스토커 장치
KR20150100000A (ko) 스토커 장치
KR20150080749A (ko) 기판 이송장치용 승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이송장치
KR101712858B1 (ko) 스토커 장치
KR102070853B1 (ko) 스토커용 수평지지대의 수평 지지장치
KR100900962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070079152A (ko) 스토커 장치
CN109031893B (zh) 掩膜板存放区定位装置
KR101944499B1 (ko) 글라스 적재용 버퍼장치
JPWO2012060146A1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物品の搬出入方法
JP2010111513A (ja) 移送装置
JP2005263411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自動ティーチング装置
TWI401134B (zh) 調校治具和應用其之校正方法
KR101895273B1 (ko) 스토커용 헤더 회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