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566A -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566A
KR20080019566A KR1020070086666A KR20070086666A KR20080019566A KR 20080019566 A KR20080019566 A KR 20080019566A KR 1020070086666 A KR1020070086666 A KR 1020070086666A KR 20070086666 A KR20070086666 A KR 20070086666A KR 20080019566 A KR20080019566 A KR 2008001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main body
suction
rotating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962B1 (ko
Inventor
요시타카 스기야마
후미키 마노
다카유키 이치노
무네유키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1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청소성을 향상한 흡입구체를 제공한다.
흡입구 본체(1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바퀴(48)의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에 대해서, 마루면에 접촉하는 롤러(58)를 편심시킴으로써, 흡입구 본체 (11)의 주행방향을 반전시켰을 때에, 선회바퀴(48)가 선회하여 검출수단에 의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검출할 때까지의 동안, 회전청소체(26)의 회전방향을 소정방향으로 유지한다. 이 동안은 회전청소체(26)가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과의 소정의 관계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도 1(a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흡입구체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a2)는 상기 흡입구체의 이동방향을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a3)은 전술 흡입구체의 후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b1)은 상기 흡입구체의 전진상태에서의 선회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2)는 상기 흡입구체의 이동방향을 전환한 상태에서의 선회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3)는 상기 흡입구체의 후진상태에서의 선회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선회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흡입구체의 검출수단의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흡입구체의 케이스 부재를 이면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흡입구체의 케이스 부재와 회전청소체를 일체적으로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흡입구체의 상부 케이스, 케이스 부재 및 회전청소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흡입구체를 저부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흡입구체의 청소시의 이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흡입구체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a2)는 상기 흡입구체의 이동방향을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a3)은 상기 흡입구체의 후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b1)은 상기 흡입구체의 전진상태에서의 선회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2)는 상기 흡입구체의 이동방향을 전환한 상태에서의 선회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3)는 상기 흡입구체의 후진상태에서의 선회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2 : 전동송풍기
9 : 흡입구체
11 : 케이스체로서의 흡입구 본체
15 : 흡입구
26 : 회전청소체
27 :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
28 : 제어수단
48 : 선회부로서의 선회바퀴
57 : 선회부 본체로서의 선회바퀴 본체
58 : 접촉부재로서의 롤러
67 : 검출수단
A : 선회축
본 발명은,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는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에,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에 연이어 통하고, 호스체, 연장관 및 흡입구체를 차례차례 접속 가능하다. 이 흡입구체는, 가로로 긴 케이스체로서의 흡입구 본체의 뒷부분에, 연장관의 선단에 접속되는 접속관부를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구체로서는, 예를 들면 흡입구 본체에 전후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바퀴와 회전청소체에 벨트를 감아 돌려, 구동바퀴의 회전방향과 회전청소체의 회전방향을 동일방향으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250725호(제 3∼4페이지, 도 2∼4)
그러나, 상술한 전기청소기에서는, 흡입구 본체를 어느 방향으로 주행시켜도, 또한, 흡입구 본체의 주행방향을 전환해도, 회전청소체가 흡입구 본체의 주행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는데 불과하여, 청소성이 양호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소성을 향상한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입구를 갖는 케이스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 본체, 및, 이 선회부 본체의 선회축에 대해서 편심지게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한 선회부와, 이 선회부의 선회각도에 따라서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청소체와, 이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케이스체의 이동방향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소정방향으로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선회부의 선회개시로부터 검출수단이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검출할 때까지의 동안은, 회전청소체의 회전방향을 소정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1은 청소기 본체이고, 이 청소기 본체(1)는, 내부에 수용된 전동송풍기(2)의 구동에서 생기는 흡기풍과 함께 빨아들인 먼지를, 착탈 가능한 도시하지 않는 집진팩으로 집진한다.
또한, 이 청소기 본체(1)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본체 흡입구(3)가 개구되어 있다. 이 본체 흡입구(3)에는,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만곡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형상의 호스체(4)가 연이어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체 (4)의 선단에는, 전동송풍기(2)의 동작모드 등이 선택 가능한 손잡이 조작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 조작부(5)에는, 청소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 부(6)가 기단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이 파지부(6)에는, 청소기 본체(1)내의 전동송풍기(2) 등을 복수의 동작모드로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버튼(7)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손잡이 조작부(5)의 선단에는,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형상의 연장관(8)이 착탈 가능하게 연이어 통하여 접속되고 있다. 즉, 연장관(8)은, 호스체(4)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의 흡입측에 연이어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연장관(8)의 선단에는, 예를 들면 실내의 피청소면으로서의 마루면의 융단 등의 위에 얹어놓게 하고, 이 융단 위의 먼지를 빨아들이는 마루 브러쉬인 흡입구체(9)가 착탈 가능하게 연이어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구체(9)는, 연장관(8), 호스체(4) 및 본체 흡입구(3)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의 흡입측에 연이어 통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흡입구체(9)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로서의 가로로 긴 흡입구 본체(11)와, 이 흡입구 본체(11)의 뒷부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회전관(12)과, 이 회전관(1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속관부로서의 접속파이프(13)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 본체(11)는, 전단부에 가로로 긴 흡입구(15)가 잘라내어 형성되어 위쪽이 개방된 하부케이스(16)와, 이 하부케이스(16)의 상부의 뒤쪽을 덮고, 하부케이스(16)와의 사이에서 회전관(12)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 지지하는 상부케이스(17)와, 이 상부케이스(17)의 앞부분에 흡입구(15)와 연이어 통하여 형성된 앞쪽 흡입구(18)를 덮는 케이스 부재로서의 앞덮개인 앞커버(19)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흡입구 본체(11)내에는, 흡입구(15)와 앞쪽 흡입구(18)가 연이어 통하는 흡입실 (21)과, 이 흡입실(21)의 뒷부분에서 회전관(12)의 한 쪽에 설치된 모터실(22)과, 이 모터실(22)의 한 쪽부분에 연이어 통하여 설치된 구동전달실(23)과, 흡입실(21)의 뒷부분에서 회전관(12)의 다른 쪽에 설치된 제어실(24)이 각각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실(21)내에는, 회전체로서의 회전 브러시인 회전청소체(2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터실(22)내에는, 회전청소체(26)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27)가 배치되고, 제어실(24)내에는, 모터(2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청소체(26)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자형상의 축 몸체인 회전축(31)과, 이 회전축(31)의 주위에 설치된 브러시대(32)와 이 브러시대(32)에 부착된 복수의 청소부재로서의 먼지긁어올림부재(33)를 구비하고, 회전축(31)의 양단부에 받이판으로서의 베어링(34,34)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34,34)은, 하부케이스(16)의 하부에 설치된 오목부(35,3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받이된다. 또한, 먼지긁어올림부재(33)는, 예를 들면 연질의 합성수지제의 블레이드(33a), 혹은, 띠형상의 브러시모(33b) 등에 의해 구성되고, 브러시대(32)에 의해, 회전축(31)의 둘레방향에 나선형상으로, 또한, 회전축(31)의 축방향에 따라서, 지름방향을 향하여 벽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회전청소체(26)의 지름방향에의 블레이드(33a)의 돌출량은, 브러시모(33b)의 돌출량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오목부(35,35)는, 측부 커버(36)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또한, 이들 오목 부(35,35)는, 연통구멍(37,37)을 통하여 흡입실(21)의 양측부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 연통구멍(37,37)의 하부에는, 회전청소체(26)의 양단부의 하부를 받는 받이부(38,38)가 흡입실(21)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측부 커버(36,36)는, 회전청소체(26)를 흡입구 본체(11)로부터 떼어낼 때에 하부케이스(16)에 대해서 떼어내지는 것으로, 하부케이스(16)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연속하는 대략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부 커버(36)에는, 이 측부 커버(36)를 하부케이스(1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로크부(36a)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로크부(36a)의 앞쪽방향으로, 흡입구 본체(11)의 옆부분과 흡입구(15)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홈부 (36b)가 좌우방향에 따라서 설치되고, 또한, 전후 양단부에, 마루면 위의 먼지를 닦아내는 일으킴 모포 등의 닦아냄부재(36c,36d)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로크부(36a)는, 둘레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상단부가 하부케이스(16)에 걸어멈춤되어, 다른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이 걸어멈춤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각 측부 커버(36)가 하부케이스(16)에 대해서 걸어멈춤/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27)는, 흡입구 본체(11)의 좌우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모터 회전축(27a)이 구동전달실(23)내에 돌출하여, 이 구동전달실(23)에 연이어 통한 한 쪽의 오목부(35)를 통하여, 한 쪽의 베어링(34)의 바깥쪽면으로, 구동전달수단으로서의 벨트(3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이 모터(27)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부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구동 가능해지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28)은, 도시하지 않는 각종 소자가 실장되어 제어회로가 형성된 기판(41), 및, 이 기판(41)으로부터 모터(27) 및 설정버튼(7)(도 9)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4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설정버튼(7)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모터(27)의 회전을 온 오프 제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6)의 뒷부분의 중앙부에는, 회전관(12)을 받는 회전관 받이부(44)가 돌출 설치되고, 이 회전관 받이부(44)의 선단부에는, 종동바퀴(45)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하부케이스(16)의 흡입구(15)보다 뒤쪽방향에는, 모터실(22)의 아래쪽의 위치에, 흡입구체(9)의 피청소면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접촉검출수단으로서의 안전장치(47)가 설치되고, 또한, 제어실(24)의 아래쪽의 위치에, 선회부로서의 선회바퀴(48)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장치(47)는, 하부케이스(16)에 뚫어 형성된 각 구멍형상의 부착구멍부 (51)에 끼워맞춤된 장치 본체부(52)와, 이 장치 본체부(52)의 하단부에 전후방향에 회전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된 검출부재로서의 롤러부(53)와, 모터실(22)내에서 모터(27)의 근방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안전장치 스위치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부(5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상하이동에 의해 안전장치 스위치의 온 오프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장치 스위치는, 모터(27)와 전원부와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흡입구 본체(11)의 하부케이스(16)로부터 아래쪽방향으로 돌출한 롤러부 (53)가 마루면에 접지하여 장치 본체부(52)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온되어 전원부로부터의 모터(27)에의 급전을 허가하는 것과 함께, 롤러부(53)가 마루면으로부터 이 간하여 장치 본체부(52)가 하부로 이동하면 오프상태가 되어 전원부로부터의 모터 (27)에의 급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바퀴(48)는, 도 1, 도 2,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6)에 설치된 원형상의 부착 오목부(56)에 360° 선회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선회부 본체로서의 선회바퀴 본체(57)와, 이 선회바퀴 본체(57)의 하단부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마루면에 대해서 접촉하여 회전운동하는 접촉부재로서의 차바퀴인 롤러(58)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바퀴 본체(57)는, 부착 오목부(56)의 중앙부에 뚫어 형성된 선회축 구멍 (61)에 끼워 통해진 본체축부(62)와, 이 본체축부(62)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판부 (63)와, 이 회전판부(63)로부터 아래쪽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 쌍의 축지지판부 (64,64)를 갖고, 본체축부(62)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부착판부(65)를 통하여 하부케이스(16)에 부착되어 있다.
본체축부(62)는, 제어실(24)내로 돌출한 상단부에,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67)을 동작시키는 대략 원형상의 캠부(6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검출수단(67)은, 제어실(24)내에 배치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수단 본체로서의 검출스위치(71)를 갖고, 이 검출스위치(71)에는, 온 오프를 설정하는 검출편부로서의 아암부(72)가 흡입구 본체(11)(도 1)의 뒤쪽방향으로 연장 설치 되어, 이 아암부(72)의 선단부에 뒤쪽방향을 향하여 L자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축지지부(73)에, 캠부(68)의 바깥둘레부에 상시 접하는 검출체로서의 종 동마디인 검출롤러(74)가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72)는, 기단부가 검출스위치(71)에 축으로 지지되어, 선단측이 캠부 (68)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 선단측이 기단부에 대해서 흔들림 운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캠부(68)는, 본체축부(62)의 중심축인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A)에 대해서 편심진 거의 원판형상의 편심캠이다. 즉, 캠부(68)는, 본체축부(62)에 대해서, 지름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영역(75)과, 지름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상대적으로 큰 제 2 영역(76)을 갖고 있다.
제 1 영역(75)은, 아암부(72)가 검출스위치(71)측으로부터 이간되어 이 검출스위치(71)를 오프상태로 설정함으로써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전진방향과 검출하는 영역이고, 캠부(68)의 평면에서 보는 중심에 대한 중심각이 대략 180°가 되는 반원형상의 영역이다.
제 2 영역(76)은, 검출롤러(74)를 통하여 아암부(72)를 검출스위치(71)측으로 밀어 넣어 이 검출스위치(71)를 온상태로 설정함으로써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후진방향과 검출하는 영역이고, 캠부(68)의 평면에서 보는 중심에 대한 중심각이, 제 1 영역(75)의 중심각과의 합이 360°가 되는 각도,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180°가 되는 반원형상의 영역이다.
그리고, 각 영역(75,76)의 바깥둘레부를 따라서 검출수단(67)의 검출롤러 (74)가 구름 접촉함으로써, 아암부(72)의 검출스위치(71)에 대한 돌출량이 변화하는 것에 의해, 검출수단(67)에서 선회바퀴(48)의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각도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가 제어수단(28)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축지지판부(64)는, 본체축부(62)의 중심축인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 (A)에 대해서 이 본체축부(62)의 지름방향에 편심한 위치로 선단측이 경사형상으로 연장 설치되어, 평면에서 보아 선회축 구멍(61)의 둘레가장자리부와 대략 겹치는 위치에서 롤러(58)의 양쪽을 축으로 지지하고 있다. 한편, 각 축지지판부(64)의 편심방향은, 캠부(68)의 편심방향과 소정의 대응관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부(68)의 편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편심져 있다.
따라서, 롤러(58)는,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A)에 대해서 편심한 위치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도록 축으로 지지되고, 마루면과의 접촉저항에 의해, 선회바퀴(48)의 선회바퀴 본체(57)가, 흡입구체(9)의 이동방향인 주행방향의 뒤쪽에 롤러(58)가 추종하도록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롤러(58)는, 예를 들면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 등의,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차바퀴 본체로서의 롤러 본체(77)를 구비하고, 이 롤러 본체(77)의 바깥둘레면에, 복수의 접촉부로서의 기어부(7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롤러 본체(77)는, 축방향의 일단측이 폐색되어 있는 것과 함께, 축방향의 타단측이 개방되어 있다.
기어부(78)는, 롤러 본체(77)의 축방향의 타단측의 바깥둘레면 전체둘레에 걸쳐, 롤러 본체(77)의 축방향에 따라서 리브형상으로, 또한, 지름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어부(78)는, 흡입구체(9)를 마루면상에 얹어 놓 은 상태로 마루면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롤러본체(77)측은, 마루면에 대해서 대부분 접촉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롤러(58)의 축 지지위치는,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A)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쪽이, 선회바퀴(48)가 선회하기 쉬워지지만, 거리를 너무 멀게 하면 흡입구 본체(9)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러한 밸런스를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한다.
또한, 상부케이스(17)는, 모터실(22) 및 제어실(24)의 상부를 덮고 있다.
그리고, 앞커버(19)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버로서의 단면 원호형상의 가로로 긴 위쪽 앞커버(85)와, 이 위쪽 앞커버(85)의 하부에 힌지(86)를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커버로서의 가로로 긴 아래쪽 커버(87)를 갖고, 흡입실(21)의 위쪽으로부터 앞쪽까지를 덮고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위쪽 앞커버(85)는, 길이방향 양단부에, 접속 돌출된 지지아암인 지지측벽(88,88)이 아래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측벽(88)에는, 접속부로서의 대략 원형상의 걸어맞춤절결부(89)가 각각 잘라져 형성되고, 각 걸어맞춤절결부 (89)는, 뒷부분에 설치된 착탈개구로서의 착탈공간(90)에 의해, 지지측벽(88)의 외부와 연이어 통하고 있다. 게다가, 위쪽 앞커버(85)는, 흡입실(21)의 뒷부분 위쪽을 구성하는 하부케이스(16)의 회전운동규제 단차면(S)과의 사이에, 케이스부재 부세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는 커버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앞쪽방향으로 밀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절결부(89)는, 착탈공간(90)을 통하여, 회전청소체(26)의 회전축 (31)의 단부와 베어링(34)과의 사이의 위치에 끼워맞춤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절결부(89)는, 회전축(31)의 직경치수보다 약간 큰 안지름 치수를 갖고 있는 것과 함께, 착탈공간(90)은, 회전축(31)의 직경치수보다 약간 작은 공간으로 설정되어, 이 착탈공간(90)이 걸어맞춤절결부(89)에 삽입된 회전축 (31)을 빠짐방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힌지(86)는, 위쪽 앞커버(85)의 하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이간되어 복수 돌출 설치된 돌출부(91)와, 아래쪽 커버(87)의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에 이간되어 복수 돌출 설치된 돌출부(92)가 서로 끼워 맞춤하여, 이들 돌출부 (91,92)를 관통하여 지지축(93)이 배치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축 (93)에는, 회전운동 부세수단으로서의 토션스프링(94)이 부착되어, 이 토션스프링 (94)이 아래쪽 커버(87)를 위쪽 앞커버(85)에 대해서 앞쪽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래쪽 커버(87)는, 하단부에 가요성 커버(9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요성 커버(96)는, 하단부에 복수의 슬릿(97)이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회전관(12)은, 전후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전단부에, 앞쪽으로 확개(擴開)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입실(21)의 뒷부분에 연이어 통하는 흡입풍로(9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관(12)은, 하부케이스(16)와 상부케이스(17)로부터, 둘레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지지되어 있다.
접속파이프(13)는, 회전관(12)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청소기 본체(1)의 본체 흡입구(3)에, 호스체(4), 연장관(8) 및 흡입구체(9)를 차례차례 연이어 통하여 접속한다.
게다가, 작업자가, 청소기 본체(1)로부터 전원코드를 끌어내어 도시하지 않는 콘센트에 접속한 후, 파지부(6)를 파지하고 소정의 설정버튼(7)을 조작하면, 이 설정버튼(7)에 의해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전동송풍기(2)가 구동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부(6)를 파지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루면상에서 흡입구체(9)를 전후로 주행시켜, 흡입구(15)로부터 먼지를 공기와 함께 빨아들여, 연장관(8) 및 호스체(4)를 통하여, 본체 흡입구(3)로부터 집진팩으로 먼지를 운반하여 포집한다.
여기서, 선회바퀴(48)는,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A)에 대해서 편심진 롤러(58)가 마루면에 접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 마루면과의 접촉저항 등에 의해 흡입구체(9)의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으로 추종하도록 선회한다.
이 선회에 따라, 캠부(68)가 본체축부(62)에 대해서 편심 선회함으로써, 이 캠부(68)의 바깥둘레부에 굴러서 접촉하는 검출롤러(74)가, 캠부(68)의 바깥둘레부의 요철형상에 따라서 아암부(72)의 선단측을 흔들림 운동시키고, 이 캠부(68)의 요철형상에 대응하여 검출스위치(71)가 온 오프된다.
즉, 검출롤러(74)가, 캠부(68)의 제 1 영역(75)의 바깥둘레부를 따라서 굴러 서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암부(72)가 검출스위치(71)측으로 밀어 넣어지지 않고, 미는 힘에 의해 검출스위치(71)에 대해서 이간된 상태를 유지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스위치(71)가 오프되어, 제어수단(28)에 의해, 흡입구 본체(11)가 전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것과 함께, 검출롤러(74)가, 캠부(68)의 제 2 영역(76)의 바깥둘레부를 따라서 굴러서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암부(72)가 미는 힘에 저항하여 밀어 넣어져 검출스위치(71)가 온되어 제어수단(28)에 의해, 흡입구 본체(11)가 후진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결과, 검출스위치(71)가, 흡입구체(9)의 주행방향으로 대응하여 온 오프되어, 이 온오프의 검출결과가 제어수단(28)으로 출력된다.
온 오프의 검출결과가 입력된 제어수단(28)은, 모터(27)에의 공급전력을 제어하여, 이 모터(27)의 구동력이 벨트(39)를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회전청소체(26)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있어서는,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청소체(26)를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역방향, 즉 반대방향에 따라서 회전시킨다. 환언하면, 검출스위치(71)가 오프상태의 경우에, 회전청소체(26)를 뒤쪽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검출스위치(71)가 온상태의 경우에는, 회전청소체(26)를 앞쪽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롤러(58)가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A)에 대해서 편심져 있기 때문에, 도 1(a2) 및 도 1(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반전시켰을 때에, 도 1(b2) 및 도 1(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바퀴(48)의 선회개시로부터 이 선회바퀴(48)가 소정각도 선회하여 검출수단(67)의 검출스위치 (71)의 온오프가 전환되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만큼, 제어수단(28)에 의한 회전청소체(26)의 회전방향의 전환이 늦는다. 즉,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의 실제의 전환한 타이밍에 대해서, 선회바퀴(48)가 선회함으로써 검출수단(67)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의 전환을 검출한 타이밍에 지연이 생긴다.
이 때문에, 이 늦은 시간동안만큼, 회전청소체(26)가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에 따르는 회전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어수단(28) 등으로 복잡한 제어를 하는 일 없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과 회전청소체(26)의 회전방향에 복수의 관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의 전진시에는 뒤쪽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던 회전청소체(26)가, 도 1(a2) 및 도 1(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를 전진에서 후진으로 전환했을 때에, 이 전환에 추종하여 도 1(b1) 내지 도 1(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바퀴(48)가 선회하여 검출수단(67)이 주행방향의 전환을 검출할 때까지 동안만큼은, 도 1(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와 회전청소체(26)와의 회전방향과의 관계가 통상상태와 반대의 관계, 즉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인 뒤쪽방향과 같은 뒤쪽방향에의 회전을 유지하므로, 이 회전청소체(26)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체(9)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게다가, 캠부(68)의 형상과 이 캠부(68)의 바깥둘레부에의 검출롤러(74)의 구름 접촉에 의한 검출스위치(71)의 온오프에 의해 선회바퀴(48)의 선회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를 선회바퀴(48)의 주위에 배치하여 이들 센서에 의해 선회바퀴(48)의 선회각도를 검출하는 등의 경우와 달리, 360° 모든 임의의 선회각도에 대해서 검출수단(67)이 연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검출스위치(71)의 아암부(72)는, 캠부(68)에 대해서 경사하여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캠부(68)의 회전방향으로 따라서, 흔들림운동하기 쉬운 경우와 흔들림운동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기어부(78)가 롤러 본체(77)에 대해서 축방향의 타단측에 편위(偏位)시킴으로써,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전환했을 때에, 선회바퀴(48)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기 쉽게 하여, 이 회전운동방향을, 아암부(72)가 흔들림운동하기 쉬운 방향으로 함으로써, 검출스위치 (71)의 온오프를 선회바퀴(48)의 선회에 의해서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게다가, 기어부(78)를 롤러 본체(77)의 바깥둘레면의 일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롤러 본체(77)의 바깥둘레면 전체가 마루면과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롤러 (58)와 마루면과의 접촉 흔적이 폭이 좁아져, 이 접촉 흔적이 남기 어렵다.
게다가, 접촉부를 기어형상으로 돌출 설치한 복수의 기어부(78)로 함으로써, 롤러 본체(77)가 가요변형해도, 기어부(78)가 마루면에 대해서 확실히 맞물려, 선회바퀴(48)를 확실히 선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구체(9)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전기청소기의 사용 편의의 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 1 실 시형태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도 10(a1) 내지 도 10(a3), 및, 도 10(b1) 내지 도 10 (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수단(28)이, 검출수단(67)에 의해 검출한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회전청소체(26)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제어수단(28)은 검출스위치(71)가 오프상태의 경우에, 회전청소체(26)를 앞쪽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검출스위치(71)가 온상태의 경우에는, 회전청소체(26)를 뒤쪽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롤러(58)가 선회바퀴 본체(57)의 선회축 (A)에 대해서 편심져 있기 때문에, 도 10(a2) 및 도 10(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반전시켰을 때에, 도 10(b2) 및 도 10(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바퀴(48)가 소정각도 선회하여 검출수단(67)의 검출스위치(71)의 온오프가 전환되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검출할 때까지의 시간만큼, 제어수단(28)에 의한 회전청소체(26)의 회전방향의 변경이 늦는다.
이 때문에, 이 늦은 시간동안만큼, 회전청소체(26)가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에 따르는 회전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어수단(28) 등으로 복잡한 제어를 하는 일 없이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과 회전청소체(26)의 회전방향에 복수의 관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0(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의 전진시에는 앞쪽방향에 회전하고 있던 회전청소체(26)가, 도 10(a2) 및 도 10(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를 전진에서 후진으로 전환했을 때에, 이 전환에 추종하여 도 10(b1) 내지 도 10(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바퀴(48)가 선회하여 검출수단(67)이 주행방향의 전환을 검출할 때까지의 동안만큼은, 도 10(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1)와 회전청소체(26)와의 회전방향과의 관계가 통상상태와 반대의 관계, 즉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인 뒤쪽방향과 반대의 앞쪽방향에의 회전을 유지하므로, 이 회전청소체(26)의 회전에 의해 마루면으로부터의 먼지의 긁어내기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검출스위치(71)는, 온오프가 반대가 되는 것, 즉, 아암부(72)가 돌출한 상태로 온, 아암부(72)가 밀어 넣어진 상태로 오프가 되는 것이더라도, 제어수단(28) 등의 각종 회로를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 본체(11)에 있어서, 앞쪽 흡입구(18)를 포함하는 앞커버(19) 주변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이들 앞쪽 흡입구 (18) 및 앞커버(19) 등을 설치하지 않는 흡입구체(9)에서도,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을, 이 주행방향에 대응하는 선회바퀴 (48)의 선회각도에 따라 검출할 수 있으면, 검출수단(67) 및 캠부(68)의 구성 및 형상 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촉부재로서는, 롤러(58) 이외의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캠부(68)의 각 영역(75,76)의 각 중심각은, 검출하고 싶은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의 각도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흡입구 본체(11)의 주행방향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소정방향으로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은, 회전청소체(26)에 한정하지 않고, 구동바퀴 등의 회전체이면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전기청소기의 자세한 부분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기청소기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자주식의 전기청소기 등이라도 좋고, 또한, 예를 들면 흡입구체(9)가 청소기 본체(1)의 하면에 직접 형성된 업 라이트형, 혹은 핸디형 등이더라도 대응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부의 선회부 본체의 선회축에 대해서,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편심시킴으로써,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반전시켰을 때에, 선회부의 선회개시로부터 검출수단에 의해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검출할 때까지의 동안, 회전청소체의 회전방향을 소정방향으로 유지함으로써, 이 동안은 회전청소체가 케이스체의 이동방향과의 소정의 관계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청소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5)

  1. 흡입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 본체, 및 이 선회부 본체의 선회축에 대해서 편심지게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한 선회부와,
    이 선회부의 선회각도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청소체와,
    이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케이스체의 이동방향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소정방향으로 상기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부의 선회 개시로부터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을 검출할 때까지의 동안은, 상기 회전청소체의 회전방향을 상기 소정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방향은,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케이스체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방향은,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케이스체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순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부재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회전운동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5. 전동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송풍기의 흡입측에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해서 접속 가능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입구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KR1020070086666A 2006-08-28 2007-08-28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KR100847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1051A JP4243289B2 (ja) 2006-08-28 2006-08-28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06-00231051 200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566A true KR20080019566A (ko) 2008-03-04
KR100847962B1 KR100847962B1 (ko) 2008-07-22

Family

ID=3915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666A KR100847962B1 (ko) 2006-08-28 2007-08-28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43289B2 (ko)
KR (1) KR100847962B1 (ko)
CN (1) CN1005446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4302B (zh) * 2008-04-11 2012-06-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自动驱动吸尘器
CN101554303B (zh) * 2008-04-11 2012-05-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
JP7344110B2 (ja) * 2019-12-18 2023-09-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182A (ja) * 1991-09-27 1993-04-0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口
JPH0630865A (ja) * 1992-07-20 1994-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
JPH06254017A (ja) * 1993-03-10 1994-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9073A (ja) 2008-03-06
KR100847962B1 (ko) 2008-07-22
CN101133932A (zh) 2008-03-05
JP4243289B2 (ja) 2009-03-25
CN100544658C (zh)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7264B2 (ja) 電気掃除機
GB2386055A (en) A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101116437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JP359417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WO2021217033A1 (en) Rotary working element
KR100847962B1 (ko)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JP61216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4231882B2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4817913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4234743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797461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4358211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6136503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59417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5259210B2 (ja) 電気掃除機
JP200725264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594173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5038880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59417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4286852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4176589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359417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0354570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5274926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8029697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