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056A -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056A
KR20080019056A KR1020087000454A KR20087000454A KR20080019056A KR 20080019056 A KR20080019056 A KR 20080019056A KR 1020087000454 A KR1020087000454 A KR 1020087000454A KR 20087000454 A KR20087000454 A KR 20087000454A KR 20080019056 A KR20080019056 A KR 2008001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lide
front cover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도댕
세바스띠앙 두벨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2008700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056A/ko
Publication of KR2008001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요소를 이용하여 씨일을 압축하여 씰링이 얻어지는 형태의 씰링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응 접촉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단부(3)와 케이블에 접속될 제2 단부(4)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접촉부(2)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5)과; 접촉부의 삽입을 위한 후퇴 위치와 그로밋(9)의 압축을 위한 전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배선(22) 상에 씰링용 그로밋(9)을 압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8)와, 대응 커넥터와의 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전진 위치와 대응 접촉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는 전방 커버(1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8)는 전방 커버(10)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단(12)을 구비하며, 이러한 수단은 슬라이드(8)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거된다.
접촉부, 하우징, 전진, 후퇴, 그로밋, 씰링, 배선, 전방 커버, 슬라이드

Description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SEALED CONNECTOR WITH SEQUENTIAL CLOSURE}
본 발명은 이동 요소에 의해 씨일을 압축하여 씰링이 얻어지는 형태의 씰링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가 하니스(harness)에 배선 연결되고, 커넥터가 직경이 다양한 몇개의 케이블이 통과하는 씨일에 의해 배선측에서 씰링되는 자동차 커넥터 분야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 씨일은 케이블의 통과를 위해서 전기 접촉부의 통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소켓을 몇개 가져야하며, 이동 요소에 의해 씨일을 압축하면 작은 직경의 케이블에 대해서도 기밀한 씨일을 얻을 수 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접촉부 고정 장치는 접촉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위치를 가지며, 커넥터 하우징이 대응 접촉부를 가지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될 때 접촉부가 후퇴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하는 접촉부 고정 위치를 가지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대응하는 래칫 결합 수단을 제공하는 것과, 모든 접촉부가 커넥터 하우징에서 올바르게 래칫 결합될 때만 작동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폐쇄하는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를 배선 연결하는 것은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소켓에 접촉부를 순차적으로 도입시킨 다음, 하우징을 폐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4,998,896호는 3부분으로된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하기 위한 전방부와, 접촉부를 유지하기 위한 중간부와,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래칫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후방 씰링 그로밋을 유지하기 위한 후방부이다.
접촉부는 접촉부에 구비된 홈과 래칫 결합하며 중간부에 의해 보유되는 탄성 래치에 의해 유지된다.
접촉부가 올바르게 래칫 결합되지 않을 경우, 하우징은 폐쇄될 수 없는데, 이 경우 대응 래치의 자유 단부가 하우징의 전방부의 후방 벽에 충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접촉부가 적절하지 않게 래칫 결합될 경우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장치의 첫번째 문제점은 접촉부를 그로밋(grommet)으로 밀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이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래치 사이에서만 접촉부가 유지되고, 이는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실제로, 이러한 커넥터에서, 접촉부의 노우즈 또는 팁부가 래치 사이를 통과하고, 만약 접촉부가 중심을 약간 벗어나 있다면, 접촉부를 수용하는 전방부의 소 켓의 후방 벽과 간섭하기 때문에, 래치에 손상을 주거나 래치가 돌출되어 커넥터를 차단하게 된다.
두번째 문제점은 그로밋이 배선에 올바르게 적용되지 않았음에도 접촉부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자동차 분야의 씰링된 커넥터의 경우 특히 그렇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하우징에서 배선의 양호한 후방 씰링을 보장하고, 또한 작동을 잊어버릴 염려없이 접촉부의 양호한 래칫 결합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대응 접촉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단부와 케이블에 접속될 제2 단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과,
- 접촉부 삽입을 위한 후퇴 위치와 그로밋 압축을 위한 전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선에 씰링용 그로밋을 압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와,
- 대응 커넥터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전진 위치와 대응 접촉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는 전방 커버를 포함하고,
슬라이드는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수단은 슬라이드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빠져 나가는 케이블의 레벨에서 커넥터 씨일을 생성하기 위해 우선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에서 전진 위치로 조작될 때에만 전방 커버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슬라이드는 순차적인 비작동 및 작동으로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따르면, 슬라이드가 그로밋을 압축시키기 위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조작 방지용 제1 수단이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단 전방 커버가 후퇴하면 제2 수단은 전방 커버를 상기 후퇴 위치에서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제한적인 예시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따른 커넥터의 한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A는 슬라이드가 전방 커버의 차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위치로 전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1의 커넥터의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B는 전방 커버의 아암에 대한 슬라이드 아암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2A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3은 슬라이드가 전진 위치에 있고 전방 커버가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1의 커넥터의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의 외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A는 도3의 위치에서 슬라이드와, 전방 커버와, 접촉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B는 도5A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6A 및 도6B는 순차적인 비작동 및 작동으로 인한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는 제1 수단과 제2 수단을 갖는 장치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커넥터 접촉부를 래칫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에 대한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8A, 도8B 및 도8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특히 도4에 외관이 도시된 하우징(1)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는 도1에 단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었으며, 제2 변형예는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5)을 포함하며[두 개의 접촉부(2)가 예시로 도시됨] 대응 접촉 단자를 안내하며 동일한 형태의 커넥터와 접촉할 때 에러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방 커버(10)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의 후방에서 커넥터로부터 빠져나가는 배선(22)에 적용된 그로밋(9)을 압축하기 위한 슬라이드(8)를 포함한다.
도1 내지 도7의 변형예에서, 접촉부 보유 모듈(5)은 하우징의 중앙부이며, 하우징의 외피 뿐만 아니라 하우징 전방부 상에 스커트부(29)를 포함하고, 슬라이드(8)는 접촉부 보유 모듈 내로 삽입된다.
도8A 내지 도8C의 변형예에서, 슬라이드(8')는 커넥터의 전방부를 향해 연장 되어 커넥터의 외측 본체와 하우징 전방부 주변의 스커트부(29')를 형성하며, 이러한 경우 접촉부 보유 모듈(5')은 커넥터의 내측 부분으로서 커넥터의 외측 본체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도1에는 모듈(5)이 접촉부(2)와 함께 도시되었다. 이러한 접촉부는 대응 접촉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단부(3)와, 종래의 방식대로 크림핑 또는 납땜에 의해 배선(22)에 접속되는 제2 단부(4)를 구비한다.
접촉부(2)는 그로밋(9)을 통해 삽입되며, 그로밋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 통과 개구는 이러한 그로밋의 변형을 최소화하기에 충분히 크게 만들어지며, 피전송 전류의 함수로서 더 크거나 더 작은 단면의 접촉부와 배선을 수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일단 접촉부가 모듈 내로 삽입되면, 케이블 통과 개구에 만들어진 립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 상에 그로밋을 견고히 압축시킬 필요가 있다.
슬라이드(8)는 이러한 압축을 수행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서 도4에 도시된 위치인 접촉부 삽입을 위한 후퇴 위치에서 그로밋 압축을 위한 전진 위치로[즉, 접촉부의 접속 단자(3)에 대응하는 모듈을 위한 커플링면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그로밋을 압축하기 위해, 슬라이드(8)는 접촉부의 통과를 위한 축방향 구멍이 천공된 후방 벽(15)을 가지므로, 슬라이드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케이블 상으로 그로밋을 압축시킨다. 또한, 이러한 벽은 케이블에 그로밋을 가압하기 위해 주연부에 확장 영역(27)을 포함한다.
이러한 두 가지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예시를 따라서 슬라이드는 후퇴 위치에서는 돌출부(25)와 래칫 결합하고 전진 위치에서는 돌출부(26)와 래칫 결합하는 슬롯이 구비된 외측 암(24)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2)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5)은 접촉부와 래칫 결합하며 소켓(2)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의 벽에 위치된 래치(latch)를 가지는 수단(6)도 구비하며, 이러한 벽은 래칫 결합 수단(6)의 하방으로 연장된 접촉부 안내 외피(7) 부분을 형성한다.
예시를 따라서, 래칫 결합 수단(6)을 형성하는 래치는 접촉부(2)의 측방향 벽에 만들어진 슬롯(13)에 수용되어 래칫 결합된다.
전방 커버(10)는 접촉부 고정 수단(11)을 구비하며, 전방 커버에 보유된 접촉부 고정 수단은 래칫 결합 수단(6)을 차단하기 위한 벽(11)을 포함한다.
접촉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전방 커버는 접촉부를 해제하기 위한 전진 위치와 접촉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다.
접촉부 고정 기능은 도7에 도시되었으며, 자유로운 접촉 위치는 실선으로 표시되며, 고정된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접촉부는 전방 커버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고정되며, 전방 커버의 벽(11)은 래치에 안착되어 접촉부가 커넥터의 후방(케이블측)으로 당겨질 때 래치가 옆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전방 커버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래치는 벽(11)에 배치된 리세스 내로 밀려나서, 한편으로는 접촉부가 소켓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다른 한 편으로는 당겨질 때 접촉부를 해제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 삽입을 위한 후퇴 위치와 그로밋(9) 압축을 위한 전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배선(22)에 그로밋(9)을 압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8)는 전방 커버(10)의 조작을 방지하는 제1 수단(12)을 구비하며, 이러한 수단은 슬라이드(8)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거된다.
접촉부(2)와 래칫 결합하기 위한 수단(6)의 레벨에서 안전이 추가적으로 얻어지는데, 도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가 제대로 래칫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 전방 커버의 벽(11)에 안착되어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는 제2 수단을 형성하는 제거 가능한 정지 수단(14)을 가진다는 사실 때문이다.
슬라이드가 전방으로 적절하게 밀려나는 것을 보장하고, 접촉부를 고정시키고 전방 커버에 래칫 결합되기 전에 커넥터의 후방 씰링을 보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가 커플링될 수 있도록 커넥터에 대해서 정밀한 폐쇄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수단들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가 전진하고 접촉부가 올바르게 래칫 결합되었을 때, 이러한 두 개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경우만 전방 커버는 후퇴 위치로 조작될 수 있다.
후퇴된 전방 슬라이드/전진된 슬라이드의 위치가 도3에 도시되었는데, 전방 주연 씨일 결합부(28)가 전방 커버의 후방 엣지에 의해 차단되는 것도 도시되었다.
특히 도2A 및 도2B를 참고하면, 슬라이드에 의해 보유되며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단은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면서 전방 정지부(12)를 구비한 제1 아암(18)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정지부는 슬라이드가 후퇴할 때 전방 커버에 의해 보유되면서 하우징의 후방을 향하는 제2 아암(16)의 말단부(17)와 간섭하도록 위치된다.
아암(18)은 가요성 있는 탄성 아암이며, 그 단부(12)는 아암이 경사부(20)에 안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서로 근접해있다. 간섭 위치는 도1에 도시된 위치이며 아암의 자유 단부 상의 전방 정지부(12)는 전방 커버를 후퇴시키려할 때 제2 아암의 단부(17)와 접촉한다.
전방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아암을 간섭 위치 밖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도2B에 특히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5)은 경사부(20)를 가지며, 슬라이드가 전진 위치로 이동할 때 아암이 상기 경사부 상으로 활주한다.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까지 통과하는 동안 모듈의 경사부(20)와 협동하여 상기 말단부(17)와 간섭하는 위치로부터 전방 정지부(12)를 이동시키기 위한 핑거부(19)가 제1 아암(18)에 구비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전방 커버를 가압할 때, 슬라이드(8)에 의해 보유된 아암(18)은 상기 단부(17)와 상기 핑거부(19)가 경사부를 갖기 때문에 전방 커버에 의해 보유된 아암의 말단부(17) 위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아암(16)은 도6A와 도6B에 더 상세히 도시되었으며, 가로편(16c)에 의해 연결된 축방향 레그(16a, 16b)를 보유하는 U자형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핑거부(19)가 경사부(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8)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전방 커버가 전진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통과하는 동안, 핑거 부(19)는 가로편(16c) 위를 통과하여 축방향 레그(16a, 16b) 사이에 위치되어, 후술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수단을 형성하며, 이 때 이러한 후퇴 위치에 있으면 전방 커버를 차단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된다.
전방 커버는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에서 모듈과 래칫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도6A와 도6B에 도시된 이러한 수단은 제2 아암(16)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본 예시를 따르면 상기 아암은 길이 방향으로 가요성이 있는 레그(16b)로 구성된 탄성 수단을 구비하며, 축방향 레그(16b)는 가로편(16c)에 의해 레그(16a)에도 연결된다.
탄성 레그(16b)는 톱니형 수단(21)을 구비하며, 상기 톱니형 수단은 모듈의 대응 톱니형 수단(23)과 함께 도6A에서 접촉부의 삽입/추출을 위한 전진 위치에서 수단(21)의 치형부(21a, 21b) 사이에 톱니형 수단(23)을 래칫 결합시키며 도6B의 후퇴 위치에서 제1 치형부(21b)와 접촉하여 전방 커버의 상기 후퇴 위치와 전진 위치를 형성한다.
전방 커버가 후퇴 위치로 밀려날 때, 슬라이드에 의해 보유된 아암(18)의 단부 자체가 전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부는 가로편(16c) 위를 통과하여 축방향 레그(16a, 16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유리한 실시예를 따르면, 아암(18)은 전방 커버를 후퇴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 수단과 톱니형 수단(21, 23)을 차단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가 그로밋(9)의 압축 해체를 위해 후방 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면 접촉부를 고정 해제시키기 위한 전방 위치로 더이상 전방 커버를 복귀시킬 수가 없다.
커넥터는 슬라이드에 의해 순차적인 비작동 및 작동으로 커버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수단(12)과 제2 수단(18)을 가지므로 커넥터의 결합 및 폐쇄 시퀀스 중 오직 하나만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시퀀스는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에 있으며 전방 커버가 전진 위치에 있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그로밋(9)을 통해 접촉부를 소켓 내로 도입시키고, 그로밋을 압축하기 위해 커넥터의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8)를 밀어낸 다음, 접촉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커넥터의 후방을 향해 전방 커버를 민다.
마찬가지로, 커넥터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오직 가능한 시퀀스는 전방 커버를 해제하기 위해 슬라이드를 후퇴시킨 다음, 접촉부를 해제시키기 위해 전방 커버를 전방부를 향해 당기고, 마지막으로 접촉부의 슬롯(13)에서 래치(6)와 래칫 결합된 힘을 극복하여 그로밋을 통해 접촉부를 제거하는 것이다.
도8A 내지 도8C의 변형예는 슬라이드(8')가 대응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전방부를 둘러싸는 스커트부(29')를 구비한 외측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점에서 전술된 예시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변형예를 따르면, 접촉부 보유 모듈은 슬라이드에 수용되고, 슬라이드(8')는 전방 커버(10')의 아암(16')과 간섭하는 정지부(12')를 구비한 아암(18')을 보유하므로, 아암(18')이 경사부(30) 뒤에 있을 때 커버(10')의 후퇴에 대향한 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슬라이드(8')와 전방 커버(10')를 밀어서 폐쇄된다.
우선적으로 슬라이드를 측면으로 밀어냄으로써 아암(18')이 경사부(30) 위를 통과하여 도8B에 도시된 위치로 오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정지부(12')는 더이상 전방 커버(10')의 아암(16')의 단부와 간섭하지 않고, 아암(16')은 이동하여 아암(16')의 단부가 경사부(30)의 뒤에 위치된 도8C의 위치를 취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수형 접촉부 또는 암형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대응 접촉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단부(3)와 배선(22)에 접속되는 제2 단부(4)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2)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접촉부(2)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5, 5')과,
    접촉부의 삽입을 위한 후퇴 위치와 그로밋(9)의 압축을 위한 전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배선(22) 상에 씰링용 그로밋(9)을 압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8, 8')와,
    대응 커넥터와의 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전진 위치와 대응 접촉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는 전방 커버(10, 10')를 포함하며,
    슬라이드(8, 8')는 전방 커버(10, 10')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단(12, 12')을 구비하며, 이러한 수단은 슬라이드(8, 8')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결합 수단은 접촉부(2)의 슬롯(13)과 래칫 결합되는 래치(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방 커버에 의해 보유된 접촉 고정 수단은 래칫 결합 수단(6)을 차단하기 위한 벽(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 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칫 결합 수단(6)은 접촉부가 올바르지 않게 래칫 결합될 때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수단을 형성하는 제거 가능한 정지 수단(14)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8, 8')는, 접촉부의 통과를 위한 축방향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슬라이드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케이블에 그로밋을 압축시키는 후방 벽(15)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에 보유되며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단은,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며 전방 정지부(12, 12')를 구비한 제1 아암(18, 18')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정지부는 슬라이드가 후퇴될 때 전방 커버에 의해 보유되며 하우징의 후방을 향하는 제2 아암(16)의 말단부(17)와 간섭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아암(18, 18')은 슬라이드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이동할 때 전방 정지부(12, 12')를 말단부(17)와의 간섭 위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모듈의 경사부(20)와 협동하는 핑거부(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2 아암(16, 16')은 가로편(16c)에 의해 연결된 축방향 레그(16a, 16b)와 함께 U자형 부분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전방 커버가 전진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갈 때 슬라이드(8)가 전진 위치에 있으면, 핑거부(19)는 가로편(16c)을 넘어가서 축방향 레그(16a, 16b)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제2 아암(16)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의 대응 톱니형 수단(23)과 함께 전방 커버의 상기 후퇴 위치와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톱니형 수단(21)과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전방 커버가 후퇴 위치에 있으며 슬라이드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아암(18)은 탄성 수단과 톱니형 수단(21, 23)을 차단하여 전방 커버를 후퇴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는 순차적인 비작동 및 작동으로 전방 커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수단(12)과 제2 수단(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87000454A 2008-01-08 2005-06-09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KR20080019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0454A KR20080019056A (ko) 2008-01-08 2005-06-09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00454A KR20080019056A (ko) 2008-01-08 2005-06-09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056A true KR20080019056A (ko) 2008-02-29

Family

ID=3938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454A KR20080019056A (ko) 2008-01-08 2005-06-09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0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0534A1 (en) * 2020-06-08 2021-12-16 Molex, Llc Cable terminal an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0534A1 (en) * 2020-06-08 2021-12-16 Molex, Llc Cable terminal and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016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5428730B2 (ja) 防水コネクタ
JP533856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1986284B1 (en)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4317973B2 (ja) コネクタ
US735108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PA plug
JP3693149B2 (ja) コネクタ
JP2000058200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20020069484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CA2353425C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JPH11149959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KR20170120115A (ko)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
JP2004134258A (ja) コネクタ
JP7207233B2 (ja) コネクタ
EP170141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40121640A1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3750916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3173840A (ja) 防水コネクタ
US20090104805A1 (en) Sealed Connector With Sequential Closure
JP2001006812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AU2008352557A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20080019056A (ko) 순차적인 폐쇄로 씰링된 커넥터
EP169145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14084025A1 (ja) 端子抜き治具
JP2003331988A (ja) 二重ロック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