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879A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879A
KR20080016879A KR1020077030108A KR20077030108A KR20080016879A KR 20080016879 A KR20080016879 A KR 20080016879A KR 1020077030108 A KR1020077030108 A KR 1020077030108A KR 20077030108 A KR20077030108 A KR 20077030108A KR 20080016879 A KR20080016879 A KR 2008001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오 노자와
Original Assignee
사다오 노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다오 노자와 filed Critical 사다오 노자와
Publication of KR2008001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는 임의의 액체를 수용가능한 중공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고 목부의 상단에 액체를 주출하기 위한 주출구를 설치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상하방향 소정 위치에 그 위쪽에 위치하는 목부를 가로방향으로 경사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용기에 의하면 주출구를 경사 방향을 향해 액체를 주출할 수 있으므로 액체를 외부의 용기에 쉽게 따를 수 있게 되고 액체주출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액체, 용기

Description

액체용기{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페트병과 같이 음료 등의 각종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량음료, 탄산음료, 차, 주류 등의 각종 음료는 페트병 등의 플라스틱제의 액체용기에 수용하여 판매되고 있다.
이 액체용기는 음료를 수용가능한 중공(中空)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단 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고 목부의 상단에는 음료를 주출하기 위한 주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체용기로부터 컵이나 유리컵에 음료를 따르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를 파지하여 주출구가 컵이나 유리컵을 향하도록 기울이면서 음료를 주출하고 있는데, 액체용기내의 음료의 양이 많은 경우 등, 용기 본체를 기울였을 때 음료가 세게 토출되는 경우가 있어 음료가 컵이나 유리컵으로부터 흘러넘치거나 주위에 비산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경사진 위쪽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설치하고 용기 본체를 목부의 경사방향으로 기울이면서 음료를 주출함으로써 컵이나 유리컵에 음료를 따르기 쉽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기울어진 형상의 목부를 설치한 것으로는 음료주출시 이외에도 목부의 주출구가 바로 위를 향할 수 없기 때문에 목부가 기울어진채로는 불편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음료 제조공장에 있어서는 주출구가 경사진 위쪽을 향하고 있으면 액체용기의 바로 위에서 음료를 주입할 수 없고, 기존의 공장설비를 사용할 수 없다는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판매점에 상품으로서 진열하는 경우는 목부의 경사방향을 맞추지 않으면 진열상태가 어수선하게 되어 매장에서의 외관을 저하시킨다.
특허문헌1:일본국실용신안등록 제3107288호 공보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출구가 경사 방향을 향해 액체를 주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출구가 바로 위를 향하는 것도 가능한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액체를 수용가능한 중공형상의 용기 본체과 용기 본체의 상단 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고, 목부의 상단에는 액체를 주출하기 위한 주출구를 설치한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상하방향 소정위치에 그 위쪽으로 위치하는 목부를 가로 방향으로 경사 가능한 가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의 위쪽의 목부를 가로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액체를 외부의 용기에 따를 때 목부의 경사에 의해 주출구를 외부의 용기를 향해 액체를 주출할 수 있고 액체가 외부의 용기에서 흘러넘치거나 주위에 비산시키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액체주출시 이외는 목부를 경사시키지 않고도 주출구가 바로 위를 향해서 놓을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액체용기에 의하면 주출구를 경사 방향을 향해 액체를 주출할 수 있으므로 액체를 외부의 용기에 쉽게 따를 수 있게 되고 액체주출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가 바로 위를 향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액체의 제조공장에서는 일반적인 액체용기와 같이 바로 위에서 음료를 주입할 수 있고, 기존의 공장 설비를 이용할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판매점에 상품으로서 진열하는 경우에는 목부를 바로 위를 향해 둠으로써, 일반적인 액체용기와 같이 정연하게 진열할 수 있어서 매장에서의 외관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액체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액체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목부를 위쪽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단면도
도 4는 목부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단면도
도 5는 목부를 기울인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정면단면도
도 6은 음료주출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다른 음료 주출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액체용기의 평면도
도 9는 액체용기의 주요부 정면도
도 10은 액체용기의 주요부 정면단면도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용기 본체 2…목부
2a…제1의 목부 2b…제2의 목부
3…가동부 3a…오목부
6…음료 8…액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액체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도, 도 3은 목부를 위쪽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단면도, 도 4는 목부를 아래쪽으로 밀어넣은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단면도, 도 5는 목부를 기울인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단면도, 도 6은 음료 주출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액체용기는 음료를 수용가능한 용기 본체(1)와 용기 본체(1)의 상단 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목부(2)와, 목부(2)의 상하방향 소정위치에 설치된 가동 부(3)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1), 목부(2) 및 가동부(3)는 주지의 블로(blow)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용기 본체(1)는 가로방향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는 세로로 긴 중공형상을 갖추고 소정의 용량(예를 들면 1리터, 1.5리터, 2리터 등)에 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목부(2)는 가동부(3)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의 목부(2a)와 가동부(3)의 위쪽에 형성되는 제2의 목부(2b)로 이루어지고 제2의 목부(2b)의 상단에는 주출구(2c)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목부(2a)는 가로 방향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각 측면은 용기 본체(1)의 상단 측으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진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1의 목부(2a)의 상단부(2d)는 가로 방향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경사진 위쪽을 향해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목부(2b)는 가로 방향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주면은 상하방향 대략 중앙부의 지름이 크고, 상단 측 및 하단 측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목부(2b)의 상단에는 캡형의 뚜껑(4)이 나사 감합에 의해 설치되고 뚜껑(4)에 의해 주출구(2c)가 개폐되독록 되어 있다.
가동부(3)는 제1의 목부(2a)와 제2의 목부(2b) 사이에 배치되고 제2의 목부(2b)가 가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3)는 목부(2)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날밑형상으로 형성되 고 그 지름 방향 내측에 제2의 목부(2b)가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부(3)는 제2의 목부(2b)의 하단 측으로부터 제1의 목부(2a)의 상단부(2d)까지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날밑형상부분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가동부(3)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밑형상부분이 위쪽으로 변형한 상태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변형한 상태로 각각 유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a)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목부(2b)를 위쪽으로 인출하면 가동부(3)가 위쪽에 볼록형상을 이루도록 변형하고 목부(2)가 상하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2(b)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목부(2b)를 아래쪽으로 밀어넣으면 가동부(3)가 아래쪽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도록 변형하고 목부(2)가 상하방향으로 수축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2(c)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목부(2b)를 가로방향으로 기울이면 가동부(3)의 폭방향 일단 측{제2의 목부(2b)의 경사방향}이 아래쪽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도록 변형함과 동시에 가동부(3)의 폭방향 타단 측{제2의 목부(2b)의 경사방향의 반대측}이 위쪽으로 볼록형상을 이루도록 변형하고 제2의 목부(2b)가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제2의 목부(2b)는 가동부(3)의 어느 지름방향으로도 경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에는, 예를 들면 차, 쥬스, 주류 등의 음료가 수용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컵(5)에 음료(6)를 따를 때 제2의 목부(2b)를 유리컵(5)측으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용기 본체(1)를 기울임으로써 음료(6)가 유리컵(5)을 향해 쉽게 토출하게 되고 음료(6)가 유리컵(5)에서 흘러넘치거나 또한 유리컵(5)의 주위에 비산하는 일이 적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용기에 따르면 제2의 목부(2b)를 가로방향으로 경사시키도록 변형가능한 가동부(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의 목부(2b)를 유리컵(5)측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음료(6)를 주출함으로써, 음료(6)를 유리컵(5)에 쉽게 따를 수 있게 되고 음료주출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목부(2b)를 필요에 따라 경사시킬 수 있으므로 음료 주출시 이외는 제2의 목부(2b)를 경사시키지 않고 주출구(2c)를 바로 위를 향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음료의 제조 공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액체용기와 같이 바로 위로부터 음료를 주입할 수 있고, 기존의 공장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판매점에 상품으로서 진열하는 경우에는 제2의 목부(2b)를 바로 위를 향해 둠으로써 일반적인 액체용기와 같이 정연하게 진열할 수 있어서 매장에서 외관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3)를 그 위쪽으로 위치하는 제2의 목부(2b)의 하단측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날밑형상으로 형성하고, 날밑형상부분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2의 목부(2b)를 가동부(3)의 어느 지름방향으로도 경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를 제2의 목부(2b)의 경사방향에 맞추어서 바꿔 들을 필요가 없고, 음료주출작업을 용이히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부(3)가 주출구(2c)의 아래쪽에 날밑형상으로 펴져 있으므로 주출구(2c)에서 흘린 음료를 가동부(3)에서 수용할 수 있고, 흘린 음료가 용기 본체(1)까지 흘러 떨어지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2의 목부(2b)를 아래쪽으로 밀어넣는 상태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기울이면 가동부(3)의 날밑형상부분의 일부(경사방향의 반대 측)가 위쪽으로 변형하고 그만큼 주출구(2c)에 대한 내부음료(6)의 액면(6a)의 상대위치가 낮아지므로 내부음료(6)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용기 본체(1)를 기울였을 때에 음료(6)가 세게 토출하는 일이 없고 음료(6)를 쉽게 따를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부(3)를 날밑형상부분이 위쪽으로 변형한 상태와 아래쪽으로 변형한 상태로 각각 유지 가능하게 형성했기 때문에 제2의 목부(2b)를 기울인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 목부(2) 및 가동부(3)를 일체로 성형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블로성형에 의해 일반적인 액체용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실용화할 때에 극히 유리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3)를 날밑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했는데, 예를 들면 목부(2)의 일부를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다른 형상의 가동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의 가로방향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인 것을 도시했는데 가로 방향 단면이 원형인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을 페트병과 같은 음료판매용의 용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정용 음료용기나 물통 등, 다른 용도의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이외의 액체, 예를 들면 조미료, 기름, 세제류, 공업용 액체 등, 각종 액체를 수용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조미료 등과 같이 액체를 소량씩 주출하고 싶은 경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7)에 액체(8)를 따를 때 제2의 목부(2b)를 용기(7)의 반대 측에 경사시켜서 주출하도록 하면, 용기 본체(1)를 기울여도 액체(8)가 한꺼번에 다량으로 토출하는 일이 없고 액체(8)를 확실하게 소량씩 주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8은 액체 용기의 평면도, 도 9는 그 주요부 정면도, 도 10은 그 주요부 정면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등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3)에 복수의 오목부(3a)가 설치되어 있고 각 오목부(3a)는 날밑형상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서로 가동부(3)의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오목부(3a)는 각각 가동부(3)의 날밑형상부분의 상면으로부터 제1의 목부(2a)의 상단부(2d)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3)의 날밑형상부분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할 때 날밑형상부분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주방향의 응력이 각 오목부(3a)의 주방향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고 가동부(3)를 반복해서 변형시켜도 날밑형상부분의 가장자리에 균열이 생기는 일이 없이 내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는 액체를 외부의 용기에 쉽게 따를 수 있고 액체주출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액체용기에 적합하다.

Claims (5)

  1. 임의의 액체를 수용가능한 중공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구비하고 목부의 상단에 액체를 주출하기 위한 주출구를 설치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상하방향 소정 위치에 그 위쪽에 위치하는 목부를 가로방향으로 경사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그 위쪽에 위치하는 목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날밑형상으로 형성하고 날밑형상부분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날밑형상부분이 위쪽으로 변형한 상태와 아래쪽으로 변형한 상태로 각각 유지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 날밑형상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서로 가동부의 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5. 제1,2,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목부 및 가동부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KR1020077030108A 2005-05-26 2005-10-04 액체용기 KR20080016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4066 2005-05-26
JPJP-P-2005-00154066 2005-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879A true KR20080016879A (ko) 2008-02-22

Family

ID=3745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108A KR20080016879A (ko) 2005-05-26 2005-10-04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80264892A1 (ko)
EP (1) EP1884473A4 (ko)
JP (1) JP3890382B2 (ko)
KR (1) KR20080016879A (ko)
CN (1) CN101184670A (ko)
AU (1) AU2005332139A1 (ko)
BR (1) BRPI0520397A2 (ko)
CA (1) CA2609249A1 (ko)
RU (1) RU2369540C2 (ko)
TW (1) TW200714522A (ko)
WO (1) WO2006126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3599B4 (de) * 2004-09-07 2014-11-27 Sata Gmbh & Co. Kg Fließbecher für eine Farbspritzpistole
DE502007000825D1 (de) 2006-12-05 2009-07-16 Sata Gmbh & Co Kg Belüftung für den Fließbecher einer Farbspritzpistole
GB2457099A (en) * 2008-02-04 2009-08-05 Wyeth Corp Container with angled neck
CN101970127B (zh) 2008-03-12 2014-11-12 杰弗里·D·福克斯 用后可弃的喷枪筒管
JP5284696B2 (ja) * 2008-06-27 2013-09-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ブローボトル
US20100089863A1 (en) * 2008-10-15 2010-04-15 The Coca-Cola Company Plastic bottle with a mouth
DE202008014389U1 (de) 2008-10-29 2010-04-08 Sata Gmbh & Co. Kg Fließbecher für eine Farbspritzpistole
DE102009032399A1 (de) 2009-07-08 2011-01-13 Sata Gmbh & Co. Kg Farbspritzpistole
DE202010007355U1 (de) 2010-05-28 2011-10-20 Sata Gmbh & Co. Kg Düsenkopf für eine Spritzvorrichtung
US9333519B2 (en) 2010-12-02 2016-05-10 Sata Gmbh & Co. Kg Spray gun and accessories
JP6189834B2 (ja) 2011-06-30 2017-08-30 サタ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スプレーガン、スプレー媒体ガイドユニット及び、取り外し又は取り出すための方法
FR2991972B1 (fr) * 2012-06-15 2015-07-17 Sidel Participations Recipient empilable ayant une epaule a trois positions stables
DE102012105778A1 (de) * 2012-06-29 2014-03-20 Krones Ag Kunststoffbehältnis mit geradlinigen Mündungsbereichen
CA155474S (en) 2013-09-27 2015-08-27 Sata Gmbh & Co Kg Spray gun
DE202013105779U1 (de) 2013-12-18 2015-03-19 Sata Gmbh & Co. Kg Luftdüsenabschluss für eine Lackierpistole
CN110560285B (zh) 2014-07-31 2021-05-18 萨塔有限两合公司 喷枪及其制造方法
CA159961S (en) 2014-07-31 2015-07-17 Sata Gmbh & Co Kg Spray gun
USD758537S1 (en) 2014-07-31 2016-06-07 Sata Gmbh & Co. Kg Paint spray gun rear portion
USD768820S1 (en) 2014-09-03 2016-10-11 Sata Gmbh & Co. Kg Paint spray gun with pattern
JP6826796B2 (ja) * 2014-12-05 2021-02-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DE102015006484A1 (de) 2015-05-22 2016-11-24 Sata Gmbh & Co. Kg Düsenanordnung für eine Spritzpistole, insbesondere Farbspritzpistole und Spritzpistole, insbesondere Farbspritzpistole
DE102015016474A1 (de) 2015-12-21 2017-06-22 Sata Gmbh & Co. Kg Luftkappe und Düsenanordnung für eine Spritzpistole und Spritzpistole
CN205995666U (zh) 2016-08-19 2017-03-08 萨塔有限两合公司 喷枪及其扳机
CN205966208U (zh) 2016-08-19 2017-02-22 萨塔有限两合公司 风帽组件以及喷枪
GB2568753A (en) * 2017-11-28 2019-05-29 Creanovate Ltd Container with a collapsible portion
DE102018118738A1 (de) 2018-08-01 2020-02-06 Sata Gmbh & Co. Kg Grundkörper für eine Spritzpistole, Spritzpistolen, Spritzpistolen-Se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rundkörpers für eine Spritzpistole und Verfahren zum Umrüsten einer Spritzpistole
DE102018118737A1 (de) 2018-08-01 2020-02-06 Sata Gmbh & Co. Kg Düse für eine Spritzpistole, Düsensatz für eine Spritzpistole, Spritzpisto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üse für eine Spritzpistole
EP3829778A2 (de) 2018-08-01 2021-06-09 SATA GmbH & Co. KG Düsensatz für eine spritzpistole, spritzpistolensystem, verfahren zum ausgestalten eines düsen-moduls, verfahren zur auswahl eines düsen-moduls aus einem düsensatz für eine lackieraufgabe, auswahlsystem und computerprogrammproduk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9165A (en) * 1971-12-13 1975-12-30 Ball Corp Tubular hinge assembly
US4095728A (en) * 1976-09-23 1978-06-20 Chlystun Walter K Container with improved collapsible pouring spout
US4492324A (en) * 1982-03-15 1985-01-08 Heinz Weber Container with integral flexible neck
US4927191A (en) * 1983-04-22 1990-05-22 Twenthieth Century Companies, Inc. Adjustable tubular wall structure for connectors and the like
EP0133983B1 (de) * 1983-08-09 1987-09-30 ZELLER PLASTIK Koehn, Gräbner &amp; Co. Behälter aus elastisch verformbarem Kunststoff
US4645078A (en) * 1984-03-12 1987-02-24 Reyner Ellis M Tamper resistant packaging device and closure
US4602728A (en) * 1985-03-15 1986-07-29 Ha Sung M Container
US4790361A (en) * 1986-07-25 1988-12-13 Containers Unlimited Collapsible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US4921147A (en) * 1989-02-06 1990-05-01 Michel Poirier Pouring spout
JPH0526834U (ja) * 1991-09-20 1993-04-06 株式会社フタバ化学 液体用容器
JPH06301189A (ja) * 1993-02-19 1994-10-28 Fuji Photo Film Co Ltd 液体用容器
US5503308A (en) * 1994-10-19 1996-04-02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bottle having bellows supported dispensing spout
US5887739A (en) * 1997-10-03 1999-03-3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Ovalization and crush resistant container
ITMI20010533A1 (it) * 2001-03-13 2002-09-13 Inge Spa Flacone per l'erogazione di prodotti ed applicabilita' miglior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4473A4 (en) 2008-11-19
RU2369540C2 (ru) 2009-10-10
TW200714522A (en) 2007-04-16
RU2007148970A (ru) 2009-07-10
JP3890382B2 (ja) 2007-03-07
CN101184670A (zh) 2008-05-21
EP1884473A1 (en) 2008-02-06
JPWO2006126288A1 (ja) 2008-12-25
WO2006126288A1 (ja) 2006-11-30
US20080264892A1 (en) 2008-10-30
CA2609249A1 (en) 2006-11-30
AU2005332139A1 (en) 2006-11-30
BRPI0520397A2 (pt) 2009-05-05
AU2005332139A2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6879A (ko) 액체용기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US8141732B2 (en) Bottle and cup/lid combination
JP5043231B2 (ja) ワインディスペンサ
RU2016136089A (ru) Управление размерами пузырьков в газированной жидкости
US20080314930A1 (en) Liquid container valve system
US9067703B2 (en) Self-aerating wine bottle
US20070007236A1 (en) Assymetric handleware container having hidden gripping aperture
US20150251793A1 (en) Bottle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US20050098526A1 (en) Two bottles/containers in one
JP2009220824A (ja) 液体容器
CN201128500Y (zh) 塑料啤酒瓶
KR200471247Y1 (ko) 혼합주 제조기
JP7088633B2 (ja) 注出機構及び注出方法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RU55193U1 (ru) Е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а с призовой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капсулой
WO2019079408A1 (en) DOUBLE COMPARTMENT DRINK CONTAINER
US20160185583A1 (en) Beverage cap opener tool
US20130161362A1 (en) Neck Extender Device
JPH1192798A (ja) 液体洗浄剤製品
WO2007013837A1 (fr) Recipient pour boisson muni d&#39;une capsule de prix informationnelle
KR20010001026U (ko) 투카피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