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322A -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322A
KR20080016322A KR1020060078316A KR20060078316A KR20080016322A KR 20080016322 A KR20080016322 A KR 20080016322A KR 1020060078316 A KR1020060078316 A KR 1020060078316A KR 20060078316 A KR20060078316 A KR 20060078316A KR 20080016322 A KR20080016322 A KR 2008001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nsing
size
widt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6322A/ko
Priority to US11/687,808 priority patent/US20080044216A1/en
Priority to CNA2007101102939A priority patent/CN101125494A/zh
Publication of KR2008001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 B65H2553/414Photoelectric detectors involving receptor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a reflecting surface and emitted by a separate emi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1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on a movab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용지크기 감지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크기 감지장치는급지부에 적재된 용지의 폭 정렬을 위하여 좌우 이동 가능한 용지폭가이드;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마주하도록 상기 급지부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 레벨을 가지는 감지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띠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상이 연해지도록 형성된 그레이 패치(gray patch)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화상형성장치, 용지규격, 용지크기, 감지장치, 그레이패치

Description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size detec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크기 감지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용지크기 감지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감지띠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감지띠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감지띠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감지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지폭가이드 11; 손잡이
20; 감지센서 30; 감지띠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 한 것이다.
캐리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왕복이동하는 캐리지에 설치되어, 캐리지와 함께 이동하면서 용지크기를 감지한다. 따라서, 인쇄를 위해 캐리지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감지센서는 인쇄영역에 용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납된 용지의 크기 또한 판별할 수 있다.
그런데, 왕복이동 하는 캐리지를 가지지 않는 어레이 프린터의 경우에는 캐리지와 같은 가동유닛이 없기 때문에 용지규격을 감지하기 위해 용지규격별로 복수 개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센서의 수가 많아지면 제조 단가가 상승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급지카세트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는 수납되는 용지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급지카세트에 설치되어 용지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인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 상승은 물론 조립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규격의 용지를 감지할 수 있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크기 감지장치는 급 지부에 적재된 용지의 폭 정렬을 위하여 좌우 이동 가능한 용지폭가이드;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마주하도록 상기 급지부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감지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면, 상기 감지띠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 레벨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띠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상이 연해지도록 형성된 그레이 패치(gray patch) 또는, 일정 구간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컬러 패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띠에 대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감지띠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띠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어 용지폭가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른 상기 감지띠의 폭을 감지하는 크기감지센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띠는 상기 급지부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어 용지폭가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른 상기 감지띠의 높이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부; 및 상기 급지부에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지크기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크기 감지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부(1)와 급지부(1)에 적재된 용지(P)의 크기를 감지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100)를 구비한다.
용지크기 감지장치(100)는 도 2 및 조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폭가이드(10), 감지센서(20) 및 감지띠(30)를 포함한다.
용지폭가이드(10)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급지부(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급지부(1)에 적재된 용지 폭을 정렬한다. 용지폭가이드(1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용지 측면을 지지하는 몸체(1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감지센서(20)는 상기 용지폭가이드(10)의 끝단에 설치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LED 센서와 같은 비접촉 방식의 광학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감지센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 컨버터(40)를 통해 제어부(50)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띠(30)의 색상농도에 따라 아날로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감지띠(30)는 상기 감지센서(20)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 바닥면에 별도 부재로 부착되는 것이 좋다. 감지띠(30)는 도 2에 도 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20)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용지폭가이드(10)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더라도 직접 접촉하지 않아 마찰/마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 컨버터(40)는 감지센서(20)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로 전달한다. 즉, 감지센서(20)의 발광부에서 투사된 빛은 감지띠(30)에서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되는데, 상기 빛을 반사하는 감지띠(30)의 색상 농도에 따라 수광부로 반사된 빛은 최초 투사된 빛의 세기에 비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감지센서(20)는 수광부에서 감지된 색상의 농도차에 따라 가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는 A/D 컨버터(40)에서 일정 규격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50)가 용지 크기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로 사용된다.
제어부(50)는 용지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색상 농도에 따른 기준값을 저장하여, 상기 감지센서(20)가 감지한 감지띠(30)의 색상별 감지신호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50)에서 감지센서(20)의 신호를 분석하여, 용지의 크기가 확인되면, 잉크젯 프린터나 어레이 프린터의 경우에는, 잉크가 토출되는 노즐의 위치인 화이어링 노즐 포지션(firing nozzle position)을 용지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에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감지띠(3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띠(30)는 도 3과 같이 일단은 흑색이고 타단은 백색으로 구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상이 연해지도록 형성된 그레이 패치(gray patch)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감지띠(30)를 구성하면, 수광부에서 인식하는 감지띠(30)의 색상농도에 따라 감지센서(20)가 다른 신호를 출력하므로, 다른 규격의 용지가 적재되더라도 감지센서(20)를 통해 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감지띠(30)를 도 4와 같이 일정 구간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컬러 패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띠(30)를 용지의 크기에 따라 용지폭가이드(10)의 예상 위치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하면,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감지센서(20)가 용지 규격에 따라 색상별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띠(30)를 폭을 일측 끝단은 W1, 타측 끝단은 W1보다 작은 W2이 되도록 구성하여, 감지띠(30)의 형상을 테이퍼지게 형하고, 이에 따라 용지폭가이드(10)의 위치별로 감지센서(20)가 감지띠(30)의 폭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띠(30)의 높이가 h1에서 h2로 변경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용지폭가이드(10)의 위치별로 감지띠(30)와 감지센서(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감지띠(30)의 형상을 도 5와 같이 테이퍼지게 형성하거나, 도 6과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이러한 형상 변화를 감지센서(20)가 감지하여 용지폭가 이드(1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50)가 용지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LED 센서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비접촉 감지센서를 용지폭가이드에 설치하므로,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정렬하면서, 용지의 크기 또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용지 규격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기구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간편하며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된 용지폭을 지지하는 용지폭가이드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감지된 감지띠의 색상 농도에 따라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지폭정렬과 동시에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의 폭 정렬을 위하여 좌우 이동 가능한 용지폭가이드;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마주하도록 상기 급지부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감지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띠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띠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색상이 연해지도록 형성된 그레이 패치(gray pa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띠는 일정 구간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컬러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띠에 대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감지띠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띠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어 용지폭가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른 상기 감지띠의 폭을 감지하는 크기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띠는,
    상기 급지부에 용지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용지폭가이드에 설치되어 용지폭가이드의 이동 위치에 따른 상기 감지띠의 높이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크기 감지장치.
  10.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부; 및
    상기 급지부에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지크기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78316A 2006-08-18 2006-08-18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80016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16A KR20080016322A (ko) 2006-08-18 2006-08-18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687,808 US20080044216A1 (en) 2006-08-18 2007-03-19 Paper size detec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7101102939A CN101125494A (zh) 2006-08-18 2007-06-08 纸张尺寸测定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16A KR20080016322A (ko) 2006-08-18 2006-08-18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22A true KR20080016322A (ko) 2008-02-21

Family

ID=3909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316A KR20080016322A (ko) 2006-08-18 2006-08-18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44216A1 (ko)
KR (1) KR20080016322A (ko)
CN (1) CN1011254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5907B2 (en) * 2011-01-18 2013-08-1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djustable feeder tray side guides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CN105620058B (zh) * 2014-10-28 2019-07-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侦测纸张尺寸机构及方法
CN105136302B (zh) * 2015-05-04 2017-09-29 北京佰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色彩传感器的定位装置
JP6839949B2 (ja) * 2016-09-30 2021-03-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積載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10556764B2 (en) * 2018-03-22 2020-02-1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Senso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CN110874150A (zh) * 2018-08-29 2020-03-10 朱莞儿 一种智能垫板、书写信息收集方法和书写信息处理方法
CN112497936B (zh) * 2020-12-04 2022-09-16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纸宽侦测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打印机
CN112858864B (zh) * 2021-01-18 2022-02-18 厦门大学 一种对led芯片进行非接触式光电检测的装置及方法
CN113547850B (zh) * 2021-06-16 2023-12-29 浪潮金融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打印机送纸器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装置
CN113768258A (zh) * 2021-09-27 2021-12-10 歌尔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13928028A (zh) * 2021-09-30 2022-01-14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打印装置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5494A (zh) 2008-02-20
US20080044216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6322A (ko) 용지크기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757136B2 (ja) 記録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7705293B2 (en) Sensor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640471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算出方法
US20110169215A1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29257A1 (en) Sheet attribution detection sensor device, paper sheet attribution detectio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5292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7995188B2 (en) Method of estimating a distance
JP2007062222A (ja) 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検出方法
US20170120631A1 (en) Medium detection mechanism, medium detection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JP4190670B2 (ja) 検知装置および方法
JP3876734B2 (ja) 印刷シートの判別装置、印刷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印刷シートの判別方法
US8382229B2 (en) Lead edge detector for printer
JP2010235217A (ja) 画像記録装置
US20050110822A1 (en) Printing medium discriminator and inkjet printer including the same
US7411603B2 (en) Light guide
US8395784B2 (en) Method of lead edge detection in an inkjet printer
JP3890469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画像形成装置
JP3948311B2 (ja) 印刷シートの判別装置、印刷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印刷シートの判別方法
JPH0940227A (ja) 被プリント媒体の判別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07008704A (ja) 媒体認識装置
JP2019142031A (ja) 記録装置
JP2006051795A (ja) 媒体位置決めセンサアセンブリ、媒体位置決めセンサアセンブリ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JP2008175714A (ja) エンコーダシート、位置検出装置、画像形成装置
KR100636326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매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