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117A - 차동 기어가 중심 설정된 차동 장치 - Google Patents

차동 기어가 중심 설정된 차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117A
KR20080015117A KR1020077029830A KR20077029830A KR20080015117A KR 20080015117 A KR20080015117 A KR 20080015117A KR 1020077029830 A KR1020077029830 A KR 1020077029830A KR 20077029830 A KR20077029830 A KR 20077029830A KR 20080015117 A KR20080015117 A KR 2008001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gear
side shaft
gears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크루데
랄프 로이쉔
미햐엘 엥엘만
Original Assignee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케엔 드리펠린 인터나쇼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1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10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12Differential gearings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10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 F16H2048/102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with spur gears engaging face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사용되기 위한,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의 형태를 갖는 차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동 장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차동 케이지(3)와, 회전축(A)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차동 케이지(3)에 고정되고 각각 둘러싸는 지지면(25, 26)을 포함하는 크라운 기어 치형부를 갖는 2개의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와, 차동 케이지(3)와 함께 회전축(A)을 둘러싸며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에 맞물리고 각각 하나의 둘러싸는 베어링면(27)을 포함하는 스퍼 기어 치형부를 구비한 차동 기어(11)를 포함하고, 차동 기어(11)의 베어링면(27)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지지면(25, 26)에 대해서, 회전축(A)의 방향으로 지지된다.
차동 케이지, 측면 샤프트 기어, 차동 기어, 지지면, 베어링면

Description

차동 기어가 중심 설정된 차동 장치 {DIFFERENTIAL ARRANGEMENT FOR CENTERING DIFFERENTIAL GEARS}
본 발명은 차동 변속기의 부품이며 특히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 내에서 사용되는 차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형의 차동 장치는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 가능한 차동 케이지, 차동 케이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2개의 측면 샤프트에 회전 모멘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측면 샤프트 기어 및, 차동 케이지와 함께 회전해서 측면 샤프트 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차동 기어를 포함한다.
베벨 기어 차동 장치와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는 그 구조 및 기능 방식에 관해서는 서로 상응하지만, 기어의 형상에 관해서는 상이하다. 예컨대 DE 100 59 684 A1호, DE 32 36 227 A1호 또는 CH 571 667호에 공지된 베벨 기어 차동 장치의 경우, 차동 기어 및 이와 연동하는 측면 샤프트 기어가 베벨 기어로서 형성된다. 베벨 형태는, 차동 기어가 회전축에 대해서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의 경우, 측면 샤프트 기어는 크라운 기어로서, 이와 연동하는 차동 기어는 스퍼 기어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차동 기어는 측면 샤프트 기어와의 맞물림 중에도, 그 핀축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차동 기어가 회전축에 대해서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제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DE 103 54 998 A1호에는,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의 형태를 갖는 차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링과 3개의 핀으로 구성된 별 형태의 지지체 요소에 지지된 3개의 차동 기어를 포함한다. 링은 축방향으로 볼 때 핀 횡단면의 확장부를 나타내므로, 차동 기어는 링에 대해서 정지할 수 있다.
EP 1 203 900 A2호는, 차동 기어의 지지를 위해 핀을 구비한 중앙 지지체 요소를 포함하는 유사한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를 제시한다. 핀은 더 큰 폭의 숄더에 의해서 제한되며, 차동 기어는 상기 숄더에 대해서 정지할 수 있다.
US 2 270 567호에는 공통의 핀에 지지된 2개의 차동 기어를 포함하는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2개의 차동 기어들 사이에서는, 회전축을 향한 방향으로 차동 기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가 핀 위로 활주한다.
DE 103 08 800 A1호에는, 그 차동 기어가 차동 케이지의 베어링 리세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므로, 차동 기어의 지지를 위한 베어링 핀이 필요하지 않은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차동 기어가 회전축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동 기어는 크라운 기어의 외부 외피면에 대해서 정지하는 상부측 디스크형 정지 본체 및, 크라운 기어의 리브에서 정지하는 하부측 디스크형 정지 본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축방향 길이가 짧으며 간단하게 구성되는 차동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차동 케이지; 회전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차동 케이지에 고정되고 각각 둘러싸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크라운 기어 치형부를 갖는 2개의 측면 샤프트 기어; 차동 케이지와 함께 회전축을 둘러싸며 측면 샤프트 기어에 맞물리고 각각 하나의 둘러싸는 베어링면을 포함하는 스퍼 기어 치형부를 구비한 차동 기어를 포함하고, 차동 기어의 베어링면이, 측면 샤프트 기어의 지지면에 대해서, 회전축의 방향으로 지지되는,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사용되기 위한 차동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차동 장치의 장점은 짧은 축방향 구성 길이와 적은 중량에 있으므로, 자동차 산업의 상응하는 요구들이 고려된다. 차동 기어는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측면 샤프트 기어에 대해서 지지되며, 스퍼 치형부는 크라운 치형부와 연동한다. 이로써 차동 기어가 회전축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차동 기어가 측면 샤프트 기어에 대해서 직접 지지됨으로써, 적은 부품들을 갖는 간단한 구조가 주어지며, 이는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에 유용하게 작용한다. 2개의 측면 샤프트 기어들의 회전수가 같은 경우, 차동 기어와 측면 샤프트 기어 사이에 상대 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측면 샤프트 기어들의 회전수가 상이한 경우, 베어링면은 지지면으로 활주하며, 베어링면과 지지면 사이의 접촉 영역 내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둘러싸는 베어링면은 해당 차동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돌출부는 스퍼 치형부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측면 샤프트 기어의 둘러싸는 지지면은 바람직하게 해당 측면 샤프트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크라운 기어 치형부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다. 측면 샤프트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에 의해, 특히 공간을 절약하는 장치가 주어진다. 측면 샤프트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허브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허브의 영역에서 측면 샤프트 기어는 크라운 치형부의 영역에서보다 더 큰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차동 기어와 측면 샤프트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베어링면은 정면이고, 지지면은 원통형 외피면이다. 이에 대해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차동 기어와 측면 샤프트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는 원추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면과 지지면은 원추면이다. 이는, 베어링면과 지지면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롤링하는 상대 운동이 발생함으로써 마모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장점을 갖는다. 베어링면과 지지면의 대안적인 형태도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베어링면은 구형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차동 기어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섹션 및 회전축에 대해서 더 작은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 중앙 섹션을 포함하는 핀이 제공된다. 중앙 섹션은 측면 샤프트 기어 내로 삽입된 측면 샤프트가 상기 섹션 내에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차동 장치의 특히 짧은 축방향 구성 길이가 주어진다. 바람직하게 핀의 중앙 섹션은 베어링 섹션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 둥근 횡단면을 갖는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핀의 중앙 섹션은 회전 고정을 위해서 둥글지 않은 횡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중앙 섹션 내에 맞물린 측면 샤프트가 핀의 회전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차동 케이지 내의 핀의 베어링 지점에서의 마모 또는 베어링 디스크에서의 마모는, 추가의 부품 없이도 최소화된다. 회전 고정은 특히 단독의 핀에 정확히 2개의 차동 기어들이 사용될 때 효과적이다. 단 2개의 차동 기어들의 사용은 최소화된 수의 부품들의 추가 장점을 가지므로,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된다. 차동 기어는 제1 변형예에 따라, 차동 케이지에 대한, 또는 상기 차동 케이지 내에 삽입된 베어링 디스크에 대한 지지를 위해 구형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따라, 차동 기어는 차동 케이지에 대한, 또는 상기 차동 케이지 내에 삽입된 베어링 디스크에 대한 지지를 위해 평평한 접촉면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차동 케이지는 특히 하우징 내에 차동 케이지를 지지하기 위해 일체식으로 형성된 슬리브 숄더와 함께 단일 부재로 제조된다. 단일 부재라 함은, 다부재의 차동 케이지의 경우에서와 같이 기어들의 조립을 위해 차동 케이지가 복수의 개별 부품들로 분리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차동 케이지는 캐스팅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단일 부재의 형태는 적은 부품 수의 장점 및, 이와 동시에 제조 비용이 낮은 경우 높은 강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차동 기어 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X의 상세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도5의 차동 기어 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Y의 상세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한편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고, 다른 한편으로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차동 장치(2)의 구조와 기능 방식은 서로 광범위하게 상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우선 공통적으로 설명된다.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내에 지지된 차동 케이지(3)를 갖는 차동 장치(2)가 도시된다.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슬리브형 베어링 숄더(4, 5)가 차동 케이지(3)에 형성되며 이들은 롤링 베어링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차동 케이지(3)는 캐스팅 부품으로서 일체식으로 제조된다. 이는 높은 강성 및 적은 부품 수의 장점을 가지므로, 제조 비용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차동 장치(2)는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 내의 차동 변속기의 부품이며, 도시되지 않은 종방향 구동 샤프트의 회전 모멘트를 2개의 측면 샤프트(6, 7)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차동 케이지(3)에는 플랜지(8)가 형성되며, 회전 모멘트를 차동 장치(2)에 도입하기 위한 링 기어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도입된 회전 모멘트는, 지지체 요소(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차동 케이 지(3)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차동 기어들(11)에 의해서, 차동 기어와 연동하는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에 전달된다. 지지체 요소(9)는, 회전축(A)에 대해서 수직인 축(B) 상에서 차동 케이지(3) 내의 반경 방향 관통구(14, 15) 내에 삽입되어 고정 링(10)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핀의 형태로 구성된다. 핀(9)은 2개의 차동 기어들(11)이 지지된 베어링 섹션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D)을 갖는 중앙 섹션(16)을 갖는다. 따라서 측면 샤프트 기어(12, 13)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 측면 샤프트(6, 7)가 중앙 섹션(16) 내로 깊이 들어가므로, 구성 공간이 절약된다.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일반적으로, 마찰을 줄이는 정지 디스크(19, 20)에 의해 차동 케이지(3)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차동 장치(2)는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의 형태로 구성되며,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크라운 기어로서, 차동 기어(11)는 스퍼 기어로서 구성된다. 이로써 구조는 치밀해지고 중량은 적어진다.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의 경우,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크라운 기어 치형부는 회전축(A)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고, 차동 기어(11)의 스퍼 기어 치형부는 핀축(B)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원리적으로, 차동 기어(11)는 핀축(B) 상에서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또는 반경 방향 외부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차동 장치의 회전 시, 차동 기어(11)는 원심력으로 인해서 반경 방향 외부 쪽으로 가속되며, 그 접촉면(21)은 차동 케이지(3) 내에 상응하게 형성된 대응면(22)에 접한다.
회전수가 매우 낮을 경우, 차동 기어(11)가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회전축(A)을 향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핀축(B) 을 향한 방향으로 정렬되고 지지면(25, 26)을 갖는 축방향 돌출부(23, 2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차동 기어(11)의 베어링면(27)이 정지할 수 있다. 차동 기어(11)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에 대해서 직접 지지됨으로써, 부품들을 적게 갖는 간단한 구조가 주어지며, 이는 제조 비용과 조립 비용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2개의 측면 샤프트 기어들(12, 13)의 회전수가 같은 경우 즉, 자동차가 제동되지 않고 스핀아웃될 경우, 차동 기어(11)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커브 주행 시 발생되는,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상이한 회전수의 경우, 베어링면(27)은 지지면(25, 26)으로 활주하며, 베어링면(27)과 지지면(25, 26) 사이의 접촉 영역 내의 회전 방향은 각각 동일하다. 차동 기어(11)의 축방향 구성 길이, 한편으로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그 지지면(25, 26) 영역 내의 직경 및, 다른 한편으로 차동 케이지(3)의 내부 직경의 치수는, 제조 공차의 고려 하에, 차동 기어(11)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 또는 차동 케이지(3) 사이에 작은 유격이 제공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접촉되는 부품들 사이의 마찰력이 낮게 유지된다.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허브(17, 18)와 일체식으로 구성되며, 허브 내에는, 해당 측면 샤프트(6, 7)이 종방향 치형부에 의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된다. 허브(17, 18)는 각각 크라운 치형부보다 더 큰 축방향 연장부를 가지며, 이는 허브(17, 18)의 길이를 결정하는, 전달될 회전 모멘트의 높이에 연관된다. 허브(17, 18) 내에 삽입된 측면 샤프트(6, 7)는, 핀(9)의 리세스(16) 내에 이를 때까지, 해당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정면을 넘어서 돌출한다. 따라서 축방향 구 성 공간이 작게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상이함에 대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1 내지 도3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차동 기어(11)는 원추형 외피면 및, 베어링면(27)을 형성하는 환형의 정면을 갖는, 일체로 형성된 각각 하나의 축방향 돌출부(28)를 갖는다.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지지면(25, 26)을 형성하는 원통형 외피면을 갖는 각각 하나의 축방향 돌출부(23, 2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차동 기어(11)의 베어링면(27)이 지지된다. 차동 기어(11)의 접촉면(21)은 구형이며, 차동 케이지(3) 내의 상응하게 중공 구형인 대응면(22)에 대해서 접한다. 도면의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에 도시된 차동 기어(11)는 동일하며, 상부는 톱니 틈에 의해서, 하부는 톱니에 의해서 절단된다. 차동 기어(11)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다른 절단면에 위치한 조립 개구들에 의해서 차동 케이지(3) 내에 삽입된다. 본 경우에는, 차동 케이지(3)에 대해서 핀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고정 링(10)이 제공된다. 핀(9)의 베어링 섹션 및 중앙 섹션은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도4 내지 도6에 따른 실시예에서, 차동 기어(11)는 원통형 외피면 및, 베어링면(27)을 형성하는 환형의 정면을 갖는, 일체식으로 형성된 각각 하나의 축방향 돌출부(28)를 갖는다.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지지면(25, 26)을 형성하는 원통형 외피면을 갖는 각각 하나의 축방향 돌출부(23, 24)를 가지며,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차동 기어(11)의 베어링면(27)이 지지된다. 차동 기어(11)의 평평한 정면과 측면 샤프트 기어의 원통형 외피면 사이에 적은 반경 방향 유격이 제공되며, 이는 여기서 확대되어 도시된다. 차동 기어(11)의 접촉면(21)이 평평하게 제공되어, 차동 케이지(3) 내의 상응하게 평평한 대응면(22)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동 기어(11)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는 상응하는 조립 개구(29)를 통해서 차동 케이지(3) 내에 삽입된다. 이어서 조립 개구(29)는 베어링 디스크(31, 32)에 의해서 폐쇄되며, 핀(9)은 베어링 디스크 내에 고정되고 차동 기어(11)는 베어링 디스크에 대해서 지지된다. 핀의 양 단부들은 고정 링(10)에 의해서 베어링 디스크(35, 3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핀(9)의 중앙 섹션(16)의 횡단면은 둥글지 않으며 즉, 핀(9)은 측면 샤프트(6, 7)의 단부들이 회전 고정을 위해 맞물릴 수 있는, 반대되게 정렬된 2개의 평평부들을 갖는다. 따라서 경화된 핀(9)이 경화되지 않은 베어링 디스크(31, 32) 내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마모에 유리하다. 도4에는 하우징 내에 차동 장치(2)를 지지하기 위한 롤링 베어링(33, 34) 및 회전 모멘트의 도입을 위한 링 기어(35)가 도시된다.
도7에 따른 실시예는 도1 내지 도3에 따른 실시예에 광범위하게 상응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참고되며, 동일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는, 차동 기어와 측면 샤프트 기어의 축방향 돌출부들이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베어링면과 지지면은 원추면이다. 이는, 베어링면과 지지면 사이의 접촉 영역에, 롤링하는 상대 운동만이 있을 경우 동일한 속도가 제공되는 장점을 가지므로, 마모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개별적 특징들이 임의로 서로 교환될 수 있는 것이 제시된다. 따라서 예컨대 도4 내지 도6에 따른 실시예도 원추형 베어링면 또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따른 실시예들도, 중앙 섹션의 횡단면이 둥글지 않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부호 리스트>
2 : 차동 장치
3 : 차동 케이지
4 : 베어링 숄더
5 : 베어링 숄더
6 : 측면 샤프트
7 : 측면 샤프트
8 : 플랜지
9 : 지지체 요소
10 : 고정 링
11 : 차동 기어
12 : 측면 샤프트 기어
13 : 측면 샤프트 기어
14 : 관통구
15 : 관통구
16 : 중앙 섹션/리세스
17 : 허브
18 : 허브
19 : 정지 디스크
20 : 정지 디스크
21 : 접촉면
22 : 대응면
23 : 돌출부(측면 샤프트 기어)
24 : 돌출부(측면 샤프트 기어)
25 : 지지면
26 : 지지면
27 : 베어링면
28 : 돌출부(차동 기어)
29 : 조립 개구
31 : 베어링 디스크
32 : 베어링 디스크
33 : 롤링 베어링
34 : 롤링 베어링
35 : 링 기어
A : 회전축
B : 핀축
D : 직경

Claims (13)

  1. 특히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 내에서 사용되기 위한, 크라운 기어 차동 장치의 형태를 갖는 차동 장치이며,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차동 케이지(3)와,
    회전축(A)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차동 케이지(3)에 고정되고 각각 하나의 둘러싸는 지지면(25, 26)을 포함하는 크라운 기어 치형부를 갖는 2개의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와,
    차동 케이지(3)와 함께 회전축(A)을 둘러싸며 측면 샤프트 기어에 맞물리고 각각 하나의 둘러싸는 베어링면(27)을 포함하는 스퍼 기어 치형부를 구비한 차동 기어(11)를 포함하고
    차동 기어(11)의 베어링면(27)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지지면(25, 26)에 대해서, 회전축(A)의 방향으로 지지되는 차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면(27)은 해당 차동 기어(11)의 축방향 돌출부(28)에 의해서 형성되고, 돌출부는 스퍼 치형부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면(25, 26)은 해당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축방향 돌출부(23, 24)에 의해서 형성되고, 돌출부는 크라운 기어 치형부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차동 기어(11)의 축방향 돌출부(28)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축방향 돌출부(23, 24)는 원통형이며, 베어링면(27)은 정면이고, 지지면(25, 26)은 원통형 외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차동 기어(11)의 축방향 돌출부(28)와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축방향 돌출부(23, 24)는 원추형이며, 베어링면(27)과 지지면(25, 26)은 원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 돌출부(23, 24)는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허브(17, 18)와 일체식이며, 측면 샤프트 기어(12, 13)의 허브(17, 18)의 영역은, 그 크라운 치형부의 영역에서보다 더 큰 축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동 기어(11)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섹션 및, 회전축(A)에 대해 더 작은 축방향 연장부를 갖는 중앙 섹션(16)을 포함하는 핀(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측면 샤프트 기어(12, 13) 내에 삽입된 측면 샤프트(6, 7) 가 중앙 섹션(16) 내에 깊이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핀(9)의 중앙 섹션(16)은 베어링 섹션에 비해서 감소된 직경을 갖는 둥근 횡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핀(9)의 중앙 섹션(16)은 회전 고정을 위해서 둥글지 않은 횡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동 기어(11)는 차동 케이지(3) 내의 지지를 위해 구형 접촉면(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동 기어(11)는 차동 케이지(3) 내의 지지를 위해 평평한 접촉면(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동 케이지(3)가 단일 부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KR1020077029830A 2005-05-24 2006-03-03 차동 기어가 중심 설정된 차동 장치 KR20080015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4454A DE102005024454B4 (de) 2005-05-24 2005-05-24 Differentialanordnung mit Zentrierung der Ausgleichsräder
DE102005024454.8 2005-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17A true KR20080015117A (ko) 2008-02-18

Family

ID=3649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830A KR20080015117A (ko) 2005-05-24 2006-03-03 차동 기어가 중심 설정된 차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06440B2 (ko)
EP (1) EP1883761B8 (ko)
JP (1) JP2008542637A (ko)
KR (1) KR20080015117A (ko)
CN (1) CN101228373B (ko)
DE (1) DE102005024454B4 (ko)
WO (1) WO2006125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3761B1 (de) * 2009-09-02 2015-07-01 Amtek Tekfor Holding GmbH Differenzial
DE102014000499B4 (de) 2014-01-16 2022-08-11 Mercedes-Benz Group AG Differential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mit mindestens einem Dünnwandträgerelement in Leichtbauweise
US11614147B1 (en) * 2022-05-12 2023-03-28 Christopher Drew Gea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7843A (en) 1938-02-21 1940-01-23 Alfred H Rzeppa Driving axle
US2270567A (en) * 1940-04-13 1942-01-20 Chrysler Corp Differential mechanism
US3253483A (en) * 1963-03-06 1966-05-31 Thomas M Mccaw Differential
US3344687A (en) * 1965-10-22 1967-10-03 Ford Motor Co Axle subassembly
FR2225052A5 (ko) * 1973-04-04 1974-10-31 Transcomeur Sa
DE3236227A1 (de) * 1982-09-30 1984-04-12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Kegelrad-ausgleichsgetriebe
CN2040194U (zh) * 1988-04-17 1989-06-28 沈淦 一种新结构小四轮拖拉机差速器
JPH08170693A (ja) 1994-12-19 1996-07-02 Nippon Seiko Kk 遊星歯車装置
JP2001271911A (ja) * 2000-03-27 2001-10-05 Asmo Co Ltd 出力軸及びその出力軸を備えたモータ
NL1016550C2 (nl) 2000-11-06 2002-05-22 Crown Gear Holding B V Tandwieloverbrenging.
DE10059684B4 (de) * 2000-12-01 2012-06-28 Audi Ag Differenzialgetriebe für Kraftfahrzeuge
DE10125793C2 (de) 2001-05-26 2003-08-07 Gkn Automotive Gmbh Differentialgetriebe mit integrierten Gleichlaufgelenken
DE10235677B4 (de) * 2002-08-03 2005-03-03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Einseitige axiale Sicherung von Zahnrädern in Kronenradwinkeltrieben
DE10308800A1 (de) * 2003-02-27 2004-09-09 Daimlerchrysler Ag Kronenraddifferential bzw. Satz von zumindest zwei Kronenraddifferentialen
DE10354998B4 (de) 2003-09-25 2005-08-04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Kompakte Differentialanordnung
WO2005038306A1 (de) 2003-09-25 2005-04-28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Differentialanordnung mit durchbrüchen zur schmierung
US7582037B2 (en) * 2004-01-02 2009-09-01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Compact differenti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3761B1 (de) 2015-09-30
EP1883761B8 (de) 2015-11-18
US8506440B2 (en) 2013-08-13
EP1883761A1 (de) 2008-02-06
DE102005024454A1 (de) 2006-12-07
CN101228373B (zh) 2011-05-04
WO2006125482A1 (de) 2006-11-30
DE102005024454B4 (de) 2007-03-22
US20080312024A1 (en) 2008-12-18
JP2008542637A (ja) 2008-11-27
CN101228373A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9656B1 (en) Motor-driven wheel drive device
KR101433244B1 (ko) 기어
US8919513B2 (en) Bi-directional overrunning clutch having split roll cage
US20130199886A1 (en) Bi-directional overrunning clutch having split roll cage
US20040152554A1 (en) Differential having integrated homocinetic joints
WO2009014673A2 (en) Support structure for differential
KR20080015117A (ko) 차동 기어가 중심 설정된 차동 장치
US8157692B2 (en) Differential assembly with bearing discs in openings for mounting purposes
JP4196569B2 (ja) 遊星歯車機構
KR20070092650A (ko) 이중 차동 어셈블리
KR100907518B1 (ko) 구동축용 감속기
US7156769B2 (en) Annular member and drive device comprising the annular member
US20080194373A1 (en) Differential for vehicle
US20100093483A1 (en) Differential assembly with one-piece differential carrier and four differential gears
US20080085804A1 (en) Limited Slip Differential With Crown Gears
KR101287682B1 (ko) 조립 개구부를 구비한 차동 기어 장치
US5924948A (en) Differential drive
US6701804B2 (en) Power switching apparatus
JPH09324847A (ja) 差動装置
JP5187170B2 (ja) トルクリミッタ及び駆動力伝達装置
JP2004521292A (ja) 一体化された等速継ぎ手を備えた差動駆動装置
EP3327305A1 (en) Transmission
JP2016125531A (ja) 減速機
JPH106789A (ja) 走行車両の車軸駆動装置
KR20200014767A (ko) 변속기 유닛, 특히 하나 이상의 복렬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 변속기 요소를 갖는 액슬 드라이브 또는 트랜스퍼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