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732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732A
KR20080014732A KR1020077021195A KR20077021195A KR20080014732A KR 20080014732 A KR20080014732 A KR 20080014732A KR 1020077021195 A KR1020077021195 A KR 1020077021195A KR 20077021195 A KR20077021195 A KR 20077021195A KR 20080014732 A KR20080014732 A KR 2008001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raking
speed
detection lev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304B1 (ko
Inventor
다쿠오 쿠기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로 내의 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이상일 때,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 이하가 되도록,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완충기의 위치에서부터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은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완충기의 위치에서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의 값으로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충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완충기가 승강로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이 승강로의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은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에 주행되는 주행 속도 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11086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에서는 제1 및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이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 패턴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므로, 권상기의 브레이크나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될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의해서, 승강로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기에 충돌할 때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다르다. 따라서,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의 최대값에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완충기가 대형화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의 완충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이상일 때 제동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이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 이하로 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고, 안전 장치에는 과속도 검출 레벨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고,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제동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완충기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은 제동 장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제동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완충기의 위치에서 소정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 다.
도 2는 도 1의 안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한 후의 구동 쉬브에 부여되는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와, 근사(近似)용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를 동시에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4의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제1 과속도 검출 레벨과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안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제2 과속도를 검출한 후의 엘리베이터 칸에 부여되는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와,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 계를 동시에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1의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1의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11의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제2 과속도 검출 레벨과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과, 균형추(4)를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4)를 승강로(1) 내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구동장치)(6)와, 권상기(6)의 근방에 배치된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7)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6)는 모터를 포함한 권상기 본체(8)와, 권상기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9)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8)에는 구동 쉬브(9)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제동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9) 및 디플렉터 풀리(7)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1)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4)는 각 메인 로프(11)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4)는 구동 쉬브(9)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각각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비상 멈춤 장치(제동 장치)(12)가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리(接離) 가능한 쐐기(제동 부재)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쐐기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강제적으로 제동된다.
승강로(1) 내의 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로(1) 내의 바닥부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충격을 부드럽게 하는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와, 균형추(4)가 승강로(1) 내의 바닥부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추(4)로의 충격을 부드럽게 하는 균형추용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또한,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충돌할 때에 허용되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최대값이 충돌 허용 속도로서 설정되고, 균형추용 완충기에는 균형추(4)가 충돌할 때에 허용되는 균형추(4)의 속도의 최대값이 충돌 허용 속도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13)를 포함한 조속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에는 텐션 쉬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3) 및 텐션 쉬브 사이에는 조속기 로프(15)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5) 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연결봉(16)을 통하여 비상 멈춤 장치(12)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15)는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되고, 조속기 쉬브(13)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에 따라 회전된다.
조속기(14)에는 조속기 쉬브(13)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속도 검출기(예를 들면 로터리 엔코더 등)(17)가 설치되어 있다. 속도 검출기(17)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18)로 전송된다.
안전 장치(18)는 속도 검출기(17)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안전 장치(18)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과속도 검출 레벨과, 엘리베이터 칸(2)의 제2 과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이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 안전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조속기(14)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는 안전 장치(18)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수신한 때에 제동 동작을 실시한다. 구동 쉬브(9)의 회전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에 의해 제동된다.
또, 조속기(14)는 안전 장치(18)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수신한 때에 조속기 로프(15)를 파지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조속기(14)에 의한 조속기 로프(15)의 파지에 의해, 연결봉(16)이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해서 끌어 올려져, 각 비상 멈춤 장 치(12)의 제동 동작이 행해진다.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에 의해, 각 쐐기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에 의한 구동 쉬브(9)의 제동 및 각 비상 멈춤 장치(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2)의 제동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기까지는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 이하가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안전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이상일 때,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 이하가 되도록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 및 조속기(14)의 각각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속도 검출기(17)에 의해 상시 검출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는 안전 장치(18)의 제어에 의해,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9)의 회전이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은 후에도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는 안전 장치(18)의 제어에 의해, 조속기 로프(15)가 조속기(14)로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봉(16)이 끌어 올려져,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다음에,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의 도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한 후의 구동 쉬브(9)에 부여되는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즉, 제동 토크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하면,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이 개시된다. 이 후, 동작 지연 시간 t0가 경과하여 시각 T1이 될 때까지는 제동 토크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동 토크는 시각 T1이 되면 발생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이 후, 제동 토크는 시각 T2가 되었을 때에 최대값에 이른다. 최대값에 이른 후에는 제동 토크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 도 3은 도 2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즉,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한 후, 시각 T1이 될 때까지는 구동 쉬브(9)에 부여되는 제동 토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계속 상승한다. 시각 T1이 경과한 후에는 구동 쉬브(9)에 부여되는 제동 토크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감속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제동 토크가 최대값에 이르는 시각 T2가 될 때까지는 구동 쉬브(9)에 부여되는 제동 토크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연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도 연속적으로 커진다. 시각 T2가 경과한 후에는 제동 토크가 최대값으로 유지되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는 일정하게 되고, 시각 T3가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정지된다.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나 엘리베이터 칸(2)의 중량 등의 기계적 사양으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제동 토크의 시간적 변화를 산출한다. 이 때, 제동 토크의 시간적 변화의 산출은 엘리베이터 칸(2)이 가장 감속하기 어렵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2)의 부하 조건으로 실시한다. 이 후, 산출된 제동 토크의 시간적 변화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단순화된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즉, 근사용의 제동 토크의 시간적 변화)를 구한다.
도 4는, 도 2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와,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를 동시에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제동 토크는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동작 지연 시간 t1이 경과하여 시각 T4가 될 때까지는 0이고, 시각 T4에서 순간적으로 0에서부터 최대값까지 상승하며, 시각 T4가 경과한 후에는 최대값으로 유지된다(도면 안의 파선). 즉, 동작 지연 시간 t1이 경과한 시각 T4에서 제동 토크를 순간적으로 0에서부터 최대값까지 상승시키도록 한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를 구한다. 또한,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동 토크가 0에서부터 최대값이 되기까지 복수 단계로 나누어 제동 토크를 순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후,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를 시간과의 관계로 구한다. 도 5는, 도 4의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 도 6은 도 4의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동작 지연 시간 t1이 경과하여 시각 T4가 될 때까지는 일정한 가속도 a1으로 직선적으로 상승하고, 시각 T4의 경과 후, 일정한 가속도 a2으로 직선적으로 하강한다. 이 후, 시간 t2가 경과하여 시각 T3가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은 정지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구한 후,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의 속도가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소정값) vt가 되도록,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v0를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x0의 함수로서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구동 쉬브(9)에 제동 토크가 발생할 때까지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와, 구동 쉬브(9)에 제동 토크가 발생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로 나누어 고려한다.
구동 쉬브(9)에 제동 토크가 발생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제동되지 않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한다. 따라서,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및 속도를 (x01, v01)로 하고,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t1'로 하면, 식(1)의 관계가 성립된다.
(x01 - (v01·t1' + 1/2·a1·t1'2), v01 + a1·t1') = (0, vt) … (1)
식(1)의 t1'을 소거하고, v01을 x01의 함수로서 구하면, 식(2)와 같이 된다.
v01(x01) = (-2·a1·x01 + vt 2)0.5 … (2)
또, 구동 쉬브(9)에 제동 토크가 발생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 제동 토크가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에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t2'로 하면, 식(3)의 관계가 성립 된다.
(x1 - (v1·t2' + 1/2·a2·t2'2), v1 + a2·t2') = (0, vt) … (3)
또,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1 과속도를 검출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및 속도를 (x02, v02)로 하여, 제동 토크가 발생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및 속도를 (x1, v1)으로 하면, 식(4)의 관계가 성립된다.
(x1, v1) = (x02 - (v02·t1 + 1/2·a1·t1 2), v02 + a1·t1) … (4)
식(3) 및 식(4)에서, t2' 및 (x1, v1)을 소거하여, v02를 x02의 함수로서 구하면, 식(5)와 같이 된다.
v02(x02) = (a2 2·t2 2 - 2·a2·x02 - a2·a1·t1 2 + vt 2)0.5 + a2·t1 - a1·t1 … (5)
이상에서,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v0는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x0의 함수로서 구해져, 이하의 식(6)으로 나타낸다.
v0(x0) = Max{v01(x0), v02(x0)} … (6)
다만, 식(6)은 v01(x01) 및 v02(x0) 가운데, 어느 쪽이든 큰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최하층의 엘리베이터 칸 정지 위치로 향하여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칸(2)의 정상 속도 패턴과, 상기의 방법으로 구한 제1 과속도 검출 레 벨 v0와의 차이가 작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의 흔들림에 의한 속도의 상승이나 속도 검출기(17)에 의한 검출 오차 등에 의해서,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가산치를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v0에 가산하여, 최종적인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구한다.
도 7은 도 4의 근사용의 제동 토크와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제1 과속도 검출 레벨과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 내에는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30의 값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소정의 구간)과,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에 인접하여,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30의 값이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과속도 검출값 일정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에 있어서의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30의 값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구한 값으로 되어 있다. 또, 곡선 20 ~ 23은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4개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30을 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모든 곡선 20 ~ 23은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의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의 값으로 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이 안전 장치(18)에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로부터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속도에 격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능력을 효율 좋게 발휘시킬 수 있어m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이 제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제동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이 제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다는 메인 로프(11)가 파단한 경우 등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2)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 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검출기(예를 들면 리니어 엔코더 등)(31)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 장치(18)에는 속도 검출기(31)로부터의 정보(전기적 신호)가 전송된다.
안전 장치(18)는 속도 검출기(31)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안전 장치(18)에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 제1 과속도 검출 레벨과, 제1 과속도 검출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이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안전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제1 제동 장치)(10)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각 비상 멈춤 장치(제2 제동 장치)(12)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는 안전 장치(18)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제동 동작을 실시한다. 구동 쉬브(9)의 회전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에 의해 제동된다. 또, 각 비상 멈춤 장치(12)는 안전 장치(18)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제동 동작을 실시한다.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에 의해, 각 쐐기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에 접촉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즉,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 및 비상 멈춤 장치(12)는 서로 다른 과속도 검출 레벨로 제동 동작이 개시되고, 서로 다른 방법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의 도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안전 장치(18)가 제2 과속도를 검출한 후의 엘리베이터 칸(2)에 부여되는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즉,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2 과속도를 검출하면,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의 제동 동작이 개시된다. 이 후, 동작 지연 시간 t10이 경과하여 시각 T11이 될 때까지는 제동 토크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동력은 시각 T11이 되면 발생하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이 후, 제동력은 시각 T12가 되었을 때에 최대값에 이른다. 최대값에 이른 후에는 제동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또, 도 10은 도 9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즉,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2 과속도를 검출한 후, 시각 T11이 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계속 상승한다. 시각 T11이 경과한 후에는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제동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급격하게 감속하기 시작한다.
이 때, 시각 T12가 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 칸(2)에 대한 제동력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연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도 연속적 으로 커진다. 시각 T12가 경과한 후에는 제동력이 최대값으로 유지되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감속도는 일정하게 되고, 시각 T13이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이 정지된다.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비상 멈춤 장치(12)나 엘리베이터 칸(2)의 중량 등의 기계적 사양으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제동력의 시간적 변화를 산출한다. 이 때의 제동력의 시간적 변화의 산출은 엘리베이터 칸(2)이 가장 감속하기 어렵게 되는 엘리베이터 칸(2)의 부하 조건으로 실시한다. 이 후, 산출된 제동력의 시간적 변화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단순화 된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즉, 근사용의 제동력의 시간적 변화)를 구한다.
도 11은, 도 9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와,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를 동시에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제동력은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동작 지연 시간 t11이 경과하여 시각 T14이 될 때까지는 0이고, 시각 T14로 순간적으로 0에서부터 최대값까지 상승하며, 시각 T14가 경과한 후에는 최대값으로 유지된다(도면 안의 파선). 즉, 동작 지연 시간 t11이 경과한 시각 T14에서 제동력을 순간적으로 0에서부터 최대값까지 상승시키는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를 구한다. 또한,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11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동력이 0에서부터 최대값이 되기까지, 복수 단계로 나누어 제동력을 순간으로 상승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후,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를 시간과의 관계로 구한다. 도 12는 도 11의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 도 13은 도 11의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2 과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동작 지연 시간 t11이 경과하여 시각 T14가 될 때까지는 일정한 가속도 a11로 직선적으로 상승하고, 시각 T14를 경과하면, 일정한 가속도 a12로 직선적으로 하강한다. 이 후 시간 t12가 경과하여 시각 T13이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2)은 정지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및 가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구한 후,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의 속도가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소정값) vt가 되도록,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v10을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x10의 함수로서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2 과속도를 검출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에 제동력이 발생할 때까지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2)이 엘 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와, 엘리베이터 칸(2)에 제동력이 발생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로 나누어 고려한다.
엘리베이터 칸(2)에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제동되지 않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한다. 따라서,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이 개시될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및 속도를 (x011,v011)로 하고,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t11'로 하면, 식(7)의 관계가 성립된다.
(x011 - (v011·t11' + 1/2·a11·t11'2), v011 + a11·t11') = (0, vt) … (7)
식(7)의 t11'을 소거하여, v011을 x011의 함수로서 구하면, 식(8)과 같이 된다.
v011(x011) = (-2·a11·x011 + vt 2)0.5 … (8)
또, 엘리베이터 칸(2)에 제동력이 발생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충돌하는 경우, 제동력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에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t12'로 하면, 식(9)의 관계가 성립된다.
(x11 - (v11·t12' + 1/2·a12·t12'2), v11 + a12·t12') = (0, vt) … (9)
또, 안전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칸(2)의 제2 과속도를 검출했을 때의 엘리 베이터 칸(2)의 위치 및 속도를 (x012, v012)로 하여, 제동력이 발생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및 속도를 (x11, v11)로 하면, 식(10)의 관계가 성립된다.
(x11, v11) = (x012 - (v012·t11 + 1/2·a11·t11 2), v012 + a11·t11) … (10)
식(9) 및 식(10)에서, t12' 및 (x11, v11)를 소거하여, v012를 x012의 함수로서 구하면, 식(11)과 같이 된다.
v012(x012) = (a12 2·t11 2 - 2·a12·x012 - a12·a11·t11 2 + vt 2)0.5 + a12·t11 - a11·t11 … (11)
이상에서부터, 제1 과속도 검출 레벨 v10은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 x10의 함수로서 구해져, 이하의 식(12)로 나타낸다.
v10(x10) = Max{v011(x10), v012(x10)} … (12)
다만, 식(12)는 v011(x10) 및 v012(x10) 가운데, 어느 쪽이든 큰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가속도 설정 패턴과, 상기의 방법으로 구한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v10과의 차이가 작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의 흔들림에 의한 속도의 상승이나 속도 검출기(31)에 의한 검출 오차 등에 의해서, 각 비상 멈춤 장치(12)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을 때는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 정의 가산치를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v10에 가산하여, 최종적인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구한다.
도 14는 도 11의 근사용의 제동력과 시간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구한 제2 과속도 검출 레벨과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 내에는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40의 값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소정의 구간)과,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에 인접하여,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40의 값이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과속도 검출값 일정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에 있어서의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40의 값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구한 값으로 되어 있다. 또, 곡선 50 ~ 53은 과속도 검출값 변화 구간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4개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2 과속도 검출 레벨 40을 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모든 곡선 50 ~ 53은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의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이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의 값이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각 비상 멈춤 장치(12)의 제동 동작이 개시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에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로 충돌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이 안전 장치(18)에 미리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제동 동작을 개시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와,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제동 동작을 개시하는 비상 멈춤 장치(12)가 서로 다른 방법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이상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제동 방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을 보다 확실하게 제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제동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 및 비상 멈춤 장치(12)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기존의 제동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을 제동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를 엘리베이터 칸용 완충기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 충돌 허용 속도 이하로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충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완충기가 승강로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승강로 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완충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이상일 때에 상기 제동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완충기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상기 완충기의 충돌 허용 속도 이하로 하는 안전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장치에는 과속도 검출 레벨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상기 제동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완충기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의 상기 과속도 검출 레벨의 값은 상기 제동 장치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제동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완충기의 위치에서 소정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제동 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제동하는 비상 멈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서로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제1 제동 장치 및 제2 제동 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과속도 검출 레벨은 제1 과속도 검출 레벨과, 상기 제1 과속도 검출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과속도 검출 레벨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제1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상기 제1 제동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상기 제2 과속도 검출 레벨을 넘었을 때에 상기 제2 제동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제동 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이고,
    상기 제2 제동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제동 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제동하는 비상 멈춤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21195A 2005-09-21 2006-04-04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09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3993A JP4403123B2 (ja) 2005-09-21 2005-09-21 エレベータ装置
JPJP-P-2005-00273993 2005-09-21
PCT/JP2006/307085 WO2007034587A1 (ja) 2005-09-21 2006-04-0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732A true KR20080014732A (ko) 2008-02-14
KR100909304B1 KR100909304B1 (ko) 2009-07-24

Family

ID=3788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195A KR100909304B1 (ko) 2005-09-21 2006-04-0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27567B1 (ko)
JP (1) JP4403123B2 (ko)
KR (1) KR100909304B1 (ko)
CN (1) CN101151202B (ko)
WO (1) WO2007034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43B1 (ko) * 2007-08-06 2009-04-03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출력지연 제동장치 및 그제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76B1 (ko) * 2007-12-17 2013-08-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91461B1 (ko) * 2007-12-27 2012-10-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I20105587A0 (fi) * 2010-05-25 2010-05-25 Kone Corp Menetelmä hissikokoonpanon kuormituksen rajoittamiseksi sekä hissikokoonpano
FI122393B (fi) * 2010-10-11 2011-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hätäseis -tilanteen yhteydessä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JP5526092B2 (ja) * 2011-09-06 2014-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化エレベータ
CN104291193A (zh) * 2014-11-06 2015-01-21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驱动装置
CN104340821A (zh) * 2014-11-06 2015-02-11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梯无梁式驱动装置
CN110316628B (zh) * 2018-03-28 2021-08-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安全系统
JP7140634B2 (ja) * 2018-10-30 2022-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EP3819245A1 (en) 2019-11-08 2021-05-12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35392C (zh) * 2002-09-24 2007-09-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安全系统
JP4335511B2 (ja) * 2002-10-01 2009-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31064A1 (ja) * 2002-10-04 2006-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4204299B2 (ja) * 2002-10-18 2009-01-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04083090A1 (ja) 2003-03-18 2004-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43B1 (ko) * 2007-08-06 2009-04-03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출력지연 제동장치 및 그제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7567B1 (en) 2014-03-05
WO2007034587A1 (ja) 2007-03-29
CN101151202A (zh) 2008-03-26
CN101151202B (zh) 2011-08-03
JP2007084239A (ja) 2007-04-05
KR100909304B1 (ko) 2009-07-24
EP1927567A1 (en) 2008-06-04
JP4403123B2 (ja) 2010-01-20
EP1927567A4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904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0125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737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33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13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5662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18030155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9764927B2 (en) Elevator
KR10202289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21275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7507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977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70069127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