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462A -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4462A KR20080014462A KR1020060076229A KR20060076229A KR20080014462A KR 20080014462 A KR20080014462 A KR 20080014462A KR 1020060076229 A KR1020060076229 A KR 1020060076229A KR 20060076229 A KR20060076229 A KR 20060076229A KR 20080014462 A KR20080014462 A KR 200800144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main body
- cover
- box
- moun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의 커버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몸체(20)와, 상기 메인몸체(20)에 결합되어 메인몸체(20)의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30)와, 상기 메인몸체(20)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선단에 걸림턱(28)이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후크(26)와, 상기 걸림후크(26)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30)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26)를 둘러싼 상태로 걸림후크(26)와 결합되는 걸이후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후크(26)는 메인몸체(20)나 커버(30)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입채널(24) 내에 형성되는데, 그 기저부가 메인몸체(20)나 커버(30)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안착슬릿(27)에 의해 요입채널(24)과 분리되어 탄성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몸체와 커버에 구비되는 걸이후크 및 걸림후크가 서로 결합됨에 있어, 걸이후크가 탄성변형가능한 걸림후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므로, 박스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걸이후크나 걸림후크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커버가 메인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을 수 있게 되어 박스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박스, 메인몸체, 커버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커버장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커버장착구조를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박스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박스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메인몸체 22: 장착부
24: 요입채널 26: 걸림후크
27: 안착슬릿 28: 걸림턱
29: 안내경사면 30: 커버
32: 걸이후크 34: 걸이단
34': 안내경사면 35: 받침부
35': 안내경사면 36: 연결리브
38: 삽입통공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퓨즈박스나 정션박스와 같은 박스에서 메인몸체에 커버를 장착하는 커버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버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박스의 골격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메인몸체(1)의 외면 일측에는 장착부(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는 박스를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1)는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인데, 그 일단 가장자리 곳곳에는 요입채널(5)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채널(5)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턱(7)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은 상기 요입채널(5)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10)의 삽입방향에 안내경사면(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0)는 상기 메인몸체(1)의 일측을 덮어주는 것이다. 상기 커버(10)에는 상기 걸림턱(7)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걸이후크(1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12)는 상기 커버(10)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메인몸체(1)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12)에는 상기 걸림턱(7)이 안착되는 걸이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14)의 내면중 상기 걸이후크(12)의 선단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걸림턱(7)이 걸어지는 걸이단(16)이 된다. 상기 걸이후크(12)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 턱(7)의 안내경사면(8)과 대응되는 안내경사면(1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박스에서 상기 커버(10)가 상기 메인몸체(1)에 장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걸이후크(12)가 상기 걸림턱(7)이 구비되는 요입채널(5)의 일측 입구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10)를 메인몸체(1)쪽으로 눌러주면, 상기 걸이후크(12)가 상기 걸림턱(7)의 안내경사면(8)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단이 커버(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12)의 안내경사면(17)이 상기 걸림턱(7)의 안내경사면(8)과 서로 안내되면서 걸이후크(12)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후크(12)가 상기 걸림턱(7)을 타고 넘어 상기 걸이단(16)이 상기 걸림턱(7)에 걸어지면 커버(10)가 메인몸체(1)에 장착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걸이후크(12)는 상기 걸림턱(7)에 걸이단(16)이 걸어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10)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12)가 상기 커버(10)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는 것은 상기 걸이후크(12)가 상기 걸림턱(7)에서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커버(10)가 상기 메인몸체(1)에서 불의의 외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커버(10)가 메인몸체(1)에서 분리되면 메인몸체(1)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이 전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박스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박스는 엔진룸 등의 벽면에 그 외면이 밀착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걸이후크(12)가 커버(10)의 외측으로 탄성변형 이 가능하므로, 상기 걸이후크(12)가 상기 걸림턱(7)에 완전히 걸어지지 않은 경우 박스가 엔진룸 등의 벽면에 밀착되지 않아 상기 장착부(3)를 사용한 장착시 체결볼트가 장착부(3)에 큰 힘을 가해 장착부(3)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가 메인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커버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 측의 걸이후크가 커버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지 않아 박스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되는 커버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의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둘러싼 상태로 걸림후크와 결합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의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가 형 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둘러싼 상태로 걸림후크와 결합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후크는 메인몸체나 커버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입채널 내에 형성되는데, 그 기저부가 메인몸체나 커버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안착슬릿에 의해 요입채널과 분리되어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걸림후크의 걸림턱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선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단과 걸림턱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의 걸이단과 마주보게 받침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부는 상기 걸림후크를 지지하여 탄성변형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걸이단과 받침부는 상기 안착슬릿에 안착되는 연결리브에 의해 양단부에서 연결된다.
상기 받침부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단의 안내경사면과 마주보게 안내경사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요입채널에 안착되어 그 외면이 박스의 외면과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장착구조에서는 메인몸체와 커버에 구비되는 걸이후크 및 걸림후크가 서로 결합됨에 있어, 걸이후크가 탄성변형가능한 걸림후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므로, 박스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걸이후크나 걸림후크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커버가 메인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을 수 있게 되어 박스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걸이후크 및 걸림후크가 커버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지 않아 박스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박스의 설치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커버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박스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몸체(20)는 박스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20)에는 박스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몸체(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몸체(20)의 외면에는 장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2)는 체결볼트 등으로 엔진룸 등의 고정부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몸체(20)의 외면을 둘러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요입채널(24)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채널(24)은 상기 메인몸체(20)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요입채널(24)의 일측 입구 쪽에는 걸림후크(2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26)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걸림후크(26)는 그 기저부만이 상기 메인몸체(2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걸이후크(26)의 길이방향 양단과 메인몸체(20)의 사이에는 안착슬릿(27)이 형성된다. 상 기 안착슬릿(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리브(36)가 안착된다.
상기 걸림후크(26)에는 상기 메인몸체(20)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8)에는 상기 걸림후크(26)의 선단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29)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9)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32)의 안내경사면(34',35')과 서로 협력하여 걸림후크(26)의 탄성변형을 만들어낸다.
커버(30)는 상기 메인몸체(20)의 일측을 차폐하는 것으로, 도 3에서는 메인몸체(20)의 하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3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걸림후크(26)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후크(3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의 선단에는 걸이단(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걸림후크(26)의 걸림턱(2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단(34)의 선단에는 상기 걸리턱(28)의 안내경사면(29)과 대응되게 안내경사면(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34)과 마주보게 상기 걸이후크(32)에는 받침부(35)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35)는 상기 걸이단(3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26)가 걸이후크(32)에 걸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탄성변형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35)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35')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5')은 상기 걸림후크(26)가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경사면(35')은 상기 걸이단(34)의 안내경사면(34')과 마주보게 형성되고, 각각의 선단을 향해 가면서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된다.
상기 걸이단(34)의 양단과 받침부(35)의 양단은 연결리브(36)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34), 연결리브(36) 및 받침부(35)는 대략 사각형상의 통공을 형성하는데, 이를 삽입통공(38)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삽입통공(38)을 통해서는 상기 걸림후크(26)가 삽입되어 걸이후크(32)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후크(32)의 표면은 상기 걸이후크(32)가 요입채널(24)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몸체(20)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걸이후크(32)가 요입채널(24)에서 돌출되지 않아 메인몸체(20)와 걸이후크(32)의 표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커버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메인몸체(20)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커버(30)의 걸이후크(32)를 상기 메인몸체(20)의 걸림후크(26)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특히, 상기 걸이후크(32)의 삽입통공(38)의 입구에 상기 걸림후크(26)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30)를 상기 메인몸체(20)쪽으로 눌러주면, 상기 메인몸체(20)의 안착슬릿(27) 사이로 상기 걸이후크(32)의 연결리브(36)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단(34)에 형성된 안내경사면(34')은 상기 걸림후크(26)의 걸림턱(28)에 형성된 안내경사면(29)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걸이후크(32)의 내부로 걸림후크(26)가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후크(26)가 탄성변형된다. 이는 상기 걸림후크(26)가 상기 안착채널(24)의 내부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걸림후크(26)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탄성변형되는 정도가 약하다. 상기 걸림후크(26)가 상기 걸이후크(32)에 삽입되는 초기에는 상기 안내경사면(29)이 상기 안내경사면(34')에 안내되면서 선단이 메인몸체(2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35)의 안내경사면(35')은 상기 걸림후크(26)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걸림후크(26)가 상기 걸이후크(32)의 삽입통공(38)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28)이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단(34)에 걸어지고, 상기 받침부(35)는 상기 걸림후크(26)가 메인몸체(20)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걸림후크(26)가 상기 메인몸체(20)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26)는 상기 걸이후크(32)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상태로 되어, 메인몸체(2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하는 방향의 외력에 의해서 탄성변형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걸이단(34)에 걸이후크(32)가 메인몸체(2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하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후크(26)와 받침부(35)에 의해 상기 걸이후크(32)에 탄성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걸림후크(26)와 걸이후크(32)가 메인몸체(2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서는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외력이 메인몸체(2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후크(26)나 걸이후크(32)에 작용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없다.
한편, 상기 걸림후크(26)를 걸이후크(32)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후 크(26)의 걸림턱(28)을 상기 받침부(35)의 안내경사면(35') 방향으로 밀어야 한다. 즉,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걸림턱(28)을 받침부(35)의 안내경사면(35')방향(대략 메인몸체(20)의 외면에 대해 45도 정도의 경사진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걸림후크(26)가 탄성변형되면서 뒤로 어느 정도 밀린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후크(26)가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단(34)에서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단(34)을 공구를 사용하여 강제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후크(26)가 메인몸체(20)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32)가 커버(30)에 형성되었으나,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메인몸체(20)에 걸이후크(32)가 형성되고, 커버(30)에 걸림후크(26)가 형성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커버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메인몸체와 커버의 결합을 위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를 둘러싸는 걸이후크를 사용한다. 따라서, 걸림후크가 걸이후크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지만, 일단 걸림후크가 걸이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메인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지 않아 커 버가 메인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몸체에서 커버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메인몸체의 내부로 외부의 환경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어 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걸림후크를 둘러싸는 걸이후크가 메인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없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와 걸이후크 사이가 제대로 결합되어 있지 않더라도 걸림후크가 메인몸체의 내측을 향해 탄성변형되므로 걸이후크가 메인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걸이후크가 박스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박스의 설치상태를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 메인몸체와,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의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와,상기 메인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후크와,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둘러싼 상태로 걸림후크와 결합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메인몸체와,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의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와,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후크와,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둘러싼 상태로 걸림후크와 결합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메인몸체나 커버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입채널 내에 형성되는데, 그 기저부가 메인몸체나 커버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안착슬릿에 의해 요입채널과 분리되어 탄성변형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걸림후크의 걸림턱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선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단과 걸림턱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의 걸이단과 마주보게 받침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부는 상기 걸림후크를 지지하여 탄성변형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걸이단과 받침부는 상기 안착슬릿에 안착되는 연결리브에 의해 양단부에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단의 안내경사면과 마주보게 안내경사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요입채널에 안착되어 그 외면이 박스의 외면과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229A KR100804279B1 (ko) | 2006-08-11 | 2006-08-11 |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229A KR100804279B1 (ko) | 2006-08-11 | 2006-08-11 |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462A true KR20080014462A (ko) | 2008-02-14 |
KR100804279B1 KR100804279B1 (ko) | 2008-02-18 |
Family
ID=3934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6229A KR100804279B1 (ko) | 2006-08-11 | 2006-08-11 |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427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274B1 (ko) * | 2008-06-24 | 2010-07-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
KR101159731B1 (ko) * | 2010-06-29 | 2012-06-28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정션 박스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62132B2 (ja) | 2004-04-26 | 2009-05-13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接続箱のカバー固定構造 |
KR200368543Y1 (ko) | 2004-08-30 | 2004-11-26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커넥터 고정장치 |
-
2006
- 2006-08-11 KR KR1020060076229A patent/KR1008042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274B1 (ko) * | 2008-06-24 | 2010-07-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
KR101159731B1 (ko) * | 2010-06-29 | 2012-06-28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정션 박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4279B1 (ko) | 2008-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6537Y1 (ko) |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 |
KR100988786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20150099815A (ko) | 록킹 요소를 포함하는 커넥터 부재 | |
KR100804279B1 (ko) |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
KR100804262B1 (ko) |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 |
JP5878140B2 (ja) | モールのクリップ締結構造 | |
KR100838789B1 (ko) | 박스 조립체 | |
KR200442526Y1 (ko) | 커넥터하우징 | |
KR20120039990A (ko) |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 |
KR20100114366A (ko) | 커넥터조립체 | |
KR200449222Y1 (ko) | 커넥터하우징 | |
KR102644963B1 (ko) | 커넥터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
JP6669623B2 (ja) | 部材取付構造及び取付クリップ | |
KR100948132B1 (ko) | 차량용박스 | |
KR100773836B1 (ko) |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 |
KR200428003Y1 (ko) | 커넥터어셈블리 | |
KR20100070138A (ko) | 차량용 박스 | |
KR20100002452U (ko) | 커넥터클립 | |
KR20120073696A (ko) | 커넥터 | |
KR100922155B1 (ko) | 박스의 브라켓 | |
KR20100120511A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200442920Y1 (ko) | 커넥터 하우징 | |
KR20090072743A (ko) | 커넥터 | |
JP2012219891A (ja) | クリップ | |
KR100874971B1 (ko) |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