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647A -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 Google Patents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647A
KR20080013647A KR1020060076020A KR20060076020A KR20080013647A KR 20080013647 A KR20080013647 A KR 20080013647A KR 1020060076020 A KR1020060076020 A KR 1020060076020A KR 20060076020 A KR20060076020 A KR 20060076020A KR 20080013647 A KR20080013647 A KR 20080013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robot
driving
pip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102B1 (ko
Inventor
정선구
이재훈
이명운
문승준
서인호
강태우
이정한
여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탑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탑,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탑
Priority to KR102006007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1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5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bot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PT 및 공동 주택이나 건물의 쓰레기를 버리는 배출관을 원활히 주행하고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로 인해 막혀 있는 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관내부의 청소와 쓰레기를 적출 할 수 있는 이동로봇(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봇의 헤드부에 장착된 다목적 집게팔은 상대물을 정확히 잡아서 견인할 수 있고 브러쉬는 정·역회전에 의해 관 내부의 녹과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창 및 삽날 형태의 다양한 도구를 통해서 관 내부의 청소 및 쓰레기와 이물질을 수거하고 외부로 유출 시켜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동로봇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조명장치가 부착된 카메라는, 회전 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 모니터를 통해 관내부의 환경을 전면 뿐만 아니라 360°회전하여 후면 및 좌·우 전방향을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관찰하며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로봇의 구동부 상부에 위치한 작살은 헤드부에 위치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제거가 어려울 때 작살을 이용하여 상대물을 견인하는데 사용하고 좌·우측 각각의 구동모터에 연결된 바퀴는 정·역 회전을 통한 방향전환으로 정확한 작업 위치를 선정하여 작업을 함과 동시에 곡관과 같은 다양한 관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쓰레기 퇴수구와 연결된 관의 소통과 청소를 함으로써 관의 수명연장과 관의 막힘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견인작살, 카메라 회전모듈, 구동모터, 헤드부, 견인고리, 집게팔, 견인작살 작동 모듈

Description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cleaning robot for garbage discharging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헤드부에 집게팔과 구동부에 견인작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헤드부 브러쉬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헤드부 구동부의 구동 및 방향전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견인 작살에 대한 상세도
도 6는 도 1의 다목적 집게 팔을 이용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견인 작살을 이용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2 : 카메라 3 : 헤드부
4 : 카메라 회전 모듈 5 : 다목적 집게팔
6 : 수거용 삽 7 : 견인고리 개·폐 링크
8 : 견인 작살 9 : 좌측 구동 바퀴 전륜
10 : 좌측 구동 바퀴 후륜 11 : 우측 구동 바퀴 전륜
12 : 우측 구동 바퀴 후륜 13 : 견인 작살 작동 모듈
14 : 견인 고리 15 : 견인 지지대
16 : 구동부 17 : 견인 작살 몸통
18 : 실린더 케이스 19 : 브러쉬
20 : 좌측 구동모터 21 : 우측 구동모터
22 : 구동축 23 : 조명장치
24 : 전·후륜 연결 궤도 25 : 피스톤
본 발명은 APT 및 공동 주택이나 건물의 쓰레기를 버리는 배출관을 원활히 주행하면서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로 인해 막혀 있는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관의 청소와 쓰레기를 적출 할 수 있는 이동로봇(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봇의 구동부와 헤드부에 장착된 작살, 다목적 집게팔, 브러쉬, 창 및 삽날 형태의 다양한 도구를 통해서 관 내부의 청소 및 쓰레기와 이물질을 수거하고 외부로 유출 시켜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하게 하며 360°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와 조명장치를 통해 관내부를 보다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관찰하며 바퀴의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선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쓰레기 배출관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APT 및 공동 주택이나 건물에서 쓰레기 배출시 각 세대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각 동별로 설치된 쓰레기 배출구에 버려지게 되고 배출구에 연결된 관을 통해 한곳 에 모아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비규격 봉투의 사용이나 각종 이물질 투입으로 쓰레기배출관이 막히게 되면 원할한 쓰레기 수거를 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해 관의 부식, 악취 발생, 세균의 번성이 발생하고 관의 외부로 누출시 일상 생활의 어려움과 환경오염 뿐만 아니라 건강상에도 문제가 발생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과 부식으로 인한 관의 수명 단축 및 청결을 위해서라도 청소를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지점까지 이동하여 관의 상태를 파악하고 막힌곳을 뚫거나 막혀있는 쓰레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통을 원할히 하는데 이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을 살펴보면. 와이어 끝에 각종 공구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방법과 진공을 이용한 흡입준설 방법, 로봇을 이용한 방법등이 있는데 와이어 형태의 방법은 주로 옥내 소형 상하수관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와이어에 의해 동력전달을 하여 공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대형 관이나 관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공구에 동력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고 조절이 용이 하지 못하며 공구 크기에 제약을 받게되어 사용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거된 이물질은 원래 관을 흐르던 액체에 의해 같이 흘려보내 최종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그러한 흐름이 없는 쓰레기 배출관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하고 또한 카메라와 공구를 동시에 장착하여 작업 할 수 없어 내부 상태와 정확한 목표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진공을 이용한 흡입 방법은 대형관에도 적용 할 수있으나 관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진공에 의한 흡입 압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흡입량이 줄어 들고, 가는 입자상태의 퇴적물을 주로 흡입하므로 입자의 크기가 커지거나 대형화 및 단단한 고형물로 막힌 부분은 흡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카메라가 없어 실시간 촬영 작업과 막힌 상대물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다. 로봇 형태의 장비는 시선이 제한된 카메라를 부착, 관내부의 상황을 단순 촬영 하여 주로 관에 퇴적된 퇴적물이나 토사물을 버켓등을 이용하여 퍼서 날으는 수준이며 전·후진 외에는 방향전환이 불가능하여 맨홀에서 맨홀로 연결된 직관의 하수관 청소에 주로 많이 사용 되어져 방향이 다른 관에서는 로봇을 다시 다른 관으로 연결된 맨홀에 삽입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이 안되므로 인해 작업위치가 로봇의 진행 방향으로만 가능하여 상대물의 정확한 작업위치의 선정이 어려워 작업 수행 능력의 어려움과 시간이 많이 걸리고 관의 내부에 쌓인 퇴적물을 청소하는 기능은 많으나 관 내벽을 직접적으로 청소하지는 못하며, 부피가 크고 가벼운 쓰레기를 버켓에 올리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에 사용되는 방법은 곡관이 많고 다양한 환경과 이물질에 적응해야 하는 쓰레기 배출관의 막힘이나 청소에는 사용상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부에 장착된, 조명장치가 부착된 360° 회전 가능한 카메라는 회전 모듈을 이용하여 관내부의 모든 부분을 촬영 가능토록 하여 관측되지 않는 사각지대로부터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대비하고 좌·우측 바퀴의 각각의 독립된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방향을 서로 달리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후진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전환을 통해 정확한 작업위치의 선정과 곡관의 환경에도 적응토록 하였으며, 기존의 버켓 형태에서 발달한 형태의 다목적 집게팔을 사용, 관에 충만하게 막혀있는 쓰레기나 이물질을 집어서 견인하거나 용기안에 싸여진 파손이 쉬운 이물질 및 쓰레기를 용기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견인하여 제거 시킬 수 있고 견인작살을 이용해서 다목적 집게팔로 집기 어려운 구조물 형태의 쓰레기 및 이물질을 걸어 견인하여 제거하고 헤드부에 달려진 브러쉬를 이용해 관 내벽의 청소를 통해 오랜기간 사용시 생길수 있는 부식이나 오염을 방지하여 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수명연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6)구동부(쓰레기 배출구 청소용 로봇)에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연결한 (3)헤드부에 (23) 조명장치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4)카메라 회전모듈을 장착하여 360° 전방향을 관찰 및 세밀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25)피스톤을 이용한 (5)다목적 집게팔을 장착하여 (18)실린더 케이스 안에서 왕복 움직임을 통해 (5)다목적 집게팔을 개·폐하여 관에 충만히 막혀 있는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을 집거나 (6)수거용 삽에 실어 외부로 유출하여 작업을 하며 헤드부 (22)구동축에 (27)브러쉬를 연결하여 관의 내벽에 붙어있는 스케일 및 이물질을 청소하게 된다.
또한 (16)구동부 상부에 장착된 (13)견인작살 작동모듈에서는 탄성체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장전되었다가 이완 시키며 발사됨과 동시에 (8)견인작살이 복수의 (14)견인 고리를 가지고 견인 상대물의 내부에 들어가거나 통과되어 펼쳐지면서 상대물을 견인 할 수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게 되고 상대물이 구조물 형태이거나 (5)다목적 집게팔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도 (8)견인 작살을 이용하여 상대물에 걸어서 견인하여 제거하게 되며 (3)헤드부 하단에 장착된 구동축에 삽 및 창 형태의 바구니를 사용하여 견인작업을 돕게된다.
또한 로봇의 방향 전환 및 정확한 작업위치를 선정하고 충분한 구동력을 얻기위해 (20)좌측 구동모터 와 (21)우측 구동모터 각각 독립된 2개의 구동 모터를 가지고 동일한 방향으로 정·역회전을 통하여 전·후진 구동을 하고 (20)좌측 구동모터와 (21)우측 구동모터가 상반되게 회전하여 좌·우측 방향 전환 뿐만 아니라 360°제자리 회전을 가능케하여 변하는 관의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방향 전환을 통한 정확한 작업위치를 선정함으로 인해 작업 성공율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쓰레기 배출구 청소용 로봇의 구성 및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에 (5)다목적 집게팔과 (6)수거용 삽의 형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관 내벽 (19)청소용 브러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16)구동부의 방향전환 및 구동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상세도 이고, 도 5 는 견인작살에 대한 상세도 이고, 도 6 은 집게 팔을 이용한 동작 예시이고, 도 7 은 견인 작살을 이용한 동작 예시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은 구동부 내부에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구동시켜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360° 제자리 회전 또한 가능하게 하였으며 (16)구동부 상부에 위치한 (8)견인 작살은 (13)견인 작살 작동모듈 내부의 탄성체에 의해 장전되어 있으며 이완 작용으로 발사되어 목표물을 견인하게 되며, (3)헤드부는 (16)구동부 내부에 있는 모터와 연결되어 (3)헤드부에 있는 구동 레일을 따라 상·하 구동을 하게 되어지며, (5)다목적 집게팔을 장착시 왕복 동작으로 개·폐를 가능케하는 (25)피스톤과 쓰레기 및 기타 이물질을 담을 수 있는 (6)수거용 삽을 장착 할 수있는 회전구동을 하는(22)구동축 으로 이루어진다.
도 2 와 도 6 은 (5)집게 팔과 연계하여 (25)피스톤 왕복운동을 통해 (5)집게 팔의 개·폐를 돕는 (18)실린더 케이스로 피스톤은 (18)실린더 케이스 안에서 왕복운동을 하게되며 전진시 (17)집게팔은 열리고 후진시 (17)집게팔이 닫히므로 상대물을 집을 수 있게된다.
도 3 은 관 내벽의 청소를 위해 (22)구동축에 (19)브러쉬를 장착한 상태로서 (22)구동축의 회전과 함께 (27)브러쉬 또한 회전하여 내벽의 이물질 및 스케일을 청소하게 된다.
도 4 는 (16)구동부의 구동 및 방향전환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으로서 (9)좌측 전륜바퀴와 (10)좌측 후륜 바퀴가 (16)구동부 내부의 (24)전·후륜 연결궤도에 의해 연결 되어져 있으며 (11)우측 전륜 바퀴와 (12)우측 후륜 바퀴 또한 동일한 형태로 연결 되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독립된 (20)좌측 구동모터 와 (21)우측 구동모터를 사용하게 되며 전·후진 구동시 각각의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역 회전하여 구동하게 되며 좌·우측 4륜이 모두 구동하게 되어 강력한 구동력과 견인력을 가지게 되며 (20)좌측 구동 모터와 (21)우측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구동시켜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360° 제자리 회전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5 와 도 7 은 (8)견인 작살의 상세도로서 (13)견인작살 작동모듈의 탄성체에 의해 압축되어 장전되어진 (8)견인 작살은 탄성체가 이완되며 발사되고 (17)견인 작살 몸통에 들어가 있던 (15)견인 지지대가 돌출되면서 목표로 했던 상대물에까지 길이를 연장하여 발사하게 되며 상대물에 삽입된 후 (15)작살 개·폐 링크가 전진하면서 (14)견인고리가 상대물 내부 또는 관통하여 펴지게 되므로 충분한 견인력을 가질 수 있으며 구조물 형태의 상대물에서는 (14)견인 고리 부분에 상대물을 걸리게 하여 상대물을 견인하여 제거 할 수 있게 되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로봇의 자유로운 방향 전환을 통해 정확한 작업위치를 선정하여 작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하며, 곡관등 다양한 관의 형태에 적응하여 사용되도록 로봇의 이동성을 높였고, 360°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작업 특성상 전·후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상황에서 후진시에도 뒤쪽의 상황을 파악 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관내에서 행해지는 작업 상황과 관의 모든 부분을 촬영 할 수 있으므로 관측되지 않는 사각지대로부터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대비 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집게팔과 견인작살을 이용해 기존의 삽 및 창의 형태의 도구로는 할 수 없었던 정밀하고 세밀한 작업까지 진행 할 수 있으며, 장착된 브러쉬를 통해 관 내벽을 세밀히 청소하여 부식이나 오염을 방지하고 관의 소통을 원활히 하며 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각각의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을 통한 구동 바퀴의 구동 및 방향 전환 가능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상단에 연결되어 견인용 작살을 발사하는 견인작살 작동 모듈부와; 그리고 구동부 전면부에 연결되어진 360° 좌·우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가 부착된 카메라 회전모듈과 하단에 청소용 브러쉬와 수거용 창 및 삽형태의 공구가 연결가능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축을 가진 헤드부에 왕복피스톤이 부착되어진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2. 제 1 항에 있어서 견인 작살 작동모듈이 연결된 구동부의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 좌·우측 전·후륜 구동바퀴를 궤도로 연결 되어 좌·우측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며 방향전환을 할 수있는 구동부를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의 헤드부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실린더 케이스 안에서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연결된 링크를 통해 개·폐작용을 하는 집게 팔을 이용 상대물을 잡을수 있는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부 상단에 장착되어 탄성체의 압축에 의해 장전된 견인 작살을 탄성체의 이완을 통해 발사하는 견인작살 작동 모듈에 의해 발사된 견인작살은 견인 고리 개폐링크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고 견인작살의 발사가 가능한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5.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부 하단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관 내벽을 청소하는 청소용 브러쉬를 장착한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KR1020060076020A 2006-08-09 2006-08-09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KR10081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20A KR100811102B1 (ko) 2006-08-09 2006-08-09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020A KR100811102B1 (ko) 2006-08-09 2006-08-09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86U Division KR200431193Y1 (ko) 2006-08-09 2006-08-09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47A true KR20080013647A (ko) 2008-02-13
KR100811102B1 KR100811102B1 (ko) 2008-03-11

Family

ID=3934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20A KR100811102B1 (ko) 2006-08-09 2006-08-09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10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811A (zh) * 2014-11-28 2015-03-25 华南理工大学 无水条件下大型智能化隧道海生物清理设备及方法
CN105642578A (zh) * 2013-10-30 2016-06-08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电凝镊擦拭消毒支座
CN105642577A (zh) * 2013-10-30 2016-06-08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电凝镊擦拭消毒支座
CN105642576A (zh) * 2013-10-30 2016-06-08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电凝镊喷液清洁支座
CN109807121A (zh) * 2019-03-22 2019-05-28 温妙云 一种自上而下降落式管道清理机器人
CN109837978A (zh) * 2019-03-25 2019-06-04 温妙云 一种自下而上攀爬式管道清理机器人
KR102424615B1 (ko) * 2021-07-29 2022-07-27 (주)신성엔지니어링 하수관로용 다기능 구조 견인장치
CN109837978B (zh) * 2019-03-25 2024-06-04 安徽先鑫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自下而上攀爬式管道清理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2834A1 (es) * 2010-12-02 2012-06-07 Eliot Systems, S.L. Dispositivo robotizado de limpieza de estructuras externas de acero
CN104815827B (zh) * 2015-04-13 2017-06-27 长沙智汛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排水管网清淤机器人及其清淤方法
CN111992551B (zh) * 2020-08-18 2021-06-04 山东盈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水泥输送管道内壁清理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2578A (zh) * 2013-10-30 2016-06-08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电凝镊擦拭消毒支座
CN105642577A (zh) * 2013-10-30 2016-06-08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电凝镊擦拭消毒支座
CN105642576A (zh) * 2013-10-30 2016-06-08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电凝镊喷液清洁支座
CN104452811A (zh) * 2014-11-28 2015-03-25 华南理工大学 无水条件下大型智能化隧道海生物清理设备及方法
CN109807121A (zh) * 2019-03-22 2019-05-28 温妙云 一种自上而下降落式管道清理机器人
CN109807121B (zh) * 2019-03-22 2024-01-23 陕西东海明珠防腐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自上而下降落式管道清理机器人
CN109837978A (zh) * 2019-03-25 2019-06-04 温妙云 一种自下而上攀爬式管道清理机器人
CN109837978B (zh) * 2019-03-25 2024-06-04 安徽先鑫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自下而上攀爬式管道清理机器人
KR102424615B1 (ko) * 2021-07-29 2022-07-27 (주)신성엔지니어링 하수관로용 다기능 구조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102B1 (ko)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102B1 (ko)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JP6441568B2 (ja) 管路清掃装置
KR100815926B1 (ko) 배관의 내부검사 및 청소용 로봇
KR101057153B1 (ko) 파이프 클리너
JP6529656B1 (ja) ダクト洗浄用器具
CN116371774B (zh) 一种海洋网箱网衣海生物附着清洗装置及其方法
JP2014114653A (ja) ロボット利用埋設管工事用装置
CN109577402B (zh) 履带底盘前端左右摆动绞吸式清淤机器人
CN213033193U (zh) 一种水利工程用管道疏通装置
CN110512683A (zh) 水下抓斗式栅格绞龙清淤机器人
KR200431193Y1 (ko)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GB2542772A (en) A device for cleaning a chimney flue
CN201832823U (zh) 一种清扫管道机器人
CN115306311B (zh) 一种建筑用旋挖设备
CN209686569U (zh) 一种管道内部自动维护设备
CN110385318B (zh) 管涵淤堵疏通机器人及疏通方法
CN210766955U (zh) 水下抓斗式栅格绞龙清淤机器人
CN218424616U (zh) 隧道防水板排水管疏通装置
CA2817638C (en) Modular tool for wellbore cleaning
CN116545367A (zh) 一种便携式太阳能光伏板清洗装置
CN216095364U (zh) 一种城市管道清淤监测一体化机器人
CN210134491U (zh) 一种万向节式下水道疏通装置
CN112627324B (zh) 一种管道清淤机器人
CN109750725A (zh) 一种万向节式下水道疏通装置
CN209339206U (zh) 一种用于隧道中心水沟清理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