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656A - 통기식 젖꼭지 - Google Patents

통기식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656A
KR20080011656A KR1020077025212A KR20077025212A KR20080011656A KR 20080011656 A KR20080011656 A KR 20080011656A KR 1020077025212 A KR1020077025212 A KR 1020077025212A KR 20077025212 A KR20077025212 A KR 20077025212A KR 20080011656 A KR20080011656 A KR 20080011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side walls
bottle
ridg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112B1 (ko
Inventor
이란 자디크 삼손
Original Assignee
이란 자디크 삼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란 자디크 삼손 filed Critical 이란 자디크 삼손
Publication of KR20080011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61J11/002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by us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heck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Lubricant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Nozz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으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니플을 통해 젖병으로부터 흡입된 액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공기가 젖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젖꼭지의 니플로부터 이격된 단방향 밸브를 가진다. 상기 단방향 밸브는 슬릿을 가진 리지를 따라 만나는 서로 경사지게 마주보는 측부 벽을 가진 내부 방향으로 배향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편향시키지 않을 때(when undeflected) 상기 측부 벽들은 상기 리지에서 서로 선 접촉되며, 측부 벽의 두께가 0.4mm 미만이여서 상기 젖병 내의 증가된 압력이 작용할 때 측부 벽은 서로 함몰되고(collapse)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리지로부터 연장되는 경계선 표면상에서 밀봉 접촉된다.

Description

통기식 젖꼭지{VENTED TEAT}
본 발명은 젖병(feeding bottle)용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아기들은 통기 구멍이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어머니의 가슴으로부터 젖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린 아기들이 젖병의 젖꼭지로부터 흡입하기 시작할 때, 통기구멍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다. 아기들은 공기가 젖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을 멈추지 않을 경우, 젖병(bottle) 내 압력은 떨어지고 이에 따라 역 흡입(counter suction)이 야기되어 아기들은 젖병으로부터 액체를 흡입하기가 어렵다. 아기들의 마시기 위한 노력에 대한 욕구 불만과는 별도로, 이는 2가지 이상의 심각한 영향이 있다. 첫째로, 증가된 흡입력을 필요함에 따라, 아기들의 입술은 꼭지 주위에 효과적인 밀봉을 형성할 수 없으며 액체가 함유된 공기를 삼키기를 끝내며 트랩 가스(trapped gas)는 아기 산통(baby colic)을 발생시킨다. 둘째로, 젖꼭지의 돔(dome)은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며, 아기들의 입술이 꼭지를 단단히 잡고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젖병의 젖꼭지를 통기시키기 위한 수많은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젖꼭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물질로부터 제조되며, 니플(nipple)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젖꼭지 내에 작은 슬릿 또는 홀(hole)의 형성하려는 시도가 이전에 있었다. 누출 방지와 통기를 위한 개구부의 여유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존재하고 액체가 젖병에서 누출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통기 개구부와 함께 중요하다.
두꺼운 벽 내에 슬릿/홀을 매우 작게 제조함으로써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행이다. 특히, 누출 방지는 흡입이 없는 상태로 밀폐된 위치 내 슬릿/홀을 유지하기 위해 벽의 강도에 의존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인 개선책은 누출을 시도하는 액체의 압력이 서로 립에 하중을 가하도록 내부적으로 배향된 오목부의 축에서 슬릿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시도는 뒤따르는 이유로 전체적으로는 성공적이지 못하다. 밸브 재료의 두께는 실질적인 흡입 레벨의 필요가 통기를 위해 슬릿을 개방하기 이전에 젖병 내에서 존재하도록 하며 적당한 통기 공기 흐름 비율을 위한 충분한 개구부를 방해한다. 또한 밸브 재료의 두께는 슬릿 밀폐를 보조하기 위해 내측부 압력의 이동을 제한한다. 내부 오목부의 보통 작은 크기는 효과적인 차단 하중을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영역을 가지지 않으며, 누출을 제한하기 위한 슬릿의 짧은 길이는 적당한 통기를 위한 충분한 개구부를 허용하기에 너무 작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DE 29906849는 액체가 젖병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니플을 통하여 젖병으로부터 흡입된 액체를 교체하기 위해 공기를 젖병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젖꼭지의 벽 내에 위치된 단방향 밸브를 가지는 젖병용 젖꼭지를 기술하며, 단방향 밸브는 내부 방향 단부에서 슬릿을 따라 연결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상호적으로 마주보며 만곡되는 경사진 측부 벽을 가지며, 내부 방향으로 배향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밸브를 통하여 새어 나오는 동시에 젖병 내부 액체의 중량이 슬릿의 립의 변부를 밀폐된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에 대한 이유는 "립 밀봉"(DE 29906849에서 인용됨)으로써 공지된, 일직선상으로 밀봉 영역을 집중하는 공지된 실행이다.
상기 제시의 단점은 립 밀봉(lip seal)에 대한 신뢰가 바람직하지 못한 누출을 감수하고, 상기 립들 사이에 수용된 액체 내 조각들을 받아들이기 쉽게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 없이 개구부를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슬릿의 가장 작은 크기와 벽의 강도에 의존되지 않는 통기식 밸브를 통한 누출 방지와 소량의 불순물에 내성이 있는 젖꼭지를 제공하도록 추구한다. 이에 따라 그 외의 다른 고가의 젖꼭지에 비해 밀봉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통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젖병으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니플을 젖병으로부터 흡입된 액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젖꼭지의 니플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단방향 밸브를 가지는 젖병용 젖꼭지가 제공되며, 단방향 밸브는 슬릿을 가진 리지를 따라 만나는 상호 마주보며 기울어진 측부 벽을 가진 내부를 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편향되지 않을 때(undeflected) 측부 벽들은 리지에서 서로 선 접촉하며 측부 벽의 두께는 0.4mm 미만이고, 이에 따라 젖병 내부에 상승된 압력이 작용할 때 측부 벽은 서로에 대해 함몰되며, 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 표면상에 밀봉 접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의 깊이는 4 mm를 초과하고, 슬릿은 3 mm 초과하는 길이를 가진다.
오목부의 리지를 따라 긴(3 mm) 슬릿을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넓은 영역(4 mm x 4 mm), 얇은 단면(0.4 mm 보다 작은 두께)인 측부 벽과 함께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의 단방향 밸브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은 밸브를 통하여 새어 나오려는 젖병 내부 액체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밸브는 밀폐된 리지 내 슬릿을 유지하고 서로를 향해 측부 벽들이 함몰된다. 수압이 크면 클수록, 리지 내의 슬릿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가해진 하중이 커진다. 따라서 밸브는 밀폐를 유지하기 위해 밸브 벽의 탄력성에 의지하지 않고 또는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슬릿의 작은 크기에 의지하지 않고 새어 나오려는 액체의 압력에 의지한다.
액체의 압력이 주변 대기 압력 이하가 될 때(아기들이 젖꼭지로 흡입함에 따라) 측부 벽의 두께는 측부 벽이 용이하게 슬릿을 개방하도록 분리를 허용하며 공기를 젖병로 유입하도록 하며, 이는 오래 지속되는 슬릿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원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젖병 내 음의(negative) 압력의 형성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밸브를 통한 누출이 방지됨과 동시에 액체는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젖병으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차이는 단지 크기 또는 치수 형상화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작동을 위한 서로 다른 원리에 의존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 있어서 밀봉 특성은 통기량의 감소 및 그 역과 밀봉과 통기 사이 구현이 필요한 절충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대조하여, 밀봉이 강화되는 반면 이에 의해 양 기능이 최적화되도록 허용하며, 통기가 개선될 수 있는 절충에 대한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1 cm2(특히 얇은 벽을 가짐)의 초과 상태의 기저부 영역과 같이 너무 크기가 큰 경우 압력 하에 또한 그 역에서조차 밸브의 초과 변형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의 크기는 막연하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는 일반적으로 2개의 삼각형 단부 벽과 슬릿 리지를 따라 만나는 2개의 편평한 일반적으로 장방형 또는 사다리꼴 측부 벽으로 텐트(tent)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례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기식 젖꼭지를 절단한 부분적인 단면도.
도 2는 통기식 밸브를 도시하는 도 1의 젖꼭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상부로부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일직선 Ⅲ-Ⅲ 을 따라 절단된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밸브의 측부 벽을 가진 도 2의 일직선 Ⅳ-Ⅳ을 따라 절단된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밸브의 측부 벽 상에 젖병 내 증가된 압력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 4와 유사한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작은 조각들이 밀봉 표면 내에 존재할 때조차 기능하는 밸브의 역량을 설명하는 도 6과 유사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에서 젖꼭지(teat, 10)는 일반적으로 종래 니플(nipple, 12)과 도면에서 도시되는 통기식 밸브와 관련된 젖꼭지의 부분을 가진다. 보통, 플랜지(14)는 젖꼭지(10)의 기저부를 둘러싼다. 사용 중 밀봉 링으로써 기능을 하는 플랜지(14)는 젖병의 입구(mouth)로 스크류되는 환형 링과 젖병의 상단 사이에 끼워진다. 젖병과 환형 링은 종래의 기술이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젖꼭지와 통기 밸브가 제조되는 가요성 재료는 전형적으로 종래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이며, 상기 재료는 천공 또는 손상됨이 없이 씹히는것을(chewed) 견딜 수 있으며 살균처리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6으로 도시된 단방향 통기 밸브는 2개의 삼각형 단부 벽(16c)과 2개의 장방형 측부 벽 또는 사다리꼴 측부 벽(16a 및 16b)에 의해 형성된 텐트(tent)형 구조를 가진다. 텐트형 구조의 리지(ridge)에서 측부 벽(16a 및 16b)들은 젖병 내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일 때 젖병으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개 방되는 슬릿(slit)을 따라 만난다. 그러나, 액체가 측부 벽(16a) 상에서 가압될 때, 상기 측부 벽들은 액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슬릿(slit)을 밀폐하기 위해 서로를 가압된다(urged).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측부 벽의 두께는 0.4 mm미만이고, 바람직하게 0.3 mm미만이다. 상기 얇은 두께로 인해, 측부 벽은 밸브를 용이하게 개방하고 밀폐하기 위해 두께를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된다. 압력 차이에 대한 밸브의 반응성(responsiveness)은 측부 벽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증대되며, 이는 강하 깊이를 4 mm 또는 다소 깊게 증가시키고 슬릿의 길이를 3 mm 또는 다소 길게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현될 수 있다.
측부 벽(16a 및 16b)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에 따라 리지(ridge)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질 수 있지만 전체 높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측부 벽의 두께는 최저부에서 0.4 보다 더 크거나 또는 0.3 보다 크게 시작될 수 있으며, 슬릿 주위에서 0.3 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매우 낮은 흡입력으로, 젖병을 통기하기 위해 슬릿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흡입이 없을 때(누출의 발생은 흡입 부존재에서만 존재한다.) 누출 방지는 측부 벽의 강도에 의해서가 아니라 도 5 및 6에서 도시된 바에 따라 움푹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새어 나오는 액체에 의해 측부 벽 상에 작용된 압력에 대해 누출 방지가 반응하도록 하는 측부 벽 두께 및 큰 크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 밀봉 효율을 증대시키는 3가지 경우가 발생한다. 첫째로, 측 부 벽의 큰 크기는 액체 압력을 상대적으로 큰 하중으로 변환시킨다. 둘째로, 측부 벽의 두께로 인해 측부 벽들은 보다 잘 가압되어 밀폐된다. 셋째로, 벽의 크기는 주어진 하중 하에서 벽들이 보다 잘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3가지 효과에 의해 야기된 측부 벽들의 함몰(caving)로 인해 밀봉부는 직선 밀봉(도 4 참조)으로부터 표면 밀봉(도 5 및 도 6 참조)으로 확장된다. 이에 따라 측부 벽들 사이의 간격(gap)은 벽들이 만날 때까지 연속적인 단계 없이 점점 가늘어져서(taper), 상기 간격은 측부 벽 함몰에 따르는 영역에 대해 밀봉 접촉을 연속적으로 넓게 확장하기 위해 밀폐될 수 있다. 이는 종래 기술과 대조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있어서 서로 밀봉 접촉 형성되는 립(lip)의 영역은 변경되지 않으며 립(lip)들 사이의 압력만이 증가된다. 종래 기술에 있어, 소량의 입자(particle)가 립 밀봉부에 사로 잡혀지는 경우(catch) 누출(leakage)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된 바에 따르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밀봉이 작은 입자(particle)들 주위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작은 입자들은 허용될 수 있다(tolerate).
상기 설명된 밸브는 니플(nipple)에 너무 인접하지 않을 정도의 젖꼭지 상의 어느 부분이라도 위치될 수 있다. 선호된 위치는 젖꼭지의 측부 벽 내 또는 젖꼭지의 기저부에서 환형 플랜지(14)의 내측부 반경 근방이다.

Claims (6)

  1. 젖병으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니플을 통해 젖병으로부터 흡입된 액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공기가 젖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젖꼭지의 니플로부터 이격된 단방향 밸브를 가지는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밸브는 슬릿을 가진 리지를 따라 만나는 서로 경사지게 마주보는 측부 벽을 가진 내부 방향으로 배향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편향시키지 않을 때(when undeflected) 상기 측부 벽들은 상기 리지에서 서로 선 접촉되며, 측부 벽의 두께가 0.4mm 미만이여서 상기 젖병 내의 증가된 압력이 작용할 때 측부 벽은 서로 함몰되고(collapse)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리지로부터 연장되는 경계선 표면상에서 밀봉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목부의 하나 이상의 측부 벽은 0.3 mm를 초과하지 않는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목부 측부 벽은 두께가 점점 가늘어지고(taper), 리지에 인접한 위치에서 0.4 mm 초과하지 않는 최소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4 mm 이상의 깊이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지에서 측부 벽들의 접촉 선은 3 mm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2개의 삼각형(triangular) 단부 벽과 리지에서 만나는 2개의 편평한 장방형(rectangular) 측부 벽 또는 사다리꼴(trapezoidal) 측부 벽을 가진 텐트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KR1020077025212A 2005-03-31 2005-03-31 통기식 젖꼭지 KR101149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GB2005/001264 WO2006103379A1 (en) 2005-03-31 2005-03-31 Vented t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656A true KR20080011656A (ko) 2008-02-05
KR101149112B1 KR101149112B1 (ko) 2012-05-25

Family

ID=3524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212A KR101149112B1 (ko) 2005-03-31 2005-03-31 통기식 젖꼭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640897B2 (ko)
EP (1) EP1863427B1 (ko)
JP (1) JP4745384B2 (ko)
KR (1) KR101149112B1 (ko)
CN (1) CN101175463B (ko)
AT (1) ATE523184T1 (ko)
AU (1) AU2005329741B2 (ko)
CA (1) CA2603355C (ko)
DK (1) DK1863427T3 (ko)
ES (1) ES2372500T3 (ko)
IL (1) IL186329A (ko)
NZ (1) NZ561981A (ko)
PL (1) PL1863427T3 (ko)
WO (1) WO2006103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5898B2 (ja) * 2008-06-12 2014-01-22 メデラ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乳首部
CN101584646B (zh) * 2009-02-25 2013-01-23 富康玩具制品有限公司 一种防胀气液体瓶
GB0908652D0 (en) * 2009-05-19 2009-07-01 Great Fortune Hk Ltd Spill-proof lid
GB0916318D0 (en) * 2009-09-17 2009-10-28 Samson Ilan Z Spout for a spill-proof beverage container
JP5629082B2 (ja) * 2009-10-30 2014-11-19 ピジョン株式会社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DE102011013080A1 (de) 2011-03-04 2012-09-06 Mapa Gmbh Trinksauger
GB2490735A (en) 2011-05-13 2012-11-14 Mothercare Uk Ltd An infant feeding bottle with an offset teat arranged with respect to bottle grip portions
MX349268B (es) * 2012-04-18 2017-07-20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para el consumo de líquidos para bebés.
US9517182B2 (en) * 2012-11-02 2016-12-13 Dart Industries Inc. Multi flow multi venting nipple
RU2687377C2 (ru) * 2014-05-20 2019-05-13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Мундштук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грудных детей
DE102014113122A1 (de) 2014-09-11 2016-03-17 Mapa Gmbh Trinksauger
GB2541883B (en) 2015-08-28 2018-05-02 Jackel International Ltd Nipple and nipple assembly
KR101665109B1 (ko) * 2015-11-05 2016-10-12 (주)프띠아띠 배앓이 방지용 젖꼭지
USD859077S1 (en) 2016-06-14 2019-09-10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Transition cup top
USD838139S1 (en) 2016-06-14 2019-01-15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Bottle
USD860731S1 (en) 2016-06-14 2019-09-24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Transition cup
USD834372S1 (en) 2016-06-14 2018-11-27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Ultra base
USD847560S1 (en) 2016-06-14 2019-05-07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Transition cup spout
USD861893S1 (en) 2016-06-14 2019-10-01 Jackel International, Ltd. Nipple for baby bottle
USD861894S1 (en) 2016-07-05 2019-10-01 Jackel International, Ltd. Nipple for baby bottle
CN116902375A (zh) * 2018-09-10 2023-10-20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泄压的瓶盖和瓶塞
CN109363945A (zh) * 2018-11-14 2019-02-22 新文越婴童用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回气阀的奶嘴及使用该奶嘴的哺乳器
EP3677239A1 (en) 2019-01-02 2020-07-08 Koninklijke Philips N.V. Baby bott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641A (en) * 1904-12-17 1905-11-28 Hugh F Gallagher Nursing-bottle.
US2616581A (en) * 1945-10-08 1952-11-04 Seamless Rubber Co Nursing outfit
CH249743A (de) * 1946-05-22 1947-07-15 Wuethrich Walter Sauger für Säuglingstrinkflaschen.
DE1616422B1 (de) * 1964-06-15 1971-11-18 Laerdal A S Ventil fuer Wiederbelebungsapparate
US5747083A (en) 1990-07-20 1998-05-05 Raymond; Jean-Louis Device of the feeding-bottle type
NL192777C (nl) * 1990-08-20 1998-02-03 Otsuka Pharma Co Ltd Speen voor een zuigfles.
CN2109202U (zh) * 1991-07-24 1992-07-08 苑崇皊 自进气奶嘴
US5431290A (en) * 1992-03-24 1995-07-11 Vinciguerra; Mark T. Baby bottle for improved flow
CN2169421Y (zh) * 1993-03-09 1994-06-22 周林 一种自动进气防呛奶嘴
AU683186B2 (en) * 1994-10-12 1997-10-30 Robert Dymock Mcintyre Improvements in teats
EP0814749B1 (en) 1995-03-03 1999-10-06 Cambridge Consultants Limited Liquid feed bottle
CN2226943Y (zh) * 1995-06-02 1996-05-15 许黎泰 改良构造的奶嘴进气阀
US5678710A (en) * 1995-07-12 1997-10-21 Sheu; Miin-Tsang Nipple for nursing bottles
CN2288729Y (zh) * 1997-03-21 1998-08-26 赵群 奶嘴
DE29906849U1 (de) * 1999-04-16 1999-07-15 Nuernberg Gummi E Hartmann Kg Sauger für Trinkflaschen
JP2002112654A (ja) * 2000-06-12 2002-04-16 Clute Lorne Jason 搾乳機
CN2538335Y (zh) * 2002-04-12 2003-03-05 许黎泰 改进的奶嘴进气阀
KR200328696Y1 (ko) * 2003-05-30 2003-10-01 김해용 기능성 젖병
US20040256345A1 (en) * 2003-06-20 2004-12-23 Lundquist Jon Tyler Single use recyclable infant feeding bottle
GB2412114B (en) 2004-03-19 2007-03-14 Ilan Zadik Samson Vented t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3427B1 (en) 2011-09-07
NZ561981A (en) 2009-07-31
US8640897B2 (en) 2014-02-04
EP1863427A1 (en) 2007-12-12
CN101175463B (zh) 2012-02-22
DK1863427T3 (da) 2011-12-05
US20100163508A1 (en) 2010-07-01
JP4745384B2 (ja) 2011-08-10
ES2372500T3 (es) 2012-01-20
IL186329A (en) 2012-03-29
JP2008534101A (ja) 2008-08-28
WO2006103379A1 (en) 2006-10-05
CA2603355A1 (en) 2006-10-05
ATE523184T1 (de) 2011-09-15
AU2005329741B2 (en) 2011-02-24
AU2005329741A1 (en) 2006-10-05
CA2603355C (en) 2012-08-21
KR101149112B1 (ko) 2012-05-25
CN101175463A (zh) 2008-05-07
PL1863427T3 (pl) 2012-03-30
IL186329A0 (en) 200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112B1 (ko) 통기식 젖꼭지
US20070102388A1 (en) Vented, low-drip nursing nipple
US8777028B2 (en) Spout for drinking container
JP2009273912A (ja) 哺乳瓶
US20180093024A1 (en) Breast pump milk capture and collection system
RU2733476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JP2017515601A (ja) 乳児用吸い飲み容器のための吸い口
CN109862864B (zh) 喂食瓶装置
US9441748B2 (en) Flow control and training cup valve assemblies
US6932110B2 (en) Unidirectional valve appliance
US20230234758A1 (en) Container assembly
AU2003287757A1 (en) Air valve for a cap provided with a mouthpiece for drinking
US8733565B1 (en) Nipple closure having flow control valve
EP3906004B1 (en) Baby bottle device
GB2412114A (en) Vented teat
KR100549467B1 (ko) 기능성 젖병
US10864144B1 (en) Baby bott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