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640A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640A
KR20080009640A KR1020070072655A KR20070072655A KR20080009640A KR 20080009640 A KR20080009640 A KR 20080009640A KR 1020070072655 A KR1020070072655 A KR 1020070072655A KR 20070072655 A KR20070072655 A KR 20070072655A KR 20080009640 A KR20080009640 A KR 2008000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particles
base material
mixed
thermoplast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809B1 (ko
Inventor
게르하르트 그라브
그레고르 그룬
요헨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0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3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influenc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g. by concentrating near the surface or by incorporating in the surface by for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8Incorporating particles by impact in the surface, e.g. using fluid jets or explosive forces to implant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7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Nood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톨도톨한 입자를 가진 미끄럼 방지 표면을 구비한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된 스트립형 또는 플레이트형 기초 재료를 포함하며, 높은 보행 안정성을 갖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닥재의 간단한 제조 및 추후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톨도톨한 입자는 엘라스토머 소재보다 훨씬 더 높은 경도를 갖는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다.
바닥재, 엘라스토머, 경도

Description

바닥재{FLOOR COVERING}
본 발명은 높은 보행 안정성을 갖춘 바닥재(Floor Covering)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재는 도톨도톨한 입자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표면을 가진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된 스트립형 또는 플레이트형 기초 재료를 포함한다.
WO 제 03/100162호에 범용형 바닥재가 공지되어 있다. 이 바닥재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된 지지물을 포함한다. 보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지지물의 표면이 도톨도톨한 입자로 거칠기 처리된다. 이러한 도톨도톨한 입자는 바람직하게 석영, 탄화규소, 산화알루미늄의 경질 입자 및/또는 금강사(emery) 입자를 포함한다.
공지된 바닥재는 입자 재료의 너무 높은 경도로 인해 절단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커런덤(corundum) 문제). 따라서 바닥재의 재단 및/또는 추후 가공시 문제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보행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며,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모든 특징들을 가진 바닥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총구항들에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은 보행 안정성을 갖는 바닥재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된 스트립형 또는 플레이트형 기초 재료를 포함한다. 바닥재의 표면은 도톨도톨한 입자를 사용하여 거칠기 처리가 되어, 미끄럼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라스토머 소재보다 경도가 더 높은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도톨도톨한 입자가 사용된다. 이러한 재료는 놀랍게도, 예컨대 커런덤과 같은 무기질 입자보다 훨씬 더 부드러우면서, 날카롭지 않고 둥그스름한 모서리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행 안정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기질 입자를 가진 바닥재와 달리, 간단한 제조 및 추후 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절단하기가 매우 수월하다.
폴리머 물질의 경도가 엘라스토머 소재의 경도보다 10 Shore D만큼 더 높은 경우, 이미 미끄럼 방지 효과와 관련하여 우수한 결과가 획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폴리머 물질로는 원칙적으로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와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plastic)가 사용될 수 있다. 두 물질 모두 예컨대, 입자의 형태 로 기초 재료에 혼합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살포하기에는 다소 부적절한데, 그 이유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커런덤 입자와 마찬가지로, 열경화성 수지가 가황시 그리고 그에 기인한 기초 재료의 응축시 상기 기초 재료 내에 침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초 재료에 혼합되는 열가소성 폴리머로는 일반적으로 추후 제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높은 온도들보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머가 적합하다. 추후 제조 단계에서 재료들의 상호 혼합을 야기할 수 있는 전단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면, 용융 온도가 보다 낮은 열가소성 폴리머도 사용될 수 있다. 입자 비말들이 그 형태를 유지하는 한, 입자 재료의 용융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미 통상 재료들의 매우 상이한 점성으로 인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반결정(semi-crystalline) 열가소성 폴리머가 사용된다.
반결정 열가소성 물질로 된 입자를 살포하는 경우, 상기 입자 물질이 기초 재료의 표면 위를 활주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초 재료의 가황시 상기 입자 물질을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가황 동안 입자 비말이 표면에 남겨지고, 응축된 기초 재료 내에 침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입자 비말은 냉각된 후 다시 도톨도톨한 입자로 재결정화된다.
이러한 특성은 시차 주사 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을 이용하여 측정된 온도 기록도에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의 발열 용융 피크(melting peak)의 최고 위치에 대한 함수로서 기술된다. 일반적으로 바닥재에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및 상기 바닥재의 제조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의 경우, DIN 53765에 따른 시차 주사 열량법에서의 검사시 온도 기록도에서 1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발열 용융 피크의 최대값을 보이는 열가소성 폴리머, 특히 반결정 폴리머가 매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 용융점이 놓이는 경우, 열가소성 폴리머는 기초 재료의 가황 동안, 입자가 살포될 경우에 기초 재료 내로 침전되지 않고 표면 위를 활주할 정도의 비말로 용융된다. 가황 프로세스에 이어서, 표면 위의 비말은 다시 도톨도톨한 입자로 재결정화된다. 미끄럼 방지 특성은 계속 유지된다.
엘라스토머 기초 재료 및 프로세스 운영이 미리 정해졌을때, 개개의 경우에 적절한 열가소성 폴리머를 선택하는 일은 당업자의 소관이다. 열가소성 폴리머의 선택을 위한 당업자의 발명 행위는 필요치 않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는 예컨대 순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또는 그라프트 중합(graft polymerization)에 의해 변형된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군, 변성 폴리올레핀 군, 반결정 폴리아미드 군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사용된 폴리머는, 매트릭스 내로 입자가 더 잘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 및/또는 아크릴산과 같은 그라프트 중합제를 이용하여 중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톨도톨한 입자가,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엘라스토머 스트립의 아직 가황되지 않은 블랭크 위에 간단하게 살포된 후, 상기 블랭크가 가황을 위한 열처리를 거칠 수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입자가 함께 용융된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엘라스토머 소재로 된 기초 재료에 도톨도톨한 입자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도톨도톨한 입자가 표면 위에 추가로 살포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위에 기술한 것처럼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또 다른 한 변형예에서는, 도톨도톨한 입자가 혼합된 엘라스토머 소재의 기초 재료로 형성된 스트립 블랭크가 분할된 다음, 경우에 따라 추가 입자의 살포 후 가황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운영에서도, 기본 스트립의 분할 이후 역시 상기 분할된 스트립의 표면 위에 소정의 부분이 놓이게 되는 혼합 입자를 위해서도 열가소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반결정 폴리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머는 엘라스토머 기초 재료의 가황 온도의 범위에서 용융됨에 따라, 가황 동안 상기 기초 재료 내로 그 입자가 침전되지 않게 된다.
도톨도톨한 입자를 혼합하게 되면, 입자를 간단히 살포하는 경우에 비해, 그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바닥재이 더 높은 내마모성 및 그에 따른 더 긴 수명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본 스트립의 분할에 의한 바닥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톨도톨한 입자를 기초 재료 내에 혼합하는 경우, 그러한 혼합 프로세스는 통상 10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앞에서 기술하였듯이, 물질의 발열 용융 피크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써 정의되는, 도톨 도톨한 입자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머의 용융 온도는 130℃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프로세스 단계는, 상기 온도에서 입자 재료와 기초 재료의 혼합을 야기할 수 있는 전단력이 상기 물질에 작용하지 않는 한, 열가소성 폴리머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입자 재료의 입자 크기 및 양에 관한 다양한 요건이 주어진다. 도톨도톨한 입자를 살포하는 방법에서는, DIN 66165에 따른 체 분석(sieve analysis)을 통해 측정된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내지 800㎛, 바람직하게는 약 300㎛인 경우에 가장 우수한 미끄럼 방지 특성이 획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탄성 바닥재에서 일반적인 2-5mm 두께의 바닥재의 경우, 입자 크기가 100㎛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 특성이 크게 악화되고, 입자 크기가 800㎛를 초과하면 물리적 특성 및 화재 안전(fire safety) 특성이 현저히 악화된다.
살포된 도톨도톨한 입자의 양은, 총 체적(total volume)에 대하여 표현할 때, 30㎤/㎡ 내지 36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이다. 입자량이 30㎤/㎡ 미만일 경우, 미끄럼 방지 특성이 크게 감소하고, 360㎤/㎡ 를 초과할 경우, 바닥재의 물리적 및 화재 안전 특성도 역시 크게 악화될 위험이 있다.
도톨도톨한 입자가 혼합되는 경우, DIN 66165에 따른 체 분석을 통해 측정된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이다. 입자 크기가 100㎛ 미만이면 역시 미끄럼 방지 특성이 크게 감소하고, 입자 크기가 2000㎛를 초과하면 위의 경우들처럼 물리적 특성 및 화재 안전 특성이 현저히 악화된 다.
혼합된 입자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기초 재료의 10 부피% 내지 40 부피%, 특히 14 부피% 내지 25 부피%에 달한다. 혼합 입자의 함량이 10 부피% 미만이면 미끄럼 방지 특성이 크게 감소하고, 40 부피%를 초과하면 물리적 및 화재 안전 특성이 악화된다.
기초 재료로는 바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든 엘라스토머가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초 재료가 황 가교, 과산화물 가교 및 첨가에 의한 가교에 의한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M(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VA(ethylene vinyl acetate), CSM(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VSi(silicone rubber) 및/또는 AEM(ethylene acrylic rubber)과 같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상기 엘라스토머들의 혼합물들도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서는 기초 재료가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예컨대 점토(clay), 백악(chalk), 규산(silicic acid) 및/또는 규산질 백악(siliceous chalk)과 같은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충전제는 예컨대, 배합 고무의 경도 및 마모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충전제는 화재 안전 특성을 개선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충전제는 100㎛ 미만의 입자 크기 및 1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스트립 및 플레이트 재료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실시예들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황 가교가 가능한 SBR 혼합물로 이루어진 스트립형 기초 재료 위에 ㎠당 275㎤의 폴리프로필렌 분말을 300㎛의 평균 입자 크기로 살포하였다. DIN 53765에 따른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폴리프로필렌 분말의 용융 피크 최대값은 163℃였다. 이어서 분말이 살포된 스트립을 벨트 프레스(belt press)가 장착된 연속 가황 장치 내에서 5분간 180℃에서 가황 처리하였다. 그 결과, BPT(British Pendulum Tester)를 이용한 미끄럼 저항 검사에서 물을 슬라이딩 매체로 사용하였을 때 눈금(scale division) 40의 미끄럼 저항값을 갖는 엘라스토머 바닥재를 얻었다.
제 2 실시예:
황 가교가 가능한 SBR 혼합물에 상기 분말의 40 부피%를 120℃의 분출 온도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재료로부터 블랭크를 캘린더링한 후, 상기 블랭크의 가운데를 분할하고, 그 결과로 형성된 블랭크를 불연속 가황 장치 내에서 7분간 180℃에서 가황 처리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탄성 바닥재는 위에서 설명한 검사를 통해 물을 슬라이딩 매체로 사용하였을 때 눈금 36의 미끄럼 저항값을 획득하였다.
제 3 실시예: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 기술한, 폴리프로필렌 분말과의 혼합물로부터 스트립을 캘린더링하고, 상기 스트립 상에 추가로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분말 275㎤/㎠를 살포하였다. 그런 다음 벨트 프레스가 장착된 연속 가황 장치 내에서 5분간 180℃에서 가황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전술한 검사 방법을 통해 물을 슬라이딩 매체로 사용하였을 때 눈금 40의 미끄럼 저항값을 갖는 엘라스토머 바닥재 를 얻었다.
제 1 비교예:
제 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분말은 도포되지 않은, 황 가교가 가능한 SBR 혼합물로 형성된 스트립형 기초 재료를 벨트 프레스가 장착된 연속 가황 장치 내에서 5분간 180℃에서 가황 처리하였다. 그 결과 얻은 바닥재는 전술한 검사 방법에 따라 물을 슬라이딩 매체로 사용하였을 때 눈금 12의 미끄럼 저항값을 획득하였다.
제 2 비교예:
제 2 비교 실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황 가교가 가능한 SBR 혼합물로 형성된 스트립형 기초 재료에 800g/㎡의 커런덤(corundum) 입자를 살포한 후, 벨트 프레스가 장착된 연속 가황 장치 내에서 5분간 180℃에서 가황 처리하였다. 상기 가황 프로세스 이후 대부분의 커런덤 입자가 기초 재료 내에 침전되어, 상기 기초 재료에 의해 둘러싸였다. 그 결과 얻은 바닥재는 전술한 검사 방법에 따라 물을 슬라이딩 매체로 사용하였을 때 눈금 14의 미끄럼 저항값을 획득하였다.
위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가 미끄럼 방지 표면을 구비하지 아니한 바닥재 뿐만 아니라, 커런덤 입자가 살포된 바닥재와 비교하더라도 훨씬 더 개선된 미끄럼 저항값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도톨도톨한 폴리프로필렌 입자가 섞인 바닥재는, 상기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에 대한 ISO 9352(테이버 마모시험법, Taber Abrasion Test)에 따라 수행된 검사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응하는 혼합 과정을 거치지 않은 기초 재료에 비 해 20% 이상 증가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2)

  1. 도톨도톨한 입자를 가진 미끄럼 방지 표면을 구비한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된 스트립형 또는 플레이트형 기초 재료를 포함하며, 높은 보행 안정성을 갖는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도톨도톨한 입자는 엘라스토머 소재보다 훨씬 더 높은 경도를 갖는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물질이 상기 기초 재료의 표면에 살포되고/거나 상기 기초 재료 내에 혼합될 수 있는 열가소성(thermo-plastic) 물질 및/또는 열경화성(thermosetting plastic)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반결정(semi-crystalline) 열가소성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엘라스토머 기초 재료의 가황 온도와 유사하거나 더 낮은 용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 열가소성 폴리머 물질이 DIN 53765에 따른 시차 주사 열량법(DSC)에서의 검사시 온도 기록도에서 1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발열 용융 피크를 보이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가 폴리올레핀 군, 변성 폴리올레핀 군, 반결정 폴리아미드 군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 따른, 상기 입자가 표면에 살포된 바닥재에 있어서,
    DIN 66165에 따른 체 분석(sieve analysis)을 통해 측정된,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내지 800㎛, 바람직하게는 약 3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 따른, 상기 입자가 표면에 살포된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살포된 입자의 양이, 상기 살포된 입자의 총 체적(total volume)에 대 하여 표현할 때, 30㎤/㎡ 내지 36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 따른, 상기 입자가 기초 재료 내에 혼합된 바닥재에 있어서,
    DIN 66165에 따른 체 분석을 통해 측정된, 상기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입자가 기초 재료 내에 혼합된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입자의 함량이 바람직하게 기초 재료의 10 부피% 내지 40 부피%, 특히 14 부피% 내지 25 부피%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재료가 황 가교, 과산화물 가교 및 첨가에 의한 가교가 가능한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M(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VA(ethylene vinyl acetate), CSM(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VSi(silicone rubber) 및/또는 AEM(ethylene acrylic rubber)과 같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재료가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예컨대 점토(clay), 백악(chalk), 규산(silicic acid) 및/또는 규산질 백악(siliceous chalk)과 같은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KR1020070072655A 2006-07-24 2007-07-20 바닥재 KR100914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4646.7 2006-07-24
DE102006034646A DE102006034646A1 (de) 2006-07-24 2006-07-24 Bodenbel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40A true KR20080009640A (ko) 2008-01-29
KR100914809B1 KR100914809B1 (ko) 2009-09-02

Family

ID=3835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55A KR100914809B1 (ko) 2006-07-24 2007-07-20 바닥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020179A1 (ko)
EP (1) EP1884607B1 (ko)
KR (1) KR100914809B1 (ko)
CN (1) CN101113638B (ko)
AT (1) ATE524626T1 (ko)
CA (1) CA2594439C (ko)
DE (1) DE102006034646A1 (ko)
DK (1) DK1884607T3 (ko)
PL (1) PL1884607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285A (ko) * 2010-09-01 2014-02-14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바닥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3967A1 (en) * 2008-08-14 2010-02-17 Tarkett France Substrate-free decorative surface covering
DE102009060440A1 (de) * 2009-12-22 2011-06-30 nora systems GmbH, 69469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enförmigen Gummibelags und flächenförmiger Gummibelag
DE102010036122A1 (de) * 2010-09-01 2012-03-01 Nora Systems Gmbh Bodenbelag
DE102011012169A1 (de) * 2011-02-23 2012-08-23 Nora Systems Gmbh Bodenbelag
DE102011114597A1 (de) * 2011-09-30 2013-04-04 Nora Systems Gmbh Bodenbelag
NL2009904C2 (nl) * 2012-10-10 2014-04-14 Climate Invest B 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antislip-folie en een d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verkregen antislip-folie.
US20140275330A1 (en) * 2013-03-15 2014-09-18 Deflecto, LLC Dual purpose coating
US20150065605A1 (en) * 2013-09-03 2015-03-05 Deflecto, LLC Dual purpose coating
CA2900919C (en) 2014-08-18 2018-09-11 Congoleum Corporation Resili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D817105S1 (en) 2015-01-28 2018-05-08 Deflecto, LLC Organizer with receptacles
GB2595848B (en) * 2020-06-01 2023-04-19 Altr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CN113717475B (zh) * 2021-09-10 2023-06-16 铁科纵横(天津)科技发展有限公司 橡胶地板原料组合物、橡胶地板及其制备方法与应用
NL2030318B1 (en) * 2021-12-28 2023-07-03 I4F Licensing Nv Decorative anti-slip floor covering element and decorative anti-slip floor cover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130A (en) * 1879-01-07 Improvement in making wooden boxes
US4405657A (en) * 1981-02-24 1983-09-20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Non-skid plastic floor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DE8416673U1 (de) * 1984-06-01 1984-11-08 Container Company GmbH + Co KG, 4005 Meerbusch Pflasterelement
DE3623795C1 (ko) * 1986-07-15 1987-10-22 Rehau Ag + Co, 8673 Rehau, De
US5358993A (en) * 1989-09-27 1994-10-25 Tarkett Ab Inlaid granite plastic floor tile
GB9217232D0 (en) * 1992-08-12 1992-09-23 Altro Ltd Floor covering
DE9405554U1 (de) * 1994-04-01 1994-06-01 Schoepp Ralph Bodenbelag, insbesondere für Tennisplätze
US5670237A (en) * 1995-06-07 1997-09-23 Mannington Mills, Inc. Method for making a surface covering product and products resulting from said method
DE19649708C1 (de) * 1996-11-29 1998-02-12 Freudenberg Carl Fa Bodenbela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6228463B1 (en) * 1997-02-20 2001-05-08 Mannington Mills, Inc. Contrasting gloss surface coverings optionally containing dispersed wear-resistant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153186Y1 (ko) * 1997-04-16 1999-08-02 이종학 나무결무늬를 갖는 바닥재
US5889119A (en) * 1997-07-17 1999-03-30 The University Of Akron Thermoplastic rubbery compositions
DE19848137B4 (de) * 1998-10-20 2006-08-17 Carl Freudenberg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odenbelages aus Kautschuk
DE10112246C1 (de) * 2001-03-14 2002-08-08 Freudenberg Carl Kg Bodenbelag
DE10126122C2 (de) * 2001-05-29 2003-05-15 Armstrong Dlw Ag Flexibler Bodenbelag mit regenerativer, schmutzabweisender Oberfläche
GB0211998D0 (en) * 2002-05-24 2002-07-03 Altro Ltd Floor covering
US7029744B2 (en) * 2003-04-24 2006-04-18 Ultimate Systems, Ltd. High traction flooring laminate
GB0421823D0 (en) * 2004-10-01 2004-11-03 Altr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EP2364959A1 (en) * 2005-03-22 2011-09-14 Nova Chemicals Inc. Lightweight concrete com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285A (ko) * 2010-09-01 2014-02-14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바닥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US9303412B2 (en) 2010-09-01 2016-04-05 Nora Systems Gmbh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94439A1 (en) 2008-01-24
US20080020179A1 (en) 2008-01-24
CN101113638A (zh) 2008-01-30
PL1884607T3 (pl) 2012-02-29
KR100914809B1 (ko) 2009-09-02
DE102006034646A1 (de) 2008-01-31
EP1884607B1 (de) 2011-09-14
DK1884607T3 (da) 2011-12-19
ATE524626T1 (de) 2011-09-15
EP1884607A3 (de) 2010-02-10
CA2594439C (en) 2011-09-27
EP1884607A2 (de) 2008-02-06
CN101113638B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09B1 (ko) 바닥재
US9593237B2 (en) Olefin block copolymer composition with low tack
Arayapranee Rubber abrasion resistance
JP2007008988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空気入りタイヤ
US6427738B1 (en) Tire and vulcanized rubber including elongated cells
WO1998046649A1 (en) Higher modulus compositions incorporating particulate rubber
EP1765943A1 (en) Rubber-polyolefin surface covering
EP1505112A1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and pneumatic tire using the same
CA2808741C (en) Elastomeric floor covering with particles
JP2012102288A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AU2009202787B2 (en) Methods for making composites having thermoplastic properties from recycled crosslinked polymer
TW201605953A (zh) 具有烯烴嵌段共聚物之丙烯酸類組成物
WO2020142232A1 (en) Artificial turf having siloxane polymer containing turf infill and compositions for making such turf infill
GB2474908A (en) A floor tile comprising rubber crumb and polyolefin
US11326043B2 (en) Compositions for high reinforced sidewalls
JP4594658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4093979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1254504A (ja) 防滑性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DK201970366A1 (en) A flooring system for supporting farm animals especially in a farrowing pen or pigsty
KR101549687B1 (ko) 동시 가류 및 동시 성형에 의한 사계절 대응형 미끄럼방지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끄럼방지체
Graves Rubber
KR20170004621A (ko) 폴리노보넨 고무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용 조성물
JPS6399248A (ja) ゴム組成物
Ciullo et al. Rubber
JP2007182586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