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794A -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794A
KR20080008794A KR1020060068522A KR20060068522A KR20080008794A KR 20080008794 A KR20080008794 A KR 20080008794A KR 1020060068522 A KR1020060068522 A KR 1020060068522A KR 20060068522 A KR20060068522 A KR 20060068522A KR 20080008794 A KR20080008794 A KR 2008000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oyster
low molecular
cholestero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장숙
Original Assignee
경남유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유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남유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8794A/ko
Publication of KR2008000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Oyster)을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굴 단백질 액기스(Extracts)를 추출한 후에 그 액기스를 다시 분리하여 분자량 1,000이하의 고품질 단백질 액기스를 추출하는 방법과 응용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굴 액기스는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얻어지는 식품은 인체내에서 지질대사를 활성화시키며, 간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통하여 얻어지는 제품은 천연단백질을 분해하여 얻은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독성이 없고 매일 섭취하여도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굴은 5월~8월에는 섭취할 수 없으나, 본 제품을 이용하면 년중 365일 섭취할 수 있으므로 영양과 질병개선에 획기적인 기여할 수 있다.
굴 액기스, 지질대사 활성화, 단백질 분해 효소,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Description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the activating food of lipid metabolism by using low molecular weight of oyster extracts}
본 발명은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분자 굴 액기스 물질은 국민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안전한 자연 식품이며, 또한 식품첨가물로 이용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식품중에는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식품과 물질은 여러 종류가 알려지고 있으며, 또한, 굴 액기스가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생리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과 같은 성인병을 일으키는 물질의 체내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자연 식품인 굴 액기스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굴을 이용한, 특히, 분자량 1,000 이하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물질의 개발을 통하여 이러한 요구에 더욱 더 근접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고 인체내에서 지질대사를 활성화시키고,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치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천연 식품인 굴 액기스 물질을 제공함에 있다.
중성지방(Neutral Fat)은 인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 열을 만들어 추위로부터 몸을 지키는 역활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생활습관이 서구화되고, 고지질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나라 40대이후 남성의 15~20%가 고중성지방혈증을 가지고 있고, 여성의 경우에는 나이가 들면서 지속적으로 중성지방의 수치가 상승하는데 특히 폐경후에 많이 올라간다고 알려져 있다.
여성의 경우 40대의 약 3%, 50대에는 9%, 60대에는 13%정도가 고중성지방혈증을 갖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표 1. 한국인의 고지혈증 기준 (단위 ㎎/㎗)
진단 및 치료기준 경계치
高총콜레스테롤 240이상 200이상
高저밀도콜레스테롤(LDL) 160이상 130이상
低고밀도콜레스테롤(HDL) 40미만
고중성지방(TG) 200이상 150이상
자료 :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02년
고중성지방은 혈관의 동맥경화를 촉진하고 심장의 관상동맥 질환을 유발하며, 비만과 당뇨병에도 영향을 준다.
또 콜레스테롤은 흰색을 띤 왁스같은 물질로서 우리 몸의 세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호르몬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체내에서 적정 수치 이상으로 존재하는 경우, 고지혈증을 유발하여 동맥경화와 심근경색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것처럼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160㎎/㎗ 이상이면 치료를 받아야 하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40㎎/㎗이하이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고 인체내에서 지질대사를 활성화시키고,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치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천연 식품인 굴 액기스 물질에 관한 것이다.
굴은 우리 인류가 태고적부터 섭취해온 인체에 유익한 각종 아미노산, 미네랄 및 비타민류를 풍부하게 함유한 완전식품으로 바다에서 생산되는 우유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체내의 지질대사를 활성화시키고 간장내(肝臟內)에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는 저분자 굴 액기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굴 액기스 물질은 분자량 1,000 이하의 펩타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며, 우리 국민이 매일 섭취하고 있는 김치에 첨가하여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김치의 제조, 그 이외의 각종 건강식품으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식품에 첨가물과 천연 조미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화 장품 등에도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굴 액기스의 생산
시판중인 생굴 4kg과 정제수 4kg을 교반기가 부착된 반응기에 넣고 온도를 70~85℃까지 가열하여 자체 효소작용을 정지시킨 후, 온도를 40~50℃로 낮춘 후, 이때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부터 제조된 단백질 분해효소(상품명; collupulin MG) 5g을 투입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한다. 다시 온도를 70~85℃로 상승시켜 효소의 분해작용을 정지시킨 후 다시 온도를 40~50℃로 냉각한 다음, ㅇ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로부터 제조된 단백질 분해효소 ((주)백광CNS제품) 5g을 추가하여 3시간동안 반응한 후, 다시 온도를 70~85℃로 상승시켜서 다시 투입한 효소를 불활성화 시켰다. 이 반응액을 액기스 층, 기름층 그리고 미분해층으로 분리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액기스층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530g의 액상 굴 액기스를 얻었다.
이 굴액기스를 한외여과기(Ultra Filter)을 이용하여 분자량 1,000이하 제품과 분자량 1,000이상 제품으로 분리하고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분자량 1,000이하 제품 분말 굴 액기스 50.3g과 분자량 1,000이상 제품 분말 굴 액기스 297.2g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생산된 굴 액기스의 아미노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표 2. 굴액기스의 아미노산 분석(g/100g)
분자량 1,000 이상 제품 분자량 1,000 이하 제품
Taurine 1.68 6.43
Aspartic acid 2.10 3.11
Threonine 0.83 1.38
Serine 0.79 1.21
Glutamic acid 3.25 5.95
proline 1.12 2.63
Glycine 1.36 1.82
Alanine 1.02 3.18
Cystine 0.11 0.36
Valine 0.82 1.43
Methionine 0.11 0.19
Isoleucine 0.48 0.98
Leucine 0.47 1.63
Tyrosine 0.28 0.53
Phenylalanine 0.20 0.36
Histidine 0.38 0.72
Lysine 1.21 1.76
Arginine 0.99 1.08
Tryptopane 0.08 0.13
Total 17.28 34.88
이 실험결과는 분자량 1,000이하의 제품이 분자량 1,000이상의 제품보다 아미노산 함량이 월등히 높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생산된 분자량 1,000 이하 및 이상의 제품에 대한 동물시험을 통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체내 축적을 확인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실험방법
1) 흰쥐: Wister계 흰쥐
2) 나이: 3주
3) 성별: 숫컷
4) 사료: 시판되고 있는 사육사료를 예비 사육시에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5) 본 실험 개시 후 하기의 높은 콜레스테롤 사료를 제조하여 제한섭취하는 방법으로 실험하였다.(매일 사료 섭취량은 20g으로 설정하여 투여한 후 다음날 섭취량을 측정하고, 매일 매일 신선한 사료 20g을 반복 투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매일 사료 섭취량은 표3 과 같다.)
표 3. 각 실험군의 평균 사료 섭취량
1일 사료 섭취량 (15일 섭취 평균 수치)
A군 13.2g
B군 12.58g
C군 12.99g
D군 13.51g
표 4. 고 콜레스테롤,굴 액기스 첨가 사료 성분 및 조성
성분조성 control군 고콜레스테롤 고 콜레스테롤과 굴 액기스 고 콜레스테롤과 굴 액기스
Casein 16.0 16.0 16.0 16.0
Wheat Starob 54.5 53.2 59.2 59.2
Celloise Powder 5.0 5.0 5.0 5.0
Vitamin Mineral mixture 2.0 2.0 2.0 2.0
Cholestrol - 1.0 1.0 1.0
Cholic Acid - 0.3 0.3 0.3
Lard 9.0 9.0 9.0 9.0
굴액기스 - - 4.0(분자량 1,000이상) 4.0(분자량 1,000이하)
상기 표 4와 같은 성분의 콜레스테롤, Lard 및 Cholic Acid를 함유하는 사료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표 5와 6과 같이 그 성분이 간장에 축적되어 지방간이 발생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표 5와 6에서 굴액기스를 함유한 사료를 섭취한 경우에는 콜레스테롤과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값(TG:Triglyceride)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동시에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굴액기스의 분자량이 1,000이상을 사용한 경우와 1,000이하를 사용한 경우 비교하여 보면 분자량 1,000이하의 굴액기스가 그 효과가 월등히 우수 하였다.
표 5. 간장중의 콜레스톨 값(Total Cholesterol)
초기일 15일 경과후
A군 6.33±0.70 8.34±3.29
B군 C 6.33±0.70 100.41±7.46
C군 CO 6.33±0.70 89.52±12.26
D군 CO 6.33±0.70 78.49±11.36
표 6. 간장중의 중성지방 값(TG: Triglyceride)
초기일 15일 경과후
A군 7.83±1.98 13.16±2.33
B군 C 7.83±1.98 35.18±11.35
C군 CO 7.83±1.98 31.14±15.49
D군 CO 7.83±1.98 17.46±6.99
1) 분석장비 : Integra 400 (로슈)
2) A군 : Control군
B군 C : 고 콜레스테롤
C군 CO : 분자량 1,000이상
D군 CO : 분자량 1,000이하
일반적으로, 지방이 높은 식사와 콜레스테롤의 다량섭취는 성인비만, 고 지혈증, 동맥경화증 간장 장해(지방간)를 유발한다. 그러나, 상기한 동물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지방이 많은 음식과 콜레스테롤을 다량 섭취하여도 동시에 굴 액기스를 동시에 섭취하는 경우에는 혈청, 간장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치의 상승을 억제하고 개선하여 간장 장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체에 굴 액기스가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생리활성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또 분자량 1,000 이하의 굴 액기스에 의한 체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수치의 억제 효과가 월등함을 본 발명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본원 발명의 동물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또한 분자량 1,000 이하의 제품이 분자량 1,000이상의 제품보다 간장중의 콜레스테롤값과 중성지방값 개선에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얻어지는 식품은 인체내에서 지질대사를 활성화시키며, 간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통하여 얻어지는 제품은 천연단백질을 분해하여 얻은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독성이 없고 매일 섭취하여도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굴은 5월~8월에는 섭취할 수 없으나, 본 제품을 이용하면 년중 365일 섭취할 수 있으므로 영양과 질병개선에 획기적인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Claims (5)

  1. 굴(Oyster)을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굴 단백질 액기스(extracts)를 추출한 후에 그 액기스를 다시 분리하여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굴 액기스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굴 액기스의 제조를 위해서 굴 단백질 분해효소가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부터 제조된 효소로 1차 처리한 다음,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로부터 제조된 효소로 2차 처리하여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액기스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제조된,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 함유 굴 액기스.
  4. 식품 첨가제로 사용하기 위한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굴 액기스.
  5. 제3항에 있어서, 식품이 김치, 조미료 또는 건강식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 액기스.
KR1020060068522A 2006-07-21 2006-07-21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KR20080008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522A KR20080008794A (ko) 2006-07-21 2006-07-21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522A KR20080008794A (ko) 2006-07-21 2006-07-21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794A true KR20080008794A (ko) 2008-01-24

Family

ID=3922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522A KR20080008794A (ko) 2006-07-21 2006-07-21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87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103A (zh) * 2020-12-02 2021-04-13 广州天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牡蛎肽的复合蛋白粉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103A (zh) * 2020-12-02 2021-04-13 广州天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牡蛎肽的复合蛋白粉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lamaiah et al. Fish protein hydrolysates: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pplications: a review
Khora Marine fish-derived bioactive peptides and proteins for human therapeutics
US20070219121A1 (en) Vasodilat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health food composition
US10010573B2 (en) Engineered rice having alcoholism relief and liver protection fun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999429B1 (ko) 비만 치료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효모 가수분해물
Lin et al. Plasma lipid regulatory effect of compounded freshwater clam hydrolysate and Gracilaria insoluble dietary fibre
US8722614B2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Khotimchenko The nutritional value of holothurians
CN1593646A (zh) 大豆肽、制备方法及其应用
Iwai et al. Ingestion of Apios americana Medikus tuber suppresses blood pressure and improves plasma lipid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R101246266B1 (ko) 발효 누에 분말의 제조방법 및 발효 누에 분말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271377A (ja) 動物肝臓の酵素分解物および該酵素分解物を含有する食品
Tanaka et al. Effects of dietary oys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in SD rats, hypertensive rats, and diabetic rats
KR20080008794A (ko) 저분자 굴 액기스를 이용한 지질대사 활성화 식품의 제조방법
JP6697245B2 (ja) 持久力向上剤
de Matos et al. Insects as a sustainable source of emerging proteins and their processing to obtain bioactive compounds: an updated review
KR20190085568A (ko) 탈지미세조류를 이용한 고단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Taha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sunflower protein hydrolysate
JP5925391B2 (ja) ペプチド又はその酸付加塩、飲食品、及び糖尿病予防等の組成物
WO2006008890A1 (ja) 筋肉増強組成物
JPWO2007069716A1 (ja) 内臓脂肪蓄積抑制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09084191A (ja) 食欲抑制用薬理組成物
JP4115183B2 (ja) 飼料添加物、それが添加された飼料並びに卵
Kathuria et al. Animal based bioactives for health and wellness
Yeganeh et al. Effects of dietary rainbow trout visceral protein hydrolysate on hematological, immunological and biochemical serum parameters and antioxidant enzymes of juvenile Siberian sturgeon, Acipenser baer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