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681A -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681A
KR20080008681A KR1020060068214A KR20060068214A KR20080008681A KR 20080008681 A KR20080008681 A KR 20080008681A KR 1020060068214 A KR1020060068214 A KR 1020060068214A KR 20060068214 A KR20060068214 A KR 20060068214A KR 20080008681 A KR20080008681 A KR 20080008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photosensitive member
lower layer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욱
김영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8681A/ko
Publication of KR2008000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 G03G5/142Inert intermediate layers
    • G03G5/144Inert intermediate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안정성과 도공성이 향상된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장기보존 후에도 정전 특성의 변동이 적고 도막 결함이 적은 전자사진 감광체가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은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를 방지하는 겔화방지제를 포함한다.
겔화, 하인층, 전자사진 감광체

Description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 감광체{Composition for under coated laye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전자사진 감광체 11 지지층
12 하인층 13 전하발생층
14 전하수송층
본 발명은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 감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정성 및 도공성이 향상된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장기보존 후에도 정전 특성의 변동이 적고 도막 결함이 적은 전자사진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장치용 감광체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데, 화상형성장치로는 팩시밀리,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CRT 프린터, LED 프린터, 액정 프린 터 및 레이저 전자사진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감광성(photosensitive)이 있는 물질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고 광원에 노출하여 정전기적 잠상을 형성한다. 그 다음, 현상 전압을 인가하여 정전기적 잠상에 토너(또는 잉크)를 현상한다. 토너(또는 잉크)로 현상된 화상을 인쇄용지 등의 기록 매체 위로 전사시켜 장착시키면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감광성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사진장치용 감광체는 먼저 전도성이 있는 기판인 지지층에 전하를 발생시키는 전하발생물질(Charge generating material, CGM), 및 발생된 전하를 수송하는 전하수송물질(Charge transferring material, CTM)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감광체 상에 형성된 감광층은 전하발생물질과 전하수송물질이 함께 단일의 층 내에 분산되어 있는 단층구조(single layer), 또는 전하발생물질과 전하수송물질이 각각 전하발생층과 전하수송층으로 분리되어 분산되어 있는 적층(또는 다층, multi layer) 구조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대전되는 전위에 따라서 (+)타입과 (-)타입으로도 구분된다. 단층구조 감광체는 (+)타입의 감광체 제조 분야에 주로 연구되어 왔고, 다층구조 감광체는 (-)타입의 감광체 제조 분야에 주로 연구되어 왔다.
최근에는, 적층구조 감광체를 제조할 때에는, 알루미늄 파이프와 같은 지지층 상에 전하발생층 및 전하수송층 적층 전에 절연층 기능을 하는 하인층을 형성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인층(UCL, Under Coated Layer))은 감광층 의 접착성 향상, 도공성 개선, 대전성 개선, 지지체로부터의 불필요한 전하 주입의 억제, 및 지지체 상의 결함 피복 등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된다.
하인층은 금속 산화물, 알키드 수지 및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실란계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인층 형성용 조성물은 재분산이 어렵고, 장기적인 보존에 대하여 불안정하다.
만약, 하인층 형성용 조성물에 금속 산화물이 포함되었다면, 하인층 형성용 조성물 내에서 금속 산화물이 응집되어 침강한 경우에는 해당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인층 안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 함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 산화물을 포함시켜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감광체의 체적 저항이 높아지고 전하발생층에서 발생되는 전하캐리어를 소실시켜 잔류전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과 도공성이 향상된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장기보존 후에도 정전 특성의 변동이 적고 도막 결함이 적은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은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겔화방지제가 산성 인산 에스테르와 케톡심의 알킬 암모늄 염, 지방산 아민, 알킬페놀 레시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다.
또한, 겔화방지제의 함량은 결합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0.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지지체; 지지체상에 도포된,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하인층 조성물로 이루어진 하인층; 하인층 상에 도포된, 전하캐리어를 발생시키는 전하발생층; 및 전하발생층 상에 도포된, 전하발생층에서 발생된 전하캐리어를 수송하는 전하수송층;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감광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은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전자사진 감광체 중 하인층은 하부의 지지체에 대한 절연층으로서 작용한다. 하인층은 지지체 상에 균일하고 밀착성이 양호하도록 형성된다.
하인층은 금속표면에 산화피막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지피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하인층 조성물은 수지피막층에 사용되는 조성물이다.
하인층 조성물에 포함되는 결합제 수지의 예에는 카제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멜라민, 또는 셀룰로오스 등의 절연성 고분자; 및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또는 폴리아닐린 등의 전도성 고분자가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용제는 결합제 수지를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기용제는, 알코올류 용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을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용제의 함량은 결합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0 중량부 내지 1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방지제(antigelling agent)는 하인층 조성물의 겔화를 방지하는 첨가제이다. 겔화는 결합제 수지의 콜로이드 입자가 형성하는 그물 조직으로 용제 입자 등이 들어가 경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겔화된 수지는 온도를 올려주면 굳어진 상태가 다시 해제될 수 있다. 겔화방지제는 이러한 결합제 수지 및 용제 기타 첨가제 간의 겔화를 방지한다.
겔화방지제는 하인층 조성물의 겔화를 방지한 첨가제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겔화방지제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겔화방지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료용 겔화방지제를 사용한다. 겔화방지제는 예로는 산성 인산 에스테르와 케톡심의 알킬 암모늄 염(상표명 BYKANLOL-N, BYK-Chemie 사제), 지방산 아민(상표명 Dapro 7, Elementis 사제 ), 알킬페놀 레시틴(상표명 Additol XL150, UCB Chemicals)가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겔화방지제의 함량은 결합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의 예에는 산화 티탄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산화물의 함량은 결합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 빛의 기록을 행하는 때에 하인층 표면에 있어서 정반사가 생기면 정반사 빛이 간섭하여 화상에 간섭 무늬모양의 농도 얼룩이 발생하지만 백색 안료로서 금속 산화물을 하인층에 함유시키면, 하인층 표면의 정반사를 막고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산화물의 양과 결합제 수지의 양을 조절하여 하인층의 전기 저항을 조정하는 효과도 있다. 하인층의 전기 저항이 너무 낮으면 지지체로부터 하인층으로 전하주입이 용이하고 입상의 화상 결함을 일으키는 한편, 하인층의 전기 저항이 너무 크다면 전하발생층에서 발생되는 전하캐리어를 완전히 상쇄시켜 표면의 잔류 전위가 상승해 버리기 때문에 하인층의 전기저항 조정이 종종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감광체(1)는 지지체(11); 지지체상에 도포된,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하인층 조성물로 이루어진 하인층(12); 하인층 상에 도포된, 전하캐리어를 발생시키는 전하발생층(13); 및 전하발생층 상에 도포된 전하발생층에서 발생된 전하캐리어를 수송하는 전하수송 층(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층(11)과 감광층(13, 14)의 사이에 알루마이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11)과 감광층(13, 14)의 사이에 하인층(12)과 알루마이트 층을 모두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지지층, 알루마이트층, 하인층, 감광층 순으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 적층형 감광체를 예를 들어 기술하도록 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반드시 이해되어야 한다.
전자사진 감광체(1)의 지지층(11)에 사용되는 지지체로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계 합금, 니켈,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도전성 처리된 유리 또는 수지 필름;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체들은 판형상, 원통형상, 또는 필름형상 기타 사용용도 및 다른 장치와의 상용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인층(12)은 전술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하발생층(13)은 전하발생물질, 전하발생층 결합제 수지, 용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발생물질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전하발생물질의 혼합물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하발생물질로는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그 유도체의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프탈로시아닌 중심부에 금속이 치환된 구리 프탈로시아닌(Cuppor Phthalocyanine), 알루미늄클로라이드 프탈로시아닌(Aluminium chloride Phthalocyanine), 티타닐프탈로시아닌(Titanyl Phthalocyanine), 바나듐옥사이드 프탈로시아닌(Vanadium oxide Phthalocyanine), 인듐클로라이드 프탈로시아닌(Indium chloride Phthalocyanine), 히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Hydroxy gallium Phthalocyanine), 틴옥사이드 프탈로시아닌(Tin oxide Phthalocyanine), 틴 프탈로시아닌(Tin Phthalocyani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또는 그의 유도체와 금속이 치환된 프탈로시아닌 또는 그의 유도체 각각을 조합하여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하발생층용 결합제 수지의 예에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딘,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에폭시,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페녹시수지, 실리콘수지, 염화비닐수지, 염화비닐리덴수지, 포르말수지, 및 셀룰로오스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공중합체 형태나, 할로겐화물, 또는 시아노에틸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2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하발생층용 용제로는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4-메톡시-4-메틸-2-펜탄논,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사이크로헥사논, 1,2-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프로판, 1,1,2-트리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에틸아세 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틸 셀로솔브, 부틸아민, 디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포름아미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벤젠, 에틸벤젠, 및 시클로헥산 중 하나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발생층용 첨가제로서는 분산제, 광안정제, 소포제, 및 계면활성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
전하수송층(14)은 전하수송물질, 전하수송층 결합제 수지, 전하수송층 용제 및 전하수송층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수송물질은 전하발생층에서 생성된 전하를 감광체 표면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전하수송물질의 예에는 1,1-비스-(파라-디에틸아미노페닐)-4,4-디페닐-1,3-부타디엔, N,N'-비스(올소,파라-디메틸페닐)-N,N'-디페닐벤지딘, 3,3‘-디메틸-N,N,N'N'-테트라키스-4-메틸페닐-(1,1'-바이페닐)-4,4'-디아민, N-에틸-3-카보졸릴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4-(N,N-비스(파라-톨루일)아미노)-베타페닐스틸벤, N,N,N',N'-테트라키스(3-메틸페닐)-1,3-디아미노벤젠, N,N-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디페닐-히드라존, N,N-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디페닐-히드라존, 4-디벤질아미노-2-메틸벤즈알데히드디페닐히드라존, 2,5-비스(4-아미노페닐)-[1,3,4]옥사디아졸, (2-페닐벤조[5,6-b]-4H-티오피란-4일리덴)-프로판디니트릴-1,1-디옥사이드, 4-브로모-트리페닐아민, 4,4'-(1,2-에탄디일리덴)-비스(2,6-디메틸-2,5-시클로헥사디엔-1-온), 3,4,5-트리페닐-1,2,4-트리아졸, 2-(4-메틸페닐)-6-페닐-4H-티오피란-4-일리덴]-프로판디니트릴- 1,1-디옥사이드, 4-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9-에틸카바졸-3-알데히드-N-메틸-N-페닐히드라존, 5-(2-클로로페닐)3-[2-(2-클로로페닐)에테닐」-1-페닐-4,5-디히드로-1H-피라졸, 4-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N-비페닐일-N-페닐-N-(3-메틸페닐)아민, 9-에틸카바졸-3-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3,5-비스(4-tert-부틸페닐)4-페닐트리아졸, 3-(4-비페닐일)-4-페닐-5-tert-부틸페닐-1,2,4-트리아졸, 4-디페닐아미노-벤즈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5,(4-디에틸아미노페닐)-3-[2-(4-디에틸아미노페닐)-에테닐]-1-페닐-4,5-디히드로-1-피라졸, N,N'-디(4-메틸페닐)-N,N'-디페닐-1,4-페닐렌디아민, 4-디벤질아미노벤즈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4-디벤질아미노-3-메틸벤즈알데히드-N,N-디페닐히드라존, 4,4'-비스(카바졸-9-일)비페닐, N,N,N',N'-테트라페닐벤지딘, N,N'-비스(4-메틸페닐)-N,N'-비스(페닐)-벤지딘, N,N'-비스(3-메틸페닐)-N,N'-비스(페닐)벤지딘, N,N,N',N'-테트라키스(4-메틸페닐)벤지딘, N,N,N',N'-테트라키스(3-메틸페닐)벤지딘, 디(4-디벤질아미노페닐)에테르, N,N'-디(나프탈렌-2-일)-N,N'-디페닐벤지딘,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1,3-비스(4(4-디페닐아미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 N,N'-디(나프탈렌-2-일)N,N'-디(3-메틸페닐)벤지딘, N,N'-디(나프탈렌-1-일)-N,N'-디(4-메틸페닐)벤지딘, N,N'-디(나프탈렌-2-일)-N,N'-디(3-메틸페닐)벤지딘, 1,1-비스(4-비스(4-메틸페닐)아미노페닐)시클로헥산, 4,4',4"-트리스(카바졸-9-일)-트리페닐아민,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N,N'-비스(비페닐-1-일)-N,N'-비스(나프트-1-일)벤지딘,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N,N,N',N'-테트라키스(비페닐-4-일) 벤지딘, 4,4',4"-트리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및 4,4',4"-트리스(N-(2-나프틸)-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하나 또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 결합제 수지의 예에는 폴리비닐부틸알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트아크릴 수지,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메트아크릴산 메틸 수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실리콘 수지, 실리콘-알키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크레졸-포름알데히드 수지, 스티렌-알키드 수지, 폴리-N-비닐카바졸 수지, 폴리비닐포름알 수지, 폴리히드록시스티렌 수지, 폴리노보닐 수지, 폴리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2-에틸-옥사졸린)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아미노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및 에폭시 수지가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하나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 용제의 예에는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4-메톡시-4-메틸-2-펜탄논,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알콜, 이소부틸알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사이크로헥사논, 1,2-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프로판, 1,1,2-트리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틸 셀로솔브, 부틸아민, 디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포름아미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벤젠, 에틸벤젠, 및 시클로헥산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하나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 첨가제에는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소포제, 및 오일등이 사용될 수있고, 이들은 하나 또는 2종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 1내지 4에서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제조시 겔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1에서는 겔화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나일론(상표명 CM8000, 일본 도레이사제) 6.0중량부, 메탄올 84.6 중량부, 산화티탄(TiO2)(상표명 TTO-55, 일본 이시하라사제) 94중량부, 및 겔화 방지제로서 BYKANOL-N(상표명, BYK-Chemie사제)를 혼합하여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BYKANOL-N(상표명) 대신 Dapro 7(상표명, Elementis사제)를 겔화방지제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BYKANOL-N(상표명) 대신 Dapro 10(상표명, Elementis사제)를 겔화방지제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BYKANOL-N(상표명) 대신 Additol XL150(상표명, UCB Chemicals사제)를 겔화방지제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BYKANOL-N(상표명)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자 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방법}
- 겔화테스트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용액을 -1℃ 내지 -2℃에서 보관하여 보관 후 0, 12, 24, 48, 72시간이 지난 후에 겔화특성을 평가하였다. 결과가 이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번호 방치 시간(h)
0 12 24 48 72
실시예 1 겔화 없음 겔화 없음 겔화 없음 겔화 없음 겔화 없음
실시예 2 겔화 없음 겔화 없음 약간 겔화됨 겔화 심해짐 겔화심해짐
실시예 3 겔화 없음 겔화 없음 겔화 없음 겔화 없음 겔화 없음
실시예 4 겔화 없음 약간 겔화됨 약간 겔화됨 겔화 심해짐 겔화 심해짐
비교예 1 겔화 없음 겔화 심해짐 겔화 심해짐 겔화 심해짐 겔화 심해짐
표 1에서 알 수 있듯, 겔화방지제를 사용한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이 겔화테스트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은 -1℃ 내지 -2℃에 72시간을 방치한 경우에도 겔화를 나타내지 않아 장기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4는 비록, 실시예 1 및 3보다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으나 비교예 1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겔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겔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을 제조한 경우 겔화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은 수준의 겔화특성을 나타내고 있어서, 우수한 보존 안정성 및 도공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인층을 형성할 수 있어서, 하인층 조성물 자체의 안정성과 도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전자사진 감광체를 제조한 경우, 장기보존 후에도 정전 특성의 변동이 적고 도막 결함이 적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UCL, Under Coated Layer)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방지제는 산성 인산 에스테르와 케톡심의 알킬 암모늄 염, 지방산 아민, 알킬페놀 레시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결합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5.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도포된, 결합제 수지, 유기용제 및 겔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하인층 조성물로 이루어진 하인층;
    상기 하인층 상에 도포된, 전하캐리어를 발생시키는 전하발생층; 및
    상기 전하발생층 상에 도포된, 상기 전하발생층에서 발생된 상기 전하캐리어를 수송하는 전하수송층;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KR1020060068214A 2006-07-20 2006-07-20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KR20080008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14A KR20080008681A (ko) 2006-07-20 2006-07-20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14A KR20080008681A (ko) 2006-07-20 2006-07-20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81A true KR20080008681A (ko) 2008-01-24

Family

ID=3922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214A KR20080008681A (ko) 2006-07-20 2006-07-20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86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31B1 (ko) * 2007-05-23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이미지 형성체,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이미지 형성장치
JP2017219563A (ja) * 2016-06-02 2017-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31B1 (ko) * 2007-05-23 2008-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이미지 형성체,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이미지 형성장치
JP2017219563A (ja) * 2016-06-02 2017-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5712B (zh) 电子照相光受体
JP5077441B2 (ja) 電子写真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20080008681A (ko) 전자사진 감광체용 하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감광체
JP2001066805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5409093B2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6236061A (ja) 電子写真感光体
KR100511784B1 (ko) 전자사진용 유기감광체
JP3982868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3875863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715581B2 (ja) 電子写真感光体
US11073771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70002408A (ko) 전하발생분산액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장치용 감광체의제조 방법
KR100497403B1 (ko) 전하전달층 코팅액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전하전달층을포함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US20220214628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apable of suppressing micro-jitter image defect
JP5585668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20070048930A (ko) 내크랙성이 개선된 전자사진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54800B1 (ko) 단층형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코팅액 조성물
JP2017181630A (ja) 電子写真感光体、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023562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3983651B2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49837A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KR20130067664A (ko) 수명 특성 및 대전 균일성이 우수한 전자사진 감광체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와 전자사진 카트리지
KR20030075005A (ko) 전자사진용 유기감광체
WO2012111672A1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9186496A (ja) 電荷発生層用塗布液及び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