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73U -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73U
KR20080006673U KR2020070010507U KR20070010507U KR20080006673U KR 20080006673 U KR20080006673 U KR 20080006673U KR 2020070010507 U KR2020070010507 U KR 2020070010507U KR 20070010507 U KR20070010507 U KR 20070010507U KR 20080006673 U KR20080006673 U KR 20080006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ontainer
discharge
viscous material
flan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석
Original Assignee
임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석 filed Critical 임현석
Priority to KR2020070010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73U/ko
Publication of KR20080006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점성 물질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는, 상부 실링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단부 일단이 예각을 이루고, 상단부 일단에 인접한 측부에 통공이 형성된 플렉시블 용기, 및 통공을 덮도록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된 플랜지와, 플랜지와 결합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절곡된 원뿔형상을 가지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랜지는 상부 실링부와 중첩되어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용기, 접착제, 토출

Description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Packing container of viscosity material}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토출관의 일 변형예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1 및 제2 토출관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토출관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1 및 제2 토출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110: 플렉시블 용기
112: 상부 실링부 114: 하부 실링부
116: 통공 120, 130, 140: 토출부
122, 132, 142: 제1 토출관 124, 134, 144: 제2 토출관
126: 플랜지 300, 400: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310: 플렉시블 용기 312: 측부 실링부
314: 하부 실링부 320: 토출부
322: 토출관 324: 플랜지
본 고안은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와 같이 점성이 있는 물질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드 또는 풀과 같은 접착제는 비닐 용기 내에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사용자가 비닐 용기 내에 담긴 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닐 용기의 일부를 절취한 후 비닐 용기의 몸체를 눌러서 비닐 용기의 절취부로부터 접착제를 토출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닐 용기가 플렉시블(flexible)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절취부로부터 접착제를 원하는 위치에 토출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절취부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를 일정한 양으로 토출시키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남은 접착제를 보관하기도 어렵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점성 물질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는, 상부 실링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단부 일단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상단부 일단에 인접한 측부에 통공이 형성된 플렉시블 용기, 및 상기 통공을 덮도록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결합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절곡된 원뿔형상을 가지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상부 실링부와 중첩되어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는, 꼭지점부에 통공이 형성된 플렉시블 용기, 및 상기 통공을 덮도록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결합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원뿔형상을 가지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꼭지점부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교차한 곳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렉시블 용기를 접합하는 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100)는 점성 물질이 담긴 플렉시블 용기(110)와, 플렉시블 용기(110)의 측부 끝단에 형성되어 점성 물질을 토출시키는 토출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렉시블 용기(110)로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 수지 시트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용기(110)에 담긴 점성 물질은 본드, 풀 등과 같이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점성 물질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한 위치에 토출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플렉시블 용기(110)를 압착함으로써 토출부(120)를 통하 여 점성 물질이 토출될 수 있다.
플렉시블 용기(1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부 실링부(112) 및 하부 실링부(114)에 의해 플렉시블 용기(110)가 봉합되어 있다.
플렉시블 용기(1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 구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측부가 나란하고 상부 실링부(112)가 경사져서 플렉시블 용기(110)의 상단부 일측이 예각을 이루며 뾰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 일측에 인접한 플렉시블 용기(110)의 측부에 통공(116)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116)을 덮도록 토출부(120)가 융착된다. 토출부(120)가 플렉시블 용기(110)의 뾰족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플렉시블 용기(110) 내의 점성 물질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6)은 플렉시블 용기(110) 내의 저장 공간과 상부 실링부(112)의 경계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플렉시블 용기(110) 내의 잔존하는 점성 물질을 마지막까지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부(120)는, 통공(116) 내에 삽입되어 플렉시블 용기(110)에 융착되는 플랜지(126)와, 플랜지(126)와 결합하여 통공(116) 외부로 돌출된 제1 및 제2 토출관(122, 124)을 포함한다. 플랜지(126), 제1 및 제2 토출관(122, 124)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금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20)는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6)가 플렉시블 용기(110)에 융착되어 고정된 후, 상부 실링부(112)를 접합하는 과정에서 플렉시블 용기(110)에 융착된 플랜지(126)의 적어도 일부를 상부 실링부(112)와 함께 접합함으로써 플랜지(126)와 플렉시블 용기(110) 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랜지(126)는 상부 실링부(112)와 중첩되어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토출관(122, 124)은 전체적으로 절곡된 원뿔형상을 가지며, 절곡부를 경계로 제1 토출관(122) 및 제2 토출관(12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토출관(122)의 일단은 플랜지(126)와 연결되어 있고, 제1 토출관(122)의 타단은 제2 토출관(124)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토출관(122)과 제2 토출관(124) 사이를 절곡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점성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용기(110)와 연결된 제1 토출관(122)은 플렉시블 용기(110)의 측벽과 실질적으로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어서 적은 힘으로도 플렉시블 용기(110)로부터 점성 물질이 용이하게 제1 토출관(122)으로 토출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제2 토출관(124)은 제1 토출관(122)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어서 정확한 위치에 점성 물질이 토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1 및 제2 토출관(122, 124)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토출관의 일 변형예이고, 도 2b는 도 2a의 제1 및 제2 토출관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토출관의 다른 변형예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1 및 제2 토출관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130)를 구성하는 제1 토출관(132) 및 제2 토출관(134)의 경계부가 플랜지(126)와 만날 수 있으며, 특히 플랜지(126)와 제1 토출관(132)의 연결부 중 상부 와 만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140)를 구성하는 제1 토출관(142) 및 제2 토출관(144)의 경계부가 플랜지(126)와 만날 수 있으며, 특히 플랜지(126)와 제1 토출관(142)의 연결부 중 하부와 만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 및 제2 토출관(122, 124)를 이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토출관(124)의 끝단은 초기 상태에서 막혀 있으나, 사용시에 끝단을 절개하여 점성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토출관(124)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토출량에 따른 절개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관(122) 또는 제2 토출관(124)의 외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토출관 커버(미도시)와 결합시킴으로써 사용 후 개구된 제2 토출관(124)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점성 물질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a 내지 도 3b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200)는 제1 실시예의 포장 용기(100)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토출부(120)의 플랜지(126)는 통공(116) 외부에서 플렉시블 용기(110)와 접합된다. 이 경우 플렉시블 용기(110)의 통공(116)에 토출부(120)를 끼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용기(110)에 상부 실링부(112)를 형성한 후 플랜지(126)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실링부(112)와 중첩되도록 플렉시블 용기(110)에 플랜지(126)를 융착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300)는 점성 물질이 담긴 플렉시블 용기(310)와, 플렉시블 용기(310)의 상측 꼭지점부에 형성되어 점성 물질을 토출시키는 토출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렉시블 용기(310)로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 수지 시트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용기(310)에 담긴 점성 물질은 본드, 풀 등과 같이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점성 물질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한 위치에 토출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플렉시블 용기(310)를 압착함으로써 토출부(320)를 통하여 점성 물질이 토출될 수 있다.
플렉시블 용기(310)의 일측부 및 하부에는 각각 측부 실링부(312) 및 하부 실링부(314)에 의해 플렉시블 용기(310)가 봉합되어 있다. 플렉시블 용기(310)의 타측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실링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플렉시블 용기(31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부(320)는 플렉시블 용기(310)의 꼭지점부에 형성된 통공에 융착되어 고정된다. 토출부(320)가 플렉시블 용기(310)의 꼭지점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플렉시블 용기(310) 내의 점성 물질을 마지막까지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 실링부(312)가 형성된 플렉시블 용기(310)의 일측부와 실링부가 없는 플렉시블 용기(310)의 타측부가 교차하는 꼭지점부에 토출부(320)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부 실링부(312)와 하부 실링부(314)가 교차하는 꼭지점부에 토출부(3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부(320)는, 통공 내에 삽입되어 플렉시블 용기(310)와 융착되는 플랜지(324)와, 플랜지(324)와 결합하여 통공 외부로 노출된 토출관(322)을 포함한다. 플랜지(324) 및 토출관(322)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금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320)는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관(322)은 전체적으로 원뿔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플랜지(324)가 연결되어 있다. 토출관(322)의 끝단은 초기 상태에서 막혀 있으나, 사용시에 끝단을 절개하여 점착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토출관(322)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토출량에 따른 절개부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322)의 외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토출관 커버(미도시)와 결합시킴으로써 사용 후 개구된 토출관(322)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점성 물질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3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측부 실링부(312)를 접합한 후 꼭지점부에 형성된 통공 내에 토출부(320)를 삽입한 후 플랜지(324)를 플렉시블 용기(310)에 융착한다. 이어서 플렉시블 용기(310) 내에 점성 물질을 충전하고 하부 실링부(314)를 접합하여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300)를 완성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6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400)는 제3 실시예의 포장 용기(300)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토출부(320)의 플랜지(324)는 통공 외부에서 플렉시블 용기(310)와 접합된다. 이 경우 플렉시블 용기(310)의 통공에 토출부(320)를 끼우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용기(310)에 측부 실링부(312)를 형성한 후 플랜지(324)의 적어도 일부가 측부 실링부(312)와 중첩되도록 플렉시블 용기(310)에 플랜지(324)를 융착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에 의하면, 점성 물질을 포장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상부 실링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단부 일단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상단부 일단에 인접한 측부에 통공이 형성된 플렉시블 용기; 및
    상기 통공을 덮도록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결합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절곡된 원뿔형상을 가지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상부 실링부와 중첩되어 융착되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플렉시블 용기 내의 저장 공간과 상기 상부 실링부의 경계선 상에 형성된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용기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통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되는 점 성 물질의 포장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통공 외부에서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되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6. 꼭지점부에 통공이 형성된 플렉시블 용기; 및
    상기 통공을 덮도록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결합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전체적으로 원뿔형상을 가지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꼭지점부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교차한 곳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렉시블 용기를 접합하는 실링부로 이루어진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용기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통공 내에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되는 점 성 물질의 포장 용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통공 외부에서 상기 플렉시블 용기에 융착되는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KR2020070010507U 2007-06-26 2007-06-26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KR200800066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07U KR20080006673U (ko) 2007-06-26 2007-06-26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07U KR20080006673U (ko) 2007-06-26 2007-06-26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73U true KR20080006673U (ko) 2008-12-31

Family

ID=4929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507U KR20080006673U (ko) 2007-06-26 2007-06-26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6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8150B (zh) 多组分筒
US6712232B2 (en)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509219A5 (ko)
JP2011509219A (ja) 複合コ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14376A1 (en) Aseptic brick package
KR100497802B1 (ko) 접을수있는유체용기
JP2012162283A (ja) チューブ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14617B1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그 제작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
KR20080006673U (ko)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US10479548B2 (en) Paper inner container for holding liquid refill contents
JP7198198B2 (ja) 詰め替え用液状内容物収容用紙製内容器
JP6925178B2 (ja) スパウト付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容物入りスパウト付包装袋
JP6606377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外装箱の組立方法
CN110550321B (zh) 一种空气密封袋
JP6085936B2 (ja) パウチ容器
JP2016052904A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CN218340219U (zh) 打胶组件和打胶装置
KR200430271Y1 (ko) 점성 물질의 포장 용기
JP3109689U (ja) 流体充填用容器
JPH01254562A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密栓方法
JPS6137663Y2 (ko)
JP4182235B2 (ja) 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高粘調液充填体
KR200379430Y1 (ko) 주름접합부를 갖는 튜브형 용기
JPH0720026Y2 (ja) 包装袋
JP2023081214A (ja) 複合容器及び複合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