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214A -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214A
KR20080006214A KR1020060065075A KR20060065075A KR20080006214A KR 20080006214 A KR20080006214 A KR 20080006214A KR 1020060065075 A KR1020060065075 A KR 1020060065075A KR 20060065075 A KR20060065075 A KR 20060065075A KR 20080006214 A KR20080006214 A KR 20080006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distance
screen size
screen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813B1 (ko
Inventor
진주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8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은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 및 리모콘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한 후, 측정된 거리 정보 및 계산된 해상도에 따라 화면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작업 없이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해상도, 프로젝터, 화면, 크기, 설정

Description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setting screen size of projector and an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공간주파수(cycles per degree)에 대한 콘트라스트 민감도 함수(Contrast Sensitivity Fucntion:CSF)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감지 센서의 거리 측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등의 각종 영상 기기들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상에 나타내주는 장비로서 일종의 진보된 환등기이다. 빔 프로젝터라고 불리던 3관식 프로젝터와는 달리 현재의 LCD 및 DLP 프로젝터는 설정이 필요없이 각종 영상기기를 연결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최적의 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근래에 기업의 프리젠테이션 및 가정의 홈씨어터용으로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 종류로는 PRT(CRT) 프로젝터, LCD 프로젝터 및 DLP 프로젝터가 있다. PRT(CRT) 프로젝터는 작고 상당히 밝은 브라운관에서 원하는 화면을 만든 후에 이것을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PRT(CRT)가 하나인 1관식과 R(적색), G(녹색), B(청색) 3 개의 PRT(CRT)를 가지는 3관식이 있다. 1관식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입자가 분리되어 보이므로 화면이 크면 입자가 구분되어 보이므로 돋보기로 브라운관을 확대해서 보는 것처럼 과히 보기가 좋지가 않으나 스크린면까지의 거리에 따른 촛점의 조정이 용이한 잇점이 있고, 보통 밝기가 어둡고 해상도가 낮다. 3관식의 경우에는 R, G, B 빛을 각각 담당하는 PRT(CRT)관이 3 개가 존재하며, 이것들을 하나의 스크린상에 촛점이 일치하도록 투사해 주므로써 색이 분리되어 보이지 않는 좋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고, 밝기와 해상도 또한 더 우수할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PRT(CRT)가 광축이 동일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3 개의 광축이 일치하는 선상에서 스크린면을 구성하고 거기에서 촛점을 맞추어야 되는 초점 조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부피가 상당히 크다는 단점이 있다.
요즘은 밝기가 떨어지고 PC 입력 시의 주파수에 따른 편향 조정의 어려움, 3판식의 경우 구조적인 단점에 의해서 발생하는 초점 조정의 어려움 등등의 이유로 점점 사용이 줄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LCD 프로젝터는 가장 빠른 발전을 보여준 프로젝터로서 강력한 빛을 발하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을 통과시킨 다음 렌즈로 전면스크린에 상을 맺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LCD Projector에서 사용하는 소자가 LCD 패널인만큼 LCD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서 프로젝터의 해상도가 결정되며, 입력 주파수 변화에 따른 편향의 변화 등이 없어서 PC 입력에 대하여 강한 면을 지닌다. LCD 프로젝터 역시 저가형의 단판식과 고가형의 3판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초저가형을 제외하고는 3판식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해상도도 800x600, 1024x768, 1280x1024, 1366x768, 1366x1024 까지 등장하였고 가격대 및 밝기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3판식 LCD 프로젝터의 경우에는 R, G, B 각각의 패널을 통과한 빛의 프리즘을 통하여 광축을 일치시켜 하나의 광원에서 빛이 나오는 것처럼 만들어 준 다음 렌즈를 통과하므로 스크린면과의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정의 어려움이 없어서 설치도 용이하고 기기의 크기도 PRT(CRT) 방식의 프로젝터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잇점이 있으며, PRT(CRT) 형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당히 밝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존의 PRT(CRT) 방식에서처럼 자연스러운 색의 재현이나 높은 Contrast 비 등을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감마(Gamma) 특성이 PRT(CRT)에 비해서 좋지 않으므로 AV 매니아의 경우에는 여전히 PRT 방식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가격대비 성능, PC 입력 호환성의 우수함, 작은 사이즈, 밝은 화면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기업체나 개인 사용자들이 LCD 프로젝터를 선호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프로젝터는 엔진부(램프부)와, 전원부와, 신호처리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엔진부는 입력되는 신호를 광학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이 광통(엔진)부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며, 램프 밝기는 화면의 밝기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 전원부는 램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여 프리커(fliker) 없는 빛을 제공하기 위한 안정기와, 기타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원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신호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지털 보드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로젝터의 동작원리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따라 그 동작원리에는 차이가 있으나, 공통된 부분만을 추출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신호입력과, 신호의 조합으로 영상이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즉,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램프를 통해 입력된 빛은 광학엔진으로 입력되어지고 3판식인 경우는 칼라 필터를 통해 R, G, B 3개의 빛으로 나뉘어져 신호 경로로 들어온 R, G, B 데이터 신호에 따라 데이터에 맞는 출력이 이루어짐으로써 투사렌즈로 모아져 이루어진 화면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이때 렌즈(도시생략)는 입력된 빛은 먼저 FEL(Fly Eyes Lens)를 통하여 화면에 골고루 투사될 수 있게 면적에 대해 균일한 빛을 갖게 하고, PBS를 통하여 P파를 S파로 변환하여 빛의 집적도를 높이며, 이렇게 집적도를 높인 후 칼라 필터를 통해 R, G, B의 빛으로 분 리(3판식인 경우)되는 것이다. 또한,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맞추어 각각의 픽셀 데이터에 맞는 디바이스가 온/오프 될 것이므로, 이렇게 데이터에 맞는 빛은 마지막으로 하나로 합쳐져서 투사렌즈로 입사되어 스크린에 투사되는 것이다. 그러나, 프로젝터는 그 부피와 무게면에서 다른 어떠한 영상표시기기보다 장점이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용이하므로 사무용, 가정용으로 두루 사용되고 있지만, 투사형 장비라는 이유로 그 사용에 있어서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프로젝터 설치시 투사거리에 맞추어 수동으로 사용자가 렌즈를 조절하여 화면 크기를 맞추고, 초점을 맞추는 등의 작업이 요구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작업 없이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은 상기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 및 리모콘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계산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화면 크기가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되, 상기 프로젝터의 설치 위치의 한계로 인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상기 계산된 화면 크기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계산된 화면 크기의 근사치로 상기 프로젝터 화면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시청 환경에 따라 차후에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 정보, 상기 해상도, 상기 설정된 화면 크기 등에 관한 정보인 세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은 상기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감지 센서; 상기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하는 해상도 산출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해상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장치는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및 영상 신호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크기가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거리 정보, 상기 해상도, 상기 설정된 화면 크기 등에 관한 정보인 세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장치는 거리 감지 센서(104), 해상도 산출부(106), 제어부(108)를 포함한다. 다만 선택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2) 및 메모리(1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02)와 메모리(110)를 함께 도시하였다.
데이터 베이스(102)는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및 영상 신호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화면 크기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다.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및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알면 화면 크기를 계산해낼 수 있는데, 데이터 베이스(102)는 이와 같이 계산된 최적 화면의 크기들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화면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우리 눈에 가장 선명하게 보일 수 있는 최적의 화질에서의 화면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선명도의 개념으로 화질을 따질 때 우리 눈의 특성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과학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우리 인간의 눈은 대략 1초에 60번 이상의 속도로 이미지를 바꿔 주면 자연스러운 연속동작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다른 말로 바꾸면 60Hz 이상으로 화면을 갱신해 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TV의 경우 굳이 100Hz와 같은 높은 화면주사율을 갖게 하기 위해서 많은 자원(video bandwidth)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을 시간주파수(temporal frequency)에 대한 시각적 민감도라 할 수 있다.
한편, 우리의 눈은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에 대해서도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고 한다.
도 2는 공간주파수(cycles per degree)에 대한 콘트라스트 민감도 함수(Contrast Sensitivity Fucntion:CSF)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도의 시야각 안에 약 8개의 줄(stripe)이 반복되는 경우를 가장 잘 구분하고, 그 이상으로 올리면 점차 구분력이 저하되다가 약 60개가 되면 잘 구분하지 못하고 흑백의 선이 아닌 회색의 선으로 느끼게 된다.
따라서 60cycles/degree 이상의 공간주파수는 의미가 없다는 시각적 특성을 이용하면 시청거리 및 해상도에 따른 화면 크기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화면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H를 화면의 수직 길이, VR을 화면의 수직 해상도, VD를 시청거리, h를 시야 1도에 해당하는 화면 높이, a를 시야 1도, r을 시야 1도에 해당하는 화면 높이(h) 안에 있는 픽셀의 수라고 할 때, 먼저 수학식 1의 관계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6049599815-PAT00001
수학식 1을 h에 관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2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6049599815-PAT00002
한편, r은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되는데
[수학식 3]
Figure 112006049599815-PAT00003
수학식 2를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수학식 4를 얻게 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6049599815-PAT00004
마지막으로 수학식 4를 화면의 수직 길이 PH에 대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5를 얻게 된다.
[수학식 5]
Figure 112006049599815-PAT00005
수학식 5를 참조하면, 화면의 수직 길이 PH, 즉 화면의 크기는 시청거리 VD 및 수직 해상도 VR에 비례한다. 해상도 및 시청거리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하여 최적 시청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분류하여 저장한 것이 데이터베이스(102)이다.
다만, 화면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예에 따라서 시청 거리 및 해상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화면을 구현하는 방법은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명도가 SD급이고, 해상도가 720 x 480이며, 시청거리가 2.85m라면 화면 크기는 32인치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같은 화면 크기에서는 선명도 및 해상도가 올라갈수록 최적 시청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화면 크기 입장에서 보면, 시청거리가 동일한 경우에 선명도 및 해상도가 올라가면 화면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104)는 거리 측정용 신호를 송수신하여,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 감지 센서의 거리 측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젝터(510)와 리모콘(520)에 각각 거리 감지 센서(512,522)가 내장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거리 감지 센서(512,522)를 이용하여 프로젝터(510)와 스크린(530)사이의 거리 및 리모콘(520)과 스크린(530) 사이의 거 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터(510)와 스크린(530)사이의 거리를 프로젝터 거리, 리모콘(520)과 스크린(530) 사이의 거리를 시청 거리로 정의 한다.
본 발명의 거리 감지 센서는 거리 측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의 역할과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거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리 측정용 신호로는 적외선 및 초음파가 사용될 수 있다.
적외선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먼저, 하나는 반사광 측정방식으로 900nm이상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 LED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방사하고, 물체에 맞고 되돌아 오는 적외선 양을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반사량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반사량이 많으면 센서와 물체와의 거리는 가까운 것이며, 반대로 반사량이 적으면 거리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삼각 측정 방식으로 LED로 적외선을 방사하고, 그 적외선이 물체에 맞고 반사되는 것까지는 반사광 측정방식과 동일하다. 다만 그 이후 반사된 광원을 렌즈를 통해 집광하고, 이를 후면의 일차원 CCD센서에 투광시켜 가장 반사광이 집중되는 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발광부와 일차원 CCD 센서의 거리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물체와의 거리를 바로 계산할 수 있다.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은 초음파센서에서 발사된 초음파 펄스가 피 측정물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초음파 센서로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측 정 대상에 따른 정보를 얻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초음파를 송신 후 되돌아 올 때까지의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공기 중에서 초음파의 온도에 따른 음속을 보상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거리 감지 센서(104)는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프로젝터 거리 및 시청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 다만,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적외선,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거리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해상도 산출부(106)는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한다.
제어부(108)는 거리 감지 센서(104)에서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산출된 해상도에 따라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08)는 수학식 5의 식을 계산하여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직접 설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102)에 기초하여 화면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상술한대로, 도 4를 참조하면, 선명도가 SD급이고,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가 720 x 480이며, 도 5의 시청 거리가 2.85m라면 화면 크기는 32인치가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8)는 화면 크기를 32인치로 설정하게 된다.
다만, 도 5에서의 프로젝터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계산된 화면 크기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계산된 화면 크기의 근사치로 상기 프로젝터 화면의 크기를 설정한다. 예컨대, 32인치가 화면 크기인데 프로젝터의 위 치상 30인치가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화면 크기라면 30인치가 화면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다.
메모리(110)는 거리 정보, 해상도, 설정된 화면 크기 등에 관한 정보인 세팅 정보를 저장한다. 즉, 선명도가 SD급이고,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가 720 x 480이며, 도 5의 시청 거리가 2.85m일때 제어부(108)에서 화면 크기를 32인치로 설정하였다면, 각각의 선명도, 해상도, 시청거리 및 화면 크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차후에 프로젝터를 동작시킬 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02단계에서는,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 및 리모콘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거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을 수행하며, 거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대로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법,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604단계에서는,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한다.
606단계에서는, 측정된 거리 정보 및 계산된 해상도에 따라 화면 크기를 설정한다. 다만, 상술한대로, 제어부(108)는 수학식 5의 식을 계산하여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직접 설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102)에 기초하여 화면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의 프로젝터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계산된 화면 크기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계산된 화면 크기의 근사치로 상기 프로젝터 화면의 크기를 설정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작업 없이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고려되어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 및 리모콘과 상기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계산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크기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화면 크기가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되, 상기 프로젝터의 설치 위치의 한계로 인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를 상기 계산된 화면 크기로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계산된 화면 크기의 근사치로 상기 프로젝터 화면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크기 설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청 환경에 따라 차후에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 정보, 상기 해상도, 상기 설정된 화면 크기 등에 관한 정보인 세팅 정보를 저장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크기 설정 방법.
  4.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감지 센서;
    상기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산출하는 해상도 산출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 및 상기 산출된 해상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크기 설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 및 영상 신호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크기가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거리 정보, 상기 해상도, 상기 설정된 화면 크기 등에 관한 정보인 세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크기 설정 장치.
KR1020060065075A 2006-07-11 2006-07-11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30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075A KR101300813B1 (ko) 2006-07-11 2006-07-11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075A KR101300813B1 (ko) 2006-07-11 2006-07-11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14A true KR20080006214A (ko) 2008-01-16
KR101300813B1 KR101300813B1 (ko) 2013-08-26

Family

ID=3922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075A KR101300813B1 (ko) 2006-07-11 2006-07-11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276B1 (ko) 2017-09-12 2019-09-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장치
KR20190029146A (ko) 2017-09-12 2019-03-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방법
KR102012669B1 (ko) 2019-07-03 2019-08-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재료분리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657Y1 (ko) * 1993-10-19 1999-03-30 김광호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JP2003131323A (ja) * 2001-10-26 2003-05-09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4045912A (ja) * 2002-07-15 2004-02-12 Toshiba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4497890B2 (ja) * 2003-10-30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射型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813B1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726B2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with projected display
JP5996602B2 (ja) 投影システム及びその投影方法
US7292252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projector,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mage projection method capable of avoiding obstacles in the projection area
JP5582778B2 (ja) 投射装置、プログラム、及び投射装置の制御方法
US8274531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jecting overlapping windows with light modulation valves
US6866388B2 (en) Projection device
WO2014171134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9304379B1 (en) Projection display intensity equalization
TWI504931B (zh) 投影系統及其投影方法
JP2002300498A (ja)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JP6834258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300813B1 (ko)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US7108379B2 (en) Projector for adjusting a projected image size and luminance depending on various environments
JP2005092592A (ja) プロジェクタ並びに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30043300A (ko)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되는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40992A1 (en) Proj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40566A (ja) 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システム
TWI259931B (en) Projection apparatus, illuminating module and color-level correcting method therefor
EP1089119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or
KR100629529B1 (ko) 프로젝터의 화면 밝기 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JP2014182332A (ja) サイネージ装置
JP2019186690A (ja) 制御装置、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064459A (ja) 映像投射装置及び映像投射システム
TWI511571B (zh) 投影系統及其影像調整方法
CN101109894A (zh) 台式大尺寸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