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657Y1 -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 Google Patents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657Y1
KR0129657Y1 KR2019930021510U KR930021510U KR0129657Y1 KR 0129657 Y1 KR0129657 Y1 KR 0129657Y1 KR 2019930021510 U KR2019930021510 U KR 2019930021510U KR 930021510 U KR930021510 U KR 930021510U KR 0129657 Y1 KR0129657 Y1 KR 012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ocus
distance
scree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326U (ko
Inventor
양희범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1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657Y1/ko
Publication of KR950012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7Projection screens for colour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터와 화면간의 거리와 화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는, 액정프로젝터와 스크린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과; 상기 거리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른 포커스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아미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포커스제어신호에 따라 포커싱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포커싱모터의 동작에 따라 포커스조절렌즈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스크린에 투사된 화상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렌즈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액정 프로텍터에서 포커스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투사렌즈군을 확대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포커스 조절 회로의 블록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 2a∼2f : 미러
3a∼3c : 액정 4 : 투사렌즈부
5 : 스크린 7 : 모터구동부
8 : 모터 12 : 거리감지센서
14 : 마이컴
본 고안은 액정 프로젝터(PROJ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터와 화면(SCREEN)과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한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프로젝터는, 투사식 액정에 상(像)을 형성시키고, 광원과 투사렌즈를 이용하여 상기 상을 확대시켜 스크린에 맺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 개념도이다.
제1도에서, 광원(1)으로부터 투사된 빛은 색분리계의 미러(2a)에 입사된다.
상기 미러(2a)는 적색(Red)을 반사하고, 녹색(Green)과 청색(Blue)은 투과시킨다.
상기 미러(2a)에서 반사된 적색은 미러(2b)에서 반사하여 적색액정(3a)으로 입사되고, 상기 미러(2a)에서 투과된 녹색과 청색은 미러(2c)에 입사된다.
상기 미러(2c)는 녹색을 반사하고 청색은 투과시키므로, 녹색은 녹색액정(3b)으로 블루는 청색은 청색액정(3c)으로 입사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각 액정(3a, 3b, 3c)에서 적색과 녹색과 청색의 투과량에 의하여 칼라가 결정되고, 미러(3d∼3f)에 의해 합성되어 투사렌즈부(4)에 의해 액정의 화상이 확대되어 스크린(5)에 재현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액정프로젝터에서 포커스는 투사렌즈부(4)의 포커스렌즈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조절하게 된다.
제2도는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에서 포커스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투사렌즈부(4)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제2도에서, 투사렌즈부(4)내에는 많은 렌즈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편의상 포커스조절렌즈(41)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투사렌즈부(4)에서 포커스조절렌즈(41)는 원통형의 렌즈고정구(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렌즈구정구(42)에는 내외측 원형테(42a, 4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고정구(42)의 내측 원형테(42a)의 외측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고정구(42)의 외측 원형테(42b)의 외측에는 포커스조절렌즈(4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도면상에서 좌우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고정구(42)의 외측 원형테(42b)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기어(8b)가 치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8b)는 모터(8)의 축(8a)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투사렌즈부(4)의 종단에는 원형테(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사렌즈부(4)의 종단에 형성된 원형테(44)의 내측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테(44)에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산은 상기 렌즈고정구(42)의 내외측원형테(42a, 42b)의 사이에 삽입되어 내측 원형테(42a)에 형성된 나사산의 치합된다.
상기 구성중 모터는, 별도의 포커스조절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에서 포커스를 조절하는 회로의 블록도로서, 스위치부(6)의 조작에 따라 모터(8)를 좌 또는 우로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7)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구동부(7)에 의해 좌 또는 우로 회전하는 상기 모터(7)는 포커스조절렌즈(41)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서 포커스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커스 조절회로에서, 사용자가 포커스를 조절하기 위해 스크린(1)에 투사된 화면을 보면서 제3도에 도시한 스위치부(6)를 조작하면 모터구동부(7)는 상기 모터(8)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8)가 좌 또는 우로 구동되면 제2도에서 축(8a)에 고정된 기어(8b)가 좌 또는 우로 회전한다.
상기 기어(8b)가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면, 렌즈고정구(42)가 우 또는 좌로 회전하면서 포커스조절렌즈(4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원형테(42a와 44)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상기 렌즈고정구(42)가 회전과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포커스조절렌즈(41)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포커스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스크린(1)을 보면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포커스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주관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절함에 따라서 포커스가 달라지게 됨은 물론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포커스를 맞추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력이나 주위 환경의 영향이 없이 항상 정확하게 포커싱을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회로는, 액정 프로젝터와 스크린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과; 상기 거리감지수단에 의해서 감지된 거리에 따른 포커스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한다)와;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포커스제어신호에 따라 포커싱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포커싱모터의 동작에 따라 포커스조절렌즈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스크린에 투사된 화상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렌즈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성중 렌즈이동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고정구(42)와 원형테(44)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고정구(42)에는 포커스조절렌즈(41)가 고정되어 있으며, 내외측 원형테(42a, 4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고정구(42)의 내측 원형테(42a)의 외측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고정구(42)의 외측 원형테(42b)의 외측에는 포커스조절렌즈(4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고정구(42)의 외측 원형테(42b)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기어(8b)가 치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8b)는 모터(8)의 축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사렌즈부(4)의 종단에는 원형테(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사렌즈부(4)의 종단에 형성된 원형테(44)의 내측에는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테(44)에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산은 상기 렌즈고정구(42)의 내외측 원형테(42a, 42b)의 사이에 삽입되어 내측 원형테(42a)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회로의 블록도이다.
제4도에서, 액정프로젝터를 작동시키면 거리감지센서(12)는 스크린(5)과 액정프로젝터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콤(14)은 상기 거리감지수단(1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포커스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마이컴(14)에는 화면과 액정 프로젝터와의 거리에 따라 이미 산출된 적절한 포커스제어량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거리감지수단(12)에 의해 감지된 거리에 따라 포커스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모터구동부(7)는 상기 마이콤(14)에서 출력되는 포커스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포커싱모터(8)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구동부(7)에 의해 상기 포커싱모터(8)가 회전하면, 상기 포커싱모터(8)의 축(8a)과 기어(8b)가 좌 또는 우로 회전한다.
상기 포커싱모터(8)의 축(8a)과 기어(8b)이 회전하면, 포커스조절렌즈(41)가 장착된 렌즈고정구(42)가 좌 또는 우로 회전한다.
즉, 상기 기어(8b)와 렌즈고정구(42)의 외측 원형테(42b)에 형성된 나사산이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포커싱모터(8)가 회전하면 상기 외측원형테(42b)가 우 또는 좌로 회전한다.
상기 렌즈고정구(42)가 우 또는 좌로 회전하면 포커스조절렌즈(41)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원형테(42a 와 44)의 나사산에 의하여 상기 렌즈고정구(42)가 회전과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포커스조절렌즈(41)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포커스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정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회로는, 자동으로 포커스를 조절함으로서 일일이 사용자가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사용자의 조절에 따른 부정확함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고안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분명이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명에서는 거리감지수단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거리를 감지하지 않고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직접 감지하여 포커스를 조절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액정 프로젝터와 스크린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과, 상기 거리감지수단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른 포커스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포커스제어신호에 따라 포커싱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포커싱모터의 동작에 따라 포커스조절렌즈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스크린에 투사된 화상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렌즈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화면과 액정프로젝터와의 거리에 따라 산출된 포커스제어량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KR2019930021510U 1993-10-19 1993-10-19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KR012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510U KR0129657Y1 (ko) 1993-10-19 1993-10-19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510U KR0129657Y1 (ko) 1993-10-19 1993-10-19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326U KR950012326U (ko) 1995-05-17
KR0129657Y1 true KR0129657Y1 (ko) 1999-03-30

Family

ID=1936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510U KR0129657Y1 (ko) 1993-10-19 1993-10-19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6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50B1 (ko) * 2004-03-12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화면크기 조정장치 및 방법
KR101300813B1 (ko) * 2006-07-11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50B1 (ko) * 2004-03-12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화면크기 조정장치 및 방법
KR101300813B1 (ko) * 2006-07-11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화면 크기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326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197A (en) Zoom lens barrel
US5335035A (en) Visual line direction detecting device for the camera
JP4229150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5537168A (en) Projection optical apparatus comprising automatic adjustment unit
US7917029B2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08313794A (ja) ズームレンズ鏡筒
EP16150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color wheel index
US6018426A (en) Zoom lens barrel
US7458692B2 (en) Projector apparatus
KR0129657Y1 (ko) 액정 프로젝터의 오토포커싱 회로
US6914634B2 (en) Digital camera
US20040008421A1 (en) Zoom lens apparatus
US5727234A (en) Camera with shake detection and display
JP2002182273A (ja) 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JPH06160845A (ja) 投写形画像表示装置
US5561561A (en) Lens barrel having grooves with fitted covering
US6507703B1 (en) Camera for producing a trimmed image
JP2001242370A (ja) レンズ装置
JP2000244847A (ja) 投射型表示装置
JP6070375B2 (ja) 焦点調整装置、ならびに、投射装置および投射装置の制御方法
JP2556060B2 (ja) ズームレンズ
JP2002244016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KR100219606B1 (ko) 화면밝기가 조절되는 액정프로젝터
KR910005236Y1 (ko) 티씨엘 오토 포커싱(Through Camera lens Auto Focusing)을 사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광학장치
JP2002112288A (ja) 立体撮影光学ユニットおよび立体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