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722U - 티백봉투 - Google Patents

티백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722U
KR20080005722U KR2020070008546U KR20070008546U KR20080005722U KR 20080005722 U KR20080005722 U KR 20080005722U KR 2020070008546 U KR2020070008546 U KR 2020070008546U KR 20070008546 U KR20070008546 U KR 20070008546U KR 20080005722 U KR20080005722 U KR 200800057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g
packaging
bags
packag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혜진
Original Assignee
권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혜진 filed Critical 권혜진
Priority to KR2020070008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722U/ko
Publication of KR20080005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085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characterised by an outer package, e.g. wrappers or boxes for enclosing tea-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차류(녹차, 국화차, 우롱차, 쟈스민차, 생강차, 인삼차, 매실차 등)의 티백을 포장하는 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티백을 포장하는 봉투의 구조를 개선하여 티백을 단순하게 포장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차(茶)를 찻잔에서 우려낼 때 포장 봉투를 이용하여 찻잔을 위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종 차(茶)류가 담겨져 있는 티백을 포장하는 포장 봉투에 있어서,차(茶)가 포장되어 있는 티백(20)이 포장된 포장 봉투(10)를 개봉하여 티백(20)을 꺼낸 후 포장 봉투(10)를 펼쳐 티백(20)을 담가 차(茶)를 우려내는 찻잔(30)에 덮어 덮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백포장봉투에 기공(40)을 통해 통풍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 봉투에 의해 달성된다.
포장봉투,접이선,밀봉부,절취선,티백,찻잔,기공

Description

티백봉투{Tea-Bag Rap}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티백 포장 봉투의 일 실시예도.
도2은 본 고안에 의한 티백 포장 봉투의 절취선를 절취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포장된 차를 우려낼 때 티백 포장 봉투로 찻잔을 덮은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포장 봉투 11 : 접이선
12 : 밀봉부 13 : 절취선
20 : 티백 21 : 연결끈
30 : 찻잔 40 : 기공
본 고안은 각종 차류(녹차, 홍차, 우롱차, 구기자차, 생강차, 인삼차, 매실차 등)의 티백을 포장하는 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티백을 포장하는 봉투의 구조를 개선하여 티백을 단순하게 포장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차(茶)를 찻잔에서 우려낼 때 포장 봉투를 이용하여 찻잔을 덮을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생활의 윤택함과 함께 여가의 여유로움으로 인하여 차(茶)문화 또한 다양하게 발전되어 지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차(茶)를 단위 포장하여 손쉽게 차를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가공된 차(茶)류를 티백에 포장하고, 포장된 티백을 포장 봉투에 넣어 제공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안은 별도의 덮개를 사용하지 않고도 찻잔을 덮어 찻잔에 우려낸 차(茶)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종래의 포장 봉투에 기공을 형성하여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착안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티백 포장 봉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포장 봉투를 개봉하여 티백을 꺼내 차(茶)를 우려낼 때 개봉된 포장 봉투를 펼쳐 찻잔을 덮어줄 수 있도록 포장 봉투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티백의 차(茶)을 우려낼 때 찻잔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포장 봉투로 찻잔을 덮어 둠으로써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기능을 넣었으며, 티백 포장 봉투는 차(茶)가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티백 포장 봉투에 생기는 습기를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차(茶)류가 담겨져 있는 티백을 포장하는 포장 봉투에 있어서, 차(茶)가 포장되어 있는 티백(20)이 포장된 포장 봉투(10) 를 개봉하여 티백(20)을 꺼낸 후 포장 봉투(10)를 펼쳐 티백(20)을 담가 차(茶)를 우려내는 찻잔(30)에 덮어 덮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기공을 넣어 습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 봉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티백 포장 봉투는, 차(茶)가 포장되어 있는 티백(20)과, 티백(20)이 포장 되어지는 포장 봉투(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티백(20)에는 찻잔(30)에 티백(20)을 담가 차를 우려낼 때 티백(20)을 용이하게 담그고 꺼낼 수 있도록 연결끈(21)이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끈(21)의 일단이 포장 봉투(1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포장 봉투(10)는 균등하게 양등분되어 접어 포갤 수 있도록 중앙에 접이선(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선(11)상에 티백(10)의 연결끈(21)이 접착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하여서 밀봉부(12)를 형성함과 동시에 개봉 사용이 용이하도록 절취선(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 봉투(10)는 펼쳤을 때의 판상의 형태를 갖게 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티백 포장 봉투는, 도2에서와 같이 포장 봉투(10)에 포장되어 있는 티백(20)을 도3에서와 같이 가장자리를 실링하여서된 밀봉부(12)를 절취선(13)을 통해 절취해 낸다.
상기 밀봉부(12)가 도4에서와 같이 절취 완료되어 진 포장 봉투(10)로부터 티백(20)을 꺼낸 후, 티백(20)을 찻잔(30)에 도5에서와 같이 담근다.
찻잔(30)에 티백(20)을 담근 후 찻잔(30)에 물을 부어 차(茶)를 우려내게 되는데, 차(茶)를 우려내는 과정에서 찻잔(30)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장 봉투(10)를 펼쳐 도6에서와 같이 찻잔(30)을 덮어주게 되고, 상기와 같이 포장 봉투(10)로 찻잔(30)을 덮어 줌에 따라 차(茶)가 쉽게 식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는 종래의 티백포장봉투에 기공(40)을 형성하여 습기가 차지 않아,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며 먹을 수있는 티백봉투에 관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티백 포장 봉투는, 접이선(11)을 따라 접혀져 균등하게 양분 형성됨과 동시에 접이선(11)상에 티백(20)에 연결된 연결끈(21)이 고정되고, 가장자리를 실링하여서 밀봉부(12)를 가짐은 물론 절취 사용이 용이하도록 절취선(13)를 갖도록 포장 봉투(10)의 구조를 기본으로하며, 티백(20)을 포장 봉투(10)로부터 꺼내 차(茶)를 우려낼 때 포장 봉투(10)를 펼쳐 찻잔(30)의 덮개로 사용함에 따라 차(茶)를 우려내는 과정에서 찻잔(30)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기공을 첨가하므로 포장 봉투(10)로 찻잔(30)을 덮어 둠으로써 차(茶)가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찻잔에 습기가 차 위생적이지 못한 것을 별도의 덮개를 사용해야 하는 것에 기공을 형성하여 비위생적인 면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각종 차(茶)류가 담겨져 있는 티백을 포장하는 포장 봉투에 있어서, 차(茶)가 포장되어 있는 티백(20)이 포장된 포장 봉투(10)를 개봉하여 티백(20)을 꺼낸 후 포장 봉투(10)를 펼쳐서 티백(20)을 담가 차(茶)를 우려내는 찻잔에 덮어 덮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 봉투(10)는 접이선(11)에 의해 접히고, 상기 접이선(11) 상에 연결끈(21)이 연결되어서 티백(20)이 내부에 위치하고, 소정의 폭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하여서 된 밀봉부(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의 티백 포장 봉투에 단점이었던 기공이 없어 습기가 차서 비위생적이었던 것을 기공을 형성하므로써, 위생적이며, 통풍이 잘되어 오랫동안 청결한 기분으로 먹을 수 있게 한 티백 포장 봉투.
KR2020070008546U 2007-05-24 2007-05-24 티백봉투 KR200800057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46U KR20080005722U (ko) 2007-05-24 2007-05-24 티백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46U KR20080005722U (ko) 2007-05-24 2007-05-24 티백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22U true KR20080005722U (ko) 2008-11-27

Family

ID=4132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546U KR20080005722U (ko) 2007-05-24 2007-05-24 티백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72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51527B (da) Kaffeemballage_med en forudbestemt maengde kaffepulver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JP5946442B2 (ja) 飲料用包装容器
KR20080005722U (ko) 티백봉투
KR20080006191U (ko) 티백봉투
KR20080053916A (ko)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는 티백 포장지
KR200417771Y1 (ko) 티백 포장 봉투
JP3110230U (ja) ティパック包装パッケージ
JP2013144565A (ja) ティーバック
KR100552044B1 (ko) 티백
JP3722276B2 (ja) ドリップパック
KR101335191B1 (ko) 티백 포장지
JPH04210010A (ja) コーヒー粉入りドリップ用袋
JP3875892B2 (ja) 抽出原料包装バッグ
JP2001008623A (ja) ドリップ式ティーバッグ
JPH0236434Y2 (ko)
KR200417772Y1 (ko) 티백 포장 봉투
JP3849304B2 (ja) 抽出バッグ
KR20090124408A (ko) 인스턴트 차 용기
JP2006122626A (ja) 簡易コーヒードリッパー
JP5313652B2 (ja) 透水性の袋
JP3841159B2 (ja) ドリップ式簡易濾過器
JP2006238906A (ja) ティーカップの保温蓋
JP3051527U (ja) ティーバッグ
KR101254316B1 (ko) 원두커피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